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428A - 연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428A
KR20090028428A KR1020080088949A KR20080088949A KR20090028428A KR 20090028428 A KR20090028428 A KR 20090028428A KR 1020080088949 A KR1020080088949 A KR 1020080088949A KR 20080088949 A KR20080088949 A KR 20080088949A KR 20090028428 A KR20090028428 A KR 2009002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xed
elastic member
pip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111B1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Publication of KR2009002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01D46/003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with collecting, dr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관통되어 있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 장치, 그리고 상기 지지 장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제2 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을 누르고 있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연기 배출 장치, 고정관, 가동관, 지지 장치, 판 스프링

Description

연기 배출 장치{Smoke discharge apparatus}
본 발명은 연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 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를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에서 고기 등을 굽게 되면 연기나 냄새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연기 및 냄새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음식점에는 연기 배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연기 배출 장치는 외부와 통하는 배기 덕트, 배기 덕트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관, 고정관에 연결되어 있는 주름관, 주름관에 연결되어 있는 가동관 및 가동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장치는 고정관 및 주름관의 내측에 위치하는 와이어, 그리고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와이어의 일측은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가동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당기면 주름관이 접히면서 가동관이 위로 움직이고, 와이어를 풀면 주름관이 펴지면서 가동관이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제어부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연기 배출 장치의 경우 고정관, 주름관 및 가동관의 내측에 위 치하는 와이어가 여러 방향으로 꺾여 있어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펴지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와이어가 꼬이는 등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고정관, 주름관 및 가동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기 및 응축된 기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들 내부와 와이어는 주기적으로 세척되어야 하는데, 세척을 위해 연기 배출 장치를 분해하는 작업은 이들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상당히 번거로웠으며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분해 및 조립 작업이 간편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연기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가동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기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는, 상하 관통되어 있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 장치, 그리고 상기 지지 장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제2 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을 누르고 있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몸체, 그리고 상기 안내 몸체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과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몸체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몸체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판 스프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관의 내측 둘레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동관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가동관을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당기는 조작만으로 가동관과 구이판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관을 움직이기 위한 와이어, 제어부 등이 필요 없으므로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며, 나아가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가 고정관의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탄성 부재가 가지는 탄성력은 탄성 부재의 중앙부로 집중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의 중앙부에 고정된 접촉 부재에 부여되는 탄성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관이 탄성 부재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고정관에도 전달된다. 따라서 가동관이 움직일 때마다 가해지는 반복적인 힘에 의해 탄성 부재가 쉽게 영구 변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지지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기 배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기 배출 장치를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연기 배출 장치를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1)는 고정관(20), 지지 장치(30) 및 가동관(50)을 포함한다. 이들 내부는 상하로 뚫려 있으며, 이 공간으로 연기 등이 흐른다. 고정관(20)은 연결관(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연결관(10)은 외부로 통하는 덕트(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고기 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는 가동관(50)으로 흡입되고 이후 지지 장치(30), 고정관(20), 연결관(10) 및 덕트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연결관(1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관(20)은 덕트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고정관(20)의 길이는 천정과 고기 등을 굽는 구이판(70)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된다. 고정관(20)의 아래쪽 끝에는 지지 장치(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 장치(30)의 중앙으로는 가동관(50)이 관통되어 있다. 가동관(50)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가동관(50)과 고정관(20)은 속이비어 있고 상하 관통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이며, 가동관(50)의 직경은 고정관(20)보다 작다. 그러나 아래쪽에 위치한 가동관(50)의 직경이 위쪽에 위치한 고정관(20)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고정관(20)이 아래쪽에 위치하여 기름 받이(60)와연결되고, 가동관(50)이 위쪽에 위치하여 연결관(10)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 장치(30)는 도 1의 것과 비교할 때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관(20)과 결합된다. 즉 도 8의 연기 배출 장치는 도 1의 고정관(20), 지지 장치(30) 및 가동관(50)이 180도 회전된 상태의 구조이다. 이 경우 가동관(50)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관(20) 및 지지 장치(3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가동관(50) 및 고정관(20)은 스테인리스, 아연도금철판, 알루미늄판, 동판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동관(50)은 지지 장치(30)에 의해 고정된다. 가동관(50)의 아래쪽 가장자리 둘레에는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홈(51)은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직 부 분(51a)과 그 끝에서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 부분(51b)을 포함한다. 수평 부분(51b)은 테이퍼져 있다. 가동관(50)의 위쪽 가장자리에는 걸림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52)는 가동관(50)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크다.
가동관(50)의 아래쪽에는 기름 받이(60)가 결합되어 있다. 기름 받이(60)의 내측 둘레에는 돌기(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61)가 홈(51)에 삽입된다. 돌기(61)는 홈(51)의 수직부분(51a)으로 삽입된 후 최종적으로 홈(51)의 수평 부분(51b)에 위치한다. 이로써 기름 받이(60)는 가동관(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기름 받이(60)는 구이판(70) 위에 위치하며 가동관(50)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수거한다. 이로써 기름 등이 구이판(70)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고기 등을 구울 때 기름 받이(60)와 구이판(70)의 거리(d)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다. 예컨대, 고기 등을 구울 때 연기가 많이 발생하므로 기름 받이(60)와 구이판(70)의 거리(d)를 가깝게 하여 연기가 잘 빠지게 하고, 고기 등을 구이판(70)에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동관(50)과 구이판(70)의 거리(d)를 멀리한다. 이 거리(d)는 사용자가 가동관(50)을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당김으로써 조절된다.
가동관(50)을 고정하는 지지 장치(3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5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지지 장치(30)는 안내 몸체(31), 결합부(33), 탄성 부재(36) 및 접촉 부재(37)를 포함한다.
안내 몸체(31)는 속이 비어 있고 상하 관통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1 몸체(31a) 및 제2 몸체(31b)를 포함한다. 제1 몸체(31a)는 제2 몸체(31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몸체(31b)보다 직경이 작다. 제1 몸체(31a)에는 관통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3)는 제2 몸체(31b)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의 연결 부위에는 저장 공간(34)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공간(34)에는 고정관(20) 등에서 떨어진 기름이 수거될 수 있다. 결합부(33)의 내측에는 고정관(20)이 삽입되어 있다. 고정관(20)은, 억지끼움 방식, 볼트 또는 리벳 체결에 의해, 결합부(33)에 고정된다. 그러나 고정관(20)과 결합부(33)의 밀착면에 홈 및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형성하여 고정관(20)과 결합부(33)를 고정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36)는 제1 판 스프링(36a) 및 제2 판 스프링(36b)을 포함한다. 제1 판 스프링(36a) 및 제2 판 스프링(36b)에는 고정 부재(38)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36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판 스프링(36a)과 제2 판 스프링(36b)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판 스프링(36a)은 가로가 긴 상태로 배치되고 제2 판 스프링(36b)은 세로가 긴 상태로 배치된다.
제2 판 스프링(36b)은 고정 부재(38)에 의해 제2 몸체(31b)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38)로는 리벳이나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판 스프링(36b)은 용접에 의해 제2 몸체(31b)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판 스프링(36a)은 제1 몸체(31a)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제1 판 스프링(36a)의 양측 가장자리는 고정관(20)의 내측 둘레에 접촉되어 있다. 즉 제1 판 스프링(36a)은 고정관(2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바, 제1 판 스프링(36a) 전체가 고정관(20) 측으로 쉽게 휘어지지 않는다.
제1 판 스프링(36a)의 일면 중앙부에는 접촉 부재(37)가 고정되어 있다. 접촉 부재(37)는, 제1 판 스프링(36a)의 구멍(361)을 관통한 고정 부재(38)가 그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제1 판 스프링(36a)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38)는 리벳이나 볼트일 수 있고, 볼트인 경우 접촉 부재(37)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접촉 부재(37)는 제1 몸체(31a)의 관통 구멍(32)에 삽입되어 안내 몸체(31)의 내측에 있는 가동관(50)을 누른다. 접촉 부재(37)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36)는 중간 부분(136a) 및 중간 부분(136a)의 양쪽에 꺾여 있는 부분(136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탄성 부재(136)는 판 스프링으로 만들어지며, 고정관(20)의 내측 둘레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136)의 꺾여 있는 부분(136b)은 고정관(20)의 내측 둘레에 접촉하며 용접 따위의 결합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36)의 꺾여 있는 부분(136b)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탄성 부재(136)의 중간 부분(136a) 양쪽 가장자리가 고정관(20)에 결합된다.
탄성 부재(136)에는 접촉 부재(37)가 고정되어 있다. 접촉 부재(37)는 리벳이나 볼트 따위의 고정 부재(38)에 의해 고정된다. 안내 몸체(131)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접촉 부재(37)가 위치하는 안내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32)은 안내 몸체(131)가 고정관(20)에 삽입될 때 접촉 부재(37)의 위치를 안내한다. 접촉 부재(37)는 탄성 부재(136)가 가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내 몸체(131)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동관(50)을 지지한다.
한편, 탄성 부재(136)가 고정관(20)의 내측 둘레에 고정되는 경우 안내 몸체(131)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가동관(50)은 탄성 부재(36)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즉, 가동관(50)의 자중과 그 반대 방향의 마찰력이 평형을 이루어 고정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가동관(50)을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당기면 힘의 평형이 깨져 가동관(50)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힘을 제거하면 가동관(50)은 다시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가동관(50)을 움직일 때 접촉 부재(37) 및 탄성 부재(36)는 고정관(20) 측으로 밀린다(도 5의 이점쇄선 참고). 그러나 탄성 부재(36)의 양쪽 가장자리가 고정관(20)의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탄성 부재(36) 전체는 과도하게 휘어지지 않으며, 그 중앙 부분만이 일부 휘어진다. 가동관(50)을 움직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36)의 복원력에 의해 접촉 부재(37)가 가동관(50)을 가압한다.
한편, 가동관(50)이 계속 아래로 내려오면 가동관(50)의 걸림부(52)가 접촉 부재(37)에 걸리고, 이로써 가동관(50)은 더 이상 내려오지 않는다.
결국, 위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동관(50)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가 고정관의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탄성 부재가 가지는 탄성력은 탄성 부재의 중앙부로 집중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의 중앙부에 고정된 접촉 부재에 부여되는 탄성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고정관이 탄성 부재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 에 가해지는 힘이 고정관에도 전달된다. 따라서 가동관이 움직일 때마다 가해지는 반복적인 힘에 의해 탄성 부재가 쉽게 영구 변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지지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기 배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기 배출 장치를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연기 배출 장치를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지지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로스터 후드 10: 연결관
20: 고정관 30: 지지 장치
31, 131: 안내 몸체 32: 관통 구멍
33: 결합부 34: 저장 공간
36, 136: 탄성 부재 36a, 36b: 판스프링
37: 접촉 부재 38: 고정 부재
50: 가동관 51: 홈
52: 걸림부 60: 기름 받이
61: 돌기 70: 구이판

Claims (6)

  1. 상하 관통되어 있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 장치, 그리고
    상기 지지 장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제2 관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을 누르고 있는 접촉 부재
    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몸체, 그리고
    상기 안내 몸체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과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몸체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부 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연기 배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몸체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제2 부재
    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2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연기 배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판 스프링으로 만들어지는 연기 배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관의 내측 둘레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연기 배출 장치.
KR1020080088949A 2007-09-13 2008-09-09 연기 배출 장치 KR101073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151 2007-09-13
KR20070093151 2007-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428A true KR20090028428A (ko) 2009-03-18
KR101073111B1 KR101073111B1 (ko) 2011-10-12

Family

ID=4069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949A KR101073111B1 (ko) 2007-09-13 2008-09-09 연기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1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930Y1 (ko) * 2001-12-26 2002-03-12 주식회사 엘.지.에이 후드의 배기덕트 구조
KR100747721B1 (ko) * 2006-10-18 2007-08-08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관 높이조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111B1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314B2 (en) Pull-out device
US9839329B2 (en) Frying pan holder
US20110123260A1 (en) Quick-action fastening element
EP2370741B1 (en) An oven comprising a tray carrying support unit
EP1581082A2 (en) Barbecue grill and support frame assembly
WO2004020908A2 (en) Oven rack with slide assembly
KR101073111B1 (ko) 연기 배출 장치
KR200483874Y1 (ko) 슬라이드 방식을 가지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음식점 천장용 후드 커버 및 그 후드 커버가 구비된 후드
CN108800239B (zh) 一种吸油烟机的安装结构及吸油烟机
JP2020031943A (ja) 組立式コンロ
US20080072753A1 (en) Grease filtration unit for kitchen exhaust hoods
KR200415513Y1 (ko) 냄비 손잡이
KR200267930Y1 (ko) 후드의 배기덕트 구조
KR20100036140A (ko) 연기 배출 장치
CN215914213U (zh) 炸篮把手组件
US6363841B1 (en) Roaster oven
KR200427547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관 높이조절구조
JP6613445B2 (ja) レンジフード
CN110754960A (zh) 一种烤制烹饪装置的加热结构
JP3243971U (ja) 良好な油排出効果を有する焼肉用コンロ
CN216907674U (zh) 空气炸锅的光波管固定结构
KR100786791B1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기름받이 장치
CN210697281U (zh) 一种接油盘组件及采用该接油盘组件的烧烤装置
CN116250738A (zh) 烤箱和烤箱灶
DK180793B1 (en) A kitchen installation for use in exhausting kitchen fumes and a structure and building comprising said kitchen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