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253A - 상단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 Google Patents

상단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253A
KR20090032253A KR1020070097304A KR20070097304A KR20090032253A KR 20090032253 A KR20090032253 A KR 20090032253A KR 1020070097304 A KR1020070097304 A KR 1020070097304A KR 20070097304 A KR20070097304 A KR 20070097304A KR 20090032253 A KR20090032253 A KR 20090032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roach
capture
sticky
tr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9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2253A/ko
Publication of KR2009003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바퀴벌레의 상부측을 끈끈이에 접착함으로써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단 끈끈이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이 개시된다.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바퀴벌레가 통행하는 통로부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통로부의 상부에서 하면방향으로 노출되어 배치된 끈끈이 및 상기 끈끈이로 상기 바퀴벌레의 상부측이 인접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퀴벌레의 다리가 아닌 상부측이 상기 끈끈이에 접착되어 포획되도록 함으로써, 탈출률을 낮추고,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단, 끈끈이, 바퀴벌레, 트랩, 구동

Description

상단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COCKROACH TRAP HAVING A UPPER LIME}
본 발명은 바퀴벌레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해충이 통행하는 통로부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통로부의 상부에서 하면 방향으로 노출되어 배치된 끈끈이 및 상기 끈끈이로 상기 바퀴벌레를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바퀴벌레의 상부측이 상기 끈끈이에 접착되어 포획됨으로써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생활수준이 점점 향상되면서, 과거 무심코 지나쳤던 해충들은 이제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강한 경계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 또는 공업화로 인해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충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해충을 방제하는 기구나 방법이 무수히 개발되었으나, 개발 단계에서부터 방제하고자 하는 해충의 특성에 따라 설계된 방제 방법과 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먼저, 방제하고자 하는 해충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방제 기구와 방법의 설계에 응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제에 도움이 될 것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바퀴벌레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보행해충을 총칭하는 개념이며, 대표적으로 바퀴벌레의 습성에 대해 먼저 상술하고 이에 따른 방제 기구의 설계 및 활용에 도입하고자 한다.
바퀴벌레는 3억 5천만 년 전(고생대 석탄기)에 지구상에 나타난 후 현재까지 환경에 적응하면서 많은 종(種)으로 분화(分化)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4천 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30여 종이 인가(人家)에 침입하고, 우리나라에는 7종류가 있는데 그 중 4종이 인가에 침입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퀴벌레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독일바퀴, 미국바퀴(이질바퀴), 먹바퀴, 일본바퀴(집바퀴)가 있다. 여기서, 상기 미국바퀴의 크기가 대략 4센티미터로 가장 크고, 독일 바퀴가 1 ~ 1.5센티미터로 가장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습성을 알려진 대로 살펴보면, 우선,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는 독일 바퀴는 고온, 건조한 환경을 좋아하여 집과 건물 등에 서식하고, 물을 구하기 쉬운 곳에 서식하며, 가장 많은 개체수를 가지고 있고, 국내 바퀴벌레의 80퍼센트 이상의 분포율을 보이며 날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미국바퀴는 고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날 수는 있으나, 거의 날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남부에서는 건물 밖 또는 하수도에 서식하기도 하나 대부분 건물 내부 특히 정화조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일본바퀴는 저온, 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반가주성으로 집이나 정원에 서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크기는 3센티미터 정도며, 상대적으로 저온지방에 서식하여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서식한다.
먹바퀴는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여 대전 이남 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퀴벌레의 일반적인 습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퀴벌레는 야행성 해충이며 보통 장판 밑, 싱크대, 냉장고 뒤, 정수기 속 등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있으며, 특히 틈새를 좋아한다. 즉, 바퀴벌레는 빛에 대해 회피 습성을 가지는 음성주광성을 지닌다.
또한, 바퀴벌레는 잡식성으로 종이, 가죽, 전선, 머리카락, 가래침, 굳은 피, 오물 또는 동물의 시체 등도 먹으며 사람이 먹는 음식을 오가면서 먹기 때문에 병균과 병을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번식력이 좋아 1년에 10만 마리까지 증식할 수 있으며, 자체의 소화효소가 부족하여 동료나 타 동물의 배설물을 통해 소화효소를 섭취하기 위해 배설물을 먹는 식분증(食糞症) 벌레이다.
또한, 본래 열대 지방의 곤충이므로 따뜻한 곳을 좋아한다.
그리고, 상기 바퀴벌레의 거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바퀴벌레는 이동 중에 벽과 벽, 벽과 바닥면 또는 벽과 천정 사이, 즉 코너를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거동은 바닥면이나 그와 유사한 면에 하나의 더듬이 또는 수염을 접촉하고, 다른 하나의 더듬이 또는 수염은 벽면 또는 수직의 표면에 접촉하고자 하는 상기 바퀴벌레의 본능 때문에 명백히 나타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퀴벌레는 진행 중에 상기 벽을 만나면, 뒤돌아가거나 코너를 따라 이동한다.
다음, 벽돌이나 목재가 배열된 열에 따라 형성된 홈은 상기 바퀴벌레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다음, 상기 바퀴벌레는 케이블, 전화선, 물 호스(water hoses), 파이프, 또는 연장된 원형 단면을 구비한 부재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구조물 내부를 종단하거나 또는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를 가장 빠르게 이동하는 통로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다음, 상기 바퀴벌레는 새로운 장소 또는 환경에 노출되면, 먼저 은신처가 될 장소를 물색하고, 상기 장소를 찾은 후에 먹이를 찾는다. 여기서, 상기 은신처는 공기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적고, 빛으로부터 차단되며, 먹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곳이다.
다음, 상기 바퀴벌레는 수직 벽을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상기 은신처나 먹이를 찾기 위하여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다음, 음식물이나 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반입된 상자 또는 그와 유사한 물품에 포함되어 건물 안으로 들어온 상기 바퀴벌레는 벽을 타고 오르고, 벽 또는 선반과 같은 물품의 다리를 타고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유인 수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바퀴벌레를 포획 및 살충하도록 방제 수단을 설계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런 해충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으며, 또한 배설물들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해충이 오염된 환경으로 인하여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해충 제거가 큰 문 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집,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으로 해충을 제거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종래에는 바퀴벌레를 제거하는 기구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대체적으로 일반 가정에서 많이 통용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포획은 상기 바퀴벌레를 살상 또는 감염시키거나 포획하는 것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일반 가정에서 바퀴벌레를 제거하기 위해 사람들은 약에 음식물을 섞은 접시 혹은 밀봉된 박스에 넣어 바퀴벌레들이 많이 모여드는 장소나, 통로 등에 배치하거나, 또는 바퀴벌레 등의 이동 경로상에 바퀴벌레 트랩을 배치하되, 바퀴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제를 배치하기도 한다. 또는 스프레이 등을 바퀴벌레 등의 해충에 직접 분사하거나, 공기 중에 포화시켜 해충이 흡입 또는 몸에 묻혀서 죽이는 방법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에 서술한 방법 중 대체적으로 밀폐된 상자에 끈끈이 또는 살충제를 배치하여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10)은 장착부(11), 끈끈이(12) 및 포획케이스(1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11)는 일반적으로 상기 바퀴벌레 트랩(10)을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부(11)의 설치 면, 즉 후면부에는 벽면에 설치 고정 가능하도록 접착테이프(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포획케이스(13)의 내부에는 보행해충이 접착되어 포획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끈끈이(12)가 구비되며, 상기 끈끈이(12)의 상면에는 상기 보행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제(14)가 배치된다.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10)의 작동을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바퀴벌레 트랩(10)에 구비된 상기 유인제(14)에 의해 유인된 바퀴벌레가 상기 끈끈이(12)에 상기 바퀴벌레의 다리 부위가 접착되어 포획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로,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바퀴벌레의 다리 부위에 상기 끈끈이를 접착시켜 포획하게 구성되어 포획되었던 바퀴가 탈출하여 포획률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상기 끈끈이를 교체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바퀴벌레가 일정 수 이상 포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끈끈이의 일정 영역에 집중되어 포획되고, 이후에는 상기 영역에서는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네 번째로,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은 바퀴벌레의 습성을 고려하여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바퀴벌레의 상부측을 끈끈이에 부착하여 포획함으로써 포획률을 향상시키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끈끈이를 교체하기가 용이한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끈끈이에 바퀴벌레가 포획되는 영역을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는 바퀴벌레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퀴벌레의 습성과 거동 특성을 고려하여 바퀴벌레를 포획하도록 설계되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벌레 트랩은 바퀴벌레가 통행하는 통로부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통로부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면에 배치된 끈끈이 및 상기 통로부를 통행하는 상기 바퀴벌레의 상부측이 상기 끈끈이에 부착되도록 상기 바퀴벌레를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통로부의 하면 또는 상면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어, 상기 끈끈이와 상기 통로부의 하부면까지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일부가 올록 볼록한 형상으로 교번적으로 돌출 형성된 엠 보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끈끈이에 포획되도록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끈끈이는 교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체부재는 상기 포획케이스의 상부측에서 장착 또는 탈거 됨으로써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에 상기 포획접착면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끈끈이는 상기 통로부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로부에는 상기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인제는 먹이 유인제, 물, 바퀴벌레 분변 또는 페로몬제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벌레 트랩은 바퀴벌레가 출입하는 출입부를 형성하는 포획케이스와 상기 포획케이스 내부의 상부에 하부 방향으로 접착면이 노출되어 포획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끈끈이, 상기 끈끈이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자동 감김 모듈, 그리고, 상기 포획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되,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끈끈이로 상기 바퀴벌레의 유도하는 유도유닛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은 포획된 상기 바퀴벌레와 함께 상기 끈끈이를 일 방향으로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도유닛은 상기 출입부로부터 상기 포획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이가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포획부는 상대적으로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은 포획된 바퀴벌레의 개체 수 또는 포획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포획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포획센서는 카메라, 압력센서 또는 질량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포획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개체 수 또는 상기 포획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일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이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의 교체신호를 알리는 알림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림 유닛은 LED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의 감김 회수를 감지하는 감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정보는 상기 포획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개체 수 또는 포획면적 정보,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의 상기 끈끈이 감김 회수, 감김 시간 또는 교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벌레 트랩은 바퀴벌레가 출입하는 출입부를 형성하는 포획케이스, 상기 포획케이스 내부의 상부에 하부 방향으로 접착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된 끈끈이, 상기 포획케이스 내부로 침입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면, 상기 바퀴벌레의 상면이 상기 끈끈이에 부착되도록 상기 포획케이스 내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강제포획유닛을 포함한 다.
이 때, 상기 강제 포획유닛은 상기 끈끈이를 상하로 구동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포획케이스의 바닥면 일부를 상하로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강제포획유닛은 하부에 상기 끈끈이가 제공되는 판 형상의 이동부재와 상기 끈끈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상기 이동부재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선형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니어모터 또는 유압피스톤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회전구동력을 선형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되 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어 결합된 타원형 또는 바타입(BAR TYPE)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렉기어(RACK GEAR) 및 평기어(SPUR GEAR)를 포함하되, 상기 평기어는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렉기어는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는 4절 링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끈끈이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자동 감김 모듈을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은 상기 강제 포획유닛이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끈끈이를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바퀴벌레의 포획을 감지하는 포획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획센서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또는 질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강제포획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포획센서에서 상기 포획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강제포획유닛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또는 포획케이스 내부의 상부면에서 하부 측으로 노출된 끈끈이를 구비하고, 바퀴벌레의 상부측이 상기 끈끈이에 접착되어 포획되도록 함으로써 포획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끈끈이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자동감김모듈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하여, 상기 끈끈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바퀴벌레 트랩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끈끈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강제포획유닛의 구동을 조절하거나, 또는 자동감김모듈의 감김 회수를 조절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골고루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퀴벌레의 습성과 거동 특성을 고려하여 바퀴벌레를 포획하도록 설계되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정보를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퀴벌레 트랩에서 떨어진 원거리에서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특히, 소수의 인원으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감김모듈의 감김 회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끈끈이에 포획된 바퀴벌레를 유인제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1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하우징(100), 끈끈이(200) 및 안내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바퀴벌레가 통행하는 복수개의 통로부(150)를 내부에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통로부(15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하기 용이하도록 완만한 경사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예컨대, 바닥과 상기 통로부(150)의 입구에 인접한 바닥면을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바퀴벌레가 장애물로 인식하지 않도록 바닥면과 동일하게 경사도가 없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끈끈이(200)는 포획접착면(220) 및 교체부재(210)를 포함한다.
상기 포획접착면(220)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구비되며, 상기 통로부(150)의 내부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면 방향으로 노출 배치되고, 상기 교체부재(210)는 상기 포획접착면(2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장착 또는 탈거되어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교체부재(210)는 하부면의 일부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포획접착면(220)은 이에 대응되도록 하부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안내유닛(300)은 상기 통로부(150)의 하면에 배치되되, 통로부(150)의 형상을 형성하는 역할과 상기 통로부(150)로 침입한 상기 바퀴벌레의 상측부를 상기 끈끈이(200)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내유닛(300)은 상기 통로부(150)의 입구부 방향에서 상기 끈끈이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중앙 부위는 상대적으로 하부로 함몰된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의 형상은 올록 볼록한 면이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엠보싱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체부재(210)는 하부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내유닛(300)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끈끈이(200)가 복수 개 배치되어 각각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끈끈이(200)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상기 끈끈이(200)가 상기 통로부(150)에 대응되어 형성되 도록 하였지만,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내유닛(300)의 중심부, 즉, 상기 끈끈이(200)가 배치된 하부면에 상기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800)가 배치된다. 상기 유인제(800)는 먹이 유인제, 물, 바퀴벌레 분변 및 페로몬제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며, 상기 바퀴벌레가 포획된 경우에는 상기 바퀴벌레 자체가 유인제로 작용하도록 상기 끈끈이에 포획된 상태로 일정 기간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유인제(800)에 유인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바퀴벌레 트랩으로 접근한다.
다음, 상기 통로부(150) 방향으로 접근한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안내유닛(300)의 안내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 트랩의 내부로 침입하여, 상기 유인제(800)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때,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안내유닛(30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안내유닛(3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통로부(150)는 상기 바퀴벌레가 출입 가능한 높이로 구비된다.
다음,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안내유닛(300)의 엠보싱 형상을 경유하게 되고, 이 때, 상기 바퀴벌레의 상부측이 상기 끈끈이(200)에 부착되어 포획됨으로써, 상기 바퀴벌레 트랩의 작동이 완료된다.
즉, 상기 통로부(150)의 높이가 입구에 인접한 곳보다, 상기 끈끈이(200)가 배치된 곳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포획접착면(220)에 접착되어 포획된다.
이 후, 포획된 상기 바퀴벌레는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고, 포획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끈끈이(200)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상기 끈끈이와 함께 제거되고, 교체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잔류하게 된다. 포획된 상기 바퀴벌레의 신체는 다른 바퀴벌레에 의해 먹이로 인식되게 되어, 또 다른 유인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상기 바퀴벌레의 상부측을 접착시켜 포획하기 때문에 상기 바퀴벌레의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끈끈이를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을 제작할 수 있고, 장기간 바퀴벌레를 방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끈끈이(200)는 교체가 가능한 구조이면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에 제시된 끈끈이를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끈끈이(201)는 포획접착면(221) 및 교체부재(21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교체부재(221)는 도 2와 유사하며, 상기 포획접착면(221)은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되,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양면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겹으로 겹친 형상으로 상기 교체부재(2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즉, 도 2에서 제시한 상기 끈끈이(200, 도 2 참조)와는 상이하게 상기 포획 접착면(221)에 바퀴벌레가 포획된 경우에는 상기 끈끈이(201)를 상기 바퀴벌레 트랩에서 탈거하여, 상기 포획접착면(221)의 복수 개의 겹 중 최 하면의 겹, 즉, 상기 바퀴벌레가 포획면 겹을 제거하고, 상기 끈끈이(201)를 상기 바퀴벌레 트랩으로 삽입 결합함으로써 방제를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다.
단, 상기 포획접착면(221)의 복수 개의 겹 중 한 겹을 제거한 만큼 상기 포획접착면(221)과 상기 통로부(150, 도 3참조)의 하면까지의 거리가 길이지게 되므로, 상기 끈끈이(201)가 하부 방향으로 상기 한 겹만큼 더 삽입되도록 상기 끈끈이(201)가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110)의 홈부 양측 하부에 걸림턱(225)이 형성된다.
2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Ⅱ-Ⅱ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포획케이스(400), 끈끈이(200), 자동감김모듈(550) 및 유도유닛(350)을 포함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포획케이스(400)는 바퀴벌레가 출입하는 복수의 출입부(160)를 형성한다. 상기 출입부(160)는 상기 바퀴벌레가 선호하는 틈새의 형태로 형성되며, 높이는 1센티미터 이상 2센티미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획 케이스(400)는 길이방향, 즉, 상기 출입부(160)가 형성된 양측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출입부(16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바퀴벌레가 출입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크기에 비해, 상대적은 넓은 구역에 대해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도유닛(350)은 제 1실시예의 안내유닛(300, 도 3참조)과 구조 및 그 역할이 유사하고, 상기 끈끈이(200)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은 상기 끈끈이(200)를 일 방향으로 권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끈끈이(200)는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내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노출된 부분은 포획부(560)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끈끈이(200)에 상기 바퀴벌레가 포획되면,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은 상기 끈끈이(200)와 포획된 상기 바퀴벌레를 함께 권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은 포획센서(450)를 포함한다. 상기 포획센서(450)는 상기 끈끈이(20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끈끈이(200)에 포획되는 바퀴벌레의 개체 수를 감지하도록 압력센서(452) 및 질량센서(451)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바퀴벌레가 상기 포획케이스(400) 내부로 침입한 후, 상기 유도유닛(350)에 의해 상기 포획부(560)로 안내된다.
이 때, 상기 유도유닛(350)에서 상기 포획부(560)까지의 높이는 일반적인 바 퀴벌레의 높이보다 낮도록 1센티미터 이상 2센티미터 이하로 형성된다.
다음, 상기 포획부(560)로 안내된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끈끈이(200)에 부착되고, 상기 포획센서(450)는 상기 바퀴벌레의 포획을 감지한다.
다음, 상기 포획센서(450)에서 감지된 바퀴벌레의 개체수가 기 설정된 일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이 구동되고, 이에 따라, 사용된, 즉, 바퀴벌레가 포획된 상기 끈끈이(200)가 상기 자동감김모듈(550)로 권취되고, 이와 함께 포획된 상기 바퀴벌레도 상기 자동감김모듈(550)로 권취되어 수납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끈끈이(200)는 새로운 포획접착면을 노출하게 되고, 다시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도 7은 도 6의 자동감김모듈을 변형하여 적용한 바퀴벌레트랩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트랩은 포획케이스(400), 끈끈이(200), 포획센서(450), 자동감김모듈(550) 및 유도유닛(370)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유닛(370)은 한 쌍의 가이드부재(371)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71)는 상기 포획케이스(400) 내부의 상면에 배치되되, 구름이 가능한 휠이 일단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상면에 결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에 권취되는 상기 끈끈이(200) 중 상기 가이드부재(371) 사이를 경유하는 부분, 즉, 포획부(560)는 상대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획케이스(400)에 침입한 바퀴벌레의 상부측이 상기 끈끈이에 부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출입부(160) 측의 높이보다, 상기 끈끈이(200)가 상기 포획케이 스(400)의 내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노출된 상기 포획부(560) 측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상기 포획케이스(400) 내부로 침입한 상기 바퀴벌레의 상부측이 상기 끈끈이(200)에 부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면에 상기 가이드부재(371)의 타단은 일정 압력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끈끈이(200)에 상기 바퀴벌레가 포획되어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에 의해 권취되는 경우에 높이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제 2실시예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포획케이스(400), 끈끈이(200), 자동감김모듈(550), 유도유닛(370), 알림유닛(570), 감김센서(551), 통신모듈(560) 및 포획센서(450)를 포함한다. 참고로, 제 1 및 제 2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감김센서(551)는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의 감김 회수를 감지하도록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정전용량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560)은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송신기(transmitter)를 사용하며, 상기 통신모듈(560)은 일반적으로 신호, 즉 음성, 음악, 화상(畵像) 또는 전신부호, 데이터 등을 전기신호로 바꿔 전력을 증폭시켜 공중의 무선전파나 전기 케이블에 전류의 형태로 내보내는 장치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알림유닛(570)은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의 교체신호를 알리도 록 LED로 구비되며, 상기 감김센서(551)에서 감지된 상기 감김 회수가 기 설정된 회수 이상이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간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점멸신호로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의 교체신호를 알리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알림유닛(570)을 LED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신호를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바퀴벌레 트랩을 사용하는 사용자나 관리하는 방제직원에게 단문메시지로 상기 알림 신호를 알리도록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송신기(transmitter)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획센서(450)는 질량센서(451) 및 카메라(453)를 포함한다. 상기 질량센서(451)는 상기 끈끈이(200)에 포획된 바퀴벌레의 질량으로 인해 변화하는 상기 끈끈이(200)의 질량을 근거로 개체수 또는 포획면적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453)는 비전정보를 바탕으로 포획된 바퀴벌레의 개체수 또는 포획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453)는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하부면과 상기 자동감김모듈(510)에 구비되어 포획된 바퀴벌레를 권취하는 부위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하부면에 배치되는 상기 카메라(45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453)를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하부면과 상기 권취하는 부위에 인접한 부위에 함께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면과 상기 권취하는 부위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질량센서(451)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질량센서(451)를 생략하고 상기 카메라(453)를 하나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끈끈이(200)에 포획된 바퀴벌레를 감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형태이든 자유롭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포획센서(450)에서 감지된 포획된 바퀴벌레의 개체수 또는 포획면적과 같은 포획 정보에 따라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900, 도 13 참조)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560)은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포획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개체 수 , 상기 포획면적 정보,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의 상기 끈끈이 감김 회수, 감김 시간 또는 교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560)은 저속 저전력 기반의 지그비(ZigBee), 적외선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전파식별(RFID)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비된다. 다만, 상기 통신모듈(560)은 상대적으로 소형의 상기 바퀴벌레 트랩에 구비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지그비 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벌레 트랩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제직원이 상기 통신모듈(560)에서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미도시)를 구비하거나 또는 원격으로 떨어진 별도의 중앙관제센터(미도시)에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 트랩을 상대적으로 원거리에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상기 바퀴벌레 트랩을 소수의 인원으로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3실시예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포획케이스(400), 끈끈이(200), 감지센서(470) 및 강제포획유닛(700)을 포함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및 제 2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470)는 상기 포획케이스(400) 내부로 침입하는 바퀴벌레를 감지하도록, 정전용량센서, 적외선센서 또는 질량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며,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부(160)에 인접하여 상기 포획케이스(400) 내부 상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센서(470)가 상기 입구부(160)에 인접한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하는 구성이면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강제포획유닛(700)은 구동유닛(730), 이동부재(710) 및 전달부재(720)를 포함한다.
상기 강제포획유닛(700)은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내부 상면 방향에 배치되 고, 상기 이동부재(7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끈끈이(200)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유닛(730)은 유압피스톤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재(720)는 상기 구동유닛(730)에서 제공된 상기 구동유닛(730)의 구동력을 상기 이동부재(710)에게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구동유닛(730)의 유압에 의해 제공된 선형 구동력이 상기 이동부재(71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710)가 상하로 구동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강제포획유닛(700)은 상기 감지센서(470)에서 상기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부재(710)를 하부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끈끈이(200)가 상기 바퀴벌레의 상부측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강제포획유닛(700)은 상기 감지센서(470)에서 상기 바퀴벌레의 침입을 감지하고, 즉시 구동되도록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선택적으로 시간을 조정하여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첫 번째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 1 시간(t0)이 경과한 후에, 두 번째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 2시간(t1)이 경과한 후에 구동되도록 하고, 이와 유사하게 n번째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면, 제 n시간(tn -1)이 경과한 후에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끈끈이(200)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상기 바퀴벌레가 포획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강제포획유닛(700)을 일부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0을 제시한다. 도 10은 도 9의 강제포획유닛을 변형한 변형강제포획유닛과 감지센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강제포획유닛(703)은 복수 개 구비되며, 구동유닛(730), 변형이동부재(711) 및 전달부재(72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상기 변형 강제포획유닛(703)는 도 9에 도시된 강제포획유닛(700, 도 9 참조)과 유사하게 구성되나,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구동유닛(730)이 구비된다.
더불어, 복수 개의 상기 변형 강제포획유닛(703)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감지센서(470)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변형 강제포획유닛(703)이 독립적으로 각각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포획케이스(400) 내부로 침입한 바퀴벌레는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입구로부터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작동되는 상기 변형 강제포획유닛(703)에 포획되지 않는 경우에도, 그 다음 상기 변형 강제포획유닛(703)이 작동되도록 구비되어,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유닛(730)을 유압피스톤으로 구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선형구동력을 제공하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710)가 상하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제 3실시예의 제 1변형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 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포획케이스(400), 끈끈이(200), 감지센서(470) 및 강제포획유닛(701)을 포함한다. 참고로, 제 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강제포획유닛(701)은 이동부재(710), 스프링(740), 구동유닛(735) 및 전달부재(7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740)은 상기 이동부재(710)를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내부 상면에 결합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이동부재(710)가 구동되는 경우에 일정한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상기 구동유닛(735)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달부재(7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원형 또는 바 타입(bar type)으로 형성되며, 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구동유닛(735)의 구동축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에서 상기 전달부재(721)의 타측까지의 거리(r)는 상기 이동부재(710)까지의 거리(d)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즉, 상기 구동유닛(735)으로 구비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전달부재(721)는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에 구비되어 진동모드인 경우에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진동시키도록 하는 편향축모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735)이 일 회전의 구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전달부재(721)도 일 회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710)는 상하로 일회 구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포획케이스(400) 내부로 침입한 바퀴벌레가 감지되면, 이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735)이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전달부재(72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710)가 상하로 구동되어 상기 바퀴벌레의 상측부가 상기 이동부재(710)의 하면에 결합된 상기 끈끈이(200)에 부착되어 포획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유닛(735)이 구동모터로 구비되어, 상기 감지센서(470)에서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에 일 회전 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감지센서(470)에서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에 기 설정된 일정 회전 수만큼 상기 전달부재(721)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부재(710)가 일정 시간 동안 상하로 진동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제 3실시예의 제 2변형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포획케이스(400), 끈끈이(200), 감지센서(470) 및 강제포획유닛(702)을 포함한다. 참고로, 제 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강제포획유닛(702)은 고정부재(741), 이동부재(710), 구동유닛(735) 및 전달부재(72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741)는 제 1변형실시예의 상기 스프링(740, 도 11참조)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735)은 제 1변형실시예와 유사하게 구동모터로 구비된다.
상기 전달부재(725)는 렉기어(727, rack gear) 및 평기어(726, spur gear)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평기어(726)는 상기 구동유닛(735)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렉기어(727)의 상단은 상기 고정부재(741)에 수용되고, 하단에는 상기 이동부재(71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741)는 상기 렉기어(727)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렉기어(727)가 상하로 구동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포획케이스(400) 내부로 침입한 바퀴벌레가 상기 감지센서(470)에서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로 구비되는 상기 구동유닛(735)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달부재(725)는 상기 회전구동력을 선형 구동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이동부재(710)를 하부로 구동시킨다.
이 후,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끈끈이(200)에 포획되면, 상기 구동유닛(735)은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710)는 상부로 구동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부재(725)를 상기 렉기어(727) 및 상기 평기어(726)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4절 링크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선형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제 3실시예의 제 3변형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포획케이스(400), 끈끈 이(200), 감지센서(470), 강제포획유닛(700), 포획센서(450), 제어유닛(900) 및 자동감김모듈(550)을 포함한다. 참고로, 제 3실시예, 제 3실시예의 제 1및 제 2변형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포획케이스(400)는 복수의 출입부(160) 및 통로부(150)를 형성하되, 상기 통로부의 일부 상부면에는 상기 끈끈이(200)가 배치된다.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은 상기 끈끈이(200)를 일 방향으로 권취하도록 구비되며,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은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내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통로부(150)에 배치되며, 상기 끈끈이(200)에 포획된 바퀴벌레와 상기 끈끈이(200)를 함께 상기 출입부(160) 반대 방향으로 권취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출입부(160) 방향에서 침입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끈끈이(200)에 포획되어,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에 의해 권취되면, 노출되지 않았던 새로운 상기 끈끈이(200)가 노출됨으로써, 지속적으로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의 감기는 회수를 상기 포획된 바퀴벌레의 위치가 상기 자동감김모듈(550)로 권취되는 인접한 부위까지 오도록 하는 만큼의 회수로 설정하여, 포획된 바퀴벌레가 또 다른 바퀴벌레에게 유인제로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획센서(450)는 상기 끈끈이(200)의 노출된 접착면에 포획된 바퀴벌레를 감지하도록,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전하결합소자(CCD, charge-coupled device)센서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포획케이스(400) 내부의 하부면 일부는 상기 포획센서(450)의 감지가 왜곡 없이 이루어 지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획센서(450)는 상기 끈끈이(200)의 바퀴벌레 포획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을 아니며, 예를 들면, 포획량, 포획면적 또는 포획된 바퀴벌레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부면이 아닌, 측면 또는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획센서(450)를 카메라로 구비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적외선센서, 질량센서 또는 정전용량센서 중 하나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두 개 이상의 센서들을 조합하여 상기 포획센서(45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900)은 상기 강제포획유닛(700)을 제어하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비되며, 상기 포획센서(450)에서 상기 바퀴벌레의 포획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강제포획유닛(70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자동감김모듈(550)은 상기 강제포획유닛(70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상기 끈끈이(200)를 권취하도록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포획센서(450)에서 기 설정된 일정 수 이상의 바퀴벌레의 포획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끈끈이(200) 및 포획된 바퀴벌레를 일 방향으로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3실시예, 제 3실시예의 제 1, 제 2 및 제 3변형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제포획유닛(700, 701 및 702)을 상기 끈끈이(200)를 상하로 구동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포획케이스(400)의 하부면을 상하로 구동하여, 상기 끈끈이(200)와 상기 하부면의 높이를 변동시켜 바퀴벌레를 포획하도록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끈끈이(200)와 상기 하부면을 동시에 구동하거나, 선택적으로 그 중 하나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하부면은 제 3실시예, 제 3실시예의 제 1, 제 2 및 제 3변형실시예의 상기 강제포획유닛(700, 701 및 702)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및 제 3실시예에서 제시된 끈끈이(200, 201)가 바퀴벌레의 상측부에 부착되도록 상측에만 배치되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측부에 배치된 상기 끈끈이(200, 201)와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과 유사하게 상기 끈끈이(200, 201)가 하측부에도 병행하여 배치됨으로써, 즉, 상기 바퀴벌레의 상측부 뿐만 아니라, 하측부에도 접착되어 포획되도록 함으로써, 포획률을 높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제시된 끈끈이를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Ⅱ-Ⅱ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자동감김모듈을 변형하여 적용한 바퀴벌레트랩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2실시예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강제포획유닛을 변형한 변형강제포획유닛과 감지센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3실시예의 제 1변형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3실시예의 제 2변형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3실시예의 제 3변형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50:통로부
160:출입부 200:끈끈이
210:교체부재 220:포획접착면
300:안내유닛 370:유도유닛
400:포획케이스 450:포획센서
451:질량센서 453:카메라
470:감지센서 550:자동감김모듈
551:감김센서 560:포획부
560:통신모듈 570:알림유닛
700:강제포획유닛 710:이동부재
720:전달부재 730:구동유닛
740:스프링 741:고정부재
800:유인제 900:제어유닛

Claims (30)

  1. 바퀴벌레가 통행하는 통로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통로부의 상면에 인접하여 제공되되, 하면 방향으로 노출 배치된 접착제가 도포된 포획접착면을 구비한 끈끈이; 및
    상기 통로부로 침입한 상기 바퀴벌레의 상측부를 상기 끈끈이에 부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닛;
    을 포함하는 바퀴벌레 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통로부의 하면 또는 상면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어, 상기 끈끈이와 상기 통로부의 하부면까지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은 일부가 올록볼록한 형상으로 교번적으로 돌출 형성된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끈이는 교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체부재는 하부에 상기 포획 접착면을 결합하되, 상기 포획케이스의 상부측에서 장착 또는 탈거 됨으로써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끈이는 상기 통로부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에는 상기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는 먹이 유인제, 물, 바퀴벌레 분변 및 페로몬제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8. 바퀴벌레가 출입하는 출입부를 형성하는 포획케이스;
    상기 포획케이스 내부의 상부에 하부 방향으로 접착면이 노출되어 포획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끈끈이;
    상기 끈끈이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자동 감김 모듈; 및
    상기 포획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되,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끈끈이로 상기 바 퀴벌레의 유도하는 유도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은 포획된 상기 바퀴벌레와 함께 상기 끈끈이를 일 방향으로 권취하도록 하는 바퀴벌레 트랩.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유닛은 상기 출입부로부터 상기 포획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이가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는 상대적으로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은 포획된 바퀴벌레의 개체 수 또는 포획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포획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센서는 카메라, 압력센서 또는 질량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개체 수 또는 상기 포획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일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의 교체신호를 알리는 알림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 유닛은 LED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의 감김 회수를 감지하는 감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벌레 트랩은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포획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개체 수 또는 포획면적 정보,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의 상기 끈끈이 감김 회수, 감김 시간 또는 교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8. 바퀴벌레가 출입하는 출입부를 형성하는 포획케이스;
    상기 포획케이스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접착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된 끈끈이;
    상기 포획케이스 내부로 침입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바퀴벌레의 침입이 감지되면, 상기 바퀴벌레의 상면이 상기 끈끈이에 부착되도록 상기 끈끈이와 상기 포획케이스 하부면까지의 높이를 변형시키는 강제포획유닛;
    을 포함하는 바퀴벌레 트랩.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케이스의 바닥면 일부를 상하로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포획유닛은 상기 끈끈이를 상하로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포획유닛은
    하부에 상기 끈끈이가 제공되는 판 형상의 이동부재;
    상기 끈끈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상기 이동부재에 전달하는 전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선형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니어모터 또는 유압피스톤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로 구비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회전구동력을 선형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되 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어 결합된 타원형 또는 바타입(BAR TYPE)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렉기어(RACK GEAR) 및 평기어(SPUR GEAR)를 포함하되, 상기 평기어는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렉기어는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4절 링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7.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끈끈이를 일 방향으로 권취하는 자동 감김 모듈을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감김 모듈은 상기 강제 포획유닛이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끈끈이를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벌레의 포획을 감지하는 포획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획센서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또는 질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바퀴벌레 트랩.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포획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포획센서에서 상기 포획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강제포획유닛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KR1020070097304A 2007-09-27 2007-09-27 상단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KR20090032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304A KR20090032253A (ko) 2007-09-27 2007-09-27 상단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304A KR20090032253A (ko) 2007-09-27 2007-09-27 상단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253A true KR20090032253A (ko) 2009-04-01

Family

ID=4075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304A KR20090032253A (ko) 2007-09-27 2007-09-27 상단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22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AR20110005A1 (it) * 2011-02-28 2012-08-29 Leonardo Spacone Dispositivo di monitoraggio per insetti, piccoli animali e similari
KR20220081835A (ko) * 2020-12-09 2022-06-1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방제용 트랩장치
CN115191412A (zh) * 2022-08-17 2022-10-18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橘小实蝇预测预报装置
US11937593B1 (en) * 2023-06-01 2024-03-26 Nick Suteerawanit German cockroach glue tra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AR20110005A1 (it) * 2011-02-28 2012-08-29 Leonardo Spacone Dispositivo di monitoraggio per insetti, piccoli animali e similari
KR20220081835A (ko) * 2020-12-09 2022-06-1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방제용 트랩장치
CN115191412A (zh) * 2022-08-17 2022-10-18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橘小实蝇预测预报装置
US11937593B1 (en) * 2023-06-01 2024-03-26 Nick Suteerawanit German cockroach glue tr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1324B1 (en) Method of controlling pests and associated apparatus
US11963523B2 (en) Window fly trap
KR20090032253A (ko) 상단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KR200381866Y1 (ko) 다목적 곤충 포획기
KR100949765B1 (ko)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
KR100871428B1 (ko) 온도 또는 습도의 제어가 가능한 바퀴벌레 트랩
KR101211511B1 (ko) 점착 트랩용 케이스
JP2001045945A (ja) 害虫発生調査装置
JP2009183242A (ja) 蚊の捕獲装置
KR100895485B1 (ko) 감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CN113163743A (zh) 昆虫诱捕器
CN113749067A (zh) 有害生物防治监测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0992860B1 (ko) 확장형 끈끈이 및 이를 포함한 보행해충 트랩
KR100895507B1 (ko) 졸대형 바퀴벌레 트랩
JP2001017053A (ja) フェロモントラップによる飛翔性害虫の計数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50025689A (ko) Uv led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KR20090095083A (ko) 바퀴벌레 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퀴벌레 방제방법
KR102108207B1 (ko) 벌레 유인 포획 장치
JP2000501605A (ja) 電子虫捕り機
KR100831364B1 (ko) 바퀴벌레 트랩
KR101471870B1 (ko) 해충 포획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5360B1 (ko) 바퀴벌레 포획장치
KR100907034B1 (ko) 위치 확인이 용이한 모니터링 트랩
JPH09140310A (ja) 害虫誘引捕獲器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