KR20090036079A -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079A
KR20090036079A KR1020080098322A KR20080098322A KR20090036079A KR 20090036079 A KR20090036079 A KR 20090036079A KR 1020080098322 A KR1020080098322 A KR 1020080098322A KR 20080098322 A KR20080098322 A KR 20080098322A KR 20090036079 A KR20090036079 A KR 20090036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tape
paper
compound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0303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나겔
미하엘 슈베르트페거
크리스티안 브룬스
Original Assignee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9003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natura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02Preparing the leading end of the replacement web before splicing operation; Adhesive arrangements on leading end of replacement web; Tabs and adhesive tapes for spl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8Metal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6Preparing leading edge of replacement roll
    • B65H2301/41766Preparing leading edge of replacement roll by adhesive tab or tape with cleavable or delamina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65H2511/512Marks, e.g. invisible to the human ey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70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electric power or 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4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flying splice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3Meta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롤에 감겨진 평평한 웹 재료의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1)는 선단면(4)과 후미면(5)을 지닌 캐리어(2)를 갖는다.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6) 및 노출가능한 자체-접착제 화합물(10)은 선단면 상에 배열된다. 분리가능한 접착제 시스템(16, 17, 18)은 후미면 상에 위치된다.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8)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접착 테이프(1)에 배열된다.

Description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 {ADHESIVE TAPE FOR A FLYING ROLL CHANGE}
본 발명은 롤에 감겨진 평평한 웹 재료의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 및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평평한 웹 재료(페이퍼, 호일, 부직포 등)의 가공에서, 플라잉 롤 변경(flying roll change)은 고속 기계를 정지하지 않고 거의 풀려진 이전 롤(old web)을 새로운 롤(new web)로 교체하기 위한 확립된 공정이다. 이러한 타입의 플라잉 롤 변경 동안에, 콘택트(contact) 접착 테이프는 이전 웹의 말단부를 새로운 웹의 개시부에 연결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페이퍼, 호일 및 부직포 가공 산업에서, 플라잉 롤 변경(또한 "동적 롤 변경"으로서 칭함)은 두개의 상이한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첫번째 공정의 경우에, 양면 자체-접착 테이프는 유리한 배열(통상적으로 W- 또는 V-형태 배열)로 새로운 롤의 웹 개시부에 수작업으로 결합되며, 접착 테이프를 벗어나서 돌출된 웹 재료는 제거된다. 또한, 새로운 롤의 웹 개시부는, 새로운 롤이 이전 롤의 표면 속도로 가속될 때 웹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라 벨로서 공지된 것을 사용하여 새로운 롤의 아래에 위치된 턴(turn)에 고정된다. 이러한 공정의 단점은 롤의 제조가 매우 시간 소비적이며 결합이 기술자의 배치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공정은 항상 요망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으며, 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결합이 웹 재료, 고정 라벨 및 접착제 스트립의 층화로 인해 비교적 두껍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세하게는 얇고 가요성의 웹 재료의 경우에, 새로운 웹의 개시부에서 회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대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웹 재료에서 부풀어 오름을 나타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웹의 불량한 결합을 초래할 수 있다.
알려진 두번째 공정의 경우에서, 양면 자체-접착 테이프는 롤-유사 재료의 상층 아래 또는 위에 직선으로 결합된다.
US 5,323,981호에는 선단면 상에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고점착성의 접착제 화합물을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후미면 상에 유리하게는 두개의 접착제 화합물 부분들 사이에 접착제 화합물-부재 구역을 갖는 두개의 접착제 화합물 부분이 위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영구적 접착제인 후미 접착제 화합물 부분은 새로운 롤의 상층에 결합하고, 재배치가능한 전면 접착제 화합물 부분은 상층에 의하여 제 2 층에 적당하게 결합된다. 재배치가능한 접착제 화합물 부분은 이러한 변형에서 롤 로크(roll lock)로서 작용한다. 플라잉 롤 변경의 경우에, 배출 웹은 접착 테이프의 선단면 상에서 새로운 롤과 접촉한다. 재배치가능한 접착제 화합물 부분은 제 2 층의 재료로부터 탈착되며, 접착 테이프의 말단부에서 영구적 접착제 화합물에 의해 고정된 새로운 롤은 기계로 끌려들어간다.
WO 95/29115 A호에는 유사한 접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양면 접착 테이프는 상부면(선단면) 상에 두개의 접착제 화합물을 가지며, 하부면(후미면) 상에 하나의 접착제 화합물을 갖는다. 접착 테이프는 새로운 롤의 상층 아래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부면의 하나의 접착제 화합물은 상층을 고정시킨다. 상부면 상의 제 2 접착제 화합물은 배출 웹과의 접촉을 초래한다. 하부면 상에, 접합의 경우에, 즉 새로운 롤이 사용될 때 이의 상층을 노출시키는 재배치가능한 접착제 화합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전에 알려진 두개의 접착 테이프는 공통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두개의 테이프 경우에서, 재배치가능한 접착제 화합물은 최종 기계, 즉 평평한 웹 재료가 가공되는 기계에 의해 펼쳐져서, 웹이 휘어진 롤에 고정될 수 있거나 프린팅 블랭킷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다시 웹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은 DE 196 28 317 A에 교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기재된 접착 테이프는 WO 95/29115 A호에 따른 것과 이의 구조가 유사하지만, 후미면의 재배치가능한 접착제 테이프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분리가능한 캐리어(대개 "분리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칭함)로 대체된다. 접합의 경우에, 캐리어는, 새로운 롤의 상층이 제 2 층으로부터 탈착되고 개개의 분할 잔류부로 접착제 화합물을, 상기 접착제 화합물이 비-접착성으로 존재하는 방식으로 커버하도록, 분리된다. 이는 최종 기계를 통과하는 중에 결합의 파괴를 방지한다.
또다른 개선은 DE 199 02 179 A호에 교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분리 스트립은 새로운 롤의 선단에 의해 되돌려진다(set back). 이러한 되돌력 짐(setting-back)은 접합 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DE 198 41 609 A호에는 양면 접착제 구성성분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캐리어는 단일층 페이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경화 접착제 포인트에 연결된 페이퍼/페이퍼 복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접착제 구성성분은 또한 새로운 롤의 상층 아래에 결합된다. 접합의 경우에, 접착제 포인트는 복합체 페이퍼 중 하나로부터 페이퍼 섬유를 찢어지게 하며, 따라서 상층은 노출된다.
페이퍼 최종 기계, 특히 프린팅 기계의 경우에, 한편으로 연결점은 롤 변경의 제조 동안 검출되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 접착 테이프의 잔류부(또한 "접합"으로서 알려짐, 오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하 "접합 잔류부"로 칭함)는 폐기되도록 하기 위하여 최종 인쇄된 생성물에서 나중에 검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이한 방법들이 존재하며, 따라서 접착 테이프에 대해 제기된 여러 요구사항이 존재한다.
롤 변경기에서 접합을 위한 접착 테이프의 위치는 광학적으로 또는 유도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WO 03/018451 A호에서는 광학적 검출을 확보하고 이에 따라 접합을 시간에 따라 촉발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접촉면 상에서 배출 웹 쪽으로 바람직하게는 검정색으로 염색된 접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새로운 롤을 기초로 한)의 경우에 검출점의 목적을 위하여 측면은, 롤 변형기 상의 센서가 접착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방사적으로 염색된다. 염색은 접착제 화합물이 이후에 배출 웹과 접촉하기 위해 층화되는 측면 상에 캐리어 물질을 임프린 트(imprint)하므로써 수행된다.
EP 1 041 025 A호에는 유도성 검출을 촉발하여 알루미늄 호일을 구비한 캐리어를 갖는 접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최종 인쇄된 생성물에서 접합 잔류부는 롤의 모서리를 벗어나 돌출된 라벨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접합 잔류부가 신뢰성 있게 제거되지 못하도록 인쇄 공정에서 잃게 되는 라벨의 가능한 에러를 지닌다. 더욱이, 접합 잔류부를 지닌 모든 카피(copy)가 또한 제거되도록 몇몇 추가 카피는 항상 제거되어야 한다.
유도성 검출은 접합 잔류부가 신뢰성 있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며, 또한 접합 잔류부를 함유한 개개 카피 각각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카피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비용 감소를 나타낸다.
또한 검출 가능성을 제공하는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는 WO 03/018452 A, WO 03/018453 A 및 WO 03/018454 A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롤 변경기에서 접합의 위치를 광학적으로 결정하지만 인쇄된 생성물로부터 접합 잔류부를 유도적으로 축출하는 프린팅 기계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오늘날, 이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라벨은 임의의 경우에 추가적으로 접착 테이프에 결합되어야 한다.
가장 최근 프린팅 기계는 접착 테이프에 대한 매우 특정된 수요량을 갖는다. 한편으로, 접착 테이프는 접착 테이프의 위치를 신뢰성 있게 결정하고 이에 따라 접합을 또한 신뢰성 있게 이행하게 하기 위하여 롤 변경 공정의 개시에 정확하게 검출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최종 인쇄된 생성물에서의 접합 잔부는 접합 잔류부를 함유한 인쇄된 생성물의 축출(locking-out)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뢰성 있게 검출되어야 한다. 또한, 접합 공정 후 검출가능한 첨가물이 프린팅 기계를 통과시에 시각화되지 않게 됨을 요구한다. 즉, 현대 프린팅 기계는 파손을 빠르게 인식하고 낮은 손실을 유지하기 위해 프린팅 공정을 빠르게 정지시킬 수 있는 센서를 갖는다. 현재, 검출가능한 첨가물 중 하나가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는 경우에, 센서는 더이상 일반적인 종이를 인식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 또는 검정색 염료를 인식하고, 이후 진행 공정에서 고장을 초래하는 페이퍼 파쇄로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에 감겨진 평평한 웹 재료의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 테이프는 도포시에 신뢰성 있고 안전하고, 기술된 가장 최근의 프린팅 기계의 경우에 고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롤에 감겨진 평평한 웹 재료의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체예는 종속항으로부터 나타난다. 청구항 18은 이러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는 플라잉 롤 변경의 제조 및 순서에 대해, 즉, 접합에 대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이의 선단면 상에서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하다. 최종 기계, 예를 들어 페이퍼용 프린팅 기계를 이어서 통과하는 동안, 접합 잔류부는 유도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호일)이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상술된 가장 최근의 프린팅 기계는 또한 고장없이 작동한다. 용어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visually neutral)"은 종속항 및 이후 기술되는 대표적인 구체예가 특정 구체예를 특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이 페이퍼 파쇄를 검출하기 위해 의도되는 센서에 의해 인식되지 않거나, 정상 페이퍼 표면과 구별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후 대표적인 구체예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먼저 접착 테이프의 제 1 구체예가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 또한 언급은 더욱 일반적인 양태로 이루어질 것이다.
제 1 구체예의 경우에서, 양면이 매끄럽고, 예를 들어 55 ㎛의 두께 및 65 g/㎡의 기본 중량을 지니고 한쪽면(이하 선단면이라 칭함)에 검정색 프린팅 잉크로 임프린트된 크라프트(kraft) 페이퍼가 캐리어로서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크라프트 페이퍼는 에나멜 처리되어 프린팅 잉크를 더욱 양호하게 보호하게 할 수 있다. 페이퍼에 대해 중요한 것은 이의 물리적 성질, 특히 찢김 강도이다. 찢김 강도는 사용되는 프린팅 기계 또는 다른 가공 기계에서 웹 응력 보다 커야만 한다. 보다 낮은 웹 응력을 지닌 기계의 경우에, 페이퍼는 또한 보다 얇은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는 가공 작업에 대해 유리할 것이며, 이는 재료가 얇을 수록 기계를 통과시키는데 덜 방해되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호일은 추가 공정에서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으로서 임프린트(이후 후미면으로 칭함)를 마주하는 캐리어의 측면 위에 라미네이트된다. 알루미늄 호일은 일반적으로 6 ㎛ 내지 12 ㎛의 두께로 존재한다. 그러나, 센서의 타입에 따라, 또한 더욱 얇거나 더욱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보다 얇은 두께의 복합체는 두꺼운 두께의 복합체 보다 덜 기계 통과를 방해한다. 라미네이트화는 예를 들어, 이-성분 접착제에 의해 또는 폴리에틸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복합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정은 충분하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호일은 캐리어 페이퍼와 동일한 폭일 수 있지만, 또한 사용시에 더욱 좁을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호일은 백색 프린팅 잉크로 임프린트된다. 이는 중단용 센 서가 알루미늄 호일의 통과의 결과로서 현대 프린팅 기계에서 방해되지 않고 이에 따라 임의의 중단을 발견하거나 보고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복합체는 검정색으로 임프린트된 측면(즉, 선단면) 상에 접착제 화합물(자체-접착제 화합물)로 코팅된다. 접착제 화합물은 고점착성 화합물이어야 하며, 즉, 이는 고점착력을 가지고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어야 한다.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접착제 화합물은 실리콘-처리 물질,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페이퍼로 커버된다. 접착 테이프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경우, 이러한 탈착가능한 커버는 분할되는 슬롯을 지닐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얻어진 부분 조각들을 서로 별도로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접착 테이프가 자동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경우, 슬롯을 지니지 않은(unslotted) 커버 물질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수동 결합을 위해, 커버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페이퍼인데, 이는 이후 손으로 찢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 적용의 경우에, 커버 물질은 또한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커버를 지닌 접착 테이프는 기계에 의해 절단되기 때문이다.
접착제 화합물의 점착력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은 하기 예에서 기술된다:
점착성은 하기와 같이 결정된다: 롤링 볼 점착성으로서 공지된 것은 매우 짧은 접촉 시간에 점착성의 측정으로서 측정된다. 두께가 23 ㎛인 개개 자체-접착제 화합물을 지닌 표준 폴리에스테르 캐리어는 시험될 샘플로서 한쪽 측면에 코팅된다(용매의 증발 후 자체-접착제 화합물의 도포: 50 g/㎠). 대략 10 cm 길이 스트립의 접착 테이프는 접착제 면이 위쪽으로 향하게 시험판 위에 수평으로 고정된 다. 스틸로 이루어진 샘프 볼(직경: 11 mm; 질량: 5.6 g)은 아세톤으로 세척되고, 대기 환경(온도: 23℃±1℃; 상대 습도: 50%±1%)에서 2 시간 동안 안정화된다. 측정을 위하여, 스틸 볼은 65 mm 높이 경사로(경사각: 21°)로 굴려 보내므로써 중력하에서 가속된다. 경사로부터, 스틸 볼은 샘플의 접착제 표면 상으로 직접 가이딩된다. 볼이 정지하기 전 접착제 화합물 상에 커버된 거리가 측정된다. 이에 따른 롤링 거리의 길이는 이러한 경우에 자체-접착제 화합물의 점착성의 역측정으로서 제공한다(즉, 롤링거리가 짧을 수록, 점착성은 크고, 역으로 롤링거리가 길 수록, 점착성은 작다.). 개개의 측정된 수치는 5개의 개개의 측정값의 평균치로부터 얻어진다(mm로 특정된 길이로서).
접착력의 측정은 하기 예에서 기술된다:
접착력은 이러한 경우에 하기와 같이 결정된다: 언더레이(underlay) 상에 배치된 단일면 접착제 SC(수퍼 캘린더링된) 페이퍼의 페이퍼 측면은 규정된 접착 또는 시험 기판(접착력 플레이트)로서 사용된다. 두께가 23 ㎛인 표준 폴리에스테르 캐리어는 한쪽 면에 시험될 샘플로서 개개의 자체-접착제 화합물로 코팅된다(용매의 건조 후 자체-접착제 화합물의 도포: 50 g/㎡). 20 mm 폭의 스트립의 코팅된 표준 폴리에스테르 캐리어는 하중 하(2 kg)에서 SC 페이퍼 상으로 가압된다. 직후에, 접착 테이프는 180°의 각도 및 300 mm/분의 속도로 기판으로부터 제거되고, 실온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힘이 특정된다. 측정된 수치(N/cm)는 세개의 개개의 측정값으로부터의 평균치로서 얻어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접촉면(선단면), 즉 새로운 롤 상에 결합 후 방사적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면의 접착제 화합물은 증가된 전단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전단 강도는 이러한 경우에 하기와 같이 측정된다:
접착제 화합물의 전단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화합물들은 표준 캐리어(폴리에스테르 필름; 두께: 25 ㎛) 상에 적층된다. 유리하게는, 25 g/㎡의 일정하게 균일한 화합물의 도포가 선택된다. 접착제 화합물의 건조 및 임의적 가교 후에, 13 mm의 폭 및 적어도 20 mm의 길이를 지닌 스트립은 절단되고, 규정된 페이퍼(예를 들어, 로토그라비어 페이퍼, 예를 들어, Neopress T 54, 54 g/㎡, 또는 코팅 베이스 페이퍼, 예를 들어 Mediaprint, 135 g/㎡)에 결합된다. 결합 표면적은 13 mm x 20 mm이다. 결합 동안 일정한 접촉압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험 품목은 롤로 서서히 2회에 걸쳐 롤링된다(중량: 2 kg). 이에 따라 형성된 시험 샘플은 결합면에 대해 평행하게 1 kg의 중량으로 가하여지고, 접착제 스트립이 페이퍼 상에 잔류하는 시간이 측정된다. 개개의 접착제 화합물의 보다 양호한 구별을 위하여, 시험은 따라서 추가 시험 온도(예를 들어, 40℃ 및 70℃)에서 수행된다.
상승된 전단 수치를 갖는 이러한 타입의 생성물은 특히 냉각-셋팅 프린팅 유닛 이외에, 가열-셋팅 프린팅 유닛을 함유한 프린팅 기계에서 사용된다. 앞으로, 이는 종종 증가될 것인데, 이는 프린팅 기계의 효율이 이러한 방식에서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분리가능한 시스템은 커버(후미면)를 마주하는 측면에 도포되어,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아래에 위치되는 층위에 평평한 웹 재료를 지닌 새로운 롤의 상층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분리가능한 시스템은 광범위한 구체예를 가질 수 있 다.
DE 199 02 179 A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페이퍼는 양면에 접착제 화합물로 코팅되고, Z 방향으로 하중을 가할 때 자체내에서 분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을 위해 필요한 접착제 조성물을 커버할 수 있다. Z 방향으로의 하중은 캐리어의 면에 대해 수직의 힘 요소이며, 예를 들어 평평한 웹 재료가 새로운 롤로부터 롤링될 때 발생하며, 상층은 아래에 위치되는 층으로부터 분리된다. 캐리어의 후미면 쪽으로 지시되는 접착제 화합물 및 페이퍼의 다른 측면 상의 접착제 화합물 모두는 자체-접착제 화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경화 접착제 화합물이 또한 도포될 수 있다.
캐리어용 경화 접착제 화합물은 이들이 보다 얇은 두께로 도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다른 측면, 즉 웹 재료에 결합되는 측면 상의 경화 접착제 화합물은 특별히 상이한 결합 기판을 안전하게 결합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타입의 접착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물 또는 다른 용매 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러한 타입의 접착제 화합물의 사용이 접착제 화합물에 대해 접착제 화합물에 대해 활성시키기 위해 더욱 많은 시간을 요구하고, 도포된 접착 테이프 및 접착제 화합물이 이후 경화되지만, 이는 많은 수의 중앙 접합 제조와 함께 작동하기 때문에 현재 생산 사이클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롤은 바람직하게는 대개 6 시간 내지 8 시간 동안 제조된다.
단일층 페이퍼 대신에, 또한 EP 1 076 026 A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페이퍼/ 페이퍼 복합체, 페이퍼/호일 복합체, 또는 호일/호일 복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기술된 모든 시스템의 분리력(cleaving force)은 15 cN/cm 내지 70 cN/cm일 것이다.
접착 테이프의 제 1 구체예의 특정 예는 도 1과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참조번호 1로 표시되고 실제 스케일로 나타내지 않고 특히 크기에 있어서 매우 과장되게 나타낸 접착 테이프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접착 테이프(1)의 폭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장하고, 이에 따라 평평한 웹 재료의 길이 방향으로 도포시에 접착 테이프(1)에 연결된다.
선단면(4) 및 후미면(5)를 지니고, 예를 들어 55 ㎛의 두께 및 65 g/㎡의 기본 중량을 지닌 캐리어로서 양면이 매끄러운 크라프트 페이퍼(2)는 광학적 검출가능한 수단으로서 검정색 프린팅 잉크를 지닌 층(6)에 임프린트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는 단일면 또는 양면 에나멜처리된 페이퍼일 수 있다. 임프린팅(imprinting)은 선단면(4), 즉 접착 테이프(1)가 새로운 롤 상에 평평한 웹 재료로 결합될 때 방사적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면에서 수행된다.
알루미늄 호일(8)은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으로서 층(6)을 마주하는 면, 즉 후미면(5)에 라미네이트된다. 알루미늄 호일은 방사적으로 안쪽을 향하는 측면에 염료로 임프린트되고, 이에 따라 커버층(9)을 형성하여, 알루미늄 호일(8)의 알루미늄이 보이지 않게 한다. 이러한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백색, 즉, 페이퍼-유사 염료이다.
고점착성 자체-접착제 화합물(10)(감압 접착제, 콘텍트 접착제 화합물)은 층(6) 위에 도포된다. 자체-접착제 화합물은 투명할 수 있어, 층(6)의 임프린트된 검정색이 이를 통해 빛나거나 자체적으로 어둡게 염색되어 검출가능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한다. 자체-접착제 화합물(10)은 슬롯(13)에 의해 두개의 단편(14, 15)으로 분리되는 탈착가능한 커버(12)에 의해 커버된다.
커버층(9) 상에 분리가능한 시스템이 위치되며, 여기서 분리가능한 시스템은 도 1에 따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자체-접착제 화합물로서 배열된 두개의 접착제 화합물(17 및 18) 및 분리가능한 페이퍼(16)로 이루어진다. 이의 위치화는 유리하게는 접착 테이프(1)의 모서리(19)로부터 1 mm 내지 15 mm로 오프셋으로 수행된다(도 1 참조).
도 2는 이러한 경우에 참고번호 20으로 표시되는 접착 테이프의 제 2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고, 여기서 층의 순서는 접착 테이프(1)의 것과 상이하다.
선단면(24) 및 후미면(25)을 지니고, 예를 들어 55 ㎛ 두께 및 65 g/㎡의 기본 중량을 갖는 캐리어로서 양면이 매끄러운 크라프트 페이퍼(22)는 이의 선단면(24) 상에 알루미늄 호일(28)로 라미네이트된다. 알루미늄 호일(28)의 두께는 6 ㎛ 내지 12 ㎛이다. 그러므로, 알루미늄 호일(28) 형태의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은 이러한 경우에, 제 1 구체예에서와는 달리, 선단면(24)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복합체는 알루미늄 호일(28) 상에 검정색으로 임프린트되어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층(26)을 형성시킨다. 고점착성 자체-접착제 화합물(30)(콘텍트 접착제 화합물)은 그 위에 다시 도포되고, 탈착가능한 커버(32)로 커버된다. 커버(32)는 분 할되지 않으며, 즉 임의의 슬롯을 가지지 않으며, 이는 접착 테이프(20)의 자동 도포의 경우에 더욱 유리하다.
후미면 상에 다시 도 1에 따른 구체예에서와 같이 분리가능한 페이퍼(36) 및 두개의 자체-접착제 화합물(37, 38)을 지닌 분리가능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3은 이러한 경우에 참고번호 40으로 표시된 접착 테이프의 제 3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선단면(44) 및 후미면(45)을 지니고, 예를 들어 55 ㎛의 두께 및 65 g/㎡의 기본 중량을 갖는 캐리어로서 양면이 매끄러운 크라프트 페이퍼(42)는 알루미늄 호일(48)로 라미네이트된다. 염료로의 (46)의 임프린팅 및 콘텍트 접착제 화합물(50)의 라미네이트는 라미네트된 알루미늄 호일(48) 상에서 수행된다. 콘텍트 접착제 화합물(50)은 두 부분(54 및 55)에 슬롯(53)에 의해 분할되는 분리가능한 커버(52)로 커버되지만 또한 한 부분으로 존재할 수 있다.
페이퍼층(57)은 라미네이트된 코트(56)에 의해, EP 1 076 026 A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캐리어(42)의 후미면(45) 상에 라미네이트된다. 이는 캐리어(42)에 대한 것과 동일한 페이퍼일 수 있다. 시스템의 총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페이퍼층(57)이 임의의 웹 응력을 흡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교적 얇은 페이퍼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페이퍼층(57)은 이후 다시 콘텍트 접착제 화합물(50)과 유사할 수 있는 접착제 화합물과 함께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보다 적은 화합물의 도포는 총 두께에 대해 긍정적이다. 다른 한편으로, 접착 테이프(40)의 이러한 측면은 수작업으로 결합되며, 즉 접착제 화합물(58) 상에 배치된 기술적 요구사항은 접착제 화합물(50)에 배치된 것 만큼 높지 않다. 접합 동안에, 라미네이트된 코트(56) 상의 페이퍼층(57)은 캐리어(42)로부터 탈착되어, 점착성 접합 잔류부가 형성되지 않게 한다.
도 4는 이러한 경우에 참조 번호 60으로 표시되는 접착 테이프의 제 4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55 ㎛의 두께 및 65 g/㎡의 기본 중량을 지닌 캐리어로서 양면이 매끄러운 크라프트 페이퍼(62)는 이의 선단면(64) 상에 알루미늄 호일(68)로 라미네이트된다. 알루미늄 호일(68)은 이러한 경우에 전체적으로 생성물 보다 폭이 작다. 알루미늄 호일(68)의 폭은 분리가능한 시스템(76, 77, 78)의 폭 플러스 모서리(79)로부터의 규정된 거리로 환산된다. 따라서, 분리가능한 시스템(76, 77, 78)과 알루미늄 호일(68) 간에 중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특히 앞쪽 영역의 가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이는 기계가공성(machinability)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복합체는 알루미늄 면(층 66) 상에 이의 전체 폭에 걸쳐 임프린트되고, 콘텍트 접착제 화합물(70)로 라미네이트되고, 탈착가능한 커버(72)로 커버된다.
분리가능한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에 단일-층 페이퍼(76)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Z 방향의 하중하에서 분리된다. 접착제 화합물(77, 78)은 자체-접착제 화합물이라기 보다는 예를 들어 용매(유기용매 또는 물) 또는 물에 의해 활성화 후 (점착성을) 활성화시킨 후 증발 또는 냉각에 의해 고형화되는 접착제 화합물이다. 이러한 접착제 화합물은 특히 임계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는 기판의 경우에서 장점을 제 공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의 기술된 구체예의 도포는 전술된 것으로부터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제 1 구체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제 2 구체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제 3 구체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제 4 구체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Claims (18)

  1. 선단면(leading side, 4; 24; 44; 64) 및 후미면(trailing side, 5; 25; 45; 65)을 갖는 캐리어 (2; 22; 42; 62), 선단면 상에 배열된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 (6; 26; 46; 66) 및 노출가능한 자체-접착제 화합물 (10; 30; 50; 70), 및 후미면 상에 배열된 분리가능한 접착제 시스템 (16, 17, 18; 36, 37, 38; 56, 57, 58; 76, 77, 78)을 구비한, 롤 상에 감겨진 평평한 웹 재료의 플라잉 롤 변경(flying roll change)을 위한 접착 테이프로서,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 (8; 28; 48; 68)이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이 금속 호일 (8; 28; 48; 68),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2 ㎛ 내지 20 ㎛인 알루미늄 호일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8)이 캐리어(2)의 후미면(5) 상에 배열되고,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커버층(9)과 함께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4. 제 3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커버층(9)이 프린팅 잉크, 바람직 하게는 페이퍼-착색된 임프린트(paper-colured imprint)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유도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 (28; 48; 68)이 캐리어 (22; 42; 62)의 선단면 (24; 44; 64) 상에 배열되고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 (26; 46; 66)에 의해 감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이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층 (6; 26; 46; 66), 바람직하게는 염색된 프린팅 잉크를 지닌 임프린트(imprint)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수단이 자체-접착제 화합물에 대한 착색된 첨가물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체-접착제 화합물 (10; 30; 50; 70)이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페이퍼를 갖는 탈착가능한 커버 (12; 32; 52; 72)에 의해 커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9. 제 8항에 있어서, 탈착가능한 커버 (12; 52)가 분할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가능한 시스템 (16, 17, 18; 36, 37, 38; 76, 77, 78)이, 한쪽 측면 상에서 캐리어 (22; 62)의 후미면 (25; 65) 또는 캐리어(2)의 후미면(5)과 제 1 접착제 화합물 (17) 사이에 배열된 층 (9)에 제 1 접착제 화합물 (17; 37; 77)에 의하여 연결되고, 마주보는 제 2 측면 상에서 커버되거나 커버되지 않을 수 있는 제 2 접착제 화합물 (18; 38; 78)을 지니는 단일-츠 페이퍼 (16; 36; 76)를 가지며, 페어퍼 (16; 36; 76)가 분리가능하고 두개의 잔류부로 분리한 후에 제 1 접착제 화합물 (17; 37; 77)을 하나의 잔류부로 커버하며, 제 2 접착제 화합물 (18; 38; 78)을 다른 하나의 잔류부로 커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 1 접착제 화합물 (17; 37; 77) 및/또는 제 2 접착제 화합물 (18; 38; 78)이 활성가능한 접착제 화합물, 경화 접착제 화합물 및/또는 자체-접착제 화합물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가능한 시스템 (56; 57; 58)이 바람직하게는 페이퍼로 이루어진 제 2 캐리어 (57)를 가지며, 이는 코트 (56)에 의해 캐리어 (42)의 후미면 (45) 또는 캐리어의 후미면과 코트 사이에 배열된 층에 연결되며, 코트 (56)와 마주보는 제 2 캐리어 (57)의 측면에는 접착제 화합물 (58)이 제공되며, 코트 (56)는 분리 공정에서 분리가 코트의 경계층에서 또는 코트 내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3.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가능한 시스템이 페이퍼/페이퍼, 페이퍼/호일 재료 또는 호일 재료/호일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체-접착제 화합물 (10; 30; 50; 70)이 선단면 상에 아크릴레이트,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체-접착제 화합물 (10; 30; 50; 70)이 선단면 상에 40 mm 미만의 롤링 거리의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6.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체-접착제 화합물 (10; 30; 50; 70)이 선단면 상에 40 mm 내지 100 mm의 롤링 거리의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2; 22; 42; 62)가 크라프트(kraft) 페이퍼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8. 롤에 감겨진 평평한 웹 재료의 플라잉 롤 변경에서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용도.
KR1020080098322A 2007-10-08 2008-10-07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 KR101550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48280.0 2007-10-08
DE102007048280A DE102007048280A1 (de) 2007-10-08 2007-10-08 Klebeband für den fliegenden Rollenwech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079A true KR20090036079A (ko) 2009-04-13
KR101550303B1 KR101550303B1 (ko) 2015-09-04

Family

ID=4029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322A KR101550303B1 (ko) 2007-10-08 2008-10-07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96886B2 (ko)
EP (1) EP2048212B1 (ko)
JP (1) JP5574521B2 (ko)
KR (1) KR101550303B1 (ko)
CN (1) CN101475104B (ko)
AT (1) ATE467668T1 (ko)
DE (2) DE102007048280A1 (ko)
ES (1) ES2342508T3 (ko)
PL (1) PL204821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1381A1 (de) * 2009-05-14 2010-11-18 Tesa Se Optisch detektierbares Klebeband mit verminderten Glanzeigenschaften
CN101966777B (zh) * 2009-07-28 2012-06-27 昆山华冠商标印刷有限公司 一种纸品印染设备
CN104108626A (zh) * 2013-04-18 2014-10-22 永发印务(东莞)有限公司 一种卷盘盒包装纸接头拼接方法
DE102015222282A1 (de) 2015-11-12 2017-05-18 Tesa Se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JP6689135B2 (ja) * 2016-05-20 2020-04-2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テープ構造体
US10457512B2 (en) 2016-09-19 2019-10-29 New Era Converting Machinery, Inc. Automatic lapless butt material splice
DE102017217094A1 (de) * 2017-09-26 2019-03-28 Tesa Se Klebeband und Flachbahnmaterial mit einem derartigen Klebeband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017A (en) * 1984-06-04 1986-03-11 Essex Group, Inc. Paster tab and method of use
US4833193A (en) 1987-08-14 1989-05-23 Sieverding David L Novel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5095240A (en) * 1989-11-13 1992-03-10 X-Cyte, Inc. Inductively coupled saw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323981A (en) 1991-12-13 1994-06-28 Sequa Corporation Splicer tape system
CN1064019C (zh) 1994-04-26 2001-04-04 美国3M公司 拼接胶带和使用该拼接胶带的拼接方法
DE19628317A1 (de) 1996-07-13 1998-01-15 Beiersdorf Ag Klebeband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US6432241B1 (en) * 1998-03-13 2002-08-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licing tape, splicing method and assembly comprising the splicing tape
DE19841609A1 (de) 1998-09-11 2000-03-16 Peter Prinz Haftelement oder -streifen für Fliegenden Rollenwechsel
DE19902179B4 (de) 1999-01-21 2005-04-28 Tesa Ag Klebeband und Spliceverfahren
EP1041025A3 (de) 1999-03-31 2001-08-29 Valmet Roll Handling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rbereitung einer Papierrolle für fliegenden Rollenwechsel
EP1076026B1 (de) 1999-07-17 2005-12-07 tesa AG Spliceband mit Fixierhilfe sowie dessen Verwendung
JP2002220572A (ja) 2001-01-25 2002-08-09 Dainippon Ink & Chem Inc 再剥離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生理用品
US6649279B2 (en) * 2001-05-30 2003-11-18 Exxonmobil Oil Corporation Monoweb metallized film suitable for direct surface printing
DE10141378A1 (de) 2001-08-23 2003-04-30 Tesa Ag Oberflächenschutzfolie für lackierte Flächen mit einem Kleber auf Basis von hydrierten Blockcopolymeren
US7240873B2 (en) * 2001-08-29 2007-07-10 Tesa Ag Machine-detectable adhesive tape
EP1423322B1 (de) * 2001-08-29 2006-07-12 tesa AG Maschinell erkennbares klebeband
US7240874B2 (en) 2001-08-29 2007-07-10 Tesa Ag Machine-detectable adhesive tape
EP1423320B1 (de) * 2001-08-29 2006-03-29 tesa AG Maschinell erkennbares klebeband
DE10210192A1 (de) * 2002-03-07 2003-10-09 Tesa Ag Klebeband für fliegenden Rollenwechsel
DE10212049A1 (de) 2002-03-19 2003-10-02 Tesa Ag Haftklebemas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hierzu
KR100987679B1 (ko) * 2002-08-12 2010-10-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광반사성과 차광성을 겸비한 lcd 모듈용 점착 테이프
JP4964408B2 (ja) * 2003-07-14 2012-06-27 フレックス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顕在的および/または隠在的パターン化層を有する真空ロール被覆偽造防止薄膜干渉品
US6887328B1 (en) * 2003-11-18 2005-05-03 Eastman Kodak Company Induction splicing of photographic film strips
JP4567988B2 (ja) * 2004-02-05 2010-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状rfidタ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40814A1 (de) * 2004-08-24 2006-03-02 Tesa Ag Klebeband zur Herstellung einer Splice-Verbindung
DE102004046499A1 (de) * 2004-09-23 2006-04-06 Tesa Ag Klebeband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beim fliegenden Rollenwechsel mit einem spaltbaren System
CA2548453C (en) * 2004-10-22 2011-12-06 Kabushiki Kaisha Sato A method for applying a rfid tag carrying label on an object
US8158210B2 (en) * 2005-10-28 2012-04-17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tape flaw and splice avoidance in manufacturing
JP2008144116A (ja) * 2006-12-13 2008-06-26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303B1 (ko) 2015-09-04
CN101475104A (zh) 2009-07-08
EP2048212A1 (de) 2009-04-15
JP5574521B2 (ja) 2014-08-20
JP2009091577A (ja) 2009-04-30
DE102007048280A1 (de) 2009-04-09
US20090092779A1 (en) 2009-04-09
CN101475104B (zh) 2013-06-12
ATE467668T1 (de) 2010-05-15
ES2342508T3 (es) 2010-07-07
EP2048212B1 (de) 2010-05-12
DE502008000645D1 (de) 2010-06-24
US9796886B2 (en) 2017-10-24
PL2048212T3 (pl)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303B1 (ko) 플라잉 롤 변경을 위한 접착 테이프
US10494548B2 (en) Adhesive tape for flying splice
US20070175569A1 (en) Adhesive tape for automatic replacement of rolls
US6432241B1 (en) Splicing tape, splicing method and assembly comprising the splicing tape
US7152825B2 (en) Adhesive tape for flying splice
US7240873B2 (en) Machine-detectable adhesive tape
US8354152B2 (en) Adhesive tape and its use
US20050006520A1 (en) Machine-detectable adhesive tape
US8343605B2 (en) Adhesive tape and its use
JP5210483B2 (ja) カレンダー掛け装置上で連続的に接着を行うための接着片
CA2781445C (en) Use of a splice band having laminating mass strip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US20070251633A1 (en) Adhesive tape for producing a joint during a static reel change
JP5566767B2 (ja) 光沢性が低減された光学的に検出可能な接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