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962B1 -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2962B1 KR102402962B1 KR1020210091602A KR20210091602A KR102402962B1 KR 102402962 B1 KR102402962 B1 KR 102402962B1 KR 1020210091602 A KR1020210091602 A KR 1020210091602A KR 20210091602 A KR20210091602 A KR 20210091602A KR 102402962 B1 KR102402962 B1 KR 102402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resin composition
- component
- antistatic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11231 conductive fill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title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29920000578 graft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150000001993 die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1 vinyl cyanide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0638 styrene acrylonitri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145 styrene acrylonitril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DHKHKXVYLBGOIT-UHFFFAOYSA-N acetaldehyde Diethyl Acetal Natural products CCOC(C)OCC DHKHKXVYLBGOI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2777 acetyl group Chemical class [H]C([H])([H])C(*)=O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6380 polyphenylene 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468 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09 Impact Modif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963 UV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822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67 nucle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KXGFMDJXCMQABM-UHFFFAOYSA-N 2-methoxy-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H]OC1=CC=CC([CH])=C1O KXGFMDJXCMQABM-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6082 mold releas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20001568 phenol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048 multi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3 s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09 sing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SDJHPPZKZZWAKF-UHFFFAOYSA-N 2,3-dimethylbuta-1,3-diene Chemical compound CC(=C)C(C)=C SDJHPPZKZZWA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compound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MJHHCWVYXUKFD-SNAWJCMRSA-N (E)-1,3-pen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C PMJHHCWVYXUKFD-SNAWJCMRSA-N 0.000 description 1
- SBYMUDUGTIKLCR-UHFFFAOYSA-N 2-chloroet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CC1=CC=CC=C1 SBYMUDUGTIKL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GLWCQMNTGCUBB-UHFFFAOYSA-N 3-methylidenepent-1-ene Chemical compound CCC(=C)C=C IGLWCQMNTGCU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YCMBHHDWRMZGG-UHFFFAOYSA-N Methyl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C#N GYCMBHHDWRMZG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44 PEDOT:PS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YLMUPLGERFSHI-UHFFFAOYSA-N alpha-Methyl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1=CC=CC=C1 XYLMUPLGERFS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ACLQRRMGMJLJV-UHFFFAOYSA-N chloroprene Chemical compound ClC(=C)C=C YACLQRRMGMJL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7 die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44 die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56 gravure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04 material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37 moulding (plasti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87 phenoxy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34 phen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MJHHCWVYXUKFD-UHFFFAOYSA-N piperylene Natural products CC=CC=C PMJHHCWVYXUK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JWLCRVIBGQPNF-UHFFFAOYSA-N prop-2-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CC1=CC=CC=C1 HJWLCRVIBGQP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44 reinfor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08 synthesi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30 thermal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56 thermo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6—Pretreated ingredients and ingredients covered by the main groups C08K3/00 - C08K7/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30—Applications used for thermofor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러; 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본 출원에 따른 조성물로 만든 성형품은 인장강도, 내충격성 및 표면저항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전 또는 정전기란 전하량의 평형이 깨져 물체가 전기적 특성을 띠게 되는 현상으로 두 물체 사이의 접촉, 박리, 마찰, 유동 등의 물리적 운동과 상태에 의해 발생한다. 대전방지는 이러한 물체의 전기전도성을 높여 정전기를 방지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정전기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중에 하나로서 특히 플라스틱 성형 과정에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정전기의 방전에 의하여 회로를 파손시킬 수 있으며, 통신 기기 및 주요 계측기와 같은 정밀한 제품의 오작동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 정전기 문제로 인한 오작동 이슈, 분진 등 유해물질에 의한 오염 및 불량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고, 특히, 정전기 제거 및 오염원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므로, 기존의 물성에 전기 전도성(Electrical Conductivity)을 추가적으로 갖는 대전방지용 기능성 소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대전방지 기능을 위해 전도성 고분자 코팅제를 이용해 코팅하여 제조하거나 친수성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적 첨가제나 카본 블랙, 나노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특히, 전도성 고분자로 주로 사용되는 PEDOT:PSS는 코팅 공정에서 용이하나 소재의 특성상 열과 자외선에 취약하여 짧으면 1주일, 길어도 6개월 안에 대전방지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전기 전도성의 부여를 위해 종래에는 전도성 필러, 계면활성제, 금속분말, 금속섬유 등을 첨가하였다. 그러나 대전방지 복합소재 제조를 위해 고분자 수지에 전도성 필러를 추가할 경우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 값의 감소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면서도 전기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전방지 기능이 우수하고, 물리적 특성이 향상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압출, 사출 등 가공, 성형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적합한 용융흐름지수(MI) 값을 갖는 대전방지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러; 를 포함하고,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 평균 분자량의 비(PDI)가 1 내지 3이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40 내지 80중량%;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필러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상기 중량비가 1:1 내지 4:1 이며, (A) 비닐시안 화합물, (B) 공액디엔 화합물, (C)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각 성분에 있어서, 상기 (A)성분 9 내지 44 중량%, 상기 (B)성분 17 중량% 내지 79 중량% 및 상기 (C)성분 9 내지 44 중량% 이고, 상기 (A)성분 및 (C)성분의 합과 (B)성분의 중량비가 4:1 내지 1:4 ((A)성분 및 (C)성분의 합: (B)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필러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40 내지 80중량%;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함량비가 1:1 내지 8:1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는 2 g/10min 내지 60 g/10min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상기 함량비가 1:1 내지 4:1 이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는 20 g/10min 내지 35 g/10min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질량 평균 분자량(Mw)이 120,000 내지 150,000 g/mol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다음의 질량 평균 분자량(Mw)를 각각 갖는 (A) 비닐시안 화합물, (B) 공액디엔 화합물, (C)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A) 성분: Mw= 45,000~55,000 g/mol
(B) 성분: Mw= 50,000~60,000 g/mol
(C) 성분: Mw= 25,000~35,000 g/mol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A)-공액디엔 화합물(B)-방향족 비닐 화합물(C)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A)성분이 9 내지 44 중량%, 상기 (B)성분이 17 중량% 내지 79 중량% 및 상기 (C)성분이 9 내지 44 중량% 이며, 상기 (A)성분 및 (C)성분의 합과 (B)성분의 함량비가 4:1 내지 1:4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필러는 카본 필러(carbon filler) 및 카본 블랙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카본 필러 및 카본블랙 중 하나 이상의 함량비는 중량 기준으로 1:1 내지 1:15 (탄소나노튜브: 카본 필러 및 카본블랙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사이징(sizing) 처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다중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포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메틸메타아크릴에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SBS, SAN, 합성고무,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이들의 블렌드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용화제, uv안정제, 산화방지제, 활제, 열 안정제, 러버, 항균제, 이형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혼화제, 착색제, 안정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및 방염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시편의 표면저항은 102 ohm/sq 내지 105 ohm/sq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시편의 충격강도는 50 J/m 내지 100 J/m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압출공정, 사출공정 또는 이들의 조합 공정을 통해 제조하여 얻어진 대전방지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전지부품, 전자부품 이송 카트, 전자부품 포장재 또는 전자부품 이송 트레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압출공정, 사출공정 또는 이들의 조합 공정을 이용하여 대전방지 성형품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성형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은 ABS 수지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를 추가함으로써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에 비해 매우 뛰어난 전기적 특성과 향상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전도성 필러와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 사용하는 대전방지용 조성물에 비해 적은 양의 전도성 필러를 사용해도 102 Ohm/sq 내지 105 Ohm/sq의 원하는 대전방지 성능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은 전기적 특성과 함께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가 유지되므로 전지 부품, 전자 부품 및 모듈의 형상과 크기에 제한 없이 성형품 제조에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출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특정한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으로,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기계적 물성 및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 명세서에 사용된 “조성물”의 용어는 본 명세서 내에서 “복합소재”“복합재”또는 “혼합물”과 함께 혼용하여 기재될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소재가 모여서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성형제”“성형품”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 내에서 “가공품”과 함께 혼용하여 기재될 수 있으며, 이는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목적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된 제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 및 전도성 필러; 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비닐시안 화합물- 공액디엔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필러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은 비닐시안 화합물- 공액디엔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혼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함량비를 조절하여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사출 및 압출 공정에 적합한 용융흐름지수(MI) 값을 갖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을 제공한다.
열가소성 수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열가소성(Thermoplasticity)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그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포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메틸메타아크릴에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ABS, SBS, SAN, 합성고무,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이들의 블렌드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비닐시안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액디엔 화합물은 일례로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피레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클로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일 수 있다.
용융흐름지수(MI)는 일정 조건하에 열가소성 고분자 용융물을 피스톤에서 압출하였을 때의 유량으로, 용융물의 흐름의 용이성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즉, 고분자 물질의 유동성을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높을수록 MI값은 낮은 값을 갖는다. MI 값이 높으면 사출 성형성이 우수하며, MI 값이 낮은 경우 압출에 유리한 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MI 값이 10 g/10min 내지 60 g/10min인 경우 사출 성형성이 우수하며, MI 값이 0.5 g/10min 내지 10 g/10min인 경우 압출 성형성이 우수하다. 부타디엔의 비율이 높을수록 용융흐름지수(MI)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띤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 공정을 진행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MI는 2 g/10min 내지 60 g/10min, 더 구체적으로 10 g/10min 내지 50 g/10min, 더욱 더 구체적으로 20 g/10min 내지 50 g/10min 일 수 있으며, 20 g/10min 내지 35 g/10min, 25 g/10min 내지 35 g/10min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가지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대상으로 사출 성형성 및 압출 성형성 모두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40 내지 80중량%;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47 내지 77중량%;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함량비는 1:1 내지 8:1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1:1 내지 4:1 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표면저항 및 인장강도는 감소하며, 충격강도 및 용융흐름지수(MI) 값은 향상하게 된다. 따라서, 전도성 필러로서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함량을 조절하여 MI 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MI 값이 낮아 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성분 중 비닐시안 화합물, 특히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은 경도, 인장강도, 탄성률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이고, 공액디엔 화합물, 특히 부타디엔(Butadiene)은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이며, 방향족 비닐 화합물, 특히 스티렌(Styrene)은 성형성 및 전기적 특성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이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특히, ABS 수지는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이 그라프팅된 부타디엔 수지로서,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SAN = Styrene + Acrylonitrile)의 비율과 부타디엔(Butadiene)의 비율을 조절하여 ABS 수지의 충격강도, 탄성률, 인장강도 등 기계적 물성과 표면저항 등의 전기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질량 평균 분자량(Mw)이 70,000 내지 250,000 g/mol, 구체적으로 100,000 내지 200,000 g/mol, 보다 구체적으로 120,000 내지 150,000 g/mol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 평균 분자량의 비(PDI)가 1 내지 3, 구체적으로 1 내지 2.5, 보다 구체적으로 1.5 내지 1.82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A) 비닐시안 화합물, (B) 공액디엔 화합물, (C)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각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성분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다음과 같다.
(A)성분: Mw= 45,000~55,000 g/mol,
(B)성분: Mw= 50,000~60,000 g/mol,
(C)성분: Mw= 25,000~35,000 g/mol.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이루는 각 성분의 함량비와 관련하여,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비율이 높을수록 인장강도가 향상되고, 공액디엔 화합물의 비율이 높을수록 충격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공액디엔 화합물의 비율이 높을수록 용융흐름지수(MI)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띤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한 예시로서 ABS 수지의 경우, 충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SAN(Acrylonitrile + styrene)영역과 Butadiene의 접착효과에 의한 요인을 고려하여, SAN(Acrylonitrile + styrene)과 Butadiene의 비율을 조절하여 기계적 물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A)성분이 9 내지 44 중량%, 상기 (B)성분이 17 중량% 내지 79 중량% 및 상기 (C)성분이 9 내지 44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A)성분 및 (C)성분의 합과 (B)성분의 함량비가 4:1 내지 1:4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A)성분이 15 내지 34 중량%, 상기 (B)성분이 33 중량% 내지 69 중량% 및 상기 (C)성분이 15 내지 34 중량% 이며, 상기 (A)성분 및 (C)성분의 합: (B)성분의 함량비는 2:1 내지 1:2 일 수 있다.
여기에서 중량%는 공액디엔 고무,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총 중량을 100 중량%로 기준 삼은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다른 고분자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블렌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고분자 수지는 열가소성(Thermoplasticity)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그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포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메틸메타아크릴에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SBS, SAN, 합성고무,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이들의 블렌드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른 고분자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전도성 필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러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탄소나노튜브(C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필러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전도성 수지의 전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육각형 고리 모양으로 연결된 탄소들로 이루어진 튜브형태의 물질로서 지름이 수 내지 수십나노미터에 이른다. 탄소나노튜브는 계속적인 반복 사용에도 불구하고 손상되거나 마모되지 않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열 및 전기적 특성도 우수하여 전자기파 흡수제, 대전방지제, 전계 방출소자, 반도체 소자, 가스 및 바이오 센서, 연료전지, 강화제 등 많은 응용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전기전도성이 미약한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물질로,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제품의 표면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전기전도성 및 그에 따른 대전방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집합체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와 혼합되면, 개개의 탄소나노튜브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 내에서 분산되고, 상호 연결됨으로써 연속적인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함량비는 0.1:99.9 내지 50:50을 사용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련시 대전방지성을 나타내면서도 물리적 특성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5 ~ 20 nm의 평균 직경과 100 ~ 10,000의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지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격도 비싸고 불순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하면서 순도도 높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상업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비교하여 복합재 형성 공정에서 절단 등의 손상이 덜 발생하여 가공 후 잔존하는 길이가 더 길어지므로, 가공 결과물인 복합재의 기계적 강도 및 전기 전도도 향상에 보다 더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은 전기방전법(Arc-discharge), 열분해법(Pyrolysis),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열화학 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이 있으나, 합성 방법에 제한 없이 제조된 모든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1~4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3~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1 중량% 미만시에는 대전방지성능의 발현이 어려우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시에는 유동성이 떨어지고 표면 불량 발생이 늘어나며 기계적 물성 발현이 어렵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표면저항과 MI 값은 감소하며,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 값은 향상된다.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다발형 또는 비번들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다발(bundle)'이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가 나란하게 배열 또는 뒤엉켜 있는, 번들(bundle) 혹은 로프(rope) 형태를 지칭한다. '비번들(non-bundle 또는 entangled) 타입'이란 이와 같은 다발 혹은 로프 형태와 같은 일정한 형상이 없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다발 형태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기본적으로 복수 개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가닥이 서로 모여 다발을 이루고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복수 개의 가닥은 직선형, 곡선형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다발 형태의 탄소나노튜브 또한 선형, 곡선형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도성 필러는 카본 필러(carbon filler) 또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카본 필러 또는 카본블랙의 함량비가 1:1 내지 1:15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3:10 내지 3:17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본 필러(carbon filler) 또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은 1~2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5~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1 중량% 미만시에는 대전방지성능의 발현이 어려우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시에는 유동성이 떨어지고 표면 불량 발생이 늘어나며 기계적 물성 발현이 어렵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고분자 수지 사이징제로 사이징(sizing)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징제는 에폭시계 수지, 페녹시계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질산, 말레무수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고분자는 공유결합을 통해 사이징제와 결합하여 강력한 계면결합력을 형성하며, 사이징제가 탄소섬유의 표면특성을 개질하기 때문에 별도의 개시제에 의해 중합된 고분자 또한 탄소섬유와 기존 대비 나은 계면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고, 중합된 고분자는 화학구조상 동일하여 서로 잘 결합되게 된다.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러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사이징 처리할 경우, 동일한 고분자 수지로서 우수한 계면 결합력을 갖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이징제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침지법, 롤 코팅법,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플로우(flow) 코팅법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상용화제, UV 안정제, 산화방지제, 활제, 열 안정제, 러버, 항균제, 이형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혼화제, 착색제, 안정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방염제 및 이들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 기타 첨가제는 총 총량 대비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시편의 표면저항은 102 ohm/sq 내지 1010 ohm/sq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2 ohm/sq 내지 105ohm/sq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102 ohm/sq 내지 104ohm/sq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시편의 충격강도는 30 J/m 내지 500 J/m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 J/m 내지 200 J/m, 더 구체적으로 50 J/m 내지 100 J/m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시편의 인장강도는 45 MPa 내지 100 MPa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75 MPa 내지 95 MPa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은 압출, 사출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성형품을 형성함으로써, 강도 및 전기전도성이 요구되는 대전방지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이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시안 화합물(A)-공액디엔 화합물(B)-방향족 비닐 화합물(C)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러를 혼합하는 단계; 압출, 사출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대전방지용 성형품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상기 전도성 필러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20 중량%로 혼합되며, 상기 (A)성분이 15 내지 34 중량%, 상기 (B)성분이 33 중량% 내지 69 중량% 및 상기 (C)성분이 15 내지 34 중량% 이며, 상기 (A)성분 및 (C)성분의 합: (B)성분의 함량비는 2:1 내지 1:2 인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성형품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성형품으로는 구체적인 예로, 전지부품, 전자부품 이송 카트, 전자부품 이송 파이프 코팅재 또는 열성형용 전자부품 트레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ABS 수지 47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40중량%, 탄소나노튜브(다중벽 카보나노튜브) 3중량% 및 카본블랙 10 중량%를 그 합계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기반으로 압출기와 사출기를 이용하여 각종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충격 시편 (두께: 6mm), 인장강도 시편 (두께: 3mm), 표면저항 측정용 시편 (두께: 3mm)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표 1과 같이 전도성 필러의 종류와 중량%를 동일하게 유지한 채 ABS 수지와 TPU 수지의 중량%를 달리하여 전체 합계량이 100중량%가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20중량%를 포함하고, 표 1과 같이 ABS 수지, 탄소나노튜브(CNT), 탄소섬유(CF) 및 카본블랙(CB)의 각 함량을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ABS 수지 82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5 중량%, 탄소나노튜브(다중벽 카보나노튜브) 3중량% 및 카본블랙(CB) 10중량%를 그 합계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기반으로 압출기와 사출기를 이용하여 각종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충격 시편 (두께: 6mm), 인장강도 시편 (두께: 3mm), 표면저항 측정용 시편 (두께: 3mm)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5중량%를 포함하고, 표 1과 같이 ABS 수지, 탄소나노튜브(CNT), 탄소섬유(CF) 및 카본블랙(CB)의 각 함량을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및 4
상기 비교예 1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60중량%를 포함하고, 표 1과 같이 ABS 수지, 탄소나노튜브(CNT), 탄소섬유(CF) 및 카본블랙(CB)의 각 함량을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5 및 6
상기 비교예 1에서 열가소성 수지에 ABS 수지만 단독으로 포함되고, 표 1과 같이 전도성 필러의 각 함량을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저항의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및 비교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시편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거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Keithley 6220 current source와 2182A nano voltameter, 4-probe method를 이용하여 복합소재 시편을 두께 3mm 조건으로 ASTM D257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표면저항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충격 강도의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및 비교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시편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거하여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노칭 머신을 이용하여 충격시편(두께: 6mm)에 노치를 형성시킨 다음, 아이조드 임팩트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ASTM D-256 규격에 의거하여 충격강도 (J/m)를 측정하였다. 충격 강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인장 강도의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및 비교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시편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거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만능재료시험기 (UTM, Universal Test Machine)을 이용하여 인장강도 시편(두께: 3mm)의 인장강도(MPa)를 ASTM D638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MI의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를 용융 흐름지수 측정기(Melt Flow Index(g/10 min))를 이용하여 ASTM D1238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용융흐름지수(MI)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열가소성 수지 | 전도성 필러 | 물성 | ||||||||
ABS | TPU | 총합 | CNT | CF | CB | 종합 | 표면저항 (ohm/sq) |
충격강도 (J/m) |
인장강도 (MPa) |
MI (g/10min) |
|
실시예1 | 47 | 40 | 87 | 3 | - | 10 | 13 | 102 | 72 | 65 | 35 |
실시예2 | 67 | 20 | 87 | 3 | - | 10 | 13 | 103 | 53 | 78 | 25 |
실시예3 | 77 | 10 | 87 | 3 | - | 10 | 13 | 105 | 46 | 84 | 6 |
실시예4 | 65 | 20 | 85 | 5 | - | 10 | 15 | 104 | 43 | 88 | 3 |
실시예5 | 65 | 20 | 85 | 5 | 10 | - | 15 | 103 | 44 | 65 | 4 |
실시예6 | 64 | 20 | 84 | 1 | - | 15 | 16 | 104 | 62 | 91 | 45 |
실시예7 | 64 | 20 | 84 | 1 | 15 | - | 16 | 103 | 41 | 68 | 53 |
실시예8 | 70 | 20 | 90 | 5 | 5 | - | 10 | 102 | 45 | 66 | 2 |
실시예9 | 70 | 20 | 90 | 5 | - | 5 | 10 | 102 | 42 | 62 | 2 |
비교예1 | 82 | 5 | 87 | 3 | - | 10 | 13 | 107 | 28 | 81 | 0.5 |
비교예2 | 85 | 5 | 90 | 5 | - | 5 | 10 | 105 | 22 | 64 | 0 |
비교예3 | 27 | 60 | 87 | 3 | - | 10 | 13 | 105 | 80 | 52 | 102 |
비교예4 | 30 | 60 | 90 | 5 | - | 5 | 10 | 106 | 51 | 41 | 95 |
비교예5 | 90 | - | 90 | 5 | - | 5 | 10 | 108 | 28 | 66 | 0 |
비교예6 | 87 | - | 87 | 3 | - | 10 | 13 | 108 | 33 | 70 | 0 |
상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 따라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은 표면저항 값이 102 ohm/sq 내지 105 ohm/sq에 포함되며, 충격강도, 인장강도를 포함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용융흐름지수(MI) 값이 2 내지 53 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및 2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을 갖고, MI 값이 25 내지 35에 해당되어, 압출 및 사출 공정에 모두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TPU 함량이 증가할수록 표면저항은 감소하며, 충격강도, MI 값은 향상하게 된다.
실시예 4 내지 9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수지의 함량을 20중량%로 고정한 경우, CNT 함량이 증가할수록 표면저항은 감소하며,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는 향상되고 용융흐름지수(MI) 값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탄소섬유(CF), 카본블랙(CB)의경우,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는 탄소섬유(CF)가 카본블랙(CB)보다 우수한 편이며, 표면저항 및 용융흐름지수(MI)는 유사하거나 카본블랙(CB)이 더 우수한 편이다.
비교예 1 및 2는 TPU 함량이 5중량%가 되도록 소량의 TPU를 추가한 것이다, 표면저항은 높은 편이나 충격강도 및 MI 값은 매우 낮은 편이므로 사출 공정에 적합하지 않다.
비교예 3 및 4는 TPU 함량이 60중량%가 되도록 TPU를 추가하였다. 용융흐름지수(MI) 값이 너무 높으며, 이는 압출 공정에 적합하지 않다.
비교예 5 및 6은 ABS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의 친화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표면저항은 높아지고, MI 및 충격강도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출원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출원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러; 를 포함하고,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 평균 분자량의 비(PDI)가 1 내지 3이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40 내지 80중량%;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필러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상기 중량비가 1:1 내지 4:1 이며,
(A) 비닐시안 화합물, (B) 공액디엔 화합물, (C)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각 성분에 있어서, 상기 (A)성분 9 내지 44 중량%, 상기 (B)성분 17 중량% 내지 79 중량% 및 상기 (C)성분 9 내지 44 중량% 이고,
상기 (A)성분 및 (C)성분의 합과 (B)성분의 중량비가 4:1 내지 1:4 ((A)성분 및 (C)성분의 합: (B)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용융흐름지수(MI)가 2 g/10min 내지 60 g/10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가 20 g/10min 내지 35 g/10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질량 평균 분자량(Mw)이 120,000 내지 150,000 g/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다음의 질량 평균 분자량(Mw)를 각각 갖는 (A) 비닐시안 화합물, (B) 공액디엔 화합물, (C)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A) 성분: Mw= 45,000~55,000 g/mol
(B) 성분: Mw= 50,000~60,000 g/mol
(C) 성분: Mw= 25,000~35,000 g/mol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러는,
카본 필러(carbon filler) 및 카본 블랙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카본 필러 및 카본블랙 중 하나 이상의 함량비는 중량 기준으로 3:10 내지 3:17(탄소나노튜브: 카본 필러 및 카본블랙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사이징(sizing)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다중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포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메틸메타아크릴에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SBS, SAN, 합성고무,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이들의 블렌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용화제, UV 안정제, 산화방지제, 활제, 열 안정제, 러버, 항균제, 이형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혼화제, 착색제, 안정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및 방염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시편의 표면저항은 102ohm/sq 내지 105ohm/sq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한 시편의 충격강도는 50 J/m 내지 100 J/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및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의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압출공정, 사출공정 또는 이들의 조합 공정을 통해 제조하여 얻어지는 대전방지 성형품.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전지 부품, 전자부품 이송 카트, 전자부품 포장재 또는 전자부품 이송 트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성형품.
- 청구항 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및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의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을 압출공정, 사출공정 또는 이들의 조합 공정을 이용하여 대전방지 성형품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성형품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1602A KR102402962B1 (ko) | 2021-07-13 | 2021-07-13 |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PCT/KR2021/014949 WO2023286923A1 (ko) | 2021-07-13 | 2021-10-22 |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US17/761,355 US12104053B2 (en) | 2021-07-13 | 2021-10-22 |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rmoplastic resin and conductive fil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1602A KR102402962B1 (ko) | 2021-07-13 | 2021-07-13 |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2962B1 true KR102402962B1 (ko) | 2022-05-30 |
KR102402962B9 KR102402962B9 (ko) | 2023-04-12 |
Family
ID=8179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1602A KR102402962B1 (ko) | 2021-07-13 | 2021-07-13 |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2104053B2 (ko) |
KR (1) | KR102402962B1 (ko) |
WO (1) | WO2023286923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0354A (ko) | 2008-12-30 | 2010-07-08 | 제일모직주식회사 |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점착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20120095530A (ko) * | 2011-02-21 | 2012-08-2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분자/필러의 전기전도성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40141208A (ko) * | 2013-05-31 | 2014-12-10 | 제일모직주식회사 |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KR20150115765A (ko) * | 2013-02-07 | 2015-10-14 |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 개선된 표면을 갖는 abs 조성물의 제조 방법 |
KR20170122306A (ko) * | 2016-04-25 | 2017-11-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대전방지용 탄소 복합재,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0742B1 (ko) * | 2004-07-21 | 2007-03-28 | 김형수 |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제조된 상용성이 향상된폴리카보네이트/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조성물 |
-
2021
- 2021-07-13 KR KR1020210091602A patent/KR1024029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0-22 US US17/761,355 patent/US12104053B2/en active Active
- 2021-10-22 WO PCT/KR2021/014949 patent/WO202328692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0354A (ko) | 2008-12-30 | 2010-07-08 | 제일모직주식회사 |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점착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20120095530A (ko) * | 2011-02-21 | 2012-08-2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분자/필러의 전기전도성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50115765A (ko) * | 2013-02-07 | 2015-10-14 |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 개선된 표면을 갖는 abs 조성물의 제조 방법 |
KR20140141208A (ko) * | 2013-05-31 | 2014-12-10 | 제일모직주식회사 |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KR20170122306A (ko) * | 2016-04-25 | 2017-11-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대전방지용 탄소 복합재,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2962B9 (ko) | 2023-04-12 |
US12104053B2 (en) | 2024-10-01 |
US20240043680A1 (en) | 2024-02-08 |
WO2023286923A1 (ko) | 2023-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86114B2 (ja) | 伝導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
KR100839173B1 (ko) |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조성물 | |
KR101851952B1 (ko) |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090022835A (ko) | 무기물 함유 장섬유 강화 펠렛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수지 성형품 | |
CN101724241A (zh) | 抗静电热塑性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JP4160138B2 (ja) |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および成形品用材料、成形品の製造方法 | |
CN105504798A (zh) | 玻纤增强尼龙复合材料 | |
KR102438416B1 (ko) | 친환경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
KR102402961B1 (ko) |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
KR20200053701A (ko) | 전도성 농축 수지 조성물, 전도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 | |
KR20190058198A (ko) | 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2863731B (zh) | Abs复合塑料、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2402962B1 (ko) | 열가소성 수지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 |
KR101620668B1 (ko) | 탄소나노물질 함유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 |
KR102402957B1 (ko) |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84640B1 (ko) | 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8034141B (zh) | 一种石墨烯蒙脱土填充通用塑料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 | |
JPS59155459A (ja) |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 |
Mohsin et al. | Enhanced thermal,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CNT/HDPE nanocomposite using MMT as secondary filler | |
EP3620489B1 (en) | Electrically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20190071895A (ko) | 전도성 농축 수지 조성물, 전도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 | |
WO2014104447A1 (ko) |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면서 가공특성 및 열안정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 |
KR20130058983A (ko) |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페닐렌에테르/탄소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76502B1 (ko) | 도장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CN108102208B (zh) | 一种石墨烯蒙脱土填充乙烯-醋酸乙烯酯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