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927A - 다중 철선의 인출기 - Google Patents

다중 철선의 인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927A
KR20090035927A KR1020070100971A KR20070100971A KR20090035927A KR 20090035927 A KR20090035927 A KR 20090035927A KR 1020070100971 A KR1020070100971 A KR 1020070100971A KR 20070100971 A KR20070100971 A KR 20070100971A KR 20090035927 A KR20090035927 A KR 20090035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awer
iron wire
wires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완
최인수
Original Assignee
김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완 filed Critical 김기완
Priority to KR102007010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927A/ko
Publication of KR2009003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철선의 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직육면체의 형체를 이루고 전체적인 형틀을 유지하고 있는 몸체부와; 상기의 몸체부에 지그재그식으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후면부에는 바깥쪽으로 향하여 넓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인출구멍과; 상기 인출구멍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는 철선을 안내하고 있는 내부 안내구와; 상기 안내구의 전면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정너트와 스프링으로 구성된 조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철선들이 서로 2 mm 내지 25 mm 정도로 매우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을 경우에도, 이러한 철선들을 앞쪽에서 끌어당긴 다음 뒤쪽으로 보내줄 수 있으므로, 매우 조밀하게 배열된 철선들을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철선, 인출기, 배열, 조밀 간격, 철망 작업, 펜스

Description

다중 철선의 인출기{Apparatus for inducing multiple steel wires}
본 발명은 복수의 철선의 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선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와 유사한 정도로 조밀하게 배열된 복수의 철선을 잡아당겨 뒤쪽으로 밀어주는 다중 철선의 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선을 가공하여 제조되는 제품으로서는, 흔히 사각망 또는 능형망으로 일컬어지는 돌망태철망과, 6각형의 허니컴 모양을 하고 있는 6각철망과, 상기 6각철망의 망눈 사이에 가로철선을 더욱 삽입하여 제조한 5각철망 등이 있다.
이러한 철망들은 앞쪽에서 들어온 철선들을 서로 교차되게 배열하여 뒤틀어줌으로써 각각의 독특한 형상으로 꼬임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꼬임구조가 형성된 이후에는, 이미 형성된 꼬임구조를 뒤쪽으로 보내주는 반면에, 아직 철선으로 남아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다시 서로 교차시켜 배열하고 뒤틀어주어 꼬임구조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행함으로써, 앞쪽에서 공급되는 철선들을 소정의 철망 형태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미 완성된 철망들은 뒤쪽으로 보내고 아직 철선으로 남아있는 부분들은 뒤쪽으로 끌어당겨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꼬임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꼬임구조를 이용하는 방법은 철선과 철선이 서로 교차하여 꼬임구조를 이루는 지점에 철망제조기계의 걸림돌기를 끼워넣고, 상기의 걸림돌기가 상기의 꼬임구조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의 걸림돌기를 뒤쪽으로 보내는 방법이다. 이 경우, 상기의 걸림돌기에 의해 철망의 꼬임구조도 함께 뒤쪽으로 보내지게 되면, 그와 더불어 아직 가공되지 않은 철선들이 자연스럽게 뒤쪽 방향으로 딸려 들어오게 되므로, 연속적인 가공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이미 가공된 철망을 이용하여 앞쪽의 철선을 뒤쪽으로 끌어당기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꼬임구조 이용방식은 철선에 의하여 꼬임구조를 형성할 경우에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꼬임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거나, 또는 걸림돌기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철선을 뒤쪽으로 보내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꼬임구조 이용방식은 앞쪽에 배열된 철선들이 매우 큰 간격(예컨대, 50 mm 내지 150 mm)을 이루면서 뒤쪽으로 보내질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었고, 앞쪽에 배열된 철선들이 아주 좁은 간격(예컨대, 2 mm 내지 30 mm)을 이루면서 투입될 경우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철망제조기계의 앞쪽에서 철선을 붙잡고 이것을 뒤쪽으로 강제로 밀어보내주는 강제인출방식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강제인출방식의 경우에도, 역시 앞쪽에 배열된 철선들이 매우 큰 간격(예컨대, 50 mm 내지 150 mm)을 이루고 있을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었고, 앞쪽에 배열된 철선들이 아주 좁은 간격(예컨대, 2 mm 내지 30 mm)을 이루면서 투입될 경우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철선의 인출 내지 배출방식은 철선의 배열간격이 매우 큰 경우에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을 뿐이고, 철선의 배열간격이 매우 조밀한 경우에는 전혀 사용될 수 없었던 것이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철선의 배열간격이 매우 조밀한 제품은 생산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상황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한계상황을 극복하지 않는 한, 철선의 배열간격이 매우 조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선의 배열이 매우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를 효율적으로 인출하여 뒤쪽으로 보내줄 수 있는 다중 철선의 인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는 하나의 직육면체의 형체를 이루고 전체적인 형틀을 유지하고 있는 몸체부와; 상기의 몸체부에 지그재그식으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후면부에는 바깥쪽으로 향하여 넓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인출구멍과; 상기 인출구멍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그 내부 에서는 철선을 안내하고 있는 내부 안내구와; 상기 안내구의 전면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정너트와 스프링를 포함한 조정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인출구멍(120)과 바로 인접되어 있지만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된 인출구멍(220) 사이의 간격(L1)은 약 10 mm 내지 30 mm 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멍(120)의 외주와 상기 인출구멍(220)의 외주 사이의 간격(L2)은 약 - 3 mm 내지 15 mm 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수의 철선들이 서로 3 mm 내지 25 mm 정도로 매우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을 경우에도, 이러한 철선들을 앞쪽에서 끌어당긴 다음 뒤쪽으로 보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으로는 도저히 수행할 수 없었던 영역(즉, 각 철선의 배열간격이 3 mm 내지 25 mm 정도인 영역)에서의 철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를 이용할 경우, 매우 조밀한 배열의 철선을 균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밀한 배열의 철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철망을 제조할 수 있는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매우 조밀하게 배열된 철선(10)들을 균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의 정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에 있어서 주요부의 구성 및 철선(10)과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형체를 이루고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고 있는 몸체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몸체부(110)는 직사각형의 육면체가 바람직하고, 그 전면부에서 후면부 방향으로 다수의 인출구멍(120)(220)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는 상기의 몸체부(110)에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인출구멍(120)(2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인출구멍(120)은 상기의 몸체부(110)에 위쪽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데 반하여, 상기의 인출구멍(220)은 상기 몸체부(110)의 아래쪽 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만약, 가공되어야 할 철선들(10)이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의 인출구멍(120)(220)을 서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할 필요가 전혀 없다. 왜냐하면,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인출구멍(120)(220)을 단순히 일렬로 배열하여 작업을 행할 경우에도, 작업 수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가공되어야 할 철선들(10)이 매우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을 경우에는, 통상적인 배열 방식으로는 철선들(10)의 조밀한 배열 간격을 형성하거나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상기의 인출구멍(120)(220)을 서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하여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인출구멍(120)은 바로 인접되어 있으면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된 인출구멍(220)과의 사이를 이루고 있는 간격(L1)을 약 10 mm 내지 30 mm 정도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인출구멍(120)(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철선들(10)의 직경을 고려할 때, 그 간격(L1)이 10 mm 이하일 경우엔 상기 철선들(10) 사이의 간격이 형성될 수 없거나 2 mm 이하로 형성되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그 간격(L1)이 30 mm 이상일 경우엔 상기 철선들(1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게 되어서 바람직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멍(120)의 외주와 상기 인출구멍(220)의 외주 사이의 간격(L2)은 약 - 3 mm 내지 15 mm 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때, 상기의 간격(L2)이 마이너스(-) 값을 갖는 것은 그들이 서로 겹쳐지게 배열된다는 것인데, 본 발명은 상기의 인출구멍(120)(220)이 서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어지게 되므로 그들이 직접적으로 겹쳐지지는 않고, 서로 어긋나게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 역시 상기 외주 사이의 간격(L2)이 - 3 mm 이하로 될 경우엔 나중에 철선들(10)의 간격이 너무 좁아서 바람직스럽지 못하고, 상기 외주 사이의 간격(L2)이 15 mm 이상일 경우엔 철선들(1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게 되어서 바람직스럽지 못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인출구멍(120)(220)은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에서 바깥쪽(뒤쪽)으로 향하여 넓게 형성된 경사면(122)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경사면(122)은 그 안쪽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 안내구(130)의 3개의 볼(134)이 상기 철선(10)과의 사이에서 이를 조여주고 풀어주는 길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는 상기 인출구멍(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는 철선(10)을 안내하고 있는 내부 안내구(1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내부 안내구(130)는 상기 인출구멍(120)(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중앙의 몸체(132)와 상기 인출구멍(120)(220)의 뒤쪽에서 상기 경사면(122)에 대응하여 갈라져 형성된 빈공간부의 3개의 볼(134)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의 몸체(132)는 그 내부에서 상기의 철선(10)을 안내하고 있으며, 상기 3개의 볼(134)은 상기 경사면(122)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의 철선(10)을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행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는 상기 안내구(130)의 전면에서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정너트(142)와 스프링(144)으로 구성된 조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조정부는 상기 안내구(130)를 상기 인출구멍(120)(220)의 내부에 어느 정도로 삽입시킬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의 조정부는 상기 안내구(13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정너트(142)와 스프링(144)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조정너트(142)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켜서 상기 안내구(130)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안내구(130)의 안쪽에 삽입된 철선(10)의 인출작업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의 기능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즉, 상기의 조정너트(142)를 이용하여 상기의 안내구(130)를 상기 인출구멍(120)(220)에서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하도록 할 경우, 상기의 몸체(132)가 역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상기 3개의 볼(134)이 역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3개의 볼(134)이 상기 경사면(122)의 좁은 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가는 철사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조정너트(142)를 이용하여 상기의 안내구(130)를 상 기 인출구멍(120)(220)에서 상대적으로 뒤쪽에 위치하도록 할 경우, 상기의 몸체(132)가 역시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상기 3개의 볼(134)이 역시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3개의 볼(134)이 상기 경사면(122)의 넓은 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굵은 철사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출기(100)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조립체(200)는 앞쪽에 위치한 전방인출기(100a)와 뒤쪽에 위치해 있는 후방인출기(100b)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의 전방인출기(100a)는 그 자리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는 소정의 길이만큼 왕복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조립체(200)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통하여 매우 조밀하게 배열된 철선들(10)을 앞쪽에서 뒤쪽으로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 조립체(200)를 사용하여 철선들(10)을 인출하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상기 다중 철선의 인출기 조립체(2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몇가지 단계별로 나타낸 주요부의 단면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1). 준비단계 :
먼저, 가공하고자하는 철선들(10)을 고정식의 전방인출기(100a)와 왕복식의 후방인출기(100b)에 각각 끼우고, 작업을 준비한다.
2). 후방인출기(100b)의 전진운동 단계:
가공하고자 하는 철선들(10)이 상기의 전방인출기(100a)와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를 뒤쪽에서 앞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방인출기(100a)에서는 그 내부의 철선(10)이 순간적으로 뒤쪽에서 앞쪽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철선(10)에 맞닿아있는 상기 3개의 볼(134)을 뒤쪽에서 앞쪽을 밀어주게 된다. 그런데, 상기 3개의 볼(134)은 경사면이 좁아지게 되므로, 상기의 철선(10)을 꽉 밀착시키게 되고, 상기의 철선(10)이 더 이상 앞쪽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붙잡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에서는 상기 3개의 볼(134)이 뒤쪽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경사면이 넓은 쪽으로 향하게 되고, 여태까지 붙들고 있던 철선(10)을 놓아주게 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가 앞쪽으로 나아가게 된다.
3). 후방인출기(100b)의 전진운동후 순간 멈춤 단계:
상기의 전방인출기(100a)가 그 내부의 철선(10)을 꽉 붙잡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가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한 이후, 상기의 후방인출 기(100b)는 순간적으로 멈추게 되고, 그 방향을 전환하는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인출기(100a)의 내부에서는 상기 3개의 볼(134)이 상기의 철선(10)을 꽉 붙잡고 있는 반면에, 상기 후방인출기(100b)의 내부에서는 상기 3개의 볼(134)이 상기의 철선(10)을 느슨하게 유지하고 있다.
4). 후방인출기(100b)의 후진운동 단계:
상기의 철선들(10)이 상기의 전방인출기(100a)와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를 앞쪽에서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후방인출기(100b)에서는 상기 3개의 볼(134)이 상기 경사면(134)의 좁은 방향으로 밀려가게되고, 그 결과 상기의 철선(10)을 3개의 방향에서 중앙으로 꽉 밀착시키게 되고, 그와 같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의 철선(10)을 뒤쪽으로 끌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인출기(100a)의 내부 상황을 살펴보면, 상기의 철선(10)이 앞쪽에서 뒤쪽으로 끌려가고 있으므로, 그에 밀착되어 있던 3개의 볼(134)을 뒤쪽으로 밀려나게 해주고, 그 상태에서 상기 3개의 볼(134)은 경사면이 넓은 쪽으로 향하게 되므로, 그때까지 붙들고 있던 철선(10)을 놓아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철선(10)은 더 이상 상기 전방인출기(100a)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므로,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에 의하여 뒤쪽으로 잡아당겨져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5). 후방인출기(100b)의 후진운동후 순간 멈춤 단계: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가 그 내부의 철선(10)을 꽉 붙잡고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한 이후,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는 순간적으로 멈추게 되고, 그 방향을 전환하는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인출기(100b)의 내부에서는 상기 3개의 볼(134)이 상기의 철선(10)을 꽉 붙잡고 있는 반면에, 상기 전방인출기(100a)의 내부에서는 상기 3개의 볼(134)이 상기의 철선(10)을 느슨하게 유지하고 있다.
6). 반복 운동 단계: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조립체(200)는 위와 같이 상기의 전방인출기(100a)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의 후방인출기(100b)가 소정의 길이만큼 전진하였다가 다시 후진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의 철선(10)을 소정의 길이만큼 뒤쪽으로 이동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조립체(200)는 이와 같은 왕복운동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행함으로써, 상기의 철선(10)을 소정의 길이만큼 지속적으로 앞쪽에서 뒤쪽으로 이동하게 해주며, 이는 상기의 철선(10)에 대한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 및 그 작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 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의 정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에 있어서 주요부의 구성 및 철선(10)과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 조립체(200)를 사용하여 철선들(10)을 인출하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상기 다중 철선의 인출기 조립체(2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몇가지 단계별로 나타낸 주요부의 단면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다중 철선의 인출기, 110 : 몸체부,
120, 220 : 인출구멍, 122 : 경사면,
130 : 내부 안내구, 134 : 볼

Claims (5)

  1. 전체적으로 하나의 직육면체의 형체를 이루고 전체적인 형틀을 유지하고 있는 몸체부(110)와;
    상기의 몸체부에 지그재그식으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후면부에는 뒤쪽으로 향하여 넓게 형성된 경사면(122)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인출구멍(120)(220)과;
    상기 인출구멍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는 철선(10)을 안내하고 있는 내부 안내구(130)와;
    상기 안내구의 전면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정너트(142)와 스프링(144)으로 구성된 조정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인출구멍(120)은 바로 인접되어 있지만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된 인출구멍(220)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L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간격(L1)은 10 mm 내지 25 mm 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멍(120)의 외주와 상기 인출구멍(220)의 외주 사이의 간격(L2)은 - 3 mm 내지 15 mm 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인출구멍(120)은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에서 뒤쪽으로 향하여 넓게 형성된 경사면(122)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경사면(122)은 그 안쪽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 안내구(130)의 3개의 볼(134)을 내장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내부 안내구(130)는 상기 인출구멍(120)(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중앙의 몸체(132)와 상기 인출구멍(120)(220)의 뒤쪽에서 상기 경사면(122)에 대응하여 갈라져 형성된 빈공간부의 3개의 볼(13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철선의 인출기(100).
KR1020070100971A 2007-10-08 2007-10-08 다중 철선의 인출기 KR20090035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71A KR20090035927A (ko) 2007-10-08 2007-10-08 다중 철선의 인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71A KR20090035927A (ko) 2007-10-08 2007-10-08 다중 철선의 인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27A true KR20090035927A (ko) 2009-04-13

Family

ID=4076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971A KR20090035927A (ko) 2007-10-08 2007-10-08 다중 철선의 인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2686A (zh) * 2015-03-09 2015-06-24 重庆工商大学 一种金属线自动绕线脱线模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2686A (zh) * 2015-03-09 2015-06-24 重庆工商大学 一种金属线自动绕线脱线模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307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orstenwaren
KR20090035927A (ko) 다중 철선의 인출기
DE10134828A1 (de) Federherstellvorrichtung
KR20100020857A (ko)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671505A (zh) 利用激光器形成具有用于模制钩环紧固元件的型腔的模具的方法以及钩环紧固系统的钩紧固元件
DE112020000082T5 (de) Spulenwicklungsvorrichtung, Spulenwicklungsverfahren und Spulenherstellungsverfahren, das sie verwendet
KR920001657B1 (ko) 횡편 인타샤기의 무늬사 자동 공급장치
CN104438392A (zh) 拉丝生产线
CN110788257B (zh) 一种简易高效石笼网机的捻网结构及捻网方法
DE60216915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runden der enden von borsten
CN108890294B (zh) 蟹笼自动打圈焊接一体机
DE60117384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andhaben und zur kühlung von kunststoffvorformlingen
JPS6321574B2 (ko)
DE102009031395B4 (de) Abzugsfreies Verfahren zum Rundstricken von Drähten sowie Vorrichtung zum abzugsfreien Rundstricken von Drähten
DE4311974C2 (de) Maschine für die Herstellung von Bürsten
CN109277503B (zh) 一种组合拉簧的制作装置
CN210023375U (zh) 装饰管成型模具
TW201902384A (zh) 拉鏈鏈牙列成形裝置
CN107683832B (zh) 一种用于鱼竿缠绕编花的打花机及使用方法
CN1094160C (zh) 用于生产针织品的方法和装置
KR100522884B1 (ko) 격자형 다량위입 직기
KR100485609B1 (ko) 가시철망 제조장치
CN215543692U (zh) 棒材辊轧模块
DE60220910T2 (de) Tuften von oralen bürsten
CN202849720U (zh) 一种引塔夏横编织机的纱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