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321A -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321A
KR20090033321A KR1020080114368A KR20080114368A KR20090033321A KR 20090033321 A KR20090033321 A KR 20090033321A KR 1020080114368 A KR1020080114368 A KR 1020080114368A KR 20080114368 A KR20080114368 A KR 20080114368A KR 20090033321 A KR20090033321 A KR 20090033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on
evaporation tank
reactor
radioactive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771B1 (ko
Inventor
강덕원
김석태
김진길
한철우
조정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11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7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3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6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hot liquid or hot vapour, e.g. waste liquid, waste vapour
    • F22B1/16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hot liquid or hot vapour, e.g. waste liquid, waste vapour in combination with a nuclear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5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 B01J8/006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by filtr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08Processing by evaporation; by distill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0Processing by flocc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저농도 또는 고농도의 킬레이트 물질과 중금속을 함유하는 방사성 액상폐기물을 증발/농축장치를 통하여 순수한 물과 오염물로 분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증발/농축장치에서 농축된 폐액에 과산화수소를 투입하여 펜톤반응기에서 유기물을 처리하는 제2단계와, 상기 펜톤반응기로부터 미처리된 유기물을 증발탱크로 보내는 제3단계와, 상기 증발탱크에서 증발침전 공간을 제공하여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하는 제4단계와, 상기 증발탱크에서 발생되는 증기 중 미처리된 유기물을 촉매장치에서 촉매를 이용해 처리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촉매장치에서 배출되는 증기 중 기액 분리되도록 냉각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세정폐액, EDTA, 플라즈마반응기, 촉매장치, 열교환기

Description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Treatment Process and Equipment of Steam Generator Chemical Cleaning Wastewater Contained Chelate Chemicals and radioactive materials}
본 발명은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자력발전소 계획 정비기간 중 수행하는 증기발생기 화학세정시 발생되는 킬레이트 물질과 다량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화학세정폐액을 증발농축 장치, 펜톤반응기, 수중플라즈마 장치, 히터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고형물의 침전공간을 제공하는 증발탱크, 습증기 중의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한 촉매장치, 고형물 분리장치를 이용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 증기발생기 세관을 화학세정할 때, 금속 이온의 킬레이트(Chelate)제로 사용되는 EDTA(Ethe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물질은 착화(Complexation)를 통한 여러 금속이온들의 이동성을 통제ㆍ조절하고 있 다. 상기 EDTA는 강력한 킬레이팅 화학물질로 금속 이온과 6개의 배위결합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금속 이온과 1:1로 매우 안정한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EDTA는 원자력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세정 및 제염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화학세정시 사용되는 EDTA 물질은 방사능을 띤 양이온 금속이온과 착화물을 유발시켜 방사성 핵종이 다른 음이온과 반응하려는 성질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방사성 금속이온과 착화물을 형성한 금속-EDTA 착화물은 사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금속-EDTA 착화물은 최종처리가 소홀할 경우 시멘트나 다른 물질로 안정화된 양이온성 방사성폐기물의 침출성(Leachability)을 증가시켜 더 높은 이동성을 갖게 만들며, 활성탄에 의한 흡착시 지속적으로 흡착ㆍ유지를 어렵게 만들어 최종적으로 처리된 방사성 폐기물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결국, EDTA가 포함된 화학세정폐액의 경우 기존 생물ㆍ화학적 폐수처리 공정은 물론, 증발농축 및 시멘트 고화처리에 있어서도 많은 제약조건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세관의 화학세정시 발생되는 화학세정 폐액은 EDTA 뿐만이 아니라, 방사성, 비방사성 이온들과 다양한 유기화합물 및 고농도 질소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일반 액상 폐기물 처리기술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시 발생되는 중저준위 방사성 유기폐액 처리는 폐액의 발생과 동시에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대용량의 폐액 저장시설의 설치 및 이를 관리해야 하는 위험부담이 상존하기 때문에 폐액처리 기술용역의 수행은 화학세정 사업과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는 시간적 제약 조건이 따르게 된다.
최근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농축 또는 비농축 액상 폐기물 처리를 위해 AgNO3를 이용한 산분해(Acid digestion) 기술과 고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열분해소각 기술을 적용하여 액상폐기물 처리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산분해 기술은 AgNO3와 같은 고농도 강산을 이용해 유기물을 산화처리하도록 되어 있는 바, 유기물을 산화처리하기 위하여 고가의 AgNO3 약품이 다량 소비되고, 대용량 폐액처리를 위한 장치의 규모 확대가 어려워 대용량으로 발생되는 폐액처리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산분해 기술은 고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열분해소각 기술은 폐기물 절감에는 효과가 있으나, 폐액을 처리하면서 발생되는 불연소 산화물인 다이옥신이나 퓨란과 같은 재합성 물질 및 유해 중금속이나 방사성 물질을 배출시키으로써 환경문제에 취약하였다.
기존에는 EDTA를 함유한 폐액처리 방법으로 공지된 기술로서, 특허출 제2003-7016176호의 기술은 EDTA를 분해하기 위해 40 ~ 50% 이상의 H2O2 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최종 배출되는 폐액이 기존의 1.4 ~ 1.5배가 되며, 폐액의 pH를 12까지 상승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량의 NaOH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폐기물량이 많고, 전기 아크를 발생시키는 반응기의 효율이 저조하여 EDTA 분해율이 낮으며, H2O2를 전기 아크 반응기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전극의 부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폐기물 처리설비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증발농축 설비, 고형화안정화 기술이 가지는 부피감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방사성 액상폐기물에 함유된 킬레이트 성분을 분해하여 안정적인 상태로 각종 유해물질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폐기물 처리설비에서 담당할 수 없는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방사성 액상폐기물의 처리가 가능토록 장치 운영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농도 또는 고농도의 킬레이트 물질과 중금속을 함유하는 방사성 액상폐기물을 증발/농축장치를 통하여 순수한 물과 오염물로 분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증발/농축장치에서 농축된 폐액에 과산화수소를 투입하여 펜톤반응기에서 유기물을 처리하는 제2단계와, 상기 펜톤반응기로부터 미처리된 유기물을 증발탱크로 보내는 제3단계와, 상기 증발탱크에서 증발침전 공간을 제공하여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하는 제4단계와, 상기 증발탱크에서 발생되는 증기 중 미처리된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촉매장치에서 촉매를 이용해 산화시키는 제5단계 및, 상기 촉매장치에서 배출되는 증기 중 기액 분리되도록 냉각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농도 또는 고농도의 킬레이트 물질과 중금속을 함유하는 방사성 액상폐기물을 순수한 물과 오염물로 분리하는 증발/농축장치와, 상기 증발/농축장치에서 농축된 폐액을 분해하는 펜톤반응기와, 상기 펜톤반응기로부터 미처리된 유기물을 전기적 방전을 통해 활성종과 고온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반응기와, 상기 플라즈마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임시로 저장하고,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하도록 증발침전 공간을 제공하고, 히터를 이용해 수분을 인위적으로 증발시키는 증발탱크와, 상기 증발탱크에서 발생되는 증기 중에 포함된 미처리유기물을 산화ㆍ환원시키는 촉매반응기와, 상기 촉매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증기 중 기액을 분리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시 발생되는 방사성 액상 폐기물을 증발농축기술, 펜톤반응과 수중플라즈마 발생기술을 포함하는 물속산화기술, 저온 촉매 산화ㆍ환원기술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수중플라즈마 반응기의 다중 모듈 운전이 가능하게 설계함으로써 산화제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산분해 공정을 이용한 처리기술의 한계점인 대용량 폐액처리가 가능하며, 고온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열분해소각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소각 대체기술을 제시함으로써 폐액처리시 발생되는 불연소 산화물인 다이옥신이나 퓨란과 같은 재합성 물질 및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성 물질의 배출을 억제함은 물론, 기존의 협소한 폐기물 건물이 아니더라도 장치를 옥외에 컨테이너 타입으로 설치,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성과 활용성을 지닌 장치 운영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시 발생되는 EDTA와 같은 킬레이트 물질을 함유하는 방사성 액상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 예에 따른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농도 또는 고농도의 킬레이트 물질과 중금속을 함유하는 방사성 액상폐기물을 증발/농축장치(10)를 통하여 순수한 물과 오염물로 분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증발/농축장치(10)에서 농축된 폐액에 과산화수소를 투입하여 펜톤반응기(20)에 서 유기물을 처리하는 제2단계와, 상기 펜톤반응기(20)로부터 미처리된 유기물을 증발탱크(40)로 보내는 제3단계와, 상기 증발탱크(40)에서 증발침전 공간을 제공하여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하는 제4단계와, 상기 증발탱크(40)에서 발생되는 증기 중 미처리된 유기화합물을 촉매장치(50)에서 촉매를 이용하여 산화시키는 제5단계 및 상기 촉매장치(50)에서 배출되는 증기 중 기액 분리되도록 냉각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공정에서는 처리대상 폐액을 증발/농축장치(1)에서 감압증발농축시킨다. 여기서, 상기 증발/농축장치(1)에서는 처리대상 폐액에서 물이 분리되어 된다. 물이 분리된 농축액은 펜톤반응기(20)로 전달되고, 분리된 응축수는 탈기장치(12)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탈기장치(12)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암모니아 및 기타 휘발 가능한 물질을 탈기시키고 이온교환장치(14)로 전달된다.
원전 증기발생기의 저농도 화학세정 폐액에 대해 농축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증발농축설비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에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암모늄 이온(NH4 +)를 제외하고 매우 안정적인 수질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증발/농축장치(1)에서의 폐액 원수, 농축액 및 응축수 중 암모늄 이온 농도를 표 2에서 나타내었다. 증발/농축장치(1)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액을 10시간 탈기한 결과 암모늄 이온들이 NH3(g)로 탈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응축수의 pH가 높을수록 탈기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기된 응축액은 방사성 물질 농도 평가 후 방류수질 이하가 되었을 때는 환경으로 배출하며, 방류수질을 초 과할 경우는 이온교환장치(14)를 통해 방사성 물질 및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 후 환경으로 배출하게 된다.
[표 1]
샘플 분석항목 세정폐액 원수 농축액(농축률: 1/10) 응축액
pH 9.29 5.96 8.39
Conductivity(mS/cm) 분석온도: 25℃ 12.89 47.80 0.349
수분 (%) 96.80 68.80 100
TS (%) 3.20 31.20 0
VS (%) 2.30 22.50 0
FS (%) 0.90 8.70 0
TOC(ppm) 11,816 114,260 17.80
EDTA (%) 1.89 20.13 ND
CODMn (mg/L) 19,000 176,000 32.00
NO2 - (mg/L) ND 1,265.72 9.28
NO3 - (mg/L) 92.71 574.95 0.71
SO4 2- (mg/L) 25.63 248.73 0.10
Cl- (mg/L) ND 12.73 1.97
NH4 + (mg/L) 4,350.81 17,536.14 1,844.70
Fe (mg/L) 4,367.50 51,537.50 0.09
Cu (mg/L) 11.30 149.50 ND
Co (mg/L) 1.35 16.00 ND
Mn (mg/L) 66.95 768 ND
Si (mg/L) 9.00 104 2.11
Cs (mg/L) ND 0.6 ND
Gamma Ray(Co-60) 측정값 ±2σ (Bq/mL) 8.16E-03±2.56E-03 7.46E-02±7.43E-03 검출한계이하
※ 2σ는 계측오차만 고려된 것임.
[표 2]
샘플 분석항목 세정폐액 원수 농축액(농축율:90%) 응축액 10시간 탈기후
pH 9.29 5.96 8.39 7.6
NH4 + (mg/L) 4,350.81 17,536.14 1,844.70 12.3
제2공정에서는 증발/농축장치(10)를 통해 농축된 농축액이 과산화수소와 함 께 펜톤반응기(20)에 유입되어 유기물을 처리한다. 폐수 중에 함유된 다량의 Fe(Ⅱ) 이온들은 이러한 펜톤반응을 가능하게 하며, 증발/농축기(10)를 통해 폐액 중 용존되어 있는 암모니아 성분이 휘발되어 농축액의 pH는 펜톤반응이 적합한 산성으로 변하게 되어 과산화수소수 투입만으로도 펜톤 반응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펜톤반응을 통해 다음과 같은 반응식에 의해 발생되는 OH(수산화라디칼)을 이용해 수중에 용존되어있는 유기물을 1차적으로 분해시킨다.
Fe2+ + H2O2 → Fe3+ + OH· + HO· (1)
Fe3+ + H2O2 → Fe-OOH2 + + H+ (2)
Fe-OOH2 + → Fe2+ + HO2· (3)
Fe2+ + H2O2 → Fe3+ + OH· + HO· (1)
Fe2+ + HO2· + H+ → Fe3+ + H2O2 (4)
Fe3+ + HO2· →Fe2+ + O2 + H+ (5)
상기 반응기를 거치면서 폐액에 용존되어 있는 유기물 중 40%가 분해되게 된다.
고온(90℃이상)에서 과산화수소수는 물로 분해되는 특성이 있으며, 플라즈마반응기(30)에 다량 유입시 제2전극(34)소모율을 가중시키므로, 효율적인 상기 펜톤 반응 유도와 제2전극(34)의 수명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증발ㆍ농축장치(10)와 펜톤반응기(20)의 배관에 주입하여 펜톤반응기(20)에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도록 유도하여 과산화수소가 완전 소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공정에서는 제2공정에서 미처리된 유기물이 증발탱크(40)에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제4공정에서는 증발탱크(40)에서 증발침전 공간을 제공하여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한다.
상기 증발탱크(40)에서는 펜톤반응기(20)에서 유입된 폐액이 1차적으로 포집ㆍ농축되고, 상기 증발탱크(40)에 포집된 폐액이 유기물의 분해율을 높이기 위해 피드백관(42)을 통하여 플라즈마반응기(30)로 피드백된다. 그리고, 플라즈마반응기(30)에서는 고온의 플라즈마를 발생키켜 활성종을 발생시킨 후 처리된 폐액을 재차 증발탱크(40)로 보내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탱크(40)에서는 고형물의 침전과 수분의 증발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며, 플라즈마 열원으로 부족한 열량을 히터를 이용하여 수분 증발량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킨다.
증발/농축장치(10)를 통해 배출된 농축액은 펜톤반응기(20)과 플라즈마 반응기(30)에서의 산화과정을 거치면서 용존된 유기물이 CO3 -2, HCO3 - 형태로 일부 존재하게 되어 pH 가 9까지 상승하게 되며, 이때 수중의 OH-(수산화이온)과 중금속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침전이 발생한다.
Fe(Ⅲ) + OH- → Fe(OH)3
침전된 중금속 및 유기물은 고형물분리장치(44)에 의해 제거되며, 제거된 고형물은 수분을 제거한 다음 최종적으로 처분용기에 담아 처분장으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고형물분리장치(44)에서 분리된 분리수는 피드백관(45)을 통하여 피드백되어 증발탱크(40)에 다시 유입된다. 증발탱크(40)에서 미처리된 용존 유기물은 재차 플라즈마반응기(30)에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유기물의 분해가 일어난다.
증발탱크(40)에서 배출되는 증기에는 EDTA 분해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어 최종 응축수의 수질을 악화시킨다.
도 2는 증발탱크(40)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반응시간에 따라 응축시켜 수질을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총 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가 250 ppm, 총 질소(Total Nitrogen; TN)는 130 ppm 수준으로 용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발생된 증기는 촉매장치(50)를 통해 처리된다.
제5공정에서는 상기 증발탱크(40)에서 발생되는 증기 중 미처리된 유기물을 촉매장치(50)에서 촉매를 이용해 처리한다.
상기 증발탱크(40)에서 발생되는 증기내에 포함된 TOC, TN 성분을 제거하기 촉매장치(50)에서 산화시킨다. 즉 제5공정은 촉매장치(50)에서 이루어지며 300 ~ 350℃의 저온에서 촉매를 이용해 산화환원 반응이 유도되며, 유기물 처리과정은 다 음과 같다.
O2
CwHxOyNz + CO + NOx + H2O → CO2 + H2O + N2
촉매
(300 ~ 350℃)
촉매장치(50)로 유입되는 증기는 가열기(48)를 통해 300 ~ 350℃로 온도가 상승되면서 유기물 제거과정을 거친다.
제6공정은 상기 촉매장치(50)에서 배출되는 증기가 열교환기(60)를 거치면서 기액 분리되어 냉각된다.
촉매장치(50)에서 완전하게 유기물이 제거된 고온의 증기는 열교환기(60)에서 기액이 분리되어, 기체는 대기 중으로 배출되며, 응축수는 응축수저장탱크(70)에 포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과정은,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시 발생되는 방사성 액상 폐기물을 증발농축기술, 펜톤반응과 수중플라즈마 발생기술을 포함하는 물속산화기술, 저온 촉매기술을 이용해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탱크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반응시간에 따라 응축시켜 수질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발/농축장치 12 : 탈기장치
14 : 이온교환장치 20 : 펜톤반응기
30 : 플라즈마반응기 40 : 증발탱크
42 : 피드백관 44 : 고형물분리장치
45 : 피드백관 46 : 습분제거장치
48 : 가열기 50 : 촉매장치
60 : 열교환기 70 : 응축수저장탱크
72 : 이온교환장치

Claims (14)

  1. 저농도 또는 고농도의 킬레이트 물질과 중금속을 함유하는 방사성 액상폐기물을 증발/농축장치를 통하여 순수한 물과 오염물로 분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증발/농축장치에서 농축된 폐액에 과산화수소를 투입하여 펜톤반응기에서 유기물을 처리하는 제2단계와,
    상기 펜톤반응기로부터 미처리된 유기물을 증발탱크로 보내는 제3단계와,
    상기 증발탱크에서 증발침전 공간을 제공하여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하는 제4단계와,
    상기 증발탱크에서 발생되는 증기 중 미처리된 유기물을 촉매장치에서 촉매를 이용해 처리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촉매장치에서 배출되는 증기 중 기액 분리되도록 냉각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탱크에서 공급되는 순환수를 플라즈마반응기에서 전기적 방전을 통해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탱크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습분제거장치를 통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탱크에서 침전된 고형물을 고형물분리장치 통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농축장치에서 배출되는 응축수 중 암모니아이온을 탈기장치를 통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6. 저농도 또는 고농도의 킬레이트 물질과 중금속을 함유하는 방사성 액상폐기물을 순수한 물과 오염물로 분리하는 증발/농축장치와,
    상기 증발/농축장치에서 농축된 폐액을 분해하는 펜톤반응기와,
    상기 펜톤반응기로부터 미처리된 유기물을 전기적 방전을 통해 활성종과 고온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반응기와,
    상기 플라즈마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임시로 저장하고,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하도록 증발침전 공간을 제공하는 증발탱크와,
    상기 증발탱크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 중에 포함된 미처리유기물을 산화시키는 촉매반응기와,
    상기 촉매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증기 중 기액을 분리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저장탱크를 포함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탱크와 상기 촉매반응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탱크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는 습분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탱크에서 침전된 고형물을 제거하는 고형물분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농축장치에서 폐액을 농축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에서 NH3를 탈기시키는 탈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에서 탈기된 응축액을 방사성물질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액을 방사성물질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반응기와 증발탱크 사이에 피드백관을 형성하여 폐액이 상기 증발탱크로 피드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
  13.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분리장치와 증발탱크 사이에 피드백관을 형성하여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분리수가 상기 증발탱크로 피드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반응기는 300 ~ 350℃ 정도에서 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탱크의 증기에 포함된 전체 유기탄소와 질소 성분을 산화ㆍ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장치.
KR1020080114368A 2008-11-18 2008-11-18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091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368A KR100919771B1 (ko) 2008-11-18 2008-11-18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368A KR100919771B1 (ko) 2008-11-18 2008-11-18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522 Division 200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321A true KR20090033321A (ko) 2009-04-02
KR100919771B1 KR100919771B1 (ko) 2009-10-06

Family

ID=4075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368A KR100919771B1 (ko) 2008-11-18 2008-11-18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383A1 (ko) * 2017-05-18 2018-11-22 주식회사 방산테크 증기계통 보일러 튜브용 화학세정폐수 재생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4597B (zh) * 2010-06-04 2013-04-03 清华大学 一种放射性废水的预处理方法
KR101008491B1 (ko) * 2010-09-17 2011-01-14 세안기술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화학 세정폐액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05336385A (zh) * 2015-10-20 2016-02-17 石家庄居里辐射防护有限公司北京分公司 一种核医学放射性废水处理控制方法、系统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0839B2 (ja) * 1993-11-15 1997-06-18 森川産業株式会社 放射性汚染物質を有するキレート剤液の処理方法
KR100613727B1 (ko) * 2004-10-27 2006-08-22 한국전력공사 비촉매 산화처리법을 이용한 세정 폐액의 연속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729039B1 (ko) * 2005-10-31 2007-06-14 한국전력공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의 화학세정폐액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383A1 (ko) * 2017-05-18 2018-11-22 주식회사 방산테크 증기계통 보일러 튜브용 화학세정폐수 재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771B1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725B1 (ko) 화학 오염 제거 방법
JPH0310919B2 (ko)
EP2927197A1 (en) System for treating coal gasification wastewater, and method for treating coal gasification wastewater
US6635232B1 (en) Method of chemically decontaminating components of radioactive material handling facility and system for carrying out the same
KR100919771B1 (ko) 킬레이트 약품과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폐액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0729039B1 (ko)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의 화학세정폐액 처리 장치
KR20040045334A (ko) 방사화 부품의 화학적 오염제거 시스템 및 방법
JPH07241557A (ja) 汚染水の処理方法とその装置
CA2186617C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osing of a solution containing an organic acid
JP5795323B2 (ja) 浸漬されたプラズマ中への注入手段によって廃棄物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552083B1 (ko) 방사성오염 유기물질 함유 액체폐기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JP2007147453A (ja) 復水脱塩器からのアンモニア含有再生廃液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US8115045B2 (en) Nuclear waste removal system and method using wet oxidation
US20110120497A1 (en) Corrosion product chemical dissolution process
JP2010064074A (ja) 復水脱塩器からのアンモニア含有再生廃液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N112655055B (zh) 调节离子交换树脂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装置
KR100956975B1 (ko) 고온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폐액의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JP2004340769A (ja) 有機酸除染廃液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455048B1 (ko) 난분해성 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분해성 물질 제거방법
KR100991864B1 (ko) 응집 및 여과 기술을 이용한 원전 증기발생기 화학세정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3103156A (ja) 生物汚泥減容化方法と装置
JP3045911B2 (ja) 原子力発電設備における用水処理方法
KR100613727B1 (ko) 비촉매 산화처리법을 이용한 세정 폐액의 연속 처리방법 및 장치
JP2004233156A (ja) 廃液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4529748A (ja) 物質の電気化学的酸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