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698A -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698A
KR20090033698A KR1020070098859A KR20070098859A KR20090033698A KR 20090033698 A KR20090033698 A KR 20090033698A KR 1020070098859 A KR1020070098859 A KR 1020070098859A KR 20070098859 A KR20070098859 A KR 20070098859A KR 20090033698 A KR20090033698 A KR 2009003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junctivitis
chlorogenic acid
composition
infectiou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387B1 (ko
Inventor
김수열
김태임
손준홍
Original Assignee
(주) 서울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서울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 서울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07009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387B1/ko
Priority to PCT/KR2008/005799 priority patent/WO2009045054A2/en
Publication of KR2009003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결막염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로로겐산, 결막염, 감염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항염증

Description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onjunctivitis comprising chloroge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결막염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막염은 세균, 바이러스, 알레르기,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결막의 염증상태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병되는 안질환이며, 보통은 잘 치유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이어서 조직손상에 의한 실명까지 초래할 수 있다. 결막염은 원인에 따라 크게 감염성 결막염(infectious conjunctivitis) 및 비감염성 결막염(non-infectious conjunctivitis)으로 분류된다.
감염성 결막염은 바이러스성 결막염(viral conjunctivitis), 세균성 결막 염(bacterial conjunctivitis), 진균성 결막염(fungal conjunctivitis), 클라미디아성 결막염(chlamydial conjunctivitis), 리케치아 결막염(rickettsial conjunctivitis) 및 기생충성 결막염(parasitic conjunctivitis) 등이 있으며, 결막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균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Streptococcus pneumoniae), 헤모필러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 헤르페스 심플렉스(Herpes simplex), 및 피코르나바이러스(picornavirus) 등이 있다. 경도의 충혈부터 다량의 화농성 분비물 또는 안출혈까지 다양한 경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감염성 결막염은 한쪽 눈에서 발병된 후 접촉성으로 다른 눈으로 전염되고 환자가 접촉한 물건 등에 의해 다른 사람에게도 전파되며, 마스카라 등의 눈 관련 화장품의 공용으로 감염될 수 있다.
비감염성 결막염으로 대표적인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결막에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질병으로서 알레르기로 인한 질병인 고초열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경우에 자주 동반되는 질병이다. 대표적인 계절병으로 봄에 증상이 심했다가 가을이나 겨울에 좋아진다. 주로 알레르기 체질인 사람에게 많이 나타나고, 사춘기 전에 시작되어 5 내지 10년간 재발하다가 그 이후에는 발병횟수가 줄어들고 증상이 가벼워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이상고온이 계속되면서 계절이나 체질과 상관없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원인은 짐승의 털, 먼지, 꽃가루 및 집먼지 진드기 등으로, 요즘에는 차량의 배기가스나 화학분진과 같은 공해물질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증상은 눈이 매우 가렵고, 심한 충혈 및 안검 부종이 있으면서 눈물이 많이 나오고, 눈을 비비는 경우 더 심해질 수 있다. 또한 할퀴거나 타는 듯한 통증이 있고, 이물감, 눈곱, 결막하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고초열성 결막염(Hay fever conjunctivitis), 춘계 각결막염(Vernal keratoconjunctivitis) 및 아토피성 각결막염(Atopic keratoconjunctivitis) 등의 즉시형 과민반응과 플릭텐성 각결막염(Phlyctenulosis) 및 접촉성 안검염(Contact dermatitis induced conjuctivitis)에 의한 결막염 등의 지연형 과민 반응이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치료는 과민성 체질을 변화시키는 방법(면역요법)이 가장 이상적이나, 실제로는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현재로서는 항히스타민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등의 스테로이드제 또는 알레르기 예방, 차단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감염성 결막염의 경우 항생제 안약으로 치료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스테로이드 약물로 병행 치료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경우 항히스타민제 안약이나 스테로이드 안약으로 치료한다. 결막염의 대표적인 치료제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계통의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은 항염증 약물로 통상 사용되며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방사성, 기계적, 화학적, 감염성 및 면역자극을 포함한 여러 가지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예방한다.
상기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두 가지 범주의 부작용이 생기는데, 첫째는 장기간 사용 후 갑자기 투약을 중지할 때와, 둘째는 장기간 과잉 사용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부신 피질 호르몬을 장기간 투여하다가 갑자기 중단하면 급성 부신 기능 부전으로 전신 쇠약감, 발열, 근육통, 관절통 및 식욕감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체중이 늘고 체형이 변하며, 불면증이 잘 동반된다. 특히,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점안제 또는 연고는 환자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안압상승으로 인한 녹내장, 백내장 또는 세균성 감염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기 쉽다. 이와 같은 부작용 때문에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류의 사용상 문제점이 많으며, 따라서 이 같은 문제점이 없는 항염증제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은 카페산(caffeic acid) 및 퀸산(quinic acid)의 에스테르로서, 커피의 주요 페놀성 성분이며 쌍자엽 식물의 잎 및 과실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클로로겐산은 고등식물 특히 생커피두 및 로스팅된(roasted) 커피두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서 메탄올/물 혼합용매로 HPLC-UV 추출시 쉽게 추출되는 물질로 보고되어 있으며(Bicchi et al, J.Agric. Food Chem.,43, pp1549-1555, 1995), 또한 그 천연물 분리방법 및 그 계통적 분류방법이 개시되어 있다(Clifford et al, Phytochemistry, Vol.28, No.3, pp829-838, 1989). 이러한 클로로겐산은 식물대사의 중요한 인자이고 항산화제이며, 식후 혈류 내로의 글루코스 방출을 느리게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1-87593호에는 천연 또는 합성된 클로로겐산을 내분비 교란물질에 의한 남성 생식기능 저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제로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 공개 특허 특개 제2002-363075호에는 커피, 남 천엽 및 사과의 미숙과 등에 포함되어 있는 클로로겐산을 고혈압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6-128907호에는 이러한 클로로겐산을 포함하고 히드록시히드로퀴논 함량을 저하시켜 우수한 혈압 강하 작용을 갖는 커피 음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문헌 모두 클로로겐산이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감염성 또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치료에 유효하다는 것은 알려진 바가 없었다.
비록 과거 몇 년 동안 결막염 및 다른 염증관련 장애에 의해 야기되는 염증의 치료 및 예방이 매우 많이 진보되었지만, 여전히 감염성 또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향상된 방법 및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본 발명자는 최근에 기니픽에서 꽃가루를 이용하여 유발한 눈 알레르기 모델에서 펩티드로 만든 트란스글루타미나제 억제제를 투여해 스테로이드에 견줄 만한 효과를 거두는데 성공했다(Sohn, J., Kim, T.-I., Yoon, Y.-H., and Kim, S.-Y. Transglutaminase inhibitor: A New Anti-inflammatory Approach in Allergic Coconjunctivitis. J. Clin. Invest. 111, 121-8, 2003; Soo-Youl Kim. Transglutaminase 2 in inflammation. Front Biosci. 11, 3026-3035, 2006). 또한, 본 발명자는 이미 안전성이 인정되어 상용화되고 있는 천연물질들 중에서 트란스글루타미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물질들을 스크리닝 한 결과, 클로로겐산으로부터 트란스글루타미나제 억제제로서의 활성을 발견하고 이를 국내특허출원 제10-2007-0056811호로 출원한 바 있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는 클로로겐산 또는 그의 유도체가 결막염의 치료에 매우 유효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로로겐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막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로로겐산를 사용하여 결막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는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클로로겐산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 쌍자엽 식물의 과실이나 엽 등에 존재하며, 그 화학명은 3-[[3-(3,4-디하이드록시페닐)-1-옥소-2-프로페닐]옥시]-1,4,5-트리하이드록시씨클로헥산카르복시산 (3-[[3-(3,4-dihydroxyphenyl)-1-oxo-2-propenyl]oxy]-1,4,5-trihydroxycyclohexanecarboxylic acid) 이며, 흔히 3-카페오일퀸산 (3-caffeoylquinic acid)으로 불리기도 한다. 천연에서 얻어진 클로로겐산의 경우에는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및 네오클로로겐산이 소량 함유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가수분해시 카페산을 생성한다. 상기 클로로겐산의 분자식은 C16H1809이고 분자량은 354.30이며 그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70726946-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클로로겐산은 천연 또는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천연의 클로로겐산은 사과, 배 또는 복숭아와 같은 장미과 식물의 과실(미숙과 포함), 커피두, 카카오두, 포도씨 또는 아티초크 등으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추출된 천연 페놀 및 폴리페놀계 추출물로부터 공지의 방법에 따라 분리 정제(H. Li et al., J. Chromatogr. A 1098(2005) 66-74 및 V. Ossipov et al., J. Chromatogr. A 721(1996) 59-68 등)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합성된 클로로겐산은 공지의 방법(M. Lepelley et al., Plant Science 172(2007) 978-996 및 J. Stockigt et al., FEBS LETTERS 42(1974) 131-134 등)에 의한 합성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 또는 합성 클로로겐산은 직접 제조하는 외에 시판품의 사용이 가능하다.
클로로겐산의 유도체는 천연물에서 분리되는 에스테르 형태로서 메틸 클로로제네이트(methyl chlorogenate), 에틸 클로로제네이트(ethyl chlorogenate)가 알려져 있으며, 미국 등록 특허 6,632,459호에는 클로로겐산의 하이드록실기 부분이 카페산으로 치환된 클로로겐산의 유도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항암감작제는 이러한 클로로겐산 및 이와 동등한 항암감작제의 효과를 가지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결막염은 세균, 바이러스, 알레르기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결막의 염증상태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병되는 안질환이며, 원인에 따라 크게 감염성 결막염(infectious conjunctivitis) 및 비감염성 결막염(non-infectious conjunctivitis)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인 증상은 심한 눈의 소양증, 심한 출혈 및 안검 부종 등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막염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기존의 항염증제, 특히 스테로이드제인 덱사메타손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결막염의 치료에 유효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스테로이드제가 가지는 쿠싱 증후군, 골다공증, 감염의 위험성, 녹내장 및 백내장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경구투여용 제형의 경우, 예를 들면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elixirs)로 제제화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와 디칼 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괴제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될 수 있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클로로겐산을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 등의 주사용 형태, 좌제 주입방식 또는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어로졸제등 스프레이용으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클로로겐산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한다. 좌제로 주입하기 위해서는, 코코아버터 또는 다른 글리세라이드 등 통상의 좌약 기제를 포함하는 좌약 또는 체료 관장제와 같은 직장투여용 조성물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에어로졸제 등 스프레이용으로 제형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결막염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구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클로로겐산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과 함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지의 항염증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공지의 항염증제로는 프레드니솔론 등의 스테로이드성 제제 및 비스테로이드성 제제 등이 있으며, 이들의 약학적 유효량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증상의 정도, 클로로겐산과의 병용 투여 등의 제반 조건을 고려하여 처치의가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지의 항염증제를 병용 투여함으로써,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에 의해 공지의 항염증제의 부작용 등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승적인 치료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들 공지의 항염증제는 경우에 따라 복합제제 또는 동시에 투여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과 시간의 간격을 두고 투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는 결막염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며, 기존의 스테로이드 제제에서 문제되는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는 소염제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동물의 준비 및 감작
체중이 250 내지 300 그램의 암컷 하틀리(Hartley) 기니아픽을 먹이와 물을 자유롭게 공급하고 표준적인 온도, 상대습도 및 빛 조건 하에서 유지시켰다. 첫 번째 감작은 구입 후 1 내지 2 주 후에 시작하였다.
짧은 돼지풀 꽃가루(Short ragweed pollen, RW)은 Polyscience, Inc(Warrington, PA)로부터 구입하였다. 감작은 주당 연속 5일의 두 기간으로 수행되어졌다.
꽃가루는 하루에 한 번, 25마리에게 콧구멍 및 하부 결막 포니스(inferior conjuntival fornices) 내로 마이크로피펫으로 10㎕(Merayo-Lloves, J., Calonge, M, and Foster, C.S. 1995. Experimental model of allergic conjunctivitis to ragweed in guinea pig. Curr. Eye Res. 14:487-494) 주입하였다. 15일째에, 면역화된 기니아픽을 각각 5마리씩 5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모든 면역화된 기니아픽은 하부 결막 포니스에 10㎕의 짧은 돼지풀-꽃가루 분말을 주입하였다. 세 그룹에 대해 꽃가루 적용 후 30분 및 하루에 4번 100nM의 클로로겐산 점안제 및 덱사메타손 점안제(Maridex, 0.1% 덱사메타손; Alcon-Couvreur, Puurs, Belgium), 항-알러지 점안제인 파타놀(Patanol, 0.1% 올로파타딘 Alcon Laboratories, Inc., Fort Worth, TX) 및 아제란(Azelan, 0.05% 아제라스틴, 태준제약, 한국) 을 적용시켰다.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는 음성 대조군으로,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시예 2. 결막의 부종 및 발적의 임상적 등급화 측정
결막의 부종 및 발적(redness)의 임상적 등급화(clinical grading)를 포터블 슬릿 램프(portable slit lamp, Cail Zeiss, Oberkochen, Germany)를 사용하여, 꽃가루의 주입 후 24시간에 수행하였다. 평가는 알레르겐(allergen) 주입 후 2시간에 맹검 방식으로(blinded fashion)에서 수행되었다. 각각의 임상적 파라미터는 Merayo-Lloves, J., Calonge, M, and Foster, C.S. 1995. Experimental model of allergic conjunctivitis to ragweed in guinea pig. Curr. Eye Res. 14:487-494에서 설명한 것처럼 0 내지 4+(0 부재(absent), 1+ 최소, 2+ 경미함, 3+ 보통, 4+ 심함)의 범위에서 기록하였다. 각각의 임상 점수를 분석하였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처치된 그룹 모두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덜 심각한 임상적 소견을 나타내었다. 특히, 이들 중 덱사메타손 처리된 그룹과 클로로겐산 처리된 그룹의 효과는 거의 차이점이 없었다. 이는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가 덱사메타손과 유사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조직학적 관찰에 의한 호산구 침투 정도 측정
하부 포니스의 결막을 포함하는 아래 눈꺼풀을 상기 동물들을 CO2 질식시켜 죽인 후에 수득하였고, 이후 10% 완충된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각각의 조직은 광-현미경 관찰을 위해 준비되었다. 각각의 시료 중심부는 화살촉 모양(sagitally)으로 절개하고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으로 염색하였다. 결막 상피조직, 하부 상피조직 및 스트로마의 표준화된 필드에서 호산구의 수를 각 실험에서의 각각의 처리(treatment)에 대한 세 연속적인 필드에서 측정되었다(200 배율; 음성대조군, 덱사메타손, 파타놀, 아제란(공지의 결막염 치료제) 및 클로로겐산의 각 그룹 당 5개의 눈). 이에 의한 호산구의 침투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에 비해 모든 처리된 그룹이 통계적으로 중대하게 더 낮은 호산구 침투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클로로겐산 점안제 그룹은 덱사메타손 점안제 그룹과 비교했을 때 호산구 주화성(chemotaxis) 저해에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로로겐산 그룹은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중대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은 기존의 항염증제, 특히 스테로이드인 덱사메타손보다 강력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분석
3-1. 클로로겐산의 항염증 효과와 TGase 2 및 NF B 의 관계 분석
트란스글루타미나제(Transglutaminase, TGase) 2 는 염증을 동반하는 질병들에서 발현이 많이 증가되며, TGase의 작용을 억제하면 염증 반응경로에서 전사물질로 작용하는 NF-kB의 활성도 많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클로로겐산의 항염증 효과가 TGase 2 및 NF-κB의 불활성화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결막의 조직 절편 슬라이드를 1%의 소혈청알부민(bovine albumin fraction V)에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표지된 1차 항체와 함께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슬라이드를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각각 5분씩 3회 세척하고, 2차 항체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보관하였다. 슬라이드를 PBS로 세척한 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Leica, Deerfieldd, IL) 하에서 판독하였다.
그 결과,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에서는 트란스글루타미나제(Transglutaminase, TGase) 2 및 NF-κB가 발현된 세포가 진하게 염색되어, TGase 2 및 NF-κB가 강하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클로로겐산 점안제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덱사메타손(스테로이드) 처리 그룹에 비하여 TGase 2 및 NF-κB가 발현된 세포의 수가 확연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상용화된 항-알러지 점안제인 아제란 또는 파타놀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TGase 2 및 NF-κB의 발현이 감소하지 않았다.
따라서, 클로로겐산이 TGase 2 및 NF-κB의 발현을 감소시키므로, 항염증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2. 클로로겐산의 항염증 효과와 TGase 2 및 COX - 2 의 발현의 관계 분석
프로스타글란딘류를 합성하는데 관련된 효소인 COX (시클로옥시게나제)는 염증반응 시에 세포내에서 급격히 증가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클로로겐산의 항염증 효과가 TGase 2 및 COX-2 의 발현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1의 방법대로 실시하되, 2차 항체로서 FITC가 접합된 항-TGase 2 교차결합 항체(anti-TGase 2 cross-link antibody) 및 알렉사플루오르(Alexafluor594)가 접합된 항-COX-2 항체(anti-COX-2 antibody)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TGase 2 매개 교차결합 및 COX-2가 동일 위치(co-localization)에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음성대조군에서는 TGase 2 매개 교차결합 및 COX-2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아제란 또는 파타놀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발현이 이들의 약간 감소하였음에 비하여, 덱사메타손(스테로이드) 또는 클로로겐산 점안제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이들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클로로겐산이 TGase 2 및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키므로, 항염증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짧은 돼지풀 꽃가루의 주입 후 클로로겐산 및 공지의 항염증제를 적용한 뒤 결막의 부종 및 발적 정도의 임상적 등급화 스코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t, 음성대조군; Dx, 덱사메타손; Az, 아제란; Pa, 파타놀; Ch, 클로로겐산)
도 2는 클로로겐산 및 각 항염증제가 처리된 기니아픽 조직의 조직학적 관찰에 의한 호산구 침투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t, 음성대조군; Dx, 덱사메타손; Az, 아제란; Pa, 파타놀; Ch, 클로로겐산)
도 3은 클로로겐산의 항염증 효과와 TGase 2 및 NF-κB 의 관계 분석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Scale bar=500 Mm)
도 4는 클로로겐산의 항염증 효과와 TGase 2 매개 교차결합 및 COX-2 의 발현의 관계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Scale bar=500 Mm)

Claims (7)

  1.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막염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막염은 감염성 결막염인 조성물.
  5.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결막염의 치료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막염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인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막염은 감염성 결막염인 조성물.
KR1020070098859A 2007-10-01 2007-10-01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조성물 KR100926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59A KR100926387B1 (ko) 2007-10-01 2007-10-01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조성물
PCT/KR2008/005799 WO2009045054A2 (en) 2007-10-01 2008-10-01 A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onjunctivitis comprising chloroge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59A KR100926387B1 (ko) 2007-10-01 2007-10-01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698A true KR20090033698A (ko) 2009-04-06
KR100926387B1 KR100926387B1 (ko) 2009-11-11

Family

ID=4052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859A KR100926387B1 (ko) 2007-10-01 2007-10-01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6387B1 (ko)
WO (1) WO200904505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864A1 (ko) * 2019-09-11 2021-03-18 (주) 메드빌 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6882A (zh) * 2017-01-23 2022-08-12 四川九章生物科技有限公司 绿原酸在制备防治眼部炎症的药物中的用途
KR20220164040A (ko) * 2020-04-10 2022-12-12 상하이 리톤 바이오케미컬즈 리미티드 시각 피로 완화용 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6747A2 (en) * 2005-05-23 2006-11-30 Cheorl-Ho Kim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or containing chlorogenic ac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864A1 (ko) * 2019-09-11 2021-03-18 (주) 메드빌 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45054A3 (en) 2009-05-22
KR100926387B1 (ko) 2009-11-11
WO2009045054A2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3139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Actinidia,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US20190030024A1 (en) Use of Methoxatin, Derivative and/or Salt Thereof in Sjogren's syndro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2010011192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0926387B1 (ko) 클로로겐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결막염 치료용 조성물
CN108025029B (zh) 用于治疗角膜疾病或结膜疾病的组合物
Potilinski et al. New insights into oxidative stress and immune mechanisms involved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ackled by novel therapies
US1053760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gioedema, containing extract of peony root or mixture of peony root and licorice as active ingredient
US10813910B2 (en)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ge related macular diseases
RU2334524C2 (ru) Применение производных эфиров янтарной кислоты для лечения деменции
JPWO2006038656A1 (ja) アレルギー抑制剤
US10500169B2 (en) Supression of IgE production by compounds derived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O2018011416A1 (de) Pharmazeutische verwendung von beta-d-mannuronsäure
CA2712452A1 (en)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actinidia and steroids and uses thereof
JPH1036388A (ja) ジンセノサイド類含有hsp47合成抑制剤
KR102271471B1 (ko)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WO2006030907A1 (ja) 網膜保護剤
TW202304422A (zh) 用於調節皮質醇之體內恆定及改善睡眠品質之組合物以及其使用及製造方法
KR20100008548A (ko)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맥락막 혈관신생 관련질환 치료용조성물
Agarwal et al. Intraocular pressure-lowering activity of topical application of Aegle marmelos fruit extract in experimental animal models
TWI648060B (zh) 治療或減緩自體免疫相關之疾病的醫藥組合物及其活性成份的用途
US11058736B2 (en) Method of treating dry eye syndrome us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or fraction thereof
TWI749568B (zh) 眼用組成物及其在治療近視上的醫藥用途
KR101710412B1 (ko) Ycg063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Maeda-Yamamoto et al. 19 Immune Regulatory Effect of Green Tea
CA3039587A1 (en) Treatment of immunological disease using berberine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