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415A - 외관표면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 Google Patents

외관표면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415A
KR20090034415A KR1020070099582A KR20070099582A KR20090034415A KR 20090034415 A KR20090034415 A KR 20090034415A KR 1020070099582 A KR1020070099582 A KR 1020070099582A KR 20070099582 A KR20070099582 A KR 20070099582A KR 20090034415 A KR20090034415 A KR 2009003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weight
thermoplastic resin
fiber reinforced
reinforced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534B1 (ko
Inventor
김형주
김성룡
김태훈
률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9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5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의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B)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 20 내지 60 중량%; (C) 유리섬유 5 내지 50 중량%; 및 (D) 대전방지제 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관 표면 품질이 우수한 대전방지성의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괴상중합 ABS 공중합체, 유리섬유, 대전방지, 외관표면특성

Description

외관표면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HAVING HIGH QUALITY OF OUTER SURFACE}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의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 표면 품질과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즉,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우수한 외관 표면 특성을 가지며, 대전방지제를 투입하여 표면의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리섬유 강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이하 'ABS' 라 칭함) 복합소재는 인장강도, 굴곡탄성률 등 기계적 강도를 대폭 향상시키며, 금속과 유사한 수준의 칫수 안정성을 보여왔다. 그러나 외관 표면을 더불어 향상시키려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좋은 외관 표면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ABS는 아직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즉, 유리섬유는 제품 표면의 평탄도를 저해하고 이물질로 인하여 FPC(Flexible Printed Circuit) 필름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으로 인하여 하우징 재료로는 사 용되지 못해 대전방지용으로서의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외관 표면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미국특허 제 7,135,520에서 분쇄된 유리섬유와 절단된 유리섬유를 혼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외관 표면 특성을 향상시켰으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외관 표면 특성이 우수하고, 대전방지제를 투입하여 외관 표면의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B)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 20 내지 60 중량%;
(C) 유리섬유 5 내지 50 중량%; 및
(D) 대전방지제 5 내지 25 중량%
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자가 큰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외관 표면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하우징 재료로서 사용가능하며, 대전방지제를 투입하여 외관 표면의 전기 전도도를 우수하게 함으로써 먼지가 달라붙지 않아 반도체 등의 포장 용기로 적용가능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 에테르 아마이드 계열의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하며, 유리 섬유로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며, 돌출된 유리섬유를 입자 사이즈가 큰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를 이용하여 부드럽게 둘러싸는 형상을 취한다. 상기 대전방지제, 유리섬유,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의 함량을 조절하여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며 외관 표면이 부드러운 복합수지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A)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B)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 20 내지 60 중량%;
(C) 유리섬유 5 내지 50 중량%; 및
(D) 대전방지제 5 내지 25 중량% 가 기초수지로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ABS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괴상중합 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유화중합이다.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ABS는 기타 물성은 우수하나 5000 Å 이상 크기의 고무를 만들 수 없으며 유화중합 시 반드시 사용되는 유화제 및 응집제가 최종 제품에 잔류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화중합 후 응집, 탈수 및 건조라는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비경제적일 수 있다.
반면에 괴상중합으로 ABS를 중합할 경우에는 10000 Å 이상 크기의 고무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중합 방식은 유화제나 기타 첨가제가 들어가지 않고 적당량의 중합개시제, 분자량조절제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열을 가하여 중합하는 방식으로 기존 유화중합에 비해 경제적이고 잔류물이 적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반응 매질 10 내지 45 중량부, 스티렌계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10 내지 25 중량부, 부타디엔 또는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5 내지 12 중량부, 폴리부텐 0.01 내지 15 중량부, 개시제 0.01 내지 1 중량부 및 분자량 조절제 0.01 내지 1 중량부를 첨가하여 괴상중합하여 ABS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괴상중합은 중합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중합용액을 5 내지 15 L/hr의 속도로 반응기에 투입하면서 9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중합하는 1 단계, 11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중합하는 2 단계, 및 120 내지 160 ℃의 온도에서 중합하는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중 10 내지 6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60 중량%를 초과하면 표면의 광택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고무질 입자의 크기는 1 내지 10 마이크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입자가 상기 범위의 크기를 가짐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에서의 외관 형상이 탁월하게 향상된다.
(B)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
본 발명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는 상기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용융혼련 가능한 경질 매트릭스로, 유리전이온도가 최소한 60 ℃ 이상인 경질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비닐 시안 화합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함유한 화합물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 내지 33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4 %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90,000 내지 160,000인 2종의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90,000 내지 110,000으로 유동성이 높은 수지인 제 1 SAN 공중합체와 중량평균분자량이 140,000내지 160,000인 고분자량의 제 2 SAN 공중합체를 그 무게비가 99:1 내지 1:99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2 종의 SAN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유동성과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 내지 33 %인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함량이 20 % 미만일 경우에는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33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과 색상이 저하되며, 발색단의 증가로 인하여 내변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중 20 내지 6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60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C) 유리섬유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glass 타입의 촙 유리섬유와 분쇄된 유리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촙 유리섬유는 길이가 2 내지 5 mm 이고, 직경이 1 내지 100 ㎛ 이며, 상기 분쇄된 유리섬유는 길이가 50 내지 500 ㎛이고, 직경이 1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섬유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중 5 내지 5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외관 표면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D) 대전방지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제는 폴리 에테르 아마이드, 유기 아민 및 아마이 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다가 알콜, 금속류, 카본블랙, 및 카본 화이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 에테르 아마이드(Poly ether amide)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중 5 내지 25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대전방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25 중량%를 초과하면 사출성형 제품에 박리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제 1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열안정제 0.2 중량부 및 아민 계열의 커플링 결합제 0.3 중량부가 더욱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1012 Ω/sq 이하의 표면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필름용 릴 패킹(Reel packing) 소재, 광학 디스크, 자기 디스크, 또는 전자전기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A)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반응매질인 에틸 벤젠 35 중량부에 단량체로 스티렌 41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13.5 중량부를 녹인 혼합 용액에 부타디엔 고무 7.5 중량부를 녹인 후 수평균분자량이 900인 폴리부텐 5 중량부, 개시제로 1,1-비스(t-부틸퍼옥시)-3,3,5 트리메틸 사이클로헥산 0.02 중량부 및 분자량 조절제로 t-도데실 메르캅탄 0.03 중량부를 첨가하여 중합 용액을 만든다. 이 용액을 10 L/hr의 속도로 반응기에 투입하면서 1단계로 110 ℃의 온도에서 중합하고 2단계로 130 ℃ 온도에서 중합하여, 3단계로 중합용액에 0.8 중량부의 t-도데실메르캅탄을 99.2 중량부의 에틸 벤젠에 녹인 혼합 용액을 10 L/hr로 투입하면서 145 ℃의 온도에서 중합하여 휘발조를 거쳐 미반응 단량체와 반응 매질을 제거하고 펠렛 형태의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B)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인 제 1 SAN 공중합체 50 중량%와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인 제 2 SAN 공중합체를 5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C) 유리섬유>
일본 NEG사의 직경 10~13㎛, 촙 길이 3mm이고, 아미노 실란의 커플링제로 처리된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D) 대전방지제>
나노켐텍으로부터 공급받은 대전방지제(NB60)를 정제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제조>
상기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30 중량%, 상기 제 1 SAN 공중합체 20 중량%, 상기 제 2 SAN 공중합체 15중량%, 상기 유리섬유 20 중량%, 상기 대전방지제 15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활제 1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열안정제 0.2 중량부 및 아민 계열의 커플링 결합제 0.3 중량부를 첨가하여 250℃에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33 중량%, 상기 대전방지제 12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중량%, 상기 대전방지제 1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40 중량%, 상기 유리섬유 1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 법으로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에서 상기 촙 유리섬유 대신에 분쇄된 유리섬유 1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분쇄된 유리섬유는 일본의 센트럴 글라스사의 EFH100-31을 정제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3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중량%, 제 1 SAN 공중합체 25 중량%, 제 2 SAN 공중합체 20중량%, 유리섬유 2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중량%, 제 1 SAN 공중합체 25 중량%, 제 2 SAN 공중합체 17중량%, 유리섬유 20 중량%, 대전방지제 3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40 중량%, 제 1 SAN 공중합체 25 중량%, 제 2 SAN 공중합체 20 중량%, 대전방지제 15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1 SAN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35 중량%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펠렛을 사출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표면저항, 표면품질,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및 유동성 등의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실온에서 5mm/sec 의 속도를 갖는 인스트론 UTM을 사용하여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충격강도
1/8" 두께의 시편을 23 ℃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유동성( MI )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 3.8 ㎏ 하중 및 g/10 min의 속도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표면저항
25℃에서 상대습도 36%인 조건 하에서 TRER사의 model 152를 사용하여 Concentric circle probe 방식으로 100V 전압을 인가하여 측정하였다.
표면품질
성형품의 외관 표면은 1등급(양호)에서 5등급(불량)까지 시각적, 촉각적 그리고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등급의 기준은 유리섬유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4를 기준으로 삼았으며, 그 등급은 1등급이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조성 괴상중합 ABS 30 33 35 40 40 35 35 40 30
유화중합 ABS 30
제 1 SAN 20 20 20 20 20 20 25 25 25 35
제 2 SAN 15 15 15 15 15 15 20 17 20
촙 유리섬유 20 20 20 10 20 20 20 20
분쇄 유리섬유 10
대전방지제 15 12 10 15 15 15 3 15 15
물성 표면저항 E9 E10 E11 E9 E9 E9 E15 이상 E15 이상 E15 E9
외관 상태 3 3 3 2 1 5 3 3 1 5
인장강도 694 721 736 533 430 730 985 880 330 710
굴곡강도 941 962 969 836 643 925 1,350 1,230 512 980
굴곡탄성률 50,423 51,900 53,143 32,885 23,550 52,300 62,536 56,765 18,213 53,215
유동성 2.9 2.6 2.5 3.6 9.2 1.9 1.7 1.9 12.8 4.0
면충격강도 1/8 27.6 26.6 23.7 29.2 30.5 35.6 32.6 30.5 45.5 22.3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에 해당하는 실시예 1 내지 5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표면의 외관 상태가 우수하고 대전 방지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1은 표면의 외관 상태가 매우 저하되었으며, 대전방지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적정함량 미만으로 포함된 비교예 2 및 3은 대전방지성이 저하되었으며,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4는 기계적 강도가 매우 저하됨과 동시에 대전방지성도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 1 SAN 공중합체만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5는 외관 표면 상태가 매우 저하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A)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B)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 20 내지 60 중량%;
    (C) 유리섬유 5 내지 50 중량%; 및
    (D) 대전방지제 5 내지 25 중량%
    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고무입자크기는 1 내지 10 마이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90,000 내지 110,000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와 중량평균분자량이 140,000 내지 160,000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공중합체가 그 무게비가 99:1 내지 1:99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가 2 내지 5 mm이고, 직경이 1 내지 100 ㎛인
    촙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가 50 내지 500 ㎛이고, 직경이 1 내지 30 ㎛인
    분쇄된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 에테르 아마이드, 유기 아민 및 아마이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다가 알콜, 금속류, 카본블랙, 및 카본 화이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 에테르 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1012 Ω/sq 이하의 표면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필름용 릴 패킹(Reel Packing) 소재, 광학 디스크, 자기 디스크, 또는 전자전기 부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KR1020070099582A 2007-10-04 2007-10-04 외관표면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KR101204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582A KR101204534B1 (ko) 2007-10-04 2007-10-04 외관표면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582A KR101204534B1 (ko) 2007-10-04 2007-10-04 외관표면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415A true KR20090034415A (ko) 2009-04-08
KR101204534B1 KR101204534B1 (ko) 2012-11-23

Family

ID=4076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582A KR101204534B1 (ko) 2007-10-04 2007-10-04 외관표면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5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5879A (zh) * 2010-05-06 2010-11-17 中山赛特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抗静电空调风叶的材料
KR101304168B1 (ko) * 2010-11-08 2013-09-04 (주)엘지하우시스 열성형 시에 고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abs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abs 시트
KR101469271B1 (ko) * 2010-10-20 2014-12-09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1881A (ja) 1999-04-06 2000-12-19 Toray Ind Inc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20070117909A1 (en) 2005-10-27 2007-05-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forming a reinforced polymeric material and articles formed therewit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5879A (zh) * 2010-05-06 2010-11-17 中山赛特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抗静电空调风叶的材料
KR101469271B1 (ko) * 2010-10-20 2014-12-09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1304168B1 (ko) * 2010-11-08 2013-09-04 (주)엘지하우시스 열성형 시에 고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abs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abs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534B1 (ko) 201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173B1 (ko)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조성물
KR101328296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난연 수지 조성물
KR100824971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CN101724241B (zh) 抗静电热塑性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11282B1 (ko) 재생 수지가 포함된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KR101204534B1 (ko) 외관표면품질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CN110997820A (zh) 耐滑动摩耗构件用液晶性树脂组合物和使用了其的耐滑动摩耗构件
CN102863731A (zh) Abs复合塑料、其制备方法和应用
JPS59155459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120077025A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20075085A (ko) 재생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6034026A (zh) 树脂组合物、成形体、复合体及其用途
KR10079358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40312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28583B1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8283421A (ja) 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導電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CN114149642B (zh) 一种高刚韧性玻璃体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84735B1 (ko) 광택도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4211916A (ja) 金属をインサートした成形品
KR102402962B1 (ko)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JP313194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2402957B1 (ko)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319245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480588B1 (ko)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CN117402406A (zh) 一种应用于abs再生料的增韧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