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497A - 형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497A
KR20090034497A KR1020070099741A KR20070099741A KR20090034497A KR 20090034497 A KR20090034497 A KR 20090034497A KR 1020070099741 A KR1020070099741 A KR 1020070099741A KR 20070099741 A KR20070099741 A KR 20070099741A KR 20090034497 A KR20090034497 A KR 20090034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hole
fluorescent
screen
plate
fluoresc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108B1 (ko
Inventor
김후식
이수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웍스
Priority to KR102007009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1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5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fluorescence X-ray imag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21Apparatus for direct X-ray cinematography
    • G03B42/023Apparatus for indirect X-ray cinematography, i.e. by taking pictures on ordinary film from the images on the fluorescent scre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version Of X-Rays Into Visible Image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형광스크린은, 엑스선 등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 홀(216a)이 형성되는 스크린판(210); 핀홀(216a) 내측면 상에 형성되는 반사층(215); 반사층(215)이 형성된 핀 홀(216a)내에 채워지는 형광물질(214); 및 보강반사층(220a)이 형성된 보강판(220);을 구비하며, 스크린판(210)과 보강판(220) 사이에 보강반사층(220a)이 개재되도록 보강판(220)이 스크린판(21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 홀의 형성으로 인하여 엑스선 등의 촬영의 해상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엑스선 등의 입사면 쪽으로 산란되어 역행하는 가시광선을 차단할 수 있어 촬영의 효율이 향상된다.
엑스선, 디지털, 보강반사층, 형광입자, 핀홀, 형광스크린

Description

형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Fluorescent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형광스크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핀 홀을 갖는 형광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핀홀의 형태 및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핀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스크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스크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
도 11은 핀 홀에 형광입자를 채우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2는 핀 홀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11: 엑스선 12, 12a: 가시광선
210: 스크린판 216a: 핀 홀
216b: 격벽 214: 형광입자
215: 반사층 220: 보강판
220a: 보강반사층
본 발명은 형광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 감쇄 문제를 해결하여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 등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형광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광 스크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종래 병원에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 필름을 현상할 때에 발생하는 폐 용액에 의한 환경오염, 환자를 진단하기 위하여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하는 데 따른 환자들의 피폭 가능성, 및 필름의 장기간 보관에 따른 과다한 비용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는 환자의 자료를 컴퓨터에 저장하기 때문에 의사는 즉석에서 과거의 엑스선 필름 사진을 바로 볼 수 있고 환자가 원할 경우 즉시 인쇄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먼 거리에 위치한 병원 간에도 자료의 전송이 용이하며, 엑스선 필름을 수년간 보관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해상도와 효율면에서 모자란 점이 많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엑스선 발생기(미도시)에서 발생된 엑스선 중에서 인체를 투과한 엑스선(11)은 형광스크린(10)에 입력되어 형광스크린(10)에서 가시광선(12)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형광스크린(1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선(12)은 반사경(22, 24)과 결상렌즈계(30)를 거쳐 고체촬상소자(CCD, 40)에 결상된다. 고체촬상소자(40)에 입력된 상은 마이컴(50)에 전송된다.
도 2는 도 1의 형광스크린(10)으로 인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형광스크린(10)에는 형광입자(14)가 미세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형광입자(14)의 여기에 의해서 발생되는 가시광선(12)은 형광스크린(10)의 두께(t)를 경유하는 동안에 형광입자(14)에 의해 산란되어 강도피크가 폭 W 만큼 분산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는 해상도가 떨어진다.
이렇게 해상도가 떨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 제710469호에 핀홀을 가지는 형광스크린을 제안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으며,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형광스크린(110)에 수직 핀 홀(116a)을 형성하고, 핀 홀(116a) 면에는 반사층(115)을 코팅한 후 핀 홀(116a) 내에 형광입자(114)를 채운다. 핀 홀(116a)은 위에서 내려다 봤을 때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가 육각형(117)의 모양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최대한 빽빽하게(close-packed) 배열한다.
형광입자(114)에 의한 산란광은 핀 홀(116a) 사이의 격벽(116b) 때문에 이웃한 핀 홀(116a)로 건너가지 못하고 핀 홀(116a) 내에 가두어진다. 따라서 형광 스 크린(11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선은 강도피크에 분산이 일어나더라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분산 정도가 핀 홀(116a)의 폭(d)보다 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해상도가 향상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스크린(10)에서는 가시광선(12)이 사방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형광스크린(1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선(12)이 모두 렌즈(32)의 입사동(Entrance pupil, 32a)으로 입사되는 것이 아니라, 렌즈의 입사동(32a)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선(12a)이 있는 반면에 렌즈의 입사동(32a)으로 입사되지 못하는 가시광선(12b)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는 촬영 효율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상기 대한민국특허에서 원뿔(도5a) 또는 원뿔대(도5b) 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하였다.
왜냐하면, 도6a에서와 같이 핀 홀(116a)의 형태가 직경에 변함이 없는 원통형일 경우에는 가시광선(12)이 핀 홀(116a)에서 빠져나가는 각도(θ2)가 입력되는 각도(θ1)와 같지만, 도 6b에서와 같이, 핀 홀(116a)이 가시광선(12)을 출력하는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할 경우에는 가시광선(12)이 핀 홀(116a)에서 빠져나가는 각도(θ2)가 입력되는 각도(θ1)보다 작게 되어 렌즈의 입사동(32a)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선(12)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뿔형태(도 5의 (a))의 경우에는 핀 홀(116a)의 밑부분(A)이 막혀있기 때문에 형광입자(114)를 채울 때 형광입자(114)가 핀홀(116a)의 밑부분(A)까지 내려가지 못하여 이 부분이 채워지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핀 홀(116a)이 원뿔대 형태(도 5의 (b))인 경우에는 핀 홀(116a)의 밑이 뚫려 있어서 형광입 자(114)가 핀 홀(116a)의 밑부분까지 제대로 채워지기는 하지만 핀 홀(116a)의 저면에 반사층(115)이 존재할 수 없게 되므로 형광입자(114)에 의해 산란된 빛이 참조번호 12a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다시 엑스선(11)의 입력면 쪽으로 산란되어 역행하여 CCD에 감지되어야 할 광이 감쇄되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7100469호에 개시된 핀 홀이 형성된 형광스크린의 광 감쇄 문제를 해결하여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 등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형광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형광 스크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형광스크린은, 엑스선 등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 홀이 형성되는 스크린판; 상기 핀홀 내측면 상에 형성되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이 형성된 핀 홀 내에 채워지는 형광물질; 및 보강반사층이 형성된 보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판과 상기 보강판 사이에 상기 보강반사층이 개재되도록 상기 보강판이 상기 스크린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홀은 직경이 0.02~0.1mm이고 높이가 0.05~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홀은 상기 엑스선 등을 입력받는 쪽에서 상기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측면이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홀의 측면이 수직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0~45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판가 보강판은 투명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반사층과 보강반사층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형광스크린 제조방법은, 스크린판의 면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핀홀 내측면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층이 형성된 핀홀 내에 형광물질을 채우는 단계; 및 윗면에 보강반사층이 형성된 보강판을 상기 형광물질이 채워진 스크린판에 부착하되 상기 보강판과 상기 스크린판 사이에 상기 보강반사층이 개재되도록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핀홀은 측면이 수직면에 0~45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홀은 프레스 가공 또는 사출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홀 내에 형광물질을 채우는 단계는, 분말 형태의 형광입자와 접착제가 혼합된 반죽을 상기 핀홀에 채우는 단계와, 상기 핀홀의 윗 입구 쪽에 고형화 보호필름을 덮고 열 또는 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반죽을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혼합된 반죽은 가압노즐을 통하여 상기 핀홀에 투입되고, 상기 투입방향의 반대편에는 감압노즐이 설치되어 상기 반죽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스크린은 스크린판(210)에 형성되는 핀 홀(216a)의 밑부분이 막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핀홀(216a)의 밑부분이 막히는 경우에는 형광입자(214)가 핀홀의 저면까지 제대로 채워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핀홀(216a)의 밑부분을 일단 개방된 형태로 하여 형광입자(214)를 채운다. 그러면 핀홀(216a) 내에 형광입자(214)가 밑부분까지 채워진다. 핀홀(216a)은 상기 대한민국특허 제 710469호에 본 출원인이 개시한 바와 같이 금속금형이나 원통형 롤러 등을 이용한 프레스 공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사출가공에 의해 형성시킬 수도 있다.
금형을 이용하여 핀 홀(216a)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핀 홀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의 (a)는 사각뿔대 형상의 핀 홀을 형성하기 위한 사각뿔대 금형, 도 12의 (b)는 원뿔대 형상의 핀 홀을 형성하기 위한 원뿔대 금형 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12의 (a)의 (a-1)와 도 12의 (b)의 (b-1)는 금형의 사시도, 도 12의 (a)의 (a-2)와 도 12의 (b)의 (b-2)는 금형의 평면도, 도 12의 (a)의 (a-3)와 도 12의 (b)의 (b-3)은 금형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3x3으로 배열된 격자 구조를 갖는 금형이 사용됨을 알 수 있는데, 격자 구조의 크기는 제조하려는 형광 스크린의 크기 등의 공정 요건에 맞게 얼마든지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금형을 사용할 경우, 형성되는 핀 홀의 배치 형상은 바둑판과 같은 격자 무늬 형태가 된다.
핀홀(216a)의 밑부분이 개방되어 있기만 하다면 그 형태는 원뿔대(도 7의 (a))이든 원통형(도 7의 (b))이든 상관없다. 측면이 경사지기만 한다면 원뿔대 대신에 사각뿔대 형태 등이어도 좋다. 해상도 측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뿔대 형태(도 7의 (a))가 바람직하겠지만 형광스크린 다음에 렌즈가 아닌 CCD와 같은 감지수단이 바로 위치할 경우에는 경사(tapered)가 없는 원통 형태(도 7의 (b))이어도 무방하다.
핀홀(216a)은 측면경사(θ)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에 대해 0≤θ≤45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은 0,02~0.1mm이고 높이는 0.05~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핀홀(216a)의 밑면이 개방되어 있어 반사층(215)이 존재하지 못하게 되므로 형광입자(214)에 의해 산란된 가시광선(12)이 엑스선(11)의 입력면 쪽으로 반사되어 역행해 가는 것을 막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판(210)의 엑스선 입력면 쪽에 보강판(220)을 덧붙이고, 스크린판(210)과 보강 판(220) 사이에 본 발명의 특징부인 보강 반사층(220a)을 개재시킨다. 스크린판(210)은 아크릴이나 PET와 같은 투명성을 가지는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강판(220)도 스크린판(210)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반사층(220a)은 금속재질의 것을 스퍼터링 또는 진공증착법 등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보강판(220)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형광스크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공정단면도이다. 우선 스크린판(210)에 핀 홀(216a)을 형성하고(S1), 스퍼터링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핀 홀(216a) 내에 반사층(215), 예컨대 알루미늄층을 코팅한다(S2, 도 10의 (a)). 핀 홀(216a) 형성방법은 이미 상술한 대한민국특허 제71046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 후에 형광입자(214)를 핀 홀(216a)에 채운다(S3, 도 10의 (b)). 형광입자(214)의 재질로는 가돌리늄 설퍼 옥사이드(Gadolinium sulfur oxide)를 많이 사용한다. 형광입자(214)는 분말의 형태를 하며 접착제와 혼합되어 반죽상태로 핀 홀(216a)에 채워진다.
핀 홀(216a)에 채워진 형광입자(214)와 접착제를 고형화시키기 위하여 형광입자(214)가 채워진 결과물 상부에 고형화 보호필름(214a)을 덮고, 고형화 보호필름(214a)을 통하여 열, 가시광선, UV, 적외선, 엑스선 등을 투시시킨다(도 10의 (c)). 그러면 형광입자(214)가 고형화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크린판(210)의 뒷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바른 후 다른 고형화 보호필름(214b)을 덮어서 위에서 언급한 고형화 작업을 다시 진행시킬 수도 있다(도 10의 (d))(S4).
스크린판(210)과 고형화 보호필름(214a, 214b)을 접착시킬 때에는 스크린판(210)과 고형화 보호필름(214a, 214b) 사이의 공기간격을 제거하기 위하여 롤 2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이에 스크린판(210)을 집어넣어 롤의 간격을 이용하여 압착한다. 압착 시 발생할 수 있는 공기기포는 롤 설비를 진공 챔버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보호필름(214a, 214b)이 부착된 상태로 고형화된 완성품을 사용 목적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한다. 반사효율을 증가 시키기위하여 보호필름 (214b)의 형광체쪽의 면에 보강 반사층 코팅(220a)을 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형광판을 구성하는 도 10에서 보호필름(214a)은 스크린판(210)에 부착 또는 제거한 상태로 사용 할 수가 있다.
도 11은 핀 홀(216a)에 형광입자(214)를 채우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형광입자(214)는 접착제와 반죽되어 핀 홀(216a)에 채워지기 때문에 핀 홀(216a)에 충진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가압노즐(300)을 이용하여 형광입자(214)를 채우고 반죽된 형광입자(214)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광체 투입노즐의 반대편에는 감압노즐(400)를 설치하여 압력차의 도움을 받는다. 이 때 핀 홀(216a)의 밑 구멍쪽으로 넘쳐나오는 형광체 반죽은 감압노즐(400)에 의해 제거된다.
가압노즐(300)과 감압노즐(400)은 칼날형상으로 스크린판(210)에 접촉되거나 원형의 형태로 원주의 꼭지점에 토출과 흡입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 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장치가 주로 디지털 엑스레이 촬영용으로 설명되었으나 그 용도가 반드시 그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형광스크린은 기존의 형광스크린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기존의 형광스크린의 사용처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디지털 엑스레이 촬영장치에 적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한 예에 불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핀홀의 형성으로 인하여 엑스선 등의 촬영의 해상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엑스선 등의 입사면 쪽으로 산란되어 역행하는 가시광선을 차단할 수 있어 촬영의 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18)

  1. 엑스선 등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 등의 형광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 홀이 형성되는 스크린판;
    상기 핀홀 내측면 상에 형성되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이 형성된 핀 홀 내에 채워지는 형광물질; 및
    보강반사층이 형성된 보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판과 상기 보강판 사이에 상기 보강반사층이 개재되도록 상기 보강판이 상기 스크린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은 직경이 0.02~0.1mm이고 높이가 0.05~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은 상기 엑스선 등을 입력받는 쪽에서 상기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측면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4. 제1항에 있어서, 싱기 핀홀의 측면이 수직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0~30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이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판이 투명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물질이 입자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물질이 가돌리늄 설퍼 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이 투명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반사층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13. 스크린판의 면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핀홀 내측면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층이 형성된 핀홀 내에 형광물질을 채우는 단계; 및
    윗면에 보강반사층이 형성된 보강판을 상기 형광물질이 채워진 스크린판에 부착하되 상기 보강판과 상기 스크린판 사이에 상기 보강반사층이 개재되도록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은 측면이 수직면에 0~45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은 프레스 가공 또는 사출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내에 형광물질을 채우는 단계가,
    분말 형태의 형광입자와 접착제가 혼합된 반죽을 상기 핀홀에 채우는 단계; 및
    상기 핀홀의 윗 입구 쪽에 고형화 보호필름을 덮고 열 또는 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반죽을 고형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을 고형화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스크린판의 밑면 쪽에 접착제를 바르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판의 밑면쪽에 고형화 보호필름을 부착시키고 열 또는 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판의 밑면쪽에서 상기 핀홀내의 반죽을 다시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제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내에 형광물질을 채우는 단계가,
    분말 형태의 형광입자와 접착제가 혼합된 반죽을 가압노즐을 통하여 상기 핀홀에 투입하고, 상기 투입방향의 반대편에는 감압노즐을 설치하여 상기 반죽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스크린 제조방법.
KR1020070099741A 2007-10-04 2007-10-04 형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094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741A KR100948108B1 (ko) 2007-10-04 2007-10-04 형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741A KR100948108B1 (ko) 2007-10-04 2007-10-04 형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497A true KR20090034497A (ko) 2009-04-08
KR100948108B1 KR100948108B1 (ko) 2010-03-16

Family

ID=4076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741A KR100948108B1 (ko) 2007-10-04 2007-10-04 형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1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21B1 (ko) * 2010-01-18 2012-02-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판
KR101461355B1 (ko) * 2013-09-26 2014-11-13 우영찬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방사능 물질 촬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698A (ja) * 1994-01-28 1995-08-18 Sony Corp 蛍光板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放射線撮影装置、並びに蛍光板の製造方法
JPH10160898A (ja) 1996-11-29 1998-06-19 Sony Corp 蛍光体素子及び放射線像観測装置
JP4521929B2 (ja) 2000-04-26 2010-08-11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蛍光体及びそれを用いた放射線検出器及びx線ct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21B1 (ko) * 2010-01-18 2012-02-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판
KR101461355B1 (ko) * 2013-09-26 2014-11-13 우영찬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방사능 물질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108B1 (ko)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017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video and digital image directly from dental x-ray film
CN103718069B (zh) 滤光器
JP5623281B2 (ja) 撮像装置用シンチレータ、シンチレータモジュール、該シンチレータ付き撮像装置およびシンチレータ製造方法
JP6671839B2 (ja) 放射線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CN101248348A (zh) 光照射装置和光学构件
KR100948108B1 (ko) 형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8079A (ko) 차광성층을 갖춘 렌티큘라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8047665A1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13171114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6212175A (ja) カセッテ型放射線撮影装置
US7414245B2 (en) Scintillator-based micro-radiographic imaging device
DE102015121022A1 (de) Strahlungsabbildungssystem
JP2007218710A (ja) 放射線測定装置
CN104545974B (zh) 医学设备的摄影窗以及具有这种摄影窗的医学设备
KR100710469B1 (ko) 형광 스크린이 개선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 및 그 형광스크린 제조방법
KR20020082566A (ko) 디지털 엑스레이 장치
JPH02129600A (ja) 放射線画像読取用螢光体板
KR101621387B1 (ko) X-선 디지털 촬영 장치용 형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x-선 검출기
KR101804137B1 (ko) 의료용 방사선 영상기기의 팬텀 제조방법
JP2007147581A (ja) シンチレータ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放射線測定装置
US11762106B2 (en) Scintillator array, method for manufacturing scintillator array, radiation detector, and radiation inspection device
EP3940429B1 (en) Radiation imaging panel, radiation imaging apparatus,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scintillator plate
US6737656B2 (en) Screen for converting X-rays into light photons
US10551512B2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e system using the same
GB2565314A (en) Scintillator product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e in autoradiographic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