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415A -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415A
KR20090032415A KR1020070097643A KR20070097643A KR20090032415A KR 20090032415 A KR20090032415 A KR 20090032415A KR 1020070097643 A KR1020070097643 A KR 1020070097643A KR 20070097643 A KR20070097643 A KR 20070097643A KR 20090032415 A KR20090032415 A KR 20090032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wake
processors
termin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형
손한구
장광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2415A/ko
Priority to US12/235,816 priority patent/US8078838B2/en
Publication of KR2009003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Abstract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제1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1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 제2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 및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의 대응되는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는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서들 간에 연결되어 있던 웨이크 업 라인들을 제거할 수 있어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 라우팅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인터럽트 기능은 물론 웨이크 업 기능이 함께 구현되므로, 프로세서에 설계되었던 웨이크 업 관련 회로가 제거되거나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70097643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공유 메모리 영역, 인터럽트 핀, 프로세서 웨이크 업

Description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Multi processor system having multiport semiconductor memory with processor wake-up function and therefore method}
본 발명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간생활의 유비쿼터스 지향추세에 따라, 인간들이 취급하게 되는 전자 시스템도 그에 부응하여 눈부시게 발전되고 있다. 최근에 모바일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핸드 헬드 폰(HHP), 또는 PDA 등의 멀티미디어 전자기기에서는 기능이나 동작 수행의 고속화 및 원활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나의 시스템 내에 복수의 프로세서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이 선호된다.
그러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싱 데이터를 저장하 기 위해 채용되는 반도체 메모리는 동작이나 기능 면에서 다양하게 변화된다. 예컨대, 복수의 억세스 포트를 가지고서 그 억세스 포트들 각각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를 입출력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개의 억세스 포트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듀얼포트 메모리로 칭해지고 있다. 전형적인 듀얼포트 메모리는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랜덤 시퀀스로 억세스 가능한 RAM포트와 시리얼 시퀀스만으로 억세스 가능한 SAM 포트를 가지는 이미지 프로세싱용 비디오 메모리이다. 한편, 후술될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보다 명확하게 구별될 것이지만, 그러한 비디오 메모리의 구성과는 달리, SAM 포트를 가지지 않으며, DRAM 셀로 구성된 메모리 셀 어레이 중 공유 메모리 영역을 복수의 억세스 포트를 통하여 각각의 프로세서들이 억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를 우리는 상기 듀얼포트 메모리와 보다 철저히 구별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또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 장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적합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를 개시하는 선행 기술의 일 예는, 에우지니 피.매터(Matter)외 다수에 의해 발명되어 2003년 5월 15일자로 미합중국에서 특허공개된 공개번호 US2003/009362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공유 메모리 영역이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억세스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메모리 어레이는 제1,2,3 포션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의 제1 포션은 제1 프로세서에 의해서만 억세스되고 상기 제2 포션은 제2 프로세서에 의해서만 억세스되며, 제3 포션은 공유 메모리 영역으로서 상기 제1,2 프 로세서들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된다.
상기한 선행기술과는 대조적으로, 전형적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프로세서의 부트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가 프로세서 당 1개씩 구비되어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디램도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마다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 프로세서마다 디램 및 플래시 메모리가 각기 채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하고 시스템 구현시 가격이 상승됨은 분명하다.
따라서, 본 분야에서의 컨벤셔날 기술로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 채용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이 도 1과 같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컨벤셔날 기술에 따라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원디램)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을 가지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하나의 멀티포트 DRAM(400)과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300)가 공유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설정된 타스크(Task) 예컨대 통신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통신 모뎀(MODEM)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통신 데이터의 처리나 게임, 오락 등의 사용자 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사안이 다른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들의 기능은 서로 반대로 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는, 셀 어레이의 구성이 NOR 구조를 갖게 되는 NOR 플래시 메모리나 셀 어레이의 구성이 NAND 구조를 갖게 되는 NAND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NOR 플래시 메모리나 NAND 플래시 메모리 모두는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모오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을 어레이 형태로서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지워져서는 아니되는 데이터 예컨대 휴대용 기기의 부트 코드 및 보존용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탑재된다.
또한, 원디램(oneDRAM)으로도 불리우는 멀티포트 DRAM(400)은 프로세서들(100,200)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메인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멀티포트 DRAM(400)이 서로 다른 2개의 억세스 패쓰를 통하여 제1,2 프로세서들(100,200)에 의해 각기 억세스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멀티포트 DRAM(400)의 내부에는 시스템 버스들(B1,B2)에 각기 대응적으로 연결되는 포트들과 메모리 뱅크들이 마련된다. 그러한 복수의 포트 구성은 단일 포트를 갖는 통상의 DRAM과는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도 1의 멀티포트 DRAM(400)내에서 4개의 메모리 영역들(10,11,12,13)이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이 보여진다. 예를 들어, 제1 뱅크(10)는 제1 포트를 통하여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고, 제3 뱅크 및 제4 뱅크(12,13)는 제2 포트를 통하여 제2 프로세서(2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될 수 있다. 한편, 제2 뱅크(11)는 서로 다른 포트인 제1,2 포트를 통하여 상기 제1,2프로세서들(100,200)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서 제2 뱅크(11)는 공유 메모리 영역으로서 할당되고, 제1,3, 및 4 뱅크들(10,12,13)은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에 의해서만 억세스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 으로서 할당된 경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메일 박스들(52,53)은 상기 멀티포트 DRAM(400)내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 영역과는 별도로 마련된 내부 레지스터에 포함되는 저장영역이다. 상기 메일 박스들(52,53)은 DRAM의 메모리 셀과는 다른 래치타입 저장셀로 구성되므로 리프레쉬 동작을 요하지 않는다.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멀티포트 DRAM(400)을 통해 구현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은 상기 메일 박스들(52,53)활용하여 상대 프로세서에게 메시지를 라이트할 수 있다. 라이트된 메시지를 리드한 수신 측 프로세서는 전송 측 프로세서의 메시지를 인식하고 그에 응답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메일 박스들(52,53)을 활용하여 프로세서들이 디램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 호스트 인터페이스가 제거 또는 최소화되고 시스템 구조가 콤팩트 해지며, 시스템 동작상의 이점이 기대된다. 결국, 디램 인터페이스를 통하여도, 플래시 메모리(3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상기 멀티포트 DRAM(400)을 통하여 플래시 메모리(300)를 간접적으로 억세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유 메모리 영역을 갖는 멀티포트 DRAM(400)을 구비한 도 1의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각 프로세서마다 DRAM 및 플래시 메모리가 각기 대응적으로 할당될 필요 없이 공유적으로 사용되므로, 시스템 사이즈의 복잡성이 제거되며 메모리들의 채용 개수가 줄어듬을 알 수 있다.
도 1 내에서 보여지는 멀티포트 DRAM(400)은 메모리 반도체 메이커로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삼성전자에 의해 등록제품명 "원디램" 으로서 제조되는 디램 타입 메모리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한 원디램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통신 프로세서와 미디어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퓨전 메모리 칩이다. 일반적으로 두 프로세서들이 있는 경우에 두 개의 메모리 버퍼들이 통상적으로 요구된다. 그렇지만, 원디램 솔루션은, 프로세서들간의 데이터를 단일 칩을 통하여 라우팅할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메모리 버퍼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듀얼 포트 어프로치를 취함에 의해, 원 디램은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단일 원디램 모듈은 고성능 스마트 폰 및 다른 멀티미디어 리치 핸드 셋(rich-handset)내에서 적어도 2개의 모바일 메모리 칩들을 대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보다 빨라짐에 따라 원디램은 전력 소모를 약 30퍼센트 정도 감소시키며, 필요해지는 칩 수를 줄이고, 토탈 다이 에리어 커버리지를 약 50퍼센트 축소시킬 수 있다. 이 결과는 셀룰러 폰의 속도를 약 5배 증가시키고 배터리 수명을 길게 하고 핸드셋 디자인을 슬림하게 하는 결과를 야기한다.
그러나, 도 1의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wake-up, 기상, 동작 활성화)기능은 프로세서들 끼리 서로 주고 받는 웨이크 업 신호에 의해 수행되므로, 프로세서들 간을 연결하는 웨이크 업 라인들과, 웨이크 업 핀과, 웨이크 업 관련 회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 라우팅이 별도로 요구되어 시스템 아키텍쳐가 복잡해진다.
도 1에서 보여지는 제1,2 프로세서들(100,200)간에 연결된 라인들(L10,l11)은 상기 제1,2 프로세서들끼리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웨이크 업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웨이크 업 신호 라인들이다.
예를 들어, 승객이 비행기를 타고 있는 경우에는 통신 장애에 기인하거나 기내 탑승 규정상 승객 자신이 소지한 휴대 전화기로 전화통화를 하는 것이 사실상 제한된다. 그러한 경우에 승객은 휴대 전화기에 설정되어 있는 플라잇 모드(flight mode) 기능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플라잇 모드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 통신 모뎀 프로세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1 프로세서(100)는 더 이상 모뎀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파워 세이빙을 위해 모든 동작을 중단하고 깊은 잠을 자는 듯한 상태 즉, 휴면 상태로 진입된다. 상기 휴면 상태는 통상 슬립 모드(sleep mode), 딥 슬립 모드(deep sleep mode), 또는 파워 다운 모드 등으로 분류되거나 칭해지는데, 상기 모든 모드들은 극히 제한된 최소의 동작만을 행함에 의해 전력의 소모가 최소한으로 된다. 한편,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휴면 상태로 진입되지 않으므로 승객은 휴대 전화기의 화면을 통해 이번 주에 애인이 몇 통의 전화를 해왔고 나는 몇 통의 전화를 애인에게 했는지 따위를 알 수 있는 전화 통화 내역 테이블을 검색하는 등 각종 멀티 미디어 정보를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드디어, 비행기에서 내린 승객이 플라잇 모드를 해제하면 공항에서 전화를 걸 수 있다. 이 때, 난 슬리핑 상태에 있던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플라잇 모드 해제에 응답하여 제2 웨이크 업 신호(WP2)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라인(L11)을 통해 상기 제1 프로세서(100)의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잠든 상태에서 깨어나 통신 모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든 프로세서를 깨우는 기능이 바로 웨이크 업 기능이다.
결국, 도 1과 같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 기능이 프로세서들 간을 연결하는 웨이크 업 라인들과 웨이크 업 관련 회로에 의해 수행되므로 웨이크 업 기능을 위해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 라우팅을 별도로 구현해야한다. 따라서, 시스템 아키텍쳐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들 간에 설치된 웨이크 업 라인들을 제거할 수 있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램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 채용된 프로세서들의 웨이크 업을 멀티포트 디램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웨이크 업 라인을 구비함이 없이도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 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서들 간에 연결되어 있던 웨이크 업 라인들을 제거함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 라우팅을 간단히 할 수 있는 개선된 웨이크 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도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인터럽트 기능은 물론 웨이크 업 기능이 함께 구현되도록 할 수 있는 개선된 웨이크 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의 일 양상(aspect)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제1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1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
제2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 및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의 대응되는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는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 공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특정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대치적으로 억세스 되며,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된 내부 레지스터가 더 구비된다. 또한, 부트 코드 등의 저장 및 데이터의 영구 저장을 위해 상기 제2 프로세서에는 낸드 타입의 메모리 셀 구조를 갖는 낸드 타입 플래시 메모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각각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1 타스크는 통신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스크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는 상기 내부 레지스터에 할당된 메일 박스 영역의 메시지 라이트에 응답하여 웨이크 업 신호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는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세맵퍼 영역, 메일박스 영역들을 구비하며,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차량용 모바일 폰. PMP, PSP, PDA, 또는 휴대용 전화기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1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1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와 제2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의 사이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의 대응되는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는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특정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대치적으로 억세스 되며,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된 내부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통신 프로세서이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 동작은,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내부 레지스터의 제2 메일 박스에 메시지를 라이트 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장치의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 동작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내부 레지스터의 제1 메일 박스에 메시지를 라이트 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장치의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1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1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
제2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 및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중 하나에 인터럽트 신호를 인가하는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웨이크 업 방법은,
상기 제1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의 활성화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1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의 활성화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2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은 플라잇 모드에서 해제된 경우에 수행되고,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은 전화가 걸려 오거나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적 방법적 구성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이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인터럽트 신호로써 구현되므로, 프로세서들 간에 연결되어 있던 웨이크 업 라인들을 제거할 수 있어 인쇄 회로 기판의 신 호 라우팅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인터럽트 기능은 물론 웨이크 업 기능이 함께 구현되므로, 프로세서에 설계되었던 웨이크 업 관련 회로가 제거되거나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설명되었음을 주목(note)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이들 특정한 상세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을 것임은 본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증, 공지 방법들, 프로시져들, 통상적인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 및 기본적 회로들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모바일 폰, PMP, PSP, PDA, 또는 휴대용 전화기 중의 하나를 구성할 수 있는 도 2를 참조하면,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을 가지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하나의 멀티포트 DRAM(400)과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300)가 공유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 연결 구조가 보여진다.
멀티포트 DRAM(400)내의 상기 메일 박스들(52,53)에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이 라이트하는 메시지가 저장된다.
인터럽트 드라이버(65)는 상기 메일 박스들(52,53)중 하나에 메시지가 라이트 되는 경우에 이에 응답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로세서(200)가 억세스하는 제2 메일 박스(53)에 메시지가 라이트되는 경우라면, 상기 인터럽트 드라이버(65)는 상기 제1 프로세서(100)로 인가되는 제1 인터럽트 신호(/INTa)를 활성화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로세서(100)의 인터럽트 콘트롤러는 상기 제2 프로세서(200)의 메시지가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제2 메일 박스(53)에 저장된 메시지를 리드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웨이크 업 신호로서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큰 특징이다. 즉,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이미 동작 중인 경우에는 웨이크업 단자에 활성화된 웨이크 업 신호가 아무리 인가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슬립 모드나 딥 슬립모드 또는 파워 다운 모드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상기 웨이크 업 신호로서 이용되더라도 웨이크 업 기능이 구현되기만 할 뿐 타의 동작 에러는 초래되지 않는 것이다.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도 2에서 보여지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도 1의 연결구조와는 달리, 프로세서들 간에 연결되어 있던 웨이크 업 라인들(L10,L11)이 제거됨을 알 수 있다. 대신에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라인들(L1,L2)이 상기 웨이크 업 라인들의 기능을 겸용하는 것에 의해, 웨이크 업 기능이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들 간에 연결되어 있던 웨이크 업 라인들(L10,L11)이 제거되어,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내의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 라우팅을 간단히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400)의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인터럽트 기능은 물론 웨이크 업 기능을 함께 구현하므로, 프로세서에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던 웨이크 업 관련 회로가 제거되거나 간단해진다.
도 2에서 상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의 원디램(400), 제2 프로세서(200), 및 플래시 메모리(300)의 연결 구조는 메모리 링크 아키텍쳐(MLA) 팩키지 구조를 형성한다.
도 2의 멀티포트 DRAM(400)내에서도 4개의 메모리 영역들(10,11,12,13)이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제1 뱅크(10)는 제1 포트를 통하여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고, 제3 뱅크 및 제4 뱅크(12,13)는 제2 포트를 통하여 제2 프로세서(200)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될 수 있다. 한편, 제2 뱅크(11)는 서로 다른 포트인 제1,2 포트를 통하여 상기 제1,2프로세서들(100,200)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서 제2 뱅크(11)는 공유 메모리 영역으로서 할당되고, 제1,3, 및 4 뱅크들(10,12,13)은 각기 대응되는 프로세서에 의해서만 억세스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으로서 할당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메모리 영역들(10,11,12,13)은 각기 DRAM의 뱅크 단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뱅크는 예컨대 64Mb(메가비트), 128Mb, 256Mb, 512Mb, 또는 1024Mb 의 메모리 스토리지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2 프로세서들(100,200)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60,61)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메모리 영역(11)과,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중 하나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의 대응되는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는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6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400)를 기본적으로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전용 메모리 영역 A(10)은 제1 포트(60)를 통하여 도 2의 제1 프로세서(100)에 의해 억세스 되고, 전용 메모리 영역들 B(12,13)는 제2 포트(61)를 통하여 도 2의 제2 프로세서(200)에 의해 억세스 되며, 공유 메모리 영역(11)은 서로 다른 포트인 제1,2 포트(60,61)를 통하여 제1,2프로세서들(100,200)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된다.
도 3에서 프로세스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부로서 기능하는 내부 레지스터(5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서(100,200) 모두에 의해 억세스 되며, 플립플롭, 데이터 래치, 또는 SRAM 셀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레지스터(50)는 세맵퍼(semaphore)영역(51), 제1 메일 박스 영역(mail box A to B :52), 제2 메일 박스 영역(mail box B to A:53), 체크 비트 영역(54), 및 예비 영역(55) 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영역들(51-55)은 상기 특정 로우 어드레스에 의해 공통적으로 인에이블 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에 따라 각기 개별적으로 억세스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특정한 로우 영역(121)를 가리키는 로우 어드레스(0x7FFFFFFFh ~ 0x8FFFFFFFh)가 인가될 때, 공유 메모리 영역 내의 일부 영역(121)은 디세이블되며, 대신에 상기 내부 레지스터(50)가 인에이블된다.
프로세싱 시스템 개발자에게 익숙한 개념의 상기 세맵퍼 영역(51)에는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제어 권한이 라이트되고, 상기 제1,2 메일박스 영역들(52,53)에는 미리 설정된 전송방향에 따라 상대 프로세서에게 주는 메시지(권한 요청, 어드레스나 데이터 사이즈 또는 데이터가 저장될 공유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전송 데이터, 및 명령어 등)가 쓰여질 수 있다.
콘트롤 유닛(30)은,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을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서(100,200) 중의 하나에 동작적으로 연결하는 패쓰를 제어한다. 상기 제1 포트(60)에서 콘트롤 유닛(30)으로 연결된 신호라인(R1)은 상기 제1 프로세서(100)에서 버스(B1)를 통해 인가되는 제1 외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2 포트(61)에서 콘트롤 유닛(30)으로 연결된 신호라인(R2)은 상기 제2 프로세서(200)에서 버스(B2)를 통해 인가되는 제2 외부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제1,2 외부신호들은 상기 제1,2 포트(60,61)를 통해 각기 인가되는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B)와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B)및 뱅크 선택 어드레스(B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유닛(30)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들(40,41)로 연결된 신호라인들(C1,C2)은 공유 메모리 영역(11)을 제1 포트(60) 또는 제2 포트(61)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패쓰 결정신호(MA,MB)를 각기 전달하는 라인들이다.
도 4는 도 3중 콘트롤 유닛의 세부 회로 구성도 및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게이팅부(30a)를 포함하는 회로구성이 보여진다. 상기 게이팅부(30a)는 복수의 논리 게이트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2 포트(60,61)를 통해 각기 인가되는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B_A, RASB_B)와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B_A,WEB_B)및 뱅크 선택 어드레스(BA_A,BA_B)를 수신하여 도면의 하부에 보여지는 타이밍을 갖는 게이팅 신호들(PA,PB)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팅 신호(PA)가 논리 로우레벨로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패쓰 결정신호(MA)는 논리 로우레벨로서 출력된다. 한편, 상기 게이팅 신호(PA)가 논리 로우레벨로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게이팅 신호(PB)는 논리 하이레벨로 유지되며, 상기 패쓰 결정신호(MB)는 논리 하이레벨로서 출력된다. 상기 게이팅부(30a)는 포트들 중 하나의 포트에서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B)가 먼저 들어오게 되면, 그 들어온 포트에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이 할당되도록 한다. 만약, 동시에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B)가 인가될 경우는 시스템의 스펙시피케이션으로써 차단하여 우선권을 부여받은 프로세서가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을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보여지는 상기 콘트롤 유닛(30)은 또한, 인버터들(30b,30c,3j, 및 30k), 낸드 게이트들(30d,30e)로 구성된 래치(LA), 딜레이 소자들(30f,30g), 및 낸드 게이트들(30h,30i)을 포함하며,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와이어링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패쓰 결정신호(MA)는 상기 게이팅 신호(PA)가 일정시간 지연 및 래치된 신호로서 나타나고, 상기 패쓰 결정신호(MB)는 상기 게이팅 신호(PB)가 일정시간 지연 및 래치된 신호로서 나타난다.
도 5는 도 3의 메모리 뱅크 들과 내부 레지스터의 구성 및 억세스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뱅크들(10-13)이 일정 메모리 비트(16메가 비트)의 용량으로 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공유 메모리 영역인 B 뱅크(11)내의 일정 영역은 디세이블 영역으로 설정된다. 즉, DRAM 내의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임의의 1행을 인에이블 시키는 특정 로우 어드레스(0x7FFFFFFFh ~ 0x8FFFFFFFh, 2KB 사이즈 = 1 로우 사이즈)가 상기 내부 레지스터(50)에 변경적으로 할당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로우 어드레스(0x7FFFFFFFh ~ 0x8FFFFFFFh)가 인가될 때,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대응되는 특정 워드라인(121)은 디세이블되며, 대신에 상기 내부 레지스터(50)가 인에이블된다. 결국, 시스템적으로는 다이렉트 어드레스 매핑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세맵퍼 영역(51)과 메일박스 영역들(52,53)이 억세스되도록 하는 것이고, 디램 내부적으로는 디세이블된 해당 어드레스로 접근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디램 내부의 레지스터로 매핑을 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칩셋의 메모리 콘트롤러는 이 영역에 대하여 다른 메모리의 셀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멘드를 발생한다. 도 5에서, 상기 세맵퍼 영역(51), 제1 메일 박스 영역(52), 및 제2 메일 박스 영역(53)은 각기 16비트로 할당될 수 있으며, 체크 비트 영역(54)은 4비트로 할당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중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멀티패쓰 억세싱을 보여준다. 도 6을 설명하기 전에 도 7을 먼저 설명한다.
도 7은 도 6중 어드레스 멀티플렉서의 구현 예를 보여주는 세부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보여지는 로우 어드레스 멀티플렉서(71) 또는 컬럼 어드레스 멀티 플렉서(70) 중의 하나를 예로써 보여준다. 결국, 동일한 회로소자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어드레스 멀티플렉서가 구현되고, 이는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로우 어드레스 멀티플렉서 또는 컬럼 어드레스 멀티플렉서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컬럼 어드레스 멀티플렉서(70)는 두 포트들을 통해 두 개의 컬럼 어드레스(A_CADD,B_CADD)를 두 입력단으로 각기 수신하고 상기 패쓰 결정신호(MA,MB)의 논리 상태에 따라 두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 컬럼 어드레스(SCADD)로서 출력하기 위해, 피형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P1-P4,N1-N4)로 이루어진 클럭드 씨모오스 인버터들과, 인버터들(INV1,INV2)로 구성된 인버터 래치(LA1)를 포함한다.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N5)와 노아 게이트(NOR1)는 상기 인버터 래치(LA1)의 입력단과 접지 간에 방전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인버터들(IN1,IN2)은 상기 패쓰 결정신호(MA,MB)의 논리 상태를 각기 반전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채용된다.
도 7에서, 예를 들어, 상기 패쓰 결정신호(MA)가 논리 로우레벨로 인가되면, 제1 포트(60)를 통해 인가되는 컬럼 어드레스(A_CADD)가 피형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P2,N1)로 구성된 인버터를 통해 반전되고 이는 인버터(INV1)에 의해 다시 인버팅되어 선택 컬럼 어드레스(SCADD)로서 출력된다. 한편, 이 경우에 상기 패쓰 결정신호(MB)는 논리 하이레벨로 인가되기 때문에, 제2 포트(61)를 통해 인가될 수 있는 컬럼 어드레스(B_CADD)는 피형 및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P4,N3)로 구성된 인버터가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상기 래치(LA1)의 입력단에 제공되지 못한다. 결국, 제2 포트(61)를 통해 인가될 수 있는 컬럼 어드레스(B_CADD)는 선택 컬럼 어드레스(SCADD)로서 출력되지 못한다. 한편, 도 8에서, 상기 노아 게이트(NOR1)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면 상기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N5)가 턴온되고 상기 래치(LA1)에 래치된 논리 레벨은 로우 레벨로 초기화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멀티 포트 데이터 억세스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6에서 메모리 셀(4)은 도 3의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소속된 메모리 셀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을 중심으로 A포트용 제2 멀티플렉서(40)와 B포트용 제2 멀티플렉서(41)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A 포트용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와 B 포트용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3)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이 보여진다.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내에서, 하나의 억세스 트랜지스터(AT)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로 구성된 상기 디램 셀(4)은 단위 메모리 소자를 형성한다. 상기 디램 셀(4)은 복수의 워드라인과 복수의 비트라인의 교차점에 연결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뱅크 어레이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6에서 보여지는 워드라인(WL)은 상기 디램 셀(4)의 억세스 트랜지스터(AT)의 게이트와 로우 디코더(75)간에 배치된다. 상기 로우 디코더(75)는 로우 어드레스 멀티 플렉서(71)의 선택 로우 어드레스(SADD)에 응답하여 로우 디코딩 신호를 상기 워드라인 및 상기 레지스터(50)로 인가한다. 비트라인 페어를 구성하는 비트라인(BLi)은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AT)의 드레인과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된다. 상보(컴플 리멘터리)비트라인(BLBi)은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된다. 상기 비트라인 페어(BLi,BLBi)에 연결된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P1,P2)과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N1,N2)은 비트라인 센스앰프(5)를 구성한다. 센스앰프 구동용 트랜지스터들(PM1,NM1)은 구동 신호(LAPG,LANG)를 각기 수신하여 상기 비트라인 센스앰프(5)를 구동한다. 상기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들(T1,T2)로 구성된 컬럼 선택 게이트(6)는 컬럼 디코더(74)의 컬럼 디코딩 신호를 전달하는 컬럼 선택 라인(CSL)에 연결된다. 상기 컬럼 디코더(74)는 컬럼 어드레스 멀티 플렉서(70)의 선택 컬럼 어드레스(SCADD)에 응답하여 컬럼 디코딩 신호를 상기 컬럼 선택라인 및 상기 레지스터(50)로 인가한다.
도 6에서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는 제1 멀티 플렉서(7)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7:F-MUX))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T10,T11)이 로컬 입출력 라인 제어신호(LIOC)에 의해 턴온될 때,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는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리드 동작 모드에서는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에 나타나는 데이터가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로 전달된다. 한편, 반대로 데이터의 라이트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에 인가된 라이트 데이터가 상기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로컬 입출력 라인 제어신호(LIOC)는 상기 로우 디코더(75)에서 출력되는 디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콘트롤 유닛(30)으로부터 출력되는 패쓰 결정신호(MA)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에,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으로 전달된 리드 데이터는 상기 제2 멀티플렉서(40)를 통해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로 전달된다. 입출력 센스앰프(22)는, 지금까지의 데이터 경로를 통해 전달됨에 따라 레벨이 미약해진 데이터를 재차로 증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입출력 센스앰프(22)로부터 출력된 리드 데이터는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를 통해 제1 포트(60)로 전달된다. 한편, 이 경우에 패쓰 결정신호(MB)는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상기 제2 멀티플렉서(41)는 디세이블된다. 따라서,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에 대한 제2 프로세서(200)의 억세스 동작은 차단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제2 프로세서(200)는 제2포트(61)를 통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이외의 전용 메모리 영역들(12,13)을 억세스 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유닛(30)으로부터 출력되는 패쓰 결정신호(MA)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 제1 포트(60)를 통해 인가되는 라이트 데이터는 멀티플렉서 및 드라이버(26),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22), 및 상기 제2 멀티플렉서(40)를 차례로 거쳐서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로 전달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7:F-MUX))가 활성화되면 상기 라이트 데이터는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로 전달되어, 선택된 메모리 셀(4)에 저장된다.
도 6에서 보여지는 출력 버퍼 및 드라이버(60-1)와 입력 버퍼(60-2)는 도 2의 제1 포트(60)에 대응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센스앰프 및 드라이버가 2개(22,23)로 배치되며, 상기 제2 멀티 플렉서(40,41)는, 2개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서로 상보적 동작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은, 억세스 동작시에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와 메모리 셀(4)간에 존재하는 회로 소자들 및 라인들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각 포트에서 상기 제2 멀티플렉서(40,41)까지의 입출력 관련 회로 소자들 및 라인들을 독립적으로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11)의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GIO,GIOB)와, 상기 글로벌 입출력 라인 페어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LIO,LIOB)와, 상기 로컬 입출력 라인 페어와는 컬럼 선택신호(CSL)에 의해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비트라인 페어(BL,BLB)와, 상기 비트라인 페어(BL,BLB)에 설치되어 비트라인의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는 비트라인 센스앰프(5)와, 상기 비트라인(BL)에 억세스 트랜지스터(AT)가 연결된 메모리 셀(4)은, 상기 제1,2 포트(60,61)를 통하여, 각기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에 의해 공유됨을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세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의해, 프로세서들(100,200)간의 디램 인터페이싱 기능이 달성된다. 인터페이스 부로서 기능하는 내부 레지스터(50)를 활용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들(100,200)은 공통으로 억세스 가능한 공유 메모리 영역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억세스 권한 이양시 프리차아지 스킵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프로세서(100)에게 디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노말 동작 모드에서 데이터 수수가 가능해진다.
중요하게도, 본 발명에서의 웨이크 업 기능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레지스터(50)내의 메일 박스들(52,53)에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100,200)이 라이트 하는 메시지가 저장된다.
제2 프로세서(200)를 통해 오락이나 전술한 전화통화 내역 체크, 또는 기타 멀티미디어 즐감을 행하고 난, 승객이 비행기에서 내려 플라잇 모드를 해제하였다고 하면,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상기 플라잇 모드 해제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웨이크 업 메시지(원 비트 정보로도 가능)를 도 2의 버스(B2)를 통해 도 5에서 보여지는 제2 메일 박스(53)에 라이트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B2)는 범용입출력(GIPO)라인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로서 기능하는 도 6의 인터럽트 드라이버(65)는 상기 제1 프로세서(100)로 전송되는 제1 인터럽트 신호(/INTa)를 활성화 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 제1 인터럽트 신호(/INTa)는 제1 웨이크 업 신호를 겸용하므로, 도 2의 라인(L1)을 통해 상기 제1 프로세서(100)의 웨이크 업 단자에도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된 상기 웨이크 업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 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인터럽트 신호는 상기 제1 프로세서(100)가 웨이크 업 되기 이전이므로 무효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통신 모뎀의 기능을 회복하여 설정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변복조 함에 의해, 승객은 원하는 무선통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프로세서(200)가 휴면상태에 있는 경우는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슬라이딩 하지 않았거나 폴더를 닫고 있을 때이다. 즉, 사용자가 전화를 받 고 있지도 않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활용하고 있지도 않는 경우이다. 다시 간단히 요약하면 핸드백이나 호주머니에 휴대 전화기를 집어넣은 상태로 있는 경우이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일정 시간 주기로 전화가 걸려오는 지를 반복적으로 체크하는 동작을 행한다. 즉,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느닷없이 통화를 원하는 콜링이 걸려오게 되면,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갑자기 분주해지기 시작한다. 그 중에서 제2 프로세서(200)의 잠을 깨워야 하는 일도 중요한 일 가운데 하나이다. 상기 제1 프로세서(100)는 미리 설정된 웨이크 업 메시지를 도 2의 버스(B1)를 통해 도 5에서 보여지는 제1 메일 박스(52)에 라이트한다. 이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로서 기능하는 도 6의 인터럽트 드라이버(65)는 상기 제2 프로세서(100)로 전송되는 제2 인터럽트 신호(/INTb)를 활성화 시킨다. 상기 제2 인터럽트 신호(/INTb)는 제2 웨이크 업 신호를 겸용하므로, 도 2의 라인(L2)을 통해 상기 제2 프로세서(200)의 웨이크 업 단자에도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된 상기 웨이크 업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 업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 제2 인터럽트 신호는 상기 제2 프로세서(200)가 웨이크 업 되기 이전이므로 무효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프로세서(200)는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회복하여 발신 전화번호를 액정상에 표시하거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타의 설정된 기능을 행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관점에서 웨이크 업 신호 제어 회로 및 웨이크 업 관련 신호라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터럽트 핀을 사용하여 웨이크 업을 겸 용으로 행하므로 심플 소프트 웨어 알고리즘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이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인터럽트 신호로써 구현되므로, 프로세서들 간에 연결되어 있던 웨이크 업 라인들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 라우팅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인터럽트 기능은 물론 웨이크 업 기능이 함께 구현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서에 설계되었던 웨이크 업 관련 회로가 제거되거나 간단해진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들의 개수는 3개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 콘트롤러, 리듀스드 명령 세트 컴퓨터, 콤플렉스 명령 세트 컴퓨터,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들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이해되어져야 한다. 부가하면, 본 발명의 범위는 프로세서들이 동일 또는 다르게 되는 경우에 프로세서들의 어느 특별한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이동통신 디바이스(예 셀룰러 폰), 양방향 라디오 통신 시스템, 단방향 페이저, 양방향 페이저, 개인용 통신 시스템, 또는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코프와 응용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공유 메모리 뱅크 구성, 또는 내부 레지스터 회로의 구성 및 억세스 방법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들의 역할을 바꾸어, 상기 제1 프로세서를 메모리 링크 아키텍쳐에 포함시키고, 제2 프로세서를 통신 모뎀 프로세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와, 휘발성 메모리로서 멀티포트 디램의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여기에 한정됨이 없이 스태이틱 랜덤 억세스 메모리나 PRAM 등과 같은 타의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확장가능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컨벤셔날 기술에 따른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개략적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멀티 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
도 4는 도 3중 콘트롤 유닛의 세부 회로 구성도 및 동작 타이밍도
도 5는 도 3의 메모리 뱅크 들과 내부 레지스터의 구성 및 억세스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3중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멀티패쓰 억세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중 어드레스 멀티플렉서의 구현 예를 보여주는 세부 회로도

Claims (22)

  1. 제1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1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
    제2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 및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의 대응되는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는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특정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대치적으로 억세스 되며,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된 내부 레지스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억세스되며, 낸드 타입의 메모리 셀 구조를 갖는 낸드 타입 플래시 메모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는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각각에 의해 전용으로 억세스 되는 전용 메모리 영역들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스크는 통신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스크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는 상기 내부 레지스터에 할당된 메일 박스 영역의 메시지 라이트에 응답하여 웨이크 업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는 상기 내부 레지스터에 할당된 메일 박스 영역의 메시지 라이트에 응답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는 메모리 뱅크 단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에는 메모리 링크 아키텍쳐를 구성하기 위하여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할 경우에는 제2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메시지가 제2 메일 박스에 저장될 때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 인터럽트 신호가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 단자에 인가되도록 함에 의해, 제1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할 경우에는 제1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메시지가 제1 메일 박스에 저장될 때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 인터럽트 신호가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 단자에 인가되도록 함에 의해, 제2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지스터는 세맵퍼 영역, 메일박스 영역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은 모바일 폰, PMP, PSP, PDA, 또는 휴대용 전화기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15. 제1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1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와 제2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의 사이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공 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의 대응되는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는 웨이크 업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공유 메모리 영역의 특정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대치적으로 억세스 되며,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외부에 위치된 내부 레지스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통신 프로세서이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 동작은,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내부 레지스터의 제2 메일 박스에 메시지를 라이트 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장치의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 동작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내부 레지스터의 제1 메일 박스에 메시지를 라이트 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장치의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1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1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서;
    제2 웨이크 업 단자를 가지며 설정된 제2 타스크를 수행하는 제2 프로세서; 및 상기 제1,2 프로세서들에 의해 각기 다른 포트를 통해 공유적으로 억세스 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에 설정된 메모리 용량단위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1,2 프로세서들 중 하나에 인터럽트 신호를 인가하는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를 가지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웨이크 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의 활성화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1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의 활성화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2 웨이크 업 단자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크 업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스크는 휴대 전화의 통신을 위한 타스크이고, 상기 제2 타스크는 휴대전화의 통신을 제외한 멀티미디어 처리 타스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크 업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은 플라잇 모드에서 해제된 경우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크 업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은 전화가 걸려 오거나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크 업 방법.
KR1020070097643A 2007-09-28 2007-09-28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 KR20090032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643A KR20090032415A (ko) 2007-09-28 2007-09-28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
US12/235,816 US8078838B2 (en) 2007-09-28 2008-09-23 Multiprocessor system having multiport semiconductor memory with processor wake-up function responsive to stored messages in an internal regi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643A KR20090032415A (ko) 2007-09-28 2007-09-28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415A true KR20090032415A (ko) 2009-04-01

Family

ID=4050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643A KR20090032415A (ko) 2007-09-28 2007-09-28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78838B2 (ko)
KR (1) KR200900324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1282B2 (en) 2015-06-09 2017-09-12 SK Hynix Inc.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8744B2 (en) * 2010-05-03 2020-06-09 Wind River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kless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20120216015A1 (en) * 2011-02-22 2012-08-23 Mitra Sumanranjan S System and method to concurrently execute a plurality of object oriented platform independent programs by utilizing memory accessible by both a processor and a co-processor
KR20130021704A (ko) * 2011-08-23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US9760526B1 (en) * 2011-09-30 2017-09-12 EMC IP Holdings Company LLC Multiprocessor messaging system
WO2015121986A1 (ja) * 2014-02-14 2015-08-20 株式会社Murakumo システム、記憶装置および方法
CN105094968B (zh) 2015-07-01 2019-05-2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唤醒mcu的方法及装置
CN113383317B (zh) * 2019-01-31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装置、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2683A (en) * 1987-03-09 1992-08-25 Unisys Corporation Intercomputer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5210828A (en) * 1988-12-29 1993-05-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rocessing system with 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facility
EP0640929A3 (en) * 1993-08-30 1995-11-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via a post MEV.
US5708659A (en) * 1993-10-20 1998-01-13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for hashing in a packet network switching system
US5541862A (en) * 1994-04-28 1996-07-30 Wandel & Goltermann Ate Systems Ltd. Emulator and digital signal analyzer
US5692197A (en) * 1995-03-31 1997-11-25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computer network without sacrificing performance
US5794054A (en) * 1996-07-19 1998-08-1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Flash ROM sharing between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US5848281A (en) * 1996-07-23 1998-12-08 Smalley; Kenneth George Method and apparatus for powder management in a multifunction controller with an embedded microprocessor
US5915088A (en) * 1996-12-05 1999-06-22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Interprocessor messaging system
US5970069A (en) * 1997-04-21 1999-10-19 Lsi Logic Corporation Single chip remote access processor
US6425122B1 (en) * 1997-04-24 2002-07-23 Edwin E. Klingman Single stepping system and method for tightly coupled processors
US6912716B1 (en) * 1999-11-05 2005-06-28 Agere Systems Inc. Maximized data space in shared memory between processors
US6754509B1 (en) * 1999-12-30 2004-06-22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ual micro processor architecture with shared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shared memory
US6976217B1 (en) * 2000-10-13 2005-12-13 Palm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phone and PDA user interface on a single processor
US20020091826A1 (en) * 2000-10-13 2002-07-11 Guillaume Comeau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and peripheral sharing
US6938253B2 (en) * 2001-05-02 2005-08-30 Portalplayer, Inc. Multiprocesso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40098549A1 (en) * 2001-10-04 2004-05-20 Dorst Jeffrey R.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grammable interfaces in memory controllers
US7380085B2 (en) * 2001-11-14 2008-05-27 Intel Corporation Memory adapted to provide dedicated and or shared memory to multiple processors and method therefor
JP4095317B2 (ja) * 2002-03-14 2008-06-04 富士通株式会社 非同期式半導体記憶装置、非同期式半導体記憶装置の内部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AU2003236890A1 (en) 2002-05-28 2003-12-12 Sendo International Limited Dual-processor based system and method of waking up components therein
AU2003281389A1 (en) * 2002-07-03 2004-0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rocessor computer system
JP2004078683A (ja) * 2002-08-20 2004-03-11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共有メモリ制御方法
US6987961B1 (en) * 2004-06-28 2006-01-17 Neomagic Corp. Ethernet emulation using a shared mailbox between two processors in a feature phone
US20060034611A1 (en) * 2004-08-16 2006-02-16 Weidong Li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IrDA enabled handsets by turning on/off an IrDA port dynamically
US7778271B2 (en) * 2005-08-19 2010-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ommunicating instructions and data between a processor and external devices
US7496770B2 (en) * 2005-09-30 2009-02-24 Broadcom Corporation Power-efficient technique for invoking a co-processor
US8407478B2 (en) * 2009-07-07 2013-03-26 Mellanox Technologies Ltd. Control message signature for device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1282B2 (en) 2015-06-09 2017-09-12 SK Hynix Inc.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78838B2 (en) 2011-12-13
US20090089545A1 (en)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417B1 (ko)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적사용을 제공하기 위한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20090033539A (ko) 프로토콜 정의영역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그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과 멀티포트 반도체메모리 장치의 억세스 방법
KR100735612B1 (ko)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25100B1 (ko) 포트간 데이터 전송기능을 갖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메모리 장치
US7596666B2 (en) Multi-path accessi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ort state signaling function
KR20090032415A (ko) 프로세서 웨이크 업 기능을 갖는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그리고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서 웨이크 업 방법
KR20090013342A (ko) 멀티 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에 따른 리프레쉬 방법
KR100725099B1 (ko)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메모리확장구조
CN101114271B (zh) 在处理器之间具有主接口的可多路径访问的半导体存储器
KR20100133649A (ko) 메모리 링크 아키텍쳐에서 파워 오프 시 데이터 로스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KR20090008519A (ko) 공유 레지스터를 갖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에 따른 공유 레지스터 운영방법
KR20090092371A (ko) 래치타입 메모리 셀들로 이루어진 공유 메모리 영역을 갖는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과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구동방법
US8171233B2 (en) Multi 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irect access function in shared structure of nonvolatile memory and multi processor system thereof
KR101430687B1 (ko) 다이렉트 억세스 부팅동작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및그에 따른 다이렉트 억세스 부팅방법
US813198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rocessor reset function and reset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70691A1 (en) Multiprocessor system having multi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nonvolatile memory with shared bus
KR20110013868A (ko) 멀티 코멘드 셋 동작 및 우선처리 동작 기능을 갖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US8886915B2 (en) Multiprocessor system having direct transfer function for program status information in multilink architecture
KR100879463B1 (ko) 억세스 권한 이양 시 프리차아지 스킵을 방지하는 동작을갖는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090216961A1 (en) Multi-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reducing data transfer event and access method therefor
US20090019237A1 (en) Multipath accessi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ontinuous address map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KR100781974B1 (ko) 레지스터 억세스회로를 가지는 멀티패스 억세스블 반도체메모리 장치
KR20080103183A (ko) 부트 램을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에 구비한 멀티 프로세서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프로세서 부팅 방법
KR20080113896A (ko) 공유 메모리 영역에 대한 리얼타임 억세스를 제공하는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