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059A - 스텁을 가진 결합기 - Google Patents

스텁을 가진 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059A
KR20090034059A KR1020070099209A KR20070099209A KR20090034059A KR 20090034059 A KR20090034059 A KR 20090034059A KR 1020070099209 A KR1020070099209 A KR 1020070099209A KR 20070099209 A KR20070099209 A KR 20070099209A KR 20090034059 A KR20090034059 A KR 20090034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port
line
green sheet
s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418B1 (ko
Inventor
이효종
성정현
한종희
김기태
이병철
이철우
석창헌
Original Assignee
(주) 알엔투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엔투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 알엔투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7009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4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1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for coupling balanced with unbalanced lines or devices
    • H01P5/107Hollow-waveguide/strip-line tran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01P5/184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the guides being strip lines or micro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9/00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of modulated electromagnetic waves
    • H03D9/06Transference of modulation u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D9/0608Transference of modulation u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by means of diodes
    • H03D9/0633Transference of modulation u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by means of diodes mounted on a stripline circuit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텁을 가진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기는 세라믹 유전체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고 끝단에 외부와 전원 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포트전극 패턴이 인쇄되는 결합기 본체, 결합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두 개의 전송선로가 브로드사이드 결합(broadside-coupled)된 스트립 결합선로, 결합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스트립 결합선로를 포트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포트선로 및 포트선로에 형성되어 포트선로에 커패시턴스를 발생시키는 스텁을 포함한다.
따라서, 포트선로에 형성된 스텁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하여 결합기의 삽입손실과 반사손실을 줄이고 격리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결합기, 세라믹 유전체, 스텁, 결합선로, 포트선로, 마이크로스트립 결합선로

Description

스텁을 가진 결합기{Coupler with stubs}
본 발명은 스텁(stubs)을 가진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세라믹 유전체로 이루어진 직방체 또는 정방체 내에 결합선로 및 포트선로로 구성된 결합선로가 형성되는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결합기는 신호의 분배, 모니터링 등 여러 곳에서 사용된다. 결합기는 결합선로의 결합면적 및 간격에 의해 결합도 양이 조절된다. 결합기의 구성은 결합되는 부분의 선로 길이를 중심 주파수의 λ/4 로 한 것이 가장 기본적인 구성이다. λ/4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결합선로를 이용한 결합기는 구현이 용이하고 다른 밀리미터파나 마이크로파 소자와의 결합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마이크로스트립 결합선로는 유전체와 공기층 사이에 존재하는 전송 도체의 존재에 기인한 이방 특성으로 인하여 우 모드(even mode)와 기 모드(odd mode)의 유효 유전율이 달라 각 모드의 위상 전파 속도의 차이로 인해 결합선로의 지향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스트립 결합선로는 결합도가 높은 결합기를 구현할 경우, 결합선로의 간격이 매우 좁아져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제작이 어렵 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결합기 구성도로서, λ/4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결합선로를 이용한 결합기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결합기는 복수의 그린시트(10, 20, 30)가 적층되어 형성된 세라믹 유전체 내부에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하나의 스트립 결합선로가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는 스트립 결합선로(40) 및 포트선로(50)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결합기는 어느 하나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 에칭하여 패턴을 형성한 면과 다른 하나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 스트립 도체를 제거한 면이 접합될 때, 패턴을 형성한 스트립 도체의 두께로 인하여 얇은 층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덮개를 이용해 강한 압력으로 누를 경우 즉 커버 프레싱(cover-pressing)을 가할 경우, 패턴을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스트립 도체의 두께로 인하여 스트립 도체를 제거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유전체 형상이 변형된다. 또한, 결합기의 특성이 열화되고 결합기 설계자가 원하는 특성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튜닝에 많은 시간과 세밀한 작업이 필요하여 유전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추가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결합기는 제작 비용이 높고 제작 시간 및 공정이 길어 고 특성을 가진 결합기를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높은 결합도를 유지하면서 삽입손실의 증가없이 반사손실을 줄이고 격리도를 증가시키며 제작이 편리한 스텁을 가지는 결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결합기는,
세라믹 유전체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고 끝단에 외부와 전원 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포트전극 패턴이 인쇄되는 결합기 본체; 상기 결합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두 개의 전송선로가 브로드사이드 결합(broadside-coupled)된 스트립 결합선로; 상기 결합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결합선로를 상기 포트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포트선로; 및 상기 포트선로에 형성되어 상기 포트선로에 커패시턴스를 발생시키는 스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트선로에 형성된 스텁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하여 결합기의 삽입손실 증가없이 반사손실을 줄이고, 격리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저온 동시소성 세라믹) 공정의 적용으로 제작의 편리성을 높이고 공정오차가 줄어들며 재현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내부를 투영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결합기의 외관은 직방형 또는 정방형의 세라믹 유전체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는 표면실장형 결합기 본체(100)로 이루어진다.
결합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상하부에 인쇄되는 접지전극(200), 복수의 1/2 비아홀(301, 303, 305, 307, 309, 311), 복수의 1/4 포트비아홀(401, 403, 405, 407) 및 복수의 포트비아홀용 패턴(501, 503, 505, 507)이 인쇄된다.
또한,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결합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스트립 결합선로(600), 포트선로(701, 703, 705, 707) 및 스텁(801, 803, 805, 807)를 포함하는 결합기 도체가 형성된다.
상하부 접지전극(201, 203)은 결합기 본체(100) 외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인쇄된다. 그리고 복수의 1/2 비아홀(301, 303, 305, 307, 309, 311)을 통해 연결되어 스트립 결합선로(600)의 접지로 동작한다. 또한, 장착하고자 하는 PCB (Printed Circuit Board)의 접지와 연결된다.
상하부 접지전극(201, 203)은 네 개의 모서리 가장자리에 일정 부분만큼을 비워 포트비아홀용 패턴(501, 503, 505, 507)을 위치시켜 상하부 접지전극(201, 203)과는 단락이 되지 않도록 한다.
복수의 1/2 비아홀(301, 303, 305, 307, 309, 311)은 결합기 본체(100)의 외부 측면에 인쇄되어 상하부 접지전극(201, 203)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복수의 1/2 비아홀(301, 303, 305, 307, 309, 311)은 전도상(Conductive Phase), 바인더(Binder), 비이클(Vehicle) 및 첨가제(Additives)로 구성된 전도성 페이스트로 도포된다.
복수의 1/4 포트비아홀(401, 403, 405, 407)은 결합기 본체(100)의 외부 모서리 가장자리에 인쇄된다. 그리고 전도상(Conductive Phase), 바인더(Binder), 비이클(Vehicle) 및 첨가제(Additives)로 구성된 전도성 페이스트로 도포된다. 그리고 양측 끝단에 연결된 포트비아홀용 패턴(500) 및 결합기 본체(100) 내부의 포트선로(700)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복수의 포트비아홀용 패턴(501, 503, 505, 507)은 복수의 1/4 포트비아홀(401, 403, 405, 407)을 통해 연결되어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접지로 동작한다.
스트립 결합선로(600)는 두 개의 전송선로가 브로드사이드 결합(broadside-coupled)된다. 여기서, 브로드사이드 결합은 전송선로들이 거의 수직으로 정렬되어 도체들 간의 전송 선로 결합을 야기한다.
포트선로(701, 703, 705, 707)는 스트립 결합선로(600)를 외부와 연결되는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포트선로(701, 703, 705, 707)는 복수의 1/4 포트비아홀(401, 403, 405, 407) 및 복수의 포트비아홀용 패턴(501, 503, 505, 507)와 스트립 결합선로(600)를 연결한다.
스텁(801, 803, 805, 807)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에 형성되어 포트선로(701, 703, 705, 707)에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발생시켜 결합기의 우/기 모드의 위상차를 줄인다.
이때, 스텁(801, 803, 805, 807)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일부에 형성되거나,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모든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텁(801, 803, 805, 807)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동일한 형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스텁(801, 803, 805, 807)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텁(801, 803, 805, 807)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가 복수의 1/4 포트비아홀(401, 403, 405, 407)과 만나는 지점부터 스트립 결합선로(600a, 600b)와 만나는 지점에 이르는 부위 중에서 어느 부위에든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스텁(801, 803, 805, 807)은 제조 공정상 여러가지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스텁(801, 803, 805, 807)의 폭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는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를 가진다.
스텁(801, 803, 805, 807)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모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트선로(701, 703, 705, 707)에 스텁(801, 803, 805, 807)이 형성된 결합기는 포트선로(701, 703, 705, 707)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1/4 포트비아홀(401, 403, 405, 407)과 복수의 포트비아홀용 패턴(501, 503, 505, 507)을 통하여 PCB에 장착된다. 그리고 전압이 인가되면 스텁(801, 803, 805, 807)을 가진 결합기로 동작한다. 즉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스텁(801, 803, 805, 807)으로 인해 커패시턴스가 발생하여 결합기의 우/기 모드의 위상차를 줄이게 되어 반사손실이 줄어들고 격리도는 증가하여 삽입손실이 줄어든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발 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구조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결합기 본체(100)는 복수의 그린시트(101, 103, 105)가 적층되어 복수의 1/2 비아홀(301, 303, 305, 307, 309, 311) 및 복수의 1/4 포트비아홀(401, 403, 405, 407)을 외곽에 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기 본체(100)는 세라믹 유전체를 재료로 하여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저온 동시소성 세라믹) 공정에 의해 복수의 그린시트(101, 103, 105)를 적층하여 제작한다.
여기서,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저온 동시소성 세라믹) 고정은, 주로 유리와 세라믹을 혼합한 재료를 그린시트(세라믹 테이프)라고 하는 종이보다 얇은 형태로 만들어 여러 개로 자른다. 이후, 각각의 그린시트 위에 단순 전극이나 소자의 역할에 맞도록 금이나, 은, 구리 등과 같은 금속도체를 입힌다. 이후, 구성하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각 그린시트 들을 적응하여 소성 세라믹과 금속을 동시에 구워서 형성하는 기술이다.
결합기 본체(100)는 제1 그린시트(101), 제2 그린시트(103) 및 제3 그린시트(105)가 적층되는 구조이다. 즉 결합기 본체(100)는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 접지전극을 형성시키는 제1 그린시트(101) 및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접지전극을 형성시키는 제3 그린시트(105)와, 제1 그린시트(101)와 제3 그린시트(105)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그린시트(103)가 적층되는 구조를 이룬다.
제1 그린시트(101)의 상부에는 상부 접지전극, 모서리 가장자리에는 포트비 아홀용 패턴(500)이 인쇄된다.
제2 그린시트(103)의 상부에는 주전송선로인 제1 전송선로(601), 하부에는 제1 전송선로(601)와 브로드사이드 결합하는 결합선로인 제2 전송선로(603)가 인쇄된다. 제1 전송선로(601) 및 제2 전송선로(603)는 스트립 결합선로(600a, 600b) 및 스텁(801, 803, 805, 807)을 가진 포트선로(701, 703, 705, 707)로 각각 구성된다.
제3 그린시트(105)의 하부에는 하부 접지전극, 모서리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포트비아홀용 패턴(501, 503, 505, 507)이 인쇄된다.
제1 그린시트(101), 제2 그린시트(103) 및 제3 그린시트(105)의 측면에는 상하부 접지전극(201, 203)을 연결하여 하나의 접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1/2 비아홀(301, 303, 305, 307, 309, 31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 그린시트(101), 제2 그린시트(103) 및 제3 그린시트(105)의 네 개의 모서리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1/4 포트비아홀(401, 403, 405, 407)은 제1 전송선로(601) 및 제2 전송선로(603)를 결합기 본체(100)의 외부 네 개의 모서리 가장자리에 위치한 포트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제1 그린시트(101), 제2 그린시트(103) 및 제3 그린시트(105)를 적층하여 각 그린시트에 형성된 도체 패턴(201, 203, 501, 503, 505, 507)이 비아홀(301, 303, 305, 307, 309, 311, 401, 403, 405, 407)을 통해 연결되어 스텁(801, 803, 805, 807)을 가진 결합기가 형성된다.
포트선로(701, 703, 705, 707)는 스트립 결합선로(600a, 600b)와 복수의 1/4 포트비아홀(401, 403, 405, 407)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50Ω 옵셋스트립선로이다.
제1 전송선로(601) 및 제2 전송선로(603)의 포트선로(701, 703, 705, 707)는 동일한 길이와 형태를 가지고 대칭을 이룬다.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형태는 세라믹 유전체(100)의 크기 및 주변환경에 따라 여러 형태로 바뀔 수 있다.
포트선로(701, 703, 705, 707)는 제1 전송선로(601) 및 제2 전송선로(603)를 네 개의 모서리 가장자리에 위치한 포트와 연결하며, 포트선로(701, 703, 705, 707)각각에 스텁(801, 803, 805, 807, 809, 811, 813, 815, 817, 819, 821, 8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보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텁(801, 803, 805, 807)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는 일측 부위에 인쇄되어 스트립 결합선로(600a, 600b)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보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텁(809, 811, 813, 815)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는 일측 부위에 인쇄되어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도 5의 제2 그린시트(103)는 도 4와 동일하게 제1 전송선로(601) 및 제2 전송선로(603)가 브로드사이드 결합된 스트립 결합선로(600), 포트선로(701, 703, 705, 707) 및 스텁(809, 811, 813, 815)이 인쇄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에 보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텁(817, 819, 821, 823)은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는 양측 부위에 인쇄되어 포트선로(701, 703, 705, 707)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대칭 연장되어 형성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을 스텁의 실시예별로 그래프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과 비교하기 위한 종래 결합기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7a는 결합기의 특성 그래프이고 도 7b는 특성값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7a 및 도 7b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이 형성되지 않은 결합기의 특성은 결합도(Coupling)가 -3.1 dB, 전송손실(Transmission Loss)이 -3.17 dB, 반사손실(Return Loss)이 -22.7 dB, 격리도(Isolation)가 -21.27 dB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는 도 4와 같이 형성된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 그래프이고, 도 8b는 특성값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8a 및 도 8b에 보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은 결합도(Coupling)가 -3.02 dB, 전송손실(Transmission Loss)이 -3.14 dB, 반사손실(Return Loss)이 -51.78 dB, 격리도(Isolation)가 -37.14 dB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는 도 5와 같이 형성된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 그래프이고, 도 9b 는 특성값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9a 및 도 9b에 보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은 결합도(Coupling)가 -3.09 dB, 전송손실(Transmission Loss)이 -3.11 dB, 반사손실(Return Loss)이 -36.83 dB, 격리도(Isolation)가 -35.96 dB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a는 도 6과 같이 형성된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 그래프이고, 도 10b는 특성값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보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은 결합도(Coupling)가 -3.03 dB, 전송손실(Transmission Loss)이 -3.16 dB, 반사손실(Return Loss)이 -48.53 dB, 격리도(Isolation)가 -35.61 dB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와 종래 결합기의 삽입손실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11a는 삽입 손실 특성 그래프이고 도 11b는 특성값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보인 바와 같이, 스텁이 없는 종래 결합기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은 -0.13 dB이다. 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텁이 형성된 결합기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은 -0.09 dB,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텁이 형성된 결합기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은 -0.08 dB,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텁이 형성된 결합기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은 -0.07 dB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통해 결합기는 도 7에 보인 스텁이 없는 결합기와 비교할 때 삽입손실(Insertion Loss)은 감소하면서도 반사손실(Return Loss)은 줄어들고 격리도(Isolation)는 증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결합기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내부를 투영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과 비교하기 위한 종래 결합기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텁을 가진 결합기와 종래 결합기의 삽입손실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Claims (6)

  1. 세라믹 유전체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고 끝단에 외부와 전원 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포트전극 패턴이 인쇄되는 결합기 본체;
    상기 결합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두 개의 전송선로가 브로드사이드 결합(broadside-coupled)된 스트립 결합선로;
    상기 결합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결합선로를 상기 포트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포트선로; 및
    상기 포트선로에 형성되어 상기 포트선로에 커패시턴스를 발생시키는 스텁
    을 포함하는 결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텁은,
    상기 포트선로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텁은,
    상기 포트선로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텁은,
    폭이 상기 포트선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 본체는,
    상면에 상기 결합기 본체의 상부 접지전극 도체 패턴이 인쇄되는 제1 그린시트;
    상기 제1 그린시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면에 상기 결합기 본체의 하부 접지전극 도체 패턴이 인쇄되는 제3 그린시트; 및
    상기 제1 그린시트와 상기 제3 그린시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 결합선로, 상기 포트선로 및 상기 스텁으로 구성되는 제1 전송선로가 상면에 인쇄되고 상기 제1 전송선로와 결합하는 상기 스트립 결합선로, 상기 포트선로 및 상기 스텁으로 구성되는 제2 전송선로가 하면에 인쇄되는 제2 그린시트
    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린시트, 상기 제2 그린시트 및 상기 제3 그린시트는,
    측면에 인쇄되어 상기 상부 접지전극 도체 패턴과 상기 하부 접지전극 도체 패턴을 연결하여 상기 스트립 결합선로의 접지로 동작하는 1/2 비아홀;
    네 개의 모서리 가장자리에 인쇄되는 포트비아홀용 패턴; 및
    네 개의 모서리 가장자리에 인쇄되어 상기 포트비아홀용 패턴과, 스텁이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상기 포트선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1/4 비아홀
    을 포함하는 결합기.
KR1020070099209A 2007-10-02 2007-10-02 스텁을 가진 결합기 KR10090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09A KR100902418B1 (ko) 2007-10-02 2007-10-02 스텁을 가진 결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09A KR100902418B1 (ko) 2007-10-02 2007-10-02 스텁을 가진 결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059A true KR20090034059A (ko) 2009-04-07
KR100902418B1 KR100902418B1 (ko) 2009-06-11

Family

ID=4076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209A KR100902418B1 (ko) 2007-10-02 2007-10-02 스텁을 가진 결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4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60B1 (ko) * 2010-03-15 2012-06-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랜치 라인 커플러
CN103762407A (zh) * 2014-01-10 2014-04-30 嘉兴佳利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化多层陶瓷电桥
CN115275554A (zh) * 2021-04-29 2022-11-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六研究所 一种3dB定向耦合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5646A (en) * 1990-10-22 1991-12-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ensated mixed dielectric overlay coupler
US6759923B1 (en) 2002-02-19 2004-07-06 Raytheon Company Device for directing energy, and a method of making same
KR20070089579A (ko) * 2006-02-28 2007-08-3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터브 소자를 이용한 다단 마이크로스트립 브랜치 라인결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60B1 (ko) * 2010-03-15 2012-06-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랜치 라인 커플러
CN103762407A (zh) * 2014-01-10 2014-04-30 嘉兴佳利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化多层陶瓷电桥
CN103762407B (zh) * 2014-01-10 2015-11-25 嘉兴佳利电子有限公司 一种小型化多层陶瓷电桥
CN115275554A (zh) * 2021-04-29 2022-11-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六研究所 一种3dB定向耦合器
CN115275554B (zh) * 2021-04-29 2023-11-2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六研究所 一种3dB定向耦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418B1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5738B2 (en) Reduced size microwave directional coupler
JP3902072B2 (ja) 誘電体導波管フィルタとその実装構造
JP2001308547A (ja) 高周波多層回路基板
JPH05152814A (ja) チツプ型方向性結合器
JP5153771B2 (ja) 終端器
JP4807456B2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02418B1 (ko) 스텁을 가진 결합기
KR101577370B1 (ko) 마이크로웨이브 필터
WO2024007717A1 (zh) 强耦合带状线和含有强耦合带状线的微波元件
KR100956665B1 (ko) 내부 접지층을 갖는 결합기
JP5289196B2 (ja) マジックt
JP2003209429A (ja) 2共振アンテナ装置
JP2000252704A (ja) 誘電体フィルタ
KR102163069B1 (ko) 결합기
KR101420193B1 (ko) 비대칭 결합 선로들을 가지는 결합기
JP3383542B2 (ja) 誘電体導波管線路の結合構造
JP5451339B2 (ja) 高周波回路と方形導波管型高周波線路との接続構造
KR101310745B1 (ko) 나선형 결합 선로를 가지는 결합기
CN218275015U (zh) 一种基于交指结构的高陡降度薄膜滤波器
KR100381545B1 (ko) 적층형 방향성 결합기
JP7409778B2 (ja) 導波管スロットアンテナ
JP3106675B2 (ja) 積層型電子部品
JP2006186828A (ja) 帯域通過フィルタ
KR20020036894A (ko) 적층형 방향성 결합기
JP2021078048A (ja) 誘電体共振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