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984A -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984A
KR20090030984A KR1020070096728A KR20070096728A KR20090030984A KR 20090030984 A KR20090030984 A KR 20090030984A KR 1020070096728 A KR1020070096728 A KR 1020070096728A KR 20070096728 A KR20070096728 A KR 20070096728A KR 20090030984 A KR20090030984 A KR 20090030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screen
display unit
room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혁
김법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0984A/ko
Publication of KR2009003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건물에 배치된 실내기들의 배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물 구조 또는 건물 환경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실내기들의 운전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A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들의 배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 에어컨은 복수 개의 실내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은 각각 룸들에 설치되어 있다. 중앙제어기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의 운전조건들을 설정하며,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의 운전 정보를 모니터링 한다.
그런데, 중앙제어기의 화면에는 단순히 실내기들이 주소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실내기들의 실제 설치 위치를 명확하게 알 수 없어서, 상기 실내기들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기들의 배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기들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구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은 각각 서로 상이한 실내기 주소들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룸들(rooms)을 구획하는 건물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복수 개의 룸들의 정보를 구비하는 제1화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구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2화상 정보들을 생성하고, 상기 실내기 주소들과 상기 복수 개의 룸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화상 정보들과 상기 복수 개의 룸들을 대응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을 구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들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룸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부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건물에 배치된 실내기들의 배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물 구조 또는 건물 환경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실내기들의 운전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115)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115)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 시스템(100)은 공기조화장치(140), 로컬제어장치(110)들 및 원격제어장치(115)를 포함한다. 공기조화장치(140)는 복수 개의 실내기(130)들 및 실외기(120)를 포함하는데, 공기조화장치(14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조화장치(140)는 복수 개의 실내기들 및 복수 개의 실외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실외기들 및 실내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기(130)들은 제1실내기(ID1), 제2실내기(ID2), 제3실내기(ID3),..., 제N실내기(IDn)를 포함한다. 제1실내기(ID1), 제2실내기(ID2), 제3실내기(ID3),..., 제N실내기(IDn)는 각각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실내기(130)라는 용어는 제1실내기(ID1), 제2실내기(ID2), 제3실내기(ID3),..., 제N실내기(IDn) 중 일 실내기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실내기(130)들이라는 용어는 제1실내기(ID1), 제2실내기(ID2), 제3실내기(ID3),..., 제N실내기(IDn)의 전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룸(R)이라는 용어는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 중 일 룸을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룸(R)들이라는 표현은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의 전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제1실내기(ID1), 제2실내기(ID2), 제3실내기(ID3),..., 제N실내기(IDn)에는 각각 실내기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실내기 번호는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지기 때문 에, 원격제어장치(115)는 실내기 번호를 이용하여 실내기(130)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에는 실내기(130)들, 실내기 번호들 및 룸의 명칭들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4실내기(ID4)는 "4"의 실내기 번호를 가지고, 제4룸(R4)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4룸(R4)의 명칭은 "A-4"이다.
실내기(130)들과 실외기(120)는 제1네트워크(161)를 통하여 서로 통신 연결되어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115)와 실외기(120)는 제2네트워크(162)를 통하여 서로 통신 연결되어 있다. 제1네트워크(161) 상에서는 RS-485 통신이 수행되고, 제2네트워크(162) 상에서는 RS-485 통신이 수행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통신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로컬제어장치(C1), 제2로컬제어장치(C2), 제3로컬제어장치(C3), ..., 제N로컬제어장치(Cn)는 각각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에 배치되며, 각각 제1실내기(ID1), 제2실내기(ID2), 제3실내기(ID3),..., 제N실내기(IDn)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여 공기조화장치(140)의 운전을 제어한다. 즉, 로컬제어장치(110)들은 각각 공기조화장치(140)의 복수 개의 운전변수들의 설정을 조작한다. 운전변수들은 설정 실내온도, 설정 풍향, 설정 공조모드, 설정 풍향을 포함한다. 로컬제어장치(110)들은 각각 사용자의 운전 조작을 위한 입력키(미도시)들을 가지며, 사용자는 입력키(미도시)들을 이용하여 공기조화장치(140)의 운전변수의 설정값을 입력한다.
원격제어장치(115)는 제1로컬제어장치(C1) 내지 제N로컬제어장치(Cn)와 독립적으로 공기조화장치(140)를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115)는 제 어부(180), 데이터베이스(160), 입력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운전조작 정보가 입력되며, 복수 개의 입력키(미도시)들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입력키(미도시(들을 이용하여, 공기조화장치(140)의 운전설정들을 입력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부(150)가 터치 패널의 입력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을 구현한다.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에는 운전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부(170)는 LCD 패널의 구조를 가진다. 데이터 베이스(160)는 도 3에 도시된 실내기(130)들, 실내기 번호들 및 룸의 명칭들의 상관관계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60)는 제1화상 정보를 저장하며, 제어부(180)는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제1화상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구현한다. 제1화상 정보는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을 구획하는 건물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제1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형상은 건물의 내부 구조를 모두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룸(R)들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기만 하면 된다. 도 4에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75)에 구현된 제1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건물의 평면도에 대응하는 화상(image)(190)이 도시되어 있다. 룸(R)들의 배치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도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건물이 복층 구조를 가지면, 상기 평면도 화상은 복층 중 일 층의 평면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건물이 단층 구조를 가질 경우에도, 상기 평면도 화상이 건물의 일부 구역에 대응되는 평면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에 구현된 제1정보가, 건물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화상에 대응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화상 정보는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의 정보에 대응하는 제2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의 정보는 룸의 명칭들(A1, A2, ..., A12)을 포함한다. 룸의 명칭들(A1, A2, ..., A12)은 텍스트(192)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95)에 구현되어 있다. 제1화상 정보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95)에서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95)에서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의 배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제1실내기(ID1), 제2실내기(ID2), 제3실내기(ID3),..., 제N실내기(IDn)에 각각 대응하는 제2화상 정보들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실내기 주소들과 룸(R)들의 명칭들에 근거하여, 제2화상 정보들과 룸(R)들을 대응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75)에 제2화상 정보들이 구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75)에 제2화상 정보들은 실내기(130)들의 화상(191)으로 구현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75)에서 제2화상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들은, 각각 대응하는 룸(R)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부합한다. 제어부(180)는 특정 실내기 번호와 룸(R)들의 룸의 명칭들을 비교하고, 상기 특정 실내기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룸의 명칭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룸의 위치에 상기 특정 실내기 번호를 가지는 실내기의 화상을 디 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제1실내기(ID1)의 화상(193)은 제1룸(R1)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실내기(ID2)의 화상(194)은 제2룸(R2)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있을 경우, 제어부(180)는 제2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구현한다. 하지만, 제어부(180)는 제1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95)에 구현한 후, 사용자로부터의 별도의 입력 신호 없이 제2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95)에 구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115)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75)에서 건물 내의 실내기(130)들의 배치 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내기(130)들의 배치 구조를 고려하여 용이하게 실내기(130)들의 운전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15)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15)는 제어부(280), 데이터베이스(260), 입력부(250) 및 UI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한다. UI 디스플레이부(270)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와는 상이하게, GUI(graphical user display) 화면이 구현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에 일반적인 UI 화면이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250)는 사용자의 운전조작 정보가 입력되고, 데이 터베이스(260)는 도 3에 도시된 실내기(130)들, 실내기 번호들 및 룸의 명칭들의 상관관계를 저장한다.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 제1화상 정보를 구현한다. 상기 제1화상 정보는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을 구획하는 건물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제1오브젝트(291)를 포함한다. 도 7에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 구현된 제1오브젝트(291)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오브젝트(291)는 건물의 평면도에 대응하는 화상이다. 제1화상 정보는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의 정보에 대응하는 제2오브젝트(292)들을 더 포함한다. 제2오브젝트(292)들은 룸의 명칭들(A1, A2, ..., A12)에 대응하는 텍스트 형태를 가지며, 제2오브젝트(292)들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화상 정보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서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서 제1룸(R1), 제2룸(R2), 제3룸(R3), ..., 제N룸(Rn)의 배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제2화상정보들을 생성한다.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은 제1실내기(ID1), 제2실내기(ID2), 제3실내기(ID3),..., 제N실내기(IDn)에 각각 대응하는 제2오브젝트(293)들이다. 상기 제3오브젝트(293)들은 아이콘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제어부(280)는 실내기 주소들과 룸(R)들의 명칭들에 근거하여, 상기 아이콘(293)들과 룸(R)들을 대응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 상기 아이콘(293)들이 디스플레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서 상기 아이콘(293)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들은, 각각 대응하는 룸(R)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부합한다. 제어부(280)는 특정 실내기 번호와 룸(R)들의 룸의 명칭들을 비교하고, 상기 특정 실내기 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룸의 명칭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룸의 위치에 상기 특정 실내기 번호를 가지는 실내기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제1실내기(ID1)의 아이콘(294)은 제1룸(R1)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실내기(ID2)의 아이콘(295)은 제2룸(R2)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만일, 도 3에 도시된 상관관계에 오류가 있거나, 실내기(130)들 중 일부를 제거하거나, 일부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서 상기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내기(130)들 중 특정 실내기를 제거하고 싶으면, 상기 특정 실내기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한 후, 상기 특정 실내기의 아이콘을 삭제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서 상기 특정 실내기가 지워진다. 또한, 사용자가 실내기들 중 특정 실내기의 위치를 이동하고 싶으면, 사용자는 상기 특정 실내기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서 상기 특정 실내기의 아이콘을 목표 위치로 드래그한 후, 상기 목표 위치에서 상기 특정 실내기의 아이콘을 드롭하면 된다. 사용자가 특정 실내기를 추가하고 싶을 경우에도, 사용자는 상기 특정 실내기의 아이콘을 생성하고 선택한 후, 상기 생성된 아이콘을 특정 룸으로 드래그하고, 상기 특정 룸에서 드롭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서는 GUI가 구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클릭, 드래그, 더블 클릭, 드롭 등의 다양한 이벤트들을 발행시켜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9에는 도 6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의 일 변형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395)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는 GUI 화면이 구현된다. 도 6의 원격제어장치(215)에서는 제어부(280)가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제1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제1오브젝트(291) 및 제2오브젝트(292)들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 디스플레이한다. 하지만,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375)(377)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도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375)의 타 측에 제1오브젝트(391)들 및 제2오브젝트(392)들을 생성한다. 따라서, 건물의 룸들의 배치 구조가 변경될 경우,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1오브젝트(391)들 및 제2오브젝트(392)들을 생성하여, 룸들의 배치 구조 및 룸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375)에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룸(R)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실내기(130)들에 대응하는 제3오브젝트들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룸(R)들의 배치 위치에 구현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1오브젝트(391)들, 제2오브젝트(392)들 및 제3오브젝트(미도시)들을 원격제어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도 6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495)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는 GUI 화면이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의 원격제어장치(215)에서는 제어부(280)가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제1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제1오브젝트(291) 및 제2오브젝트(292)들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75)에 디스플레이한다. 하지만,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475)의 제1영역(P1)에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실내기(130)들에 대응하는 제3오브젝트(493)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제3오브젝트들은 아이콘들이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475)의 제2영역(P2)에 룸(R)들을 구획하는 건물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제1오브젝트(491) 및, 상기 룸(R)들의 명칭들에 대응하는 제2오브젝트(492)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영역(P1)의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고 룸(R)들이 배치되는 위치까지 드래그한 후, 드롭하여 상기 특정 아이콘의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실내기(130)들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1오브젝트(491)들, 제2오브젝트(492)들 및 제3오브젝트(493)들을 원격제어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실내기들의 배치 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조화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들과 실내기 번호들 및 룸의 명칭들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1화상 정보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1화상 정보 및 제2화상 정보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도 6의 UI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1화상 정보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UI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1화상 정보 및 제2화상 정보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의 일 변형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3오브젝트들 중 일부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200: 공기조화 시스템 115, 215: 원격 제어장치
120: 실외기 130: 실내기
140: 공기조화장치 150, 250: 입력부
160, 260: 데이터 베이스 170: 디스플레이부
175, 275, 375, 475: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270: UI 디스플레이부
C1, C2, C3, ..., Cn: 제1,2,3, ..., 로컬제어장치
ID1, ID2, ID3, ..., IDn: 제1,2,3, ..., 실내기
R1, R2, R3, ..., Rn: 제1,2,3, ..., 실내공간

Claims (14)

  1. 복수 개의 실내기들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구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은 각각 서로 상이한 실내기 주소들이 부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룸들(rooms)을 구획하는 건물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복수 개의 룸들의 정보를 구비하는 제1화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구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2화상 정보들을 생성하고,
    상기 실내기 주소들과 상기 복수 개의 룸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화상 정보들과 상기 복수 개의 룸들을 대응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을 구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서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들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룸이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부합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을 구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현하면, 자동으로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을 구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화상 정보는, 상기 건물의 평면도에 대응되는 화상(image)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룸들의 정보들은 상기 룸들의 명칭들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GUI 화면을 구현하고,
    상기 제1화상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룸들(rooms)을 구획하는 건물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제1오브젝트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오브젝트는, 상기 건물의 평면도에 대응되는 화상인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화상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룸들의 정보에 대응하는 제2오브젝트들을 더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오브젝트들은 각각 텍스트 형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GUI 화면을 구현하고,
    상기 제2화상 정보들은,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3오브젝트들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오브젝트는 아이콘인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오브젝트의 위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이벤트가 발생되어 변경되는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상기 제3오브젝트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드래그한 후, 상기 제2위치에서 드롭하는 것인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KR1020070096728A 2007-09-21 2007-09-21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KR20090030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728A KR20090030984A (ko) 2007-09-21 2007-09-21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728A KR20090030984A (ko) 2007-09-21 2007-09-21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984A true KR20090030984A (ko) 2009-03-25

Family

ID=4069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728A KR20090030984A (ko) 2007-09-21 2007-09-21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09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6531B2 (en) Integration of building automation systems in a logical graphics display without scale and a geographic display with scale
JP3464302B2 (ja) ビル管理装置
EP0678204B1 (en) Multipurpose user interface
EP2713115B1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KR20090000248A (ko) 에어컨의 통합관리 표시 장치 및 방법
WO2015111173A1 (ja) 空調機用コントローラ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0165331A (ja) 集中管理システム
EP205331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90041601A (ko)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KR101381373B1 (ko) 설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설비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10146104A (ja) 設備機器管理装置および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
KR20090030984A (ko) 공기조화장치의 원격제어장치
JP2009134469A (ja)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JP6761760B2 (ja) 空調管理装置
JP5912671B2 (ja) グラフィック画面の生成装置および生成方法
JP4144382B2 (ja) 設備機器の情報管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H08149575A (ja) 多重伝送式負荷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7110878B2 (ja) 空気調和機用コントローラ
JP6435352B2 (ja) 空調管理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6637733B2 (ja) 空調機管理用画面生成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空調管理装置、空調機管理用画面生成方法
JP3513299B2 (ja) 空調管理システム
KR20090041602A (ko) 공기조화기
JP6145520B2 (ja) 空調機管理装置
JP7310005B2 (ja) 設備管理装置および設備管理画面生成方法
KR20090043870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