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053A - 모니터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053A
KR20090035053A KR1020070100089A KR20070100089A KR20090035053A KR 20090035053 A KR20090035053 A KR 20090035053A KR 1020070100089 A KR1020070100089 A KR 1020070100089A KR 20070100089 A KR20070100089 A KR 20070100089A KR 20090035053 A KR20090035053 A KR 2009003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nitor
stand
elevat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오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영 filed Critical 오세영
Priority to KR102007010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053A/ko
Publication of KR2009003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모니터의 틸트/스위블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는 위치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선택하고,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모니터용 스탠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 본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내측벽 양측에 지지돌기와 가이드 홀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한 지지대에 수납되어 모니터 본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과 연계되어 함께 연동됨과 아울러 모니터 본체를 지지하는 안착 플레이트와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기울기 조정수단으로 이루어진 조정부와; 상기한 지지대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에 안착됨과 아울러 승강수단의 작동에 연동되어 모니터 본체의 안정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승강부재와; 상기한 조정부의 기울기 조정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됨과 아울러 모니터 본체의 아래측에 부착된 접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용 스탠드{the stand for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틸트/스위블(Tilt/Swivel)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모니터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캐드(CAD) 등에 사용되는 모니터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전,후 방향의 기울기 조정 및 회전 기능이 부여된 스탠드 타입이 적용되고 있는 바, 상기 스탠드 타입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이 내장된 모니터 본체(50)와 이를 지지하는 스탠드(51)가 틸트 및 스위블 기능이 가능하도록 모니터 본체(50)에 원형 접속부(52)를 부착시킴과 아울러 이와 대응하는 스탠드(51)에는 안착 홈(53)이 형성되어 상호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모니터 본체(50)에 부착된 원형 접속부(52)의 중앙부에 고정 홀(54)을 형성하고, 스탠드(51)의 안착 홈(53)에는 장방형의 홀(55)을 형성하여 볼트(56)와 너트(57)등으로 고정 설치함으로써 모니터 본체(50)가 스탠드(51)에 고정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모니터 본체(5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탠드(51)의 안착 홈(53)에 안착된 모니터 본체(50)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양호한 상태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인위적인 힘을 가해 기울기 및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지만, 볼트(56)와 너트(57)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원형 접속부(52)와 안착 홈(53)이 면접촉을 이루고 있음은 물론 모니터 본체(50)의 자중에 의한 마찰력 증대로 인하여 틸트 및 스위블 기능을 실현할 때 많은 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무리한 작동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정확한 위치선택이 어렵고, 스탠드(51)의 파손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의 틸트/스위블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는 위치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선택하고,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모니터용 스탠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니터 본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내측벽 양측에 지지돌기와 가이드 홀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한 지지대에 수납되어 모니터 본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과 연계되어 함께 연동됨과 아울러 모니터 본체를 지지하는 안착 플레이트의 경사 각도 를 조정하는 기울기 조정수단으로 이루어진 조정부와; 상기한 지지대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에 안착됨과 아울러 승강수단의 작동에 연동되어 모니터 본체의 안정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승강부재와; 상기한 조정부의 기울기 조정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됨과 아울러 모니터 본체의 아래측에 부착된 접속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스탠드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니터용 스탠드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게 모니터 본체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그 높이와 경사 각도를 볼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 지지판과 링크의 경사 각도를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그 목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용이하고 정확한 조정이 가능하고, 모니터 본체를 지지하는 접속 부재와 안착 플레이트가 구름부재를 개재하여 고정 설치됨에 따라 원활한 작동에 따른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용 스탠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결합 측단면도로서, 부호(1)은 지지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지지대(1)의 내측벽 양측에는 지지돌기(3)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아래측에 가이드 홀(5a)(5b)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승강부재가 지지되고 가이드 축이 안내되 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의 내측에 제공되어 모니터 본체(도시생략)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도록 높이 조절 및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부(7)는 모니터 본체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9)과, 모니터 본체를 지지하는 안착 플레이트(1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기울기 조정수단(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승강수단(9)은 지지대(1)에 축지지됨은 물론 핸들(15)을 보유하고, 나사산(17a)(17b)이 반대로 형성된 볼 스크류(19)와, 이 볼 스크류(19)의 나사산(17a)(17b)에 결합되어 상호 대향 작동되는 볼 너트(21a)(21b)와, 상기 볼 너트(21a)(21b)와 일체화시킴은 물론 지지대(1)의 가이드 홀(5a)(5b)에 안내되는 가이드 축(25a)(2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소정의 경사 각도로 배치된 지지판(23a)(23b)으로 이루어져 볼 스크류(19)의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판(23a)(23b)의 경사 각도가 변하게 됨으로써 모니터 본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판(23a)(23b)은 절개 홈(24a)(24b)이 형성되어 모니터 본체의 높이 조절시 볼 너트(21a)(21b)가 볼 스크류(19)에 안내될 때 지지판(23a)(23b)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축(25a)(25b)의 양측단이 안내되는 지지대(1)의 가이드 홀(5a)(5b)은 그 길이가 한정되어 볼 스크류(19)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판(23a)(23b)의 경사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모니터 본체의 높이 조절이 적절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기울기 조정수단(13)은 승강수단(9)의 지지판(23a)(23b) 상측과 힌지 축(27a)(27b)에 의해 결합된 지지판(29)과, 이 지지판(29)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재(31)에 힌지 결합됨은 물론 모니터 본체를 지지하는 안착 플레이트(11)와, 상기한 지지판(29)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부(33a)(33b)의 일측에 치합됨과 아울러 핸들(35)을 보유하는 볼 스크류(37)와, 이 볼 스크류(37)의 선단부와 안착 플레이트(1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링크(39)로 이루어져 볼 스크류(37)의 회전 방향에 따라 링크(39)의 경사 각도가 가변됨으로써 안착 플레이트(11)가 힌지부재(31)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상기한 힌지부재(31)는 모니터 본체의 안정된 지지를 위해 역 삼각형 형상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그 일측은 지지판(29)에 일체로 형성된 " " 자 형상의 고정부재(41)와 타측은 지지판(29)의 절곡부(33a) 중앙부를 타발하여 지지하
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승강수단(9)에 의해 모니터 본체의 승강시 함께 승강되는 승강부재(43)는 지지판(29)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부(33a)(33b)에 고정 설치되는 제1수직면(43a)과, 지지대(1)의 내측면에 안내됨과 아울러 지지돌기(3)에 안착되어 모니터 본체의 자중을 지지하는 제2수직면(43b)이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수직면(43a)에는 기울기 조정수단(13)의 볼 스크류(37)가 관통 안내되는 장공(4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니터 본체를 지지하는 접속부재(45)는 안착 플레이트(11)와 회전 가능하게 볼트 등의 고정부재(47)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는 바, 모니터 본체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름부재(49)가 개재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 볼 베어링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면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모니터용 스탠드는, 조정부(7)를 지지대(1)의 내측에 안착시켜 가이드 축(25a)(25b)의 양측단을 가이드 홀(5a)(5b)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승강수단(9)의 볼 스크류(19)를 축지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부재(43)를 지지대(1)의 내측에 안착시킨 후 제1수직면(43a)과 기울기 조정수단(13)의 지지판(29)에 형성된 절곡부(33a)(33b)를 고정 설치하고, 안착 플레이트(11)에 모니터 본체의 아래측에 부착된 접속부재(45)를 고정부재(47)로 고정함으로써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 본체의 장착이 완료된 다음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모니터 본체를 회전시키고,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게 되는 바, 모니터 본체의 회전은 안착 플레이트(11)와 접속부재(45)가 구름부재(49)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음에 기인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모니터 본체의 높이 조절은 조정부(7)의 승강수단(9)을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승강수단(9)의 핸들(15)을 정방향으로 돌리면, 볼 스크류(19)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각각의 나사산(17a)(17b)에 결합된 볼 너트(21a)(21b)가 내측으로 이송됨으로써 지지대(1)의 가이드 홀(5a)(5b)에 안내되는 가이드 축(25a)(25b)에 의해 일체화된 지지판(23a)(23b)의 경사 각도가 급경사를 이루게 되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판(29)이 상승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는 높이에 이르면 승강수단(9)의 핸들(15)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며, 지지대(10의 내측에 안내되는 승강부재(43)의 제2수직면(43b)에 의해 모니터 본체의 안정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 본체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다음,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정수단(13)의 핸들(35)을 정방향으로 돌리면, 지지판(29)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부(33b)와 치합된 볼 스크류(37)가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퇴됨에 따라 그 선단부에 마련된 링크(39)의 경사 각도가 커짐으로써 안착 플레이트(1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9)에 고정 설치된 힌지부재(31)를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모니터 본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모니터 본체의 높이 조절을 행하지 않고 경사 각도만 조절할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기울기 조정수단(13)의 핸들(35)만 작동시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본체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경사 각도의 조절은 행하지 않고 높이 조절만 행할 경우 제2도에 도시한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는 높이만 조절하면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용 스탠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모니터용 스탠드의 승강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모니터용 스탠드의 틸트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종래 기술의 모니터용 스탠드에 모니터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지지대 3; 지지돌기 5a,5b; 가이드 홀
7; 조정부 9; 승강수단 11; 안착 플레이트
13; 기울기 조정수단 15,35; 핸들
17a,17b; 나사산 19,37; 볼 스크류 21a,21b; 볼 너트
23a,23b,29; 지지판 24a,24b; 절개 홈 31; 힌지부재
33a,33b; 절곡부 39; 링크 41; 고정부재
43; 승강부재 43a; 제1수직면 43b; 제2수직면
43c; 장공 45; 접속부재 47; 고정부재
49; 구름부재

Claims (7)

  1. 모니터 본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내측벽 양측에 지지돌기(3)와 가이드 홀(5a)(5b)이 형성된 지지대(1);
    상기 지지대(1)에 수납되어 모니터 본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승강수단(9);
    상기 승강수단(9)과 연계되어 모니터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기울기 조정수단(13);
    상기 기울기 조정수단(13)에 연결 설치되고 모니터 본체를 지지하는 안착 플레이트(11);
    상기 지지대(1)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3)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9)의 작용에 연동되어 모니터 본체의 안정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부재(43);
    상기 기울기 조정수단(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됨과 아울러 모니터 본체의 아래측에 부착되는 접속부재(45); 및 상기 접속부재(45)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11) 사이에 개재되는 구름부재(49)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9)은 상기 지지대(1)에 축지지되어 지지대(1)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핸들(15)과, 이 핸들(15)과 연결되고 나사산(17a)(17b)이 반대로 형성된 볼 스크류(19)와, 상기 볼 스크류(19)의 나사산(17a)(17b)에 결합되어 상호 대향 작동되는 볼 너트(21a)(21b)와, 상기 볼 너트(21a)(21b)와 일체화시킴은 물론 상기 지지대(1)의 가이드 홀(5a)(5b)에 안내 되는 가이드 축(25a)(2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소정의 경사각도로 배치된 지지판(23a)(23b)을 포함하고,상기 기울기 조정수단(13)은, 상기 승강수단(9)의 지지판(23a)(23b) 상측과 힌지 축(27a)(27b)에 의해 결합된 지지판(29)과, 상기 지지판(29)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재(31)와, 상기 지지판(29)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부(33a)(33b)의 일측에 치합됨과 아울러 핸들(35)을 보유하는 볼 스크류(37)와, 상기 볼 스크류(37)의 선단부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1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링크(39)를 포함하고,상기 접속부재(45)가 고정부재(47)에 의해 상기 안착 플레이트(11)에 고정 설치되는모니터용 스탠드.
  2. 제 1 항에있어서,상기지지판(23a)(23b)은 모니터 본체의 높이 조절시 볼 너트(21a)(21b)가 볼 스크류(19)에 안내될 때 지지판(23a)(23b)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절개 홈(24a)(24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스탠드.
  3. 제 1 항에있어서,상기지지대(1)의 가이드 홀(5a)(5b)은 볼 스크류(19)의 회전 방향에 가이드 축(25a)(25b)에 의해 연동되는 지지판(23a)(23b)의 경사 각도를 제한하여 모니터 본체의 높이 조절이 적절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그 길이가 한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스탠드.
  4. 제 1 항에있어서,상기힌지부재(31)는 모니터 본체의 안정된 지지를 위해 역삼각형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스탠드.
  5. 제 1 항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31)의 일측은 상기 지지판(29)에 형성된 " ㄱ" 자 형상의 고정부재(41)와 타측은 지지판(29)의 절곡부(33a) 중앙부를 타발하여 지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스탠드.
  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승강부재(43)는상기지지판(29)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부(33a)(33b)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울기 조정수단(13)의 볼 스크류(37)가 관통하는 장공(43c)이 형성된 제1수직면(43a)과, 상기 지지대(1)의 내측면에 안내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돌기(3)에 안착되어 모니터 본체의 자중을 지지하는 제2수직면(43b)이 단차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스탠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구름부재(49)는 수지 볼 베어링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스탠드.
KR1020070100089A 2007-10-05 2007-10-05 모니터용 스탠드 KR20090035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89A KR20090035053A (ko) 2007-10-05 2007-10-05 모니터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89A KR20090035053A (ko) 2007-10-05 2007-10-05 모니터용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053A true KR20090035053A (ko) 2009-04-09

Family

ID=4076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089A KR20090035053A (ko) 2007-10-05 2007-10-05 모니터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0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7040A (zh) * 2019-03-13 2019-05-31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计算机显示屏调节装置
CN112433111A (zh) * 2020-10-27 2021-03-02 苏州菲利波电磁技术有限公司 电动汽车无线充电辐射发射测试台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7040A (zh) * 2019-03-13 2019-05-31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计算机显示屏调节装置
CN112433111A (zh) * 2020-10-27 2021-03-02 苏州菲利波电磁技术有限公司 电动汽车无线充电辐射发射测试台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820B1 (ko) 디스플레이장치
CN102481053B (zh) 用于椅子的机构
KR20070109009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CN101555977A (zh) 支撑装置
KR20020005136A (ko) Lcd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ES2787823T3 (es) Aparato y método de instalación de parabrisas
US20060238086A1 (en) Structure of a monitor support device with height adjusting function
EP2735828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door hinge assembly
KR101231959B1 (ko) 이젤
KR20090035053A (ko) 모니터용 스탠드
KR20180103284A (ko) 컴퓨터 데스크
KR20100070405A (ko) 모니터용 스탠드
KR100315218B1 (ko) 모니터용스탠드
KR20100030421A (ko) 낚시대 받침틀용 받침대유지구
JP3158482U (ja) 四脚、及び竿保持セット
KR20090030401A (ko)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장치
JPH1182881A (ja) 機器用調整脚
JP3862851B2 (ja) 薄形表示装置の昇降機構
KR200384317Y1 (ko)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JP3134724U (ja) テーブルの高さ調整構造
CN208399405U (zh) 用于真空灭弧室的检测装置
KR200304523Y1 (ko) 의자용 높이조절장치
KR20090078882A (ko) 책상의 경사 조절 장치
JP4573546B2 (ja) 平行リンク式機器支持装置
KR20080104507A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