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352A - 스툴 또는 의자용 등받이, 및 이런 등받이를 구비한 스툴 또는 의자 - Google Patents

스툴 또는 의자용 등받이, 및 이런 등받이를 구비한 스툴 또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352A
KR20090034352A KR1020097001471A KR20097001471A KR20090034352A KR 20090034352 A KR20090034352 A KR 20090034352A KR 1020097001471 A KR1020097001471 A KR 1020097001471A KR 20097001471 A KR20097001471 A KR 20097001471A KR 20090034352 A KR20090034352 A KR 20090034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upport
spring
support memb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발렌타트
Original Assignee
로데 운트 그라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데 운트 그라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데 운트 그라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3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resilient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개별 캐리어부(4.1)에 고정된 두 개의 인접한 스프링장착 등지지대(3.1)를 포함하는 스툴 또는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등받이는 각 지지부(4.1)가 기본적으로 L형상 캐리어(4)의 제 1 다리(4.1)를 형성하고, 각 캐리어(4)의 제 2 다리(4.2)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스툴 또는 의자 시트 아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자, 스툴, 등받이, 시트, 피봇동작

Description

스툴 또는 의자용 등받이, 및 이런 등받이를 구비한 스툴 또는 의자 {Back Rest for a Stool or a Chair, and Stool or Chair Provided with such a Back Rest}
본 발명은 측방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며 스프링 방식으로 지지되는 두 개의 등 지지부를 구비하는데, 각 등 지지부는 개별적인 캐리어부에 연결되는 스툴(stool) 또는 의자(chair)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DE 90 06 316 U1에 개시된 이런 등받이에서, 각 등 지지부는 개별 캐리어부에 마련된다. 캐리어부는 서로에 대하여 V형상으로 위치하며, 이들 캐리어부의 하단부는 의자프레임 상의 시트의 후방부에 부착된다. 두 개의 캐리어부의 탄력성 때문에 등 지지부가 어느 정도 가동성을 제공하여 착석자의 여러 가지 착석위치로 조정할 수 있게 되지만, 이 구성은 장기간 착석위치를 바꾸면서 착석하는 착석자와 신체의 체격이 크게 다른 개인들의 척추골을 편안하게 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가지 착석위치에 착석한 사람을 등 또는 척추골의 부위에서 최적으로 지지하는 방법으로 시트나 의자용 등받이를 설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대한 해결법으로서, 제 1 항에 따르면 각 캐리어부는 실질적으로 L형상의 지지부재의 제 1 다리를 형성하며 각 지지부재의 제 2 다리는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스툴 또는 의자 시트 아래에서 피봇동작 가능하다. 이렇게 각 등지지대는 고유의 지지기능을 잃지 않으면서 착석자의 여러 가지 움직임 또는 착석위치에 따라서 최적으로 후방이동을 따르게 된다.
측방향 움직임이나 측방 및 후방 움직임에 대해서도 착석자를 최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지지부재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휴지위치로 배향된 가이드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가이드바는 하나의 등지지대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할 때 다른 등지지대가 반대방향으로 움직는 방식으로 시트 하부구조 내 또는 상에 지지되어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두 개의 등지지대 사이에서의 "점프"를 방지하기 위해 등지지대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연속 등받이가 존재하는 방식으로 지지부재에 탄성방식으로 연결된다.
가이드바는 바람직하게는 단부가 지지부재에 피봇방식으로 연결되며, 또한 지지부재상의 피봇점 사이의 시트 또는 시트 하부구조에 피봇방식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개시한다.
도 1은 다른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는 의자 또는 스툴의 기둥에 체결된 등받이의 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등받이의 변형실시예의 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등받이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의 도를 보여준다.
도 4는 캐리어부에 대한 등받이의 다른 부착형태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보여준다.
도 6은 등지지대의 지주부재를 의자 또는 스툴의 기둥에 부착하는 형태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7은 의자의 등각도를 보여준다.
도 8은 등지지대용 지지부재가 피봇방식으로 부탁된 시트 프레임이 부착된 의자의 지주의 상세등각도를 보여준다.
도 9는 시트 프레임에 연결된 시트 하부구조 상의 등각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해 시트 하부구조와 상호 관련된 등받이 구조의 개략부분도를 보여준다.
도 7은 바퀴가 구비된 오성 베이스(five star base)(1.1), 상기 오성 베이스에 지지된 지주(1), 시트(100), 및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캐리어부(4.1) 및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캐리어부(4.2)로 구성된 L형 지지부재(4)에 연결되는 두 개의 등지지대(3.1)를 구비하는 등받이(3)로 구성된 의자의 등각도를 보여준다. 각 등지지대(3.1)는 여러 가지 높이로 조정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상호 관련 있는 캐리어부(4.1)를 따라서 조정 가능한 고정부재(7)에 부착된다. 각 고정부재(7)는 개개의 등지지대가 캐리어 부(4.1)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고무요소를 포함한다. 캐리어부(4.1)는 개개의 등지지대의 다른 등지지대에 대한 자유가동성이 한정된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설계된 스프링강성을 갖는 탄성변형 가능한 횡버팀대(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르면, 캐리어부(4.2)는 수평피봇축(5)을 중심으로 지지장치(2)에 의해 피봇방식으로 지지된다. 지지부재(4)의 캐리어부(4.2)는 2개 부분의 레버로 구현되는데, 이 레버의 자유레버단부(4.3)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스프링 요소(6)가 작용하며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의 힘은 변할 수 있다. 이 스프링 요소(6)는 인장스프링, 공압 또는 유압 스프링 요소 등이 될 수 있다.
캐리어부(4.1)의 부위에 마련된 멈춤개구(8)는 고정부재(7)가 캐리어부(4.1) 상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게 한다. 도 2에 따르면, 등지지대(3.1)는 탄성변형 가능한 횡버팀대(3.2)에 의해 대략 중심이 연결되는데, 상기 횡버팀대의 강도는 등지지대(3.1)가 개개의 지지부로서 기능을 유지하도록 설계되며 하나의 등지지대의 다른 등지지대에 대한 자유 가동성이 한정된 범위내에서 유지된다.
도 3에 따르면, 두 개의 등지지대(3.1)도 역시 각각 지지부재(4)의 캐리어부(4.1)에 부착되어 각기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본 등받이의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7)는 캐리어부(4.1)의 상단부가 고정부재(7)를 지나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계된다. 캐리어부(4.1)의 자유단부는 탄성변형 가능한 횡버팀대(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6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동작 가능한 지지부재의 변형실시예를 보여준 다. 지지장치(2) 내 또는 상에는 서로 반대의 나사부를 갖는 수평 샤프트(20)가 마련되는데, 이 샤프트에는 지지부재(4)의 제 2 다리(4.2)가 피봇방식으로 지지된다. 각 다리(4.2)는 2개 아암레버로서 구현되는데, 이 레버의 자유레버단부(4.4)는 상방으로 굽어지며, 이 레버에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향된 인장스프링(22)이 부착된다.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인장스프링(22)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수평축선에 대하여 조정 가능한 조정부재(23)에 단부가 부착되며, 이 조정부재는 예를 들어 너클 휘일(26)에 의해 회전 가능한 나사핀(25)에 의해 결합되는 너트(24)를 지지한다. 각 다리(4.2)는 샤프트(20)의 회전시에 샤프트의 서로 반대의 나사부의 결과로서 두 개의 다리(4.2)가 서로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조정되어 도 1 및 도 3에 따른 등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샤프트(20)의 베어링 위치의 부위에서 나사 부싱(27)을 지지한다.
도 8 및 도 9는 두 개의 지지부재(4)가 개략적으로 예시된 피봇축선(39)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할 수 있도록 캐리어부(4.2)의 자유단부 부위에서 부착된 지주(1)의 상단부에 부착된 시트 프레임(38)의 상세를 보여준다. 시트 프레임(38)에는, 시트 하부구조(40)가 시트 프레임(38)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슬롯 구멍(42) 속에서 안내되는 나사(41)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자형 시트 하부구조(40)가 체결된다.
이 구조의 독창적인 원리를 도 9의 예시도의 도움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교시의 기본적인 개념은 실질적으로 두 개의 등지지대(3.1)가 서로 연결됨에 의해 의자(스툴)에 착석한 착석자의 착석위치가 바뀔 때 하나의 등지 지대가 예를 들어 후방으로 움직이면 다른 등지지대가 강제로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는 것에 있다. 지지부재(4)상의 등지지대의 탄력적인 서스펜션의 결과로서, 두 개의 등지지대(3.1)가 일정 위치를 취할 수 있게 되므로, 스툴 또는 의자의 사용자가 측방향으로 기댈 때 하나의 등지지대(3.1), 도 9에서는 우측의 등지지대에 다른 등지지대(3.1)보다 강하게 기대거나 가압하게 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균일한 연속 등받이가 제공된다. 두 개의 등지지대(3.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강제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가이드바(43)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가이드바는 휴지위치에서 지지부재(4)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며, 따라서 가이드바는 하나의 등지지대(3.1)가 후방으로 움직일 때 다른 등지지대가 반대방향으로, 즉 전방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시트 하부구조(40) 내 또는 상에 지지되어 지지부(4.2)에 연결된다. 도 9에서, 중심위치에 대한 가이드바(43)의 편향각도는 작용원리를 설명하게 위해 과장되어 예시되어있다. 실제로는 이 편향각도는 최소이므로 피봇동작시에 가이드바(43)의 단부가 최소한의 이동만을 수행하며, 이 최소의 이동은 수십 밀리미터의 범위에 있으며 이렇게 구조물의 공차에 의해 보상된다.
가이드바(43)의 단부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탄성변형 가능한 슬리브(44.1) 내에 지지되는 도 8b에 개략적으로 예시한 볼죠인트(44)에 의해 각 캐리어부(4.2)에 연결된다. 또한 가이드부(43)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부(4.2) 상의 연결점 사이의 중앙부위의 시트 하부구조(50)의 종방향 지지부(40.2) 내 또는 상에 도 9a에 예시한 볼죠인트(45)에 의해 피봇방식으로 지지된다.
캐리어부(4.2)는 부하를 받지 않는 휴지위치에서의 두 개의 등지지대(3.1)가 시트 하부구조(40)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갖고 가이드부(43)가 휴지 또는 중간 위치에 있도록 시트 하부구조(40) 상에 배치된 코일스프링(46)에 의해 지지된다.
도 8에 따르면, 캐리버부(4.2)는 상방으로 향하는 돌출부(47)를 갖는데, 이 돌출부 상에는 가이드부(43)가 피봇방식으로 연결된다. 돌출부(47)에는 압력판(48)이 인접하며, 이 돌출부는 상자형 시트 하부구조(40)의 프레임(40.1)을 통과하는 플런저(49)에 의해 코일스프링(46)에 지지되며, 코일스프링은 시트 하부구조(40) 내의 피봇축선(39)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코일스프링(46)은 블록(50)에 지지되는데, 이 블록은 스프링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결국 캠샤프트(51)의 캠(52) 상에 놓여지며, 이 캠샤프트는 캠(52)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46)의 예비장력을 변화시키기 위해 핸들(5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바(43)는 원호형 가이드홈(54) 내의 시트 하부구조(40)의 프레임(40.1) 내에서 안내되는데, 가이드홈의 가상축선은 지지부재(4)의 피봇축선(39)에 평행하며, 의자의 전방부에 대하여 상단부로부터 바닥측으로 그리고 후방측으로 굽어져있다.
가이드홈(54)은 캐리어부(4.2)가 후방으로 피봇동작할 때 캐리어부도 하방으로 피봇동작함과 동시에 반대측의 지지부(4.2)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여서 피봇동작하는 방식으로 볼죠인트(45)의 부위에서의 가이드바(43)의 피봇운동이나 경사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두 개의 캐리어부(4.2)가 중앙 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캐리어부는 두 개의 등지지대(3.1)가 부하를 받지 않거나 균일하게 부하를 받지 않 을 때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사용자가 양측 등지지대(3.1)에 균일한 부하를 주면서 후방으로 기댈 때, 가이드바(43)가 이 후방이동을 따르게 되어 중방향 지지부(40.2) 내 또는 상의 가이드바(43)의 피봇동작 지지작용의 결과로서 전체 시트 하부구조(40)가 후방으로 당겨지는 한편 그 후방부위는 동시에 하방으로 피봇동작하거나 하강하게 되는데, 이는 동기기구를 갖는 DE 299 08 599 U1에 개시된 부분적인 시트지지작용에 따라서 이루어지며, 이 구조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이 아니다.
이런 동기구조는 등받이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피봇동작할 때 소정의 각도비에 따라서 시트를 피봇동작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시트 하부구조(40)의 후방 이동은 시트 프레임(38)의 일부를 형성하는 고정상태의 지지판(61)과 가동형 시트 하부구조(40)의 일부인 지지면 사이에 지지되는 압력스프링(60)의 힘에 대항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는 등지지대(3.1)가 수평축선 뿐만 아니라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고정부재(7)에 대하여 피봇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떻게 고정부재(7)를 등지지대에 부착하는지를 보여준다. 상방 및 하방으로 개방된 상자형의 본체(10)는 고정부재(7)와 대향하는 단부에 두 개의 벽부(10.1)가 마련되는데, 이 벽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삼각형상이므로, 이들은 서로 대향하는 베어링 개구(10.11)를 갖는다. 고정부재(7)에는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베어링 부싱(11)이 장착되므로, 액슬핀(12)을 베어링 개구(10.11)와 일치하도록 정렬된 베어링 부싱(11)에 통과시킨 후에 본체(10)는 고정부재(7)에 피봇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5에 따르 면, 본체(10)와 고정부재(7) 사이의 공간에는 고무 정지부(14)가 위치하는데, 이 고무 정지부에는 베어링 부싱(11)의 형상과 일치하는 오목부(14.1)가 마련되어있다. 고무 정지부의 스프링강성은 액슬핀(12)에 의해 정해진 수평축선(2)을 중심으로 본체(10)의 피봇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체(10)는 고정부재(7)의 반대측으로 향하는 측면에 개구가 마련되는데, 이 개구는 벽부(10.2)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의 경계가 정해진다. 벽부(10.2)에는 베어링 개구(10.21)가 마련되어있다. 각 등지지대(3.1)의 후면에 견고히 나사체결될 수 있는 체결요소(13)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칸막이(13.2)를 지지하는 수직하게 배향된 베어링 부싱(13.1)을 갖는다. 베어링 부싱(13.1)이 베어링 개구(10.21)와 일치하게 정렬되었을 때, 액슬핀(14.2)이 이들 베어링 개구(10.21)아 베어링 부싱(13.1)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본체(10)는 체결요소(13) 상의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칸막이(13.2)는 슬리브 형상의 본체(10) 내에 스프링 요소(15),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고무 정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공간을 한정하는데, 이들 스프링 요소(15)의 치수 및 스프링강성은 액슬핀(11)에 의해 정해진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체결요소(13)와 본체(10) 사이에 한정된 상대 이동이 제공되도록 선택된다.

Claims (31)

  1. 서로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탄성방식으로 고정되며 각각은 개별 캐리어부(4.1)에 연결된 두 개의 등지지대(3.1)를 구비한 스툴 또는 의자용 등받이에 있어서, 각 캐리어부(4.1)는 실질적으로 L형상의 지지부재(4)의 제 1 다리를 형성하는 것과 각 지지부재(4)의 제 2 다리(4.2)는 수평축선(5 또는 39)을 중심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피봇동작할 수 있도록 스툴 또는 의자 시트 아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는 휴지위치에서 지지부재(4)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가이드바(43)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바는 하나의 등지지대(3.1)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움직일 때 다른 등지지대(3.1)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방식으로 시트 하부구조 내 또는 상에 지지되어 지지부재(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43)의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탄성변형 가능한 슬리브(44.1)에 지지된 볼죠인트(44)에 의해 지지부재(4)에 피봇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43)는 시트 또는 시트 하부 구조(40) 상에서 피봇동작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부재(4)의 연결점 사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43)는 볼죠인트(4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43)는 원호형 가이드홈(44, 54) 내에서 가이드되는데, 이 가이드홈은 시트 하부구조(40) 내 또는 상에 마련되며 그 가상축선은 지지부재(4)의 피봇축선(39)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의자의 전방단부에 대하여 상단으로부터 후방 및 바닥으로 굽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43)는 상기 L형상 지지부재(4)의 제 2 다리(4.2)에 피봇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리(4.2) 각각은 상방으로 향하는 돌출부(47)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47)는 상기 L형상 지지부재(4)의 휴지위치에서 균일한 압력부하를 받는 스프링(4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6)은 종축선이 상기 지지부재(4)의 피봇축선(39)에 수직한 코일스프링으로서 시트 하부구조(40)의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7) 상에는 플런저(46)에 의해 스프링(46)에 지지되는 압력판(48)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6)의 예비장력은 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압력판(48)의 반대측 단부가 스프링의 종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블록(50)에 기대어 있으며 상기 블록은 외부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는 캠샤프트(51)의 캠(52)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3. 제 2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43)는 상기 지지부재(4)의 피봇동작시에 시트 하부구조(40)가 시트 프레임(48)에 대하여 전방이나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스프링(60)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 하부구조(4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지지대(3.1)는 상기 캐리어부(4.1)에 탄성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지지대(3.1)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할 수 있도록 캐리어부(4.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지지대(3.1)는 여러 가지 높이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부(4.1)를 따라서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지지대(3.1)는 상기 캐리어부(4.1)를 따라서 슬라이드할 수 있는 고정부재(7)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등지지대(3.1)는 탄성변형 가능한 횡버팀대(9)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횡버팀대의 강도는 두 개의 등지지대(3.1)가 개개의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하나의 등지지대의 다른 등지지대에 대한 가동성이 한정된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한 항에 따른 등받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또는 스툴.
  20. 제 1 항에 있어서, 각 캐리어부(4.2)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은 함께 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22. 제 20 항 내지 제 21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지지부재(4)는 공동 수평피봇축선상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각 등지지대(3.1)는 캐리어부(4.1)에 대하여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24. 제 23 항에 있어서, 각 등지지대(3)는 여러 가지 높이 위치에서 서로 관련된 캐리어부(4.1)를 따라서 고정 가능한 고정부재(7)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25. 제 24 항에 있어서, 각 등지지대(3)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변형 가능한 스프링 요소가 고정부재(7) 상에 중간위치 조정됨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26. 제 24 항에 있어서, 각 고정부재(7)에는 수평축선(12)을 중심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피봇동작할 수 있는 본체(10)가 부착되며, 상기 본체는 결국 수직축선(14)을 중심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피봇동작할 수 있도록 등지지대(3)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27.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등지지대(3)는 탄성변형 가능한 횡버팀대(3.2)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횡버팀대의 강도는 상기 두 개의 등지지대(3)가 개개의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하나의 등지지부의 다른 등지지부에 대한 가동성이 한정된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28. 시트가 지지장치(2)에 의해 지주(1)에 부착되는, 제 20 항 내지 제 27 항 중의 한 항에 따른 등받이(3)가 구비된 스툴, 의자 등의 형태의 착석가구에 있어서,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각 지지부재(4)의 제 2 다리(4.2) 는 2개 아암 레버로서 구성되는데, 레버의 자유레버단부(4.3 또는 4.4)에는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가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력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스프링 요소(22)에 의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가구.
  30. 제 28 항에 있어서, 자유레버단부 부위의 상기 제 2 다리(4.2)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배향된 굴곡부(4.4)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에는 본질적으로 수평하게 배향된 스프링 요소(22)가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가구.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4.4)는 상방으로 배향되며, 상기 스프링 요소는 인장스프링(22)이며, 양측 지지부재의 인장스프링(22)의 단부는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변화시키기 위해 여러 간격으로 수평축선에 대하여 고정 가능한 조정부재(23)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가구.
KR1020097001471A 2006-06-29 2007-05-26 스툴 또는 의자용 등받이, 및 이런 등받이를 구비한 스툴 또는 의자 KR200900343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0018.1 2006-06-29
DE102006030018A DE102006030018A1 (de) 2006-06-29 2006-06-29 Rückenlehne für einen Stuhl oder Sessel und mit einer derartigen Rückenlehne ausgerüsteter Stuhl oder Sessel
DE202007007524U DE202007007524U1 (de) 2006-06-29 2007-05-26 Rückenlehne für einen Stuhl oder Sessel und mit einer derartigen Rückenlehne ausgerüsteter Stuhl oder S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352A true KR20090034352A (ko) 2009-04-07

Family

ID=4107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471A KR20090034352A (ko) 2006-06-29 2007-05-26 스툴 또는 의자용 등받이, 및 이런 등받이를 구비한 스툴 또는 의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00301652A1 (ko)
EP (1) EP2040582B1 (ko)
JP (1) JP2009540970A (ko)
KR (1) KR20090034352A (ko)
CN (1) CN101478895B (ko)
AT (1) ATE516726T1 (ko)
AU (1) AU2007264236A1 (ko)
CA (2) CA2724761A1 (ko)
DE (2) DE102006030018A1 (ko)
ES (1) ES2367869T3 (ko)
RU (1) RU2009102813A (ko)
WO (1) WO20080002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953B1 (ko) * 2019-02-21 2020-04-0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트위스트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200116251A (ko) 2019-04-01 2020-10-12 (주) 파트라 틸팅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8461C5 (de) * 2009-12-16 2015-07-09 Egon Märtens Rückenlehne für einen Stuhl, Sessel oder dgl.
DE102010047285A1 (de) 2010-09-23 2012-03-29 Viasit Bürositzmöbel Gmbh Stuhl, insbesondere Arbeitsstuhl
DE102011051966B8 (de) * 2011-07-20 2013-06-13 Interstuhl Büromöbel GmbH & Co. KG Stuhl
US9060610B2 (en) * 2011-11-11 2015-06-23 Flexsteel Industries, Inc. Spring back hinge with or without spring lock mechanism
JP2013123453A (ja) * 2011-12-13 2013-06-24 Takano Co Ltd 椅子の身体支持構造物の曲率変更機構
DE102012107778B4 (de) 2012-08-23 2018-08-16 Haworth Gmbh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DE102012109997A1 (de) 2012-10-19 2014-04-24 Rohde & Grahl Gmbh Rückenlehne für einen Stuhl und mit einer Rückenlehne ausgerüsteter Stuhl
DE102012219206B4 (de) * 2012-10-22 2017-10-26 Sedus Stoll Ag Dorsokinetische Rückenlehne eines Sitzmöbels, Sitzmöbel
ITMI20122236A1 (it) * 2012-12-27 2014-06-28 Amedeo Maffei Sistema vibrante e metodo per la stimolazione corporea a risonanza propriocettiva
US9173492B1 (en) * 2014-06-06 2015-11-03 Jacques Fortin Self-reclining chair
DE102014220695A1 (de) 2014-10-13 2016-04-28 Haworth Gmbh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CN104605654B (zh) * 2015-02-13 2017-06-13 杭州护童科技有限公司 可调座深座椅的靠背结构
CN104840031A (zh) * 2015-05-07 2015-08-19 袁静 一种办公椅
CH711692A2 (de) * 2015-10-28 2017-04-28 Iii Solutions Gmbh Phoronomische Rückenlehne für einen Stuhl oder Sitz.
WO2018141968A1 (de) * 2017-02-03 2018-08-09 Oboyle Ruarc Stuhl
KR102098904B1 (ko) * 2017-10-31 2020-04-09 최우진 자세 교정용 의자
DE102020124975A1 (de) * 2020-09-24 2022-03-24 Bock 1 Gmbh & Co. Kg Mechanik für einen Stuhl
CN112622964A (zh) * 2020-12-30 2021-04-09 江苏理工学院 一种实用舒适型地铁连排座椅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67390A (en) * 1977-03-31 1979-12-04 Frank Doerner Chair control for a tiltable stenographer's chair
KR900701202A (ko) * 1988-07-19 1990-12-01 슈톨레, 헤르베르트, 데 의자 등받이
DE9006316U1 (de) * 1990-06-05 1990-08-16 "Aura" Herbert D. Stolle GmbH & Co, 2000 Hamburg Rückenlehne
DE9313946U1 (de) * 1993-09-10 1993-11-18 Eron Objekteinrichtungen GmbH, 31582 Nienburg Höhenverstellbare, geteilte Rückenlehne, insbesondere für Bürostühle
US5810439A (en) * 1996-05-09 1998-09-22 Haworth, Inc. Forward-rearward tilt control for chair
DE29908599U1 (de) 1999-05-14 1999-08-05 Frese, Walter, 82152 Planegg Sitzteillagerung mit Synchronmechanik
CN2476225Y (zh) * 2001-05-13 2002-02-13 李振东 活动靠背的连接装置
GB0114581D0 (en) * 2001-06-14 2001-08-08 White Adam Twister seat
KR100428434B1 (ko) * 2001-08-16 2004-04-29 정관영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US6565155B1 (en) * 2002-01-22 2003-05-20 Norstar Office Products, Inc. Chair
RU2199258C1 (ru) * 2002-02-14 2003-02-27 Быков Алексей Алексе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дения
KR20030080837A (ko) * 2002-04-11 2003-10-17 박영숙 이중 의자 등판
KR100526444B1 (ko) * 2003-08-28 2005-11-08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KR20060102925A (ko) * 2005-03-25 2006-09-28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953B1 (ko) * 2019-02-21 2020-04-0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트위스트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WO2020171336A1 (ko) * 2019-02-21 2020-08-27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트위스트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200116251A (ko) 2019-04-01 2020-10-12 (주) 파트라 틸팅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8895A (zh) 2009-07-08
ES2367869T3 (es) 2011-11-10
AU2007264236A1 (en) 2008-01-03
US20100301652A1 (en) 2010-12-02
CN101478895B (zh) 2012-04-04
CA2653912A1 (en) 2008-01-03
EP2040582B1 (de) 2011-07-20
DE102006030018A1 (de) 2008-01-03
DE202007007524U1 (de) 2008-10-09
CA2724761A1 (en) 2008-01-03
JP2009540970A (ja) 2009-11-26
ATE516726T1 (de) 2011-08-15
WO2008000207A1 (de) 2008-01-03
EP2040582A1 (de) 2009-04-01
RU2009102813A (ru) 201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4352A (ko) 스툴 또는 의자용 등받이, 및 이런 등받이를 구비한 스툴 또는 의자
US4695093A (en) Work chair
CN1787766B (zh) 具有运动控制装置的座椅装置
KR101575774B1 (ko)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JPH04343805A (ja) 椅子の背,座部の連動支持機構
ES2170482T3 (es) Dispositivo para mobiliario reclinable o de asiento.
JPS5929244B2 (ja) 調節自在背付椅子
KR20100113992A (ko) 착석 가구 물품
EP3955774A1 (en) Chair for active engagement of user
KR101105780B1 (ko) 요추받이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US8931841B2 (en) Synchronous mechanism for a chair
KR101412406B1 (ko) 프레임 타입형 의자
EP1579787A1 (en) Chair having automatic back inclination adjustment
KR102383272B1 (ko) 부분 교체 가능한 복합 의자
KR20170004293U (ko) 의자 좌판 경사장치
KR101232984B1 (ko) 의자 좌판 경사장치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101367001B1 (ko) 의자 좌판 경사장치
KR101576968B1 (ko)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KR101133846B1 (ko) 의자 경사조절장치
KR20000066379A (ko) 등받이 의자
KR200401327Y1 (ko) 팔걸이를 가지는 의자
JP3666530B2 (ja) 椅子
KR20240057288A (ko) 자세 교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RU2458613C2 (ru) Кресл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