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018A -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 Google Patents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018A
KR20090030018A KR1020070095292A KR20070095292A KR20090030018A KR 20090030018 A KR20090030018 A KR 20090030018A KR 1020070095292 A KR1020070095292 A KR 1020070095292A KR 20070095292 A KR20070095292 A KR 20070095292A KR 20090030018 A KR20090030018 A KR 20090030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frame
attached
temporar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인학
이상호
김홍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스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스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스틸
Priority to KR102007009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0018A/ko
Publication of KR20090030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69Elements for special technical purposes, e.g. with a sanitar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는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틀(12)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다수의 C형강 또는 ㄷ찬넬로 이루어진 가로부재(14)가 부착되고 상기 틀(12)의 외측에는 지게차로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홈(16)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수배관(23)이 깔린 바닥(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모서리와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조립 설치되며 벽체(30)의 골조를 이루는 스터드(32)와; 상기 스터드(32)의 외측에 부착되어 외벽을 이루는 EPS, 우레탄, 그라스울 등의 샌드위치형 사이딩 패널(34)과; 상기 스터드(32)의 내측에 부착되어 내벽을 이루는 난연 폴리에스테르 패널(36)과; 상기 벽체(30)에 설치되는 출입문(37) 및 창호(38)와; 상기 스터드(32)의 상단에 안치되며 중도리(42)에 의해 복수의 트러스(44)가 일체로 연결된 트러스 조립체(40)와; 상기 트러스 조립체(40)의 상부에 부착되는 지붕 패널(50)과; 상기 트러스 조립체(40)의 하부에 부착되는 천정 패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우스의 내부공간은 침실(a)과 주방(b) 및 욕실(c)이 칸막이 패널(70)로 분할형성되어 있다.
이재민, 임시주거, 온수배관, 단열, 이동, 조립

Description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A temporary dwelling house for suffers from a disaster}
본 발명은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자연재해 또는 인위적인 재해로 인해 집을 잃은 이재민이 새로운 주거지에 정주할 때까지 임시로 거처할 수 있는 임시주거용 하우스를 제공하되, 거주시 느끼게 되는 육체적 정신적인 불편함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퇴거 이후 사용했던 임시주거시설을 해체하여 한 장소에 보관하였다가 타지역에서 이와 같은 재해가 발생했을 때 즉각 재해 장소로 이동하여 조립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해마다 반복되는 태풍과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게릴라성 집중호우 또는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는 인명피해는 물론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를 예로 들면, 2002년 8월 발생한 태풍(루사)으로 인해 유실되거나 전파된 주택은 1,720채, 반파 2,503채, 침수 18,719채 등 모두 22,942채의 주택이 피해를 입었으며 이재민 수는 22,553세대 72,660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2003년 9월 발생 한 태풍(매미)로 인해 주택 6,144채가 피해를 입었으며, 이재민 수는 2,709명에 이르는 등 매년 자연재해로 인한 주택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주택피해로 인해 수많은 이재민이 갈 곳을 정하지 못해 이곳저곳을 떠돌거나, 일시적인 수용시설에 한시적으로 거주할 수밖에 없는 실정에 놓여 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자연재해의 복구를 위해 노력하고는 있지만, 초등 대응태세의 미비, 예산지원의 미비, 행정적인 수습 위주의 복구, 인정(人情)주의적 차원의 지원활동 등 보다 합리적인 제도나 시스템으로의 정비까지는 요원한 실정이다.
특히, 피해주민들의 주거사정과 관련해서는 더욱 열악한 상태인데, 이는 우리나라 농어촌 주택 대부분이 하천변 등 자연재해의 취약한 지역에 자리잡고 있어 피해에 취약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재난관리가 허술함은 물론이거니와 피해주민에 대한 임시주거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재해지역주민들이 주택복구가 완벽하게 이루어져 입주할 때까지 제대로 된 임시 생활공간을 마련해주는 것은 주거권 확보와 생활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 자연재해로 인해 주택이 전파되거나 유실될 경우 이재민들에게는 임시주거대책의 일환으로 컨테이너 형태의 하우스를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재민들에게 지급된 컨테이너 하우스는 '하우스'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준의 주거시설은 아니며, 다만 운송의 편리를 위해 만든 구조물로써 거주자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즉, 컨테이너 하우스는 단열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난방도 전기온돌패널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좋지 않고, 급수위생시설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람이 거주하기에는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내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달랑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 가족 구성원이 실내에서 함께 생활하는데 프라이버시의 유지불가 등 여러가지 불편함이 있었고, 세대별로 가족 구성원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실내면적 및 평면구조가 동일하여 거주가 불편하며, 외관이 창고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제 거주자도 주거시의 쾌적성은 차치하고 창고 같은 외관으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정감을 느끼게 되는 바, 이재민들에게 창고 같은 컨테이너를 지급하고 1∼2개월도 아니고 장기간 주거공간으로 사용하라고 하는 것은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기본권인 인권인 주거의 자유를 도외시한 처사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재해 또는 인위적인 재해로 인해 집을 잃은 이재민이 새로운 주거지에 정주할 때까지 임시로 거처할 수 있는 임시주거용 하우스를 제공하되, 거주시 느끼게 되는 육체적 정신적인 불편함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퇴거 이후 사용했던 임시주거시설을 해체하여 한 장소에 보관하였다가 타 지역에서 이와 같은 재해가 발생했을 때 즉각 재해 장소로 이동하여 조립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일반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데에도 전혀 손색이 없는 외관과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건축이 어려운 지역 등에서 주택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거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컨테이너 하우스에서의 단점이었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벽체와 지붕을 이중 구조로 제작하고, 바닥에 온수배관을 설치하여 쾌적한 난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온수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내부 공간을 침실과 주방 및 욕실로 분할하여 가족 구성원이 실내에서 함께 생활함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해체가능한 조립식으로 제작하되, 각각의 구성부품을 규격화 및 프리패브화 (조립식)하여 신속한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일부 부품의 파손시 파손된 부품만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가족구성원수에 따라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면적을 확장하거나 평면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임시주거시설이지만 본래의 주택에서와 거의 동등한 주거성의 확보 및 제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스는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틀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다수의 C형강 또는 ㄷ찬넬로 이루어진 가로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틀의 외측에는 지게차로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홈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수배관이 깔린 바닥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모서리와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조립 설치되며 벽체의 골조를 이루는 스터드와; 상기 스터드의 외측에 부착되어 외벽을 이루는 EPS(Expanded Poly Styrene), 우레탄 또는 그라스울로 이루어진 샌드위치형 사이딩 패널과; 상기 스터드의 내측에 부착되어 내벽을 이루는 난연 폴리에스테르 패널과;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출입문 및 창호와; 상기 스터드의 상단에 안치되며 중도리에 의해 복수의 트러스가 일체로 연결된 트러스 조립체와; 상기 트러스 조립체의 상부에 부착되는 지붕 패널과; 상기 트러스 조립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천정 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는 욕실과 주방 및 침실이 칸막이 패널로 분할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출입문의 외측에 포치가 형성되되, 이 포치는 상기 베이 스 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포치는 발판 프레임과, 이 발판 프레임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측부 프레임과, 이 측부 프레임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측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외측에 부착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스의 욕실에 접하는 면에는 보일러실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온수배관이 깔린 침실 바닥은 기저로부터 5~20mm두께의 합판, PE필름, 20~100mm 두께의 단열보드, 상면에 온수배관을 위한 끼움홈이 형성된 스티로폼 및 1~3mm두께의 열전도 금속판이 차례대로 적층되며, 최상층은 장판지로 마감되어 일반 주택에서와 동등한 난방효과를 줌으로써 쾌적한 주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욕실의 바닥은 방수성을 갖도록 기저로부터 5~20mm두께의 합판, 20~100mm 두께의 단열보드 및 방수시트가 차례대로 적층되며, 최상층은 타일로 마감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는 자연재해 또는 인위적인 재해로 인해 집을 잃은 이재민이 새로운 주거지에 정주할 때까지 임시로 거처할 수 있는 시설을 제공하되 기존의 컨테이너 하우스에서 느꼈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퇴거 이후에는 사용했던 임시주거시설을 해체하여 한 장소에 보관하였다가 타 지역에서 이와 같은 재해가 발생했을 때 즉각 재해 장소로 이동하여 조립설치할 수 있으므로 해마다 반복되는 재난관리시 문제가 되었던 이재민의 주거안정대책에 만 전을 기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바, 본 실시 예의 하우스는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틀(12)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다수의 C형강으로 이루어진 가로부재(14)가 부착되고 상기 틀(12)의 외측에는 지게차로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홈(16)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수배관(23)이 깔린 바닥(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모서리와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조립 설치되며 벽체(30)의 골조를 이루는 스터드(32)와; 상기 스터드(32)의 외측에 부착되어 외벽을 이루는 EPS(Expanded Poly Styrene)으로 이루어진 샌드위치형 사이딩 패널(34)과; 상기 스터드(32)의 내측에 부착되어 내벽을 이루는 난연 폴리에스테르 패널(36)과; 상기 벽체(30)에 설치되는 출입문(37) 및 창호(38)와; 상기 스터드(32)의 상단에 안치되며 중도리(42)에 의해 복수의 트러스(44)가 일체로 연결된 트러스 조립체(40)와; 상기 트러스 조립체(40)의 상부에 부착되는 지붕 패널(50)과; 상기 트러스 조립체(40)의 하부에 부착되는 천정 패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우스의 내부공간은 침실(a)과 주방(b) 및 욕실(c)이 칸막이 패널(70)로 분할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규격은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3m*6m*2.8m이고, 천정 높이는 바닥에서부터 2.2m의 단층 원룸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우스의 전면 우측에 출입문(37)과 포치(80)가 형성되고, 우측면에 보일러실(90)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스의 전면과 후면에 채광과 통풍을 위한 창호(38)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은 대략 6 : 2 : 2의 비율로 침실(a)과 주방(b) 및 욕실(c)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주방(b)과 욕실(c)에도 통풍과 채광을 위한 소형 창호(38)가 형성되어 있다.
지붕은 전면과 후면 쪽으로 내림마루식의 맞배지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붕 패널(50)의 처마 끝선은 벽체(30)로부터 50cm정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지붕 마감은 미관과 방수 및 흡음기능을 위해 아스팔트 슁글형 강판(54)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출입문(37)의 외측에는 포치(porch; 80)가 형성되되, 이 포치(8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하우스 본체를 먼저 조립한 이후 나중에 설치하며, 이 포치(80)는 출입문(37)을 통해 하우스 내부로의 출입시 비와 바람이 내부로 들이치는 등의 영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출입시 신발을 신고 벗거나 우산을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완충공간 즉, 일종의 현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포치(80)는 발판 프레임(82)과, 이 발판 프레임(82)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측부 프레임(84)과, 이 측부 프레임(84)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상부 프레임(86)과, 상기 측부 프레임(84)과 상부 프레임(86)의 외측에 부착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 FRP 시트(88)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일러실(90)은 바닥 프레임(92), 벽체 패널(94) 및 지붕 패널(9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온수배관이 깔린 바닥(20)은 도 7의 확대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저로부터 5~20mm두께의 합판(21), PE필름(22), 20~100mm 두께의 단열보드(23), 상면에 온수배관(24)을 위한 끼움홈이 형성된 스티로폼(25) 및 1~3mm두께의 열전도 금속판(26)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최상층은 통상의 장판지(27)로 마감된다.
또, 욕실(c) 바닥(20')은 방수를 위하여 도 8의 확대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수성을 갖도록 기저로부터 5~20mm두께의 합판(21), 20~100mm 두께의 단열보드(23) 및 방수시트(28)가 차례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최상층은 타일(29)로 마감된다.
욕실(c) 내부에는 양변기(d)와 세면대(e)가 설치되며, 주방(b)에는 싱크보울(f)과 가스 또는 전기 렌지(g) 및 선반(h)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침실(a)과 주방(b) 및 욕실(c)은 통상의 칸막이 패널에 의해 각각 분할되어 있으며, 침실(a)과 주방(b) 사이에는 세미오픈형의 자바라식 주름문(72)이 부착되어 문의 개폐에 따른 데드 존(dead zone)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벽체(30)는 스터드(32)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 EPS(Expanded Poly Styrene)나 우레탄 또는 그라스울로 이루어진 샌드위치형 사이딩 패널(34)이 부착되고 내측에는 난연 폴리에스테르 패널(36)이 부착된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단열성이 우수하고, 각 패널은 부품의 규격을 표준화 및 키트화 하여 부품별로 고유번호를 표기하고 이를 조립순서에 입각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파손시에는 파손된 부분에 해당하는 부품만을 새것으로 교체시공 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5는 코너 커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터드(32)의 하단은 도면상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L자형 또는 U자형 브라켓이나 채널 등의 보조부재와 통상의 볼트 및 너트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베이스 프레임(10)에 부착하며, 이 스터드(32)의 내외측에는 통상의 패널고정용 나사 등으로 외벽 패널 및 내벽 패널을 부착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지붕을 이루는 트러스 조립체(40)는 공장에서 각각 부 재를 재단 용접하여 각각의 트러스(44)를 만든 후 현장에서 중도리(44)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일체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의 설치가 용이하고, 이 트러스 조립체(50)의 상,하부에 각각 지붕 패널(50)과 천정 패널(60)이 부착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단열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낸낭방성능을 갖는 경제적이면서도 쾌적한 임시주거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2는 용마루이다.
상기한 실시 예에 의한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는 본 출원인이 시험한 바에 의하면 3인이 1조가 되어 시공할 경우 3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는 숙련도에 따라서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시공순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시공순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설치장소의 지면 기초를 평탄화하고 다지는 단계(S1), 지면 위에 기초콘크리트(15~20cm 정도)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S2), 양생된 기초 위에 베이스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S3), 베이스 프레임 위에 스터드를 세우고 그 외측과 내측에 외벽 패널(34) 및 내벽 패널(36)을 부착하여 벽체를 설치하는 단계(S4), 벽체() 위에 트러스 조립체 및 지붕패널을 설치하는 단계(S5), 바닥 및 난방공사 단계(S6), 급수·위생공사 단계(S7), 내부 칸막이 설치단계(S8), 문 및 창호설치 단계(S9), 지붕 아스팔트 슁글형 패널과 포치 및 보일러실을 설치하는 단계(S10) 및 전기공사(S11)를 거치면 작업이 완료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평단면도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임시주거용 하우스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 1실시 예의 하우스를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추가로 면적이 확장된 타입으로 가족 수가 3인 이상인 경우에 개별공간인 침실을 2개(a1,a2)로 분리하고 공동 공간인 거실(i)을 마련하거나(도 10에 도시된 제 2실시 예), 별도의 거실 없이 큰 방(a) 1개와 거실(i) 1개로 분리(도 11에 도시된 제 3실시 예)한 것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확장형 하우스는 3인 이상의 가족이 거주하더라도 큰 불편 없이 지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외형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 - C선 단면도,
도 7은 침실 바닥의 확대단면도,
도 8은 욕실 바닥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시공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임시주거용 하우스의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프레임
20 : 바닥
30 : 벽체
40 : 트러스 조립체
50 : 지붕 패널
60 : 천정 패널
70 : 칸막이 패널
80 : 포치
90 : 보일러실
a : 욕실
b : 주방
c : 침실

Claims (7)

  1. 이재민이 임시로 거주하기 위한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는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틀(12)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다수의 C형강 또는 ㄷ찬넬로 이루어진 가로부재(14)가 부착되고 상기 틀(12)의 외측에는 지게차로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홈(16)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수배관(23)이 깔린 바닥(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모서리와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조립 설치되며 벽체(30)의 골조를 이루는 스터드(32)와;
    상기 스터드(32)의 외측에 부착되어 외벽을 이루는 샌드위치형 사이딩 패널(34)과;
    상기 스터드(32)의 내측에 부착되어 내벽을 이루는 난연 폴리에스테르 패널(36)과;
    상기 벽체(30)에 설치되는 출입문(37) 및 창호(38)와;
    상기 스터드(32)의 상단에 안치되며 중도리(42)에 의해 복수의 트러스(44)가 일체로 연결된 트러스 조립체(40)와;
    상기 트러스 조립체(40)의 상부에 부착되는 지붕 패널(50)과;
    상기 트러스 조립체(40)의 하부에 부착되는 천정 패널(6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침실(a)과 주방(b) 및 욕실(c)이 칸막이 패널(70)로 분할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37)의 외측에는 포치(80)가 형성되되, 이 포치(8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치(80)는 발판 프레임(82)과, 이 발판 프레임(82)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측부 프레임(84)과, 이 측부 프레임(84)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상부 프레임(86)과, 상기 측부 프레임(84)과 상부 프레임(86)의 외측에 부착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FRP 시트(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욕실(c)에 접하는 면에는 보일러실(90)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관(23)이 깔린 바닥(20)은 기저로부터 5~20mm두께의 합판(21), PE필름(22), 20~100mm 두께의 단열보드(23), 상면에 온수배관(24)을 위한 끼움홈이 형성된 스티로폼(25) 및 1~3mm두께의 열전도 금속판(26)이 차례대로 적층되며, 최상층은 장판지(27)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욕실(c)은 그 바닥(20')이 기저로부터 방수성을 갖도록 기저로부터 5~20mm두께의 합판(21), 20~100mm 두께의 단열보드(23) 및 방수시트(28)가 차례대로 적층되며, 최상층은 타일(29)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하우스에 있어서,
    3인 이상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스의 후면에 침실이 1개 이상인 별도의 하우스를 맞대어 부착하여 하우스의 전체 면적을 확장하고, 상기 침실(a)을 공동 공간인 거실(i)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KR1020070095292A 2007-09-19 2007-09-19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KR20090030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292A KR20090030018A (ko) 2007-09-19 2007-09-19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292A KR20090030018A (ko) 2007-09-19 2007-09-19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018A true KR20090030018A (ko) 2009-03-24

Family

ID=4069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292A KR20090030018A (ko) 2007-09-19 2007-09-19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00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18B1 (ko) * 2013-06-24 2014-05-3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한옥 및 그 건축방법
KR101483446B1 (ko) * 2014-04-04 2015-01-16 진우건철(주)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컨테이너 하우스
CN106382042A (zh) * 2016-11-15 2017-02-08 天津滨海新区津大建筑规划有限责任公司 可折叠开合的抗震临时建筑
JP2018017039A (ja) * 2016-07-28 2018-02-01 株式会社Lixil 屋外構造ユニット
KR20220001854U (ko) * 2021-01-20 2022-07-27 나성호 진료 부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18B1 (ko) * 2013-06-24 2014-05-3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한옥 및 그 건축방법
KR101483446B1 (ko) * 2014-04-04 2015-01-16 진우건철(주)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컨테이너 하우스
JP2018017039A (ja) * 2016-07-28 2018-02-01 株式会社Lixil 屋外構造ユニット
CN106382042A (zh) * 2016-11-15 2017-02-08 天津滨海新区津大建筑规划有限责任公司 可折叠开合的抗震临时建筑
KR20220001854U (ko) * 2021-01-20 2022-07-27 나성호 진료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8344B2 (en) Foldable building structures with utility channels and laminate enclosures
AU2013100359B4 (en) Modular Building
US20210270030A1 (en) Cementitious composite shelter
KR20090030018A (ko) 이재민 임시주거용 하우스
EP2181225A1 (en) Bui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modules
WO2016156778A1 (en) Modular building
Kibert et al. Advanced topics in manufactured construction
AU2015230780B2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s
WO2011137478A1 (en) Elongate building panel improvement
WO2008001408A2 (en) Prefabricated and transportable building
Shroff et al. Pre-Fabricated Architecture For Urban Adaptability: Factory Built Constructions–Sustainable & Flexible Urban Solutions
JP2019199786A (ja) 建物
Pérez Rodríguez Project to refurbish and repurpose commercial premises in Cabrils
JP3014743U (ja) 仮設ハウス
JP6427013B2 (ja) 木造建物及びその外周壁構造
ES1296577U (es) Habitaculo prefabricado para jardines y similares.
Sparrow State of Independence
Illeson Studenthousin Moholt Haugenhuset
Royo Vila Estudi i proposta per a la reducció del cost energètic i les emissions de CO2 a causa dels materials en la construcció d'una residència i centre de dia per a gent gran
AU2012211471A1 (en) Insulated relocatable building
WO2023059206A1 (es) Vivienda sostenible sin estructura hecha con termopanel autosoportante
Coldham REVIVING CHERMAYEFF'S PATIO HOUSE: A DEEP ENERGY RETROFIT AND RENOVATION OF AN ICONIC MID-CENTURY MODERN HOME
JP2014066022A (ja) 建物
GR1010181B (el) Προκατασκευασμενος οικισκος
WO2012013840A1 (es) Construcción modu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