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681A -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681A
KR20090024681A KR1020087028812A KR20087028812A KR20090024681A KR 20090024681 A KR20090024681 A KR 20090024681A KR 1020087028812 A KR1020087028812 A KR 1020087028812A KR 20087028812 A KR20087028812 A KR 20087028812A KR 20090024681 A KR20090024681 A KR 2009002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adjustment feature
charging
base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니크 샤테르지
다니엘 지. 오'네일
다니엘 엘. 오델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2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이 제시된다. 이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은 기본 조정 특징부와 충전 연결부를 갖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조정 특징부와 충전 연결부는 베이스의 표면에서 돌출하고 충전 연결부는 입력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은 베이스 상에 수평 배치를 위해 구성된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는 베이스의 기본 조정 특징부 및 충전 연결부와 대응하도록 구성된 기본 조정 특징부 및 충전 연결부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는 수평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베이스 상에 놓일 수 있고 양 조정 특징부들이 연결되는 충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마우스, 충전 시스템, 입력 장치, 충전 연결부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INPUT DEVICE CHARGING SYSTEM}
컴퓨팅 부문에서 이동성과 자유로운 움직임에 대한 요청이 증가함에 따라, BLUETOOTH와 같은 전송 프로토콜, 다양한 IEEE 802.11 표준, 다양한 사유(proprietary) 프로토콜, 및 HomeRF를 포함한 다양한 무선 기술이 발전하였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주변기기들이 유선 장치에 의해 생기는 많은 장애를 경감시키는 무선 능력을 달성할 수 있게 하였다. 무선 입력 장치는 종종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과 네비게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무선 입력 장치의 사용은 컴퓨팅의 많은 면에서 상당히 증가하였다. 전원으로서의 배터리에 대한 무선 장치 의존성 때문에, 시스템은 이러한 무선 장치를 재충전하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재충전 시스템은 흔히 입력 장치가 충전을 위해 배치되는 재충전 도크(dock)를 포함한다. 이 도크는 입력 장치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를 포함한다. 많은 입력 장치 도크는 한 방향 또는 한 위치로부터 입력 장치의 도크로의 삽입만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마우스가 도크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충전 도크가 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도크에 배치하기 전에 사용중인 수평 위치에서 수직 충전 위치로 옮기는 추가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마우스의 하우징(housing)이 어느 특정 접속 방향으로 도크에 꼭 맞춰지도록 수평으로 삽입 되어야 하는 충전 도크가 있다. 이 마우스는 충전이 일어나도록 정확히 적절한 위치와 방향으로 도크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 마우스는 일단 도크와 접촉하여 설치되면 조정될 수 없다. 이러한 시스템은 흔히 조정하기 불편하고 어려워서 충전이 일어나도록 정확한 맞춤이나 방향을 필요로 한다.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은 입력 장치를 수평 위치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체적으로 평평한 베이스(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평면 베이스는 그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한 기본 조정 특징부 및 충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조정 특징부는 입력 장치에 대해 초기 조정을 제공할 수 있고 기본 조정 특징부에 대한 입력 장치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연결부는 입력 장치와의 전기적 충전 연결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은 또한 평면 베이스 상에 수평 설치를 위해 구성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는 일반적으로 마우스이지만, 충전을 필요로 하는 다른 장치가 충전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베이스의 기본 조정 특징부 및 충전 연결부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기본 조정 특징부 및 충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의 충전 특징부는 베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는 전체적으로 수평 위치로 베이스 상의 배치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 입력 장치는 베이스의 기본 조정 특징부를 이용하여 베이스와 초기 접촉하여 베이스의 기본 조정 특징부와 접촉상태에 있을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수평 평면에 임의의 방향으로 베이스 상에 놓일 수 있다. 입력 장치는 기본 조정 특징부와 충전 연결부가 베이스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특징부들과 접촉 상태에 있는 충전 위치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요약은 본 발명의 개념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고 이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요약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이나 본질적인 특징을 확인하기 위함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예시적이며 첨부 도면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의 충전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의 충전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4A-4C는 조정 특징부 접속 연결부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자석이 입력 장치의 위치의 조정 및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의 충전 베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의 충전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의 충전 베이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마우스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마우스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마우스를 충전 베이스 상에 배치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다.
입력 장치 충전 도크(100)를 위한 일 구성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은 충전 모드에서 입력 장치(200)에 연결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충전 도크(dock)(100)를 도시한다. 충전 도크(100)는 베이스(102)를 포함하고 케이블(101)을 통해 전원에 연결된다. 케이블(101)의 종단에는 전기 플러그가 있을 수 있고 이것은 전기 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는 종류이다. 이와 달리, 케이블(101)의 종단에는 USB, PS/2 또는 Firewire 연결부가 있을 수 있고 호환가능한 포트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다음 설명은 입력 장치를 마우스(200)로서 기술하지만, 키보드, 착용가능한 장치, 자이로스코프 포인팅 장치, 리모트 포인팅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과 같은 다른 종류의 재충전 입력 장치가 이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재충전 시스템에 안정성과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로 충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입력 장치 충전 도크(100)를 도시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도크(100)는 입력 장치를 수평 위치에서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체적으로 평평한 베이스(102)를 포함한다. 이 구성은 충전 도크(100)에 입력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수평 위치의 경우, 장치의 재충전을 위해 입력 장치를 별도로 수직으로 재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단지 마우스를 충전 도 크(100) 상에 사용 위치인 수평으로 배치함으로써 마우스는 사용중인 상태에서 재충전 상태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에서, 베이스(102)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이지만, 베이스(102)에 대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임의의 적당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102)는 장치(200)가 수평으로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
베이스(102)는 상면(104) 및 저면(106)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베이스(102)의 상면(104)은 일반적으로 평평하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 구성예에서, 상면(104)은 일반적으로 평평하고 2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상면(104)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수형(male type) 조정 특징부일 수 있다. 이하에 상술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2)의 상면(104)에 형성된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마우스의 저면에 위치한 리세스(recess)를 갖는 대응하는 암형(female type) 기본 조정 특징부와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충전 동안 입력 장치의 위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암형 조정 특징부는 베이스(102)에 위치할 수 있는 반면, 수형 특징부는 장치에 형성된다.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베이스(102)의 상면(104)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정 특징부는 베이스(102)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일 구성예에서,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입력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102)의 중심에 위치한다. 다른 예에 서,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베이스(102)의 전단(114)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베이스(102) 상의 정점(apex)일 수 있다. 이것은 베이스(102) 상에 마우스(200)의 초기 위치잡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마우스나 입력 장치의 대응 암부와 접속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성예에서, 기본 조정 특징부(108) (도 6에서 208)는 원점 또는 축에 대해 대칭이고 그 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 조정 특징부는 반구형, 원추형, 원뿔대, 실린더형 등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특정 예에서,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베이스(102)의 상면(104)에서 돌출한 반구형 돌출부일 수 있다. 대응하는 암형 기본 조정 특징부는 마우스(200)의 저면에 있는 반구형 오목부 (도 6에서 208)일 수 있다. 도 4B는 기본 조정 특징부(108)가 원추형인 다른 예를 도시한다.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상면(104)으로부터 돌출하는 원추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반면, 암형 기본 조정 특징부(208)는 마우스(200)에 위치한 리세스이다. 도 4C에 도시된 또다른 예에서, 기본 조정 특징부는 원뿔대이다.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베이스(102)의 상면(104)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원추형인 돌출부를 포함한다. 원추의 상부는 조정과 안정성에 도움되도록 끝이 잘려져 있다. 조정 특징부(208)의 접속부는 마우스(200)의 저면에 있는 대응하는 원뿔대 리세스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구성예에서, 기본 조정 특징부는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 조정 특징부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마우스에 안정성과 조정을 제공하는 다른 적당한 형태일 수 있다.
마우스(200)가 충전을 위한 충전 도크(100)의 베이스(102)에 연결될 때, 마우스(200)는 암형 기본 조정 특징부가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 위에 위치하고 이에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기본 조정 특징부들은 초기 조정 메커니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마우스(200)는 기본 조정 특징부의 근처에 베이스(102) 위에 놓일 수 있다. 조정 특징부(108)의 돌출부와 마우스 사이의 접촉은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다. 일단 초기 접촉이 이뤄지면, 사용자는 암형 기본 조정 특징부의 리세스가 수형 조정 특징부(108) 위에 위치하고 마우스가 수형 조정 특징부(108) 위에 놓일 때까지 베이스(102) 위에서 마우스(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중력이 마우스(200)의 이 초기 조정에 도움이 된다. 일단 초기 조정이 수행되면, 사용자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적 충전 연결부와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 조정 특징부(108)에 대해 마우스(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단 이 접촉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마우스의 충전 연결부가 베이스의 충전 연결부와 적절히 맞춰질 때까지 마우스(200)의 위치에서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다. 이 연결은 마우스가 베이스 상의 연결부에 놓여질 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구성예에서, 입력 장치는 처음 조정되고 자석(111 및 211)을 통해 제위치를 잡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석(111)은 베이스 내에 매립될 수 있고 대응하는 자석(211)은 입력 장치에 매립될 수 있다. 두 자석(111, 211) 사이의 인력은 충전 도크(100) 상에서 입력 장치(200)를 조정할 수 있고 충전 동안에 입력 장치(200)의 위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구성예의 자석(111, 211)은 마우스(200)의 조정에 도움이 되고 충전 도크(100) 상에 마우 스(200)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충분한 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인력은 충전 도크(100)로부터 마우스(200)를 제거하기 위해 적절한 세기의 힘을 가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베이스(102)는 마우스(200)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적 충전 연결부(110)를 포함한다. 충전 연결부(110)는 베이스(102)의 후면(112) 근처에 위치할 수 있고 베이스(102)의 상면(104)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예에서, 충전 연결부는 베이스(102)의 전단(114)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 연결부(110)는 일반적으로 입력 장치가 충전 도크(100)에 결합될 때 입력 장치를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전기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예에서, 충전 연결부(110)는 입력 장치가 충전 도크(100)에 결합될 때 상승된 위치에 있는 2개의 핀을 포함한다.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핀은 입력 장치(200) 상에서 대응하는 충전 연결부(도 8에서 210) 내에 2개의 리세스에 꼭 맞게 끼워진다. 입력 장치가 충전 도크(100)에 결합됨에 따라, 핀은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다.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다른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102)에 형성된 충전 연결부(110)는 또한 충전 도크(100) 상에서 입력 장치의 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는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와 접촉하도록 낮춰질 수 있다. 마우스는 충전 연결부(110)를 이용하여 더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우스 상의 충전 연결부(210)가 충전 도크(100) 상의 충전 연결 부(110)에 대응하는 충전 위치로 기본 조정 특징부(108, 208)에 대해 마우스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우스는 충전을 개시하도록 적절히 조정될 것이다. 충전 연결부(110)의 각 측면에 있는 램프(ramps) (도 6에서 107)는 입력 장치가 거의 조정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고 입력 장치(210)를 위치로 안내한다. 충전은 마우스가 전기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베이스(102) 상의 충전 연결부(110)에 결합될 때 시작될 수 있다.
다른 구성예에서, 입력 장치를 충전하는 것은 유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구성예에서, 물리적 전기 연결은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베이스(102)의 상면(104)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적 연결부(110)는 불필요할 수 있다. 충전 도크(100)는 기본 조정 특징부(108) 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전기적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조정 특징부 (11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을 위해 입력 장치를 충전 도크(100)에 연결할 때, 마우스(200)는 처음에 수평면 전체에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 조정 특징부(108, 208) 및 충전 연결부(110 및 210)가 모두 접촉상태에 있도록 마우스(200)는 충전 위치에서 베이스(102)와 초기 접촉할 수 있다. 다른 구성예에서, 마우스(200)는, 기본 조정 특징부(108, 208)가 접촉되어 있지만 마우스(200)가 베이스(10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 즉 충전 위치로부터 90도인 위치에서 충전 도크(100)와 초기 접촉할 수 있다. 또다른 구성예에서, 마우스(200)는, 기본 조정 특징부(108, 208)가 접촉되어 있지만 마우스가 충전 위치로부터 180도에 있는 위치에서 베이스(102)와 초기 접촉할 수 있다. 마우스(200)는 처음에 조정 특징부(108, 208)와 조정될 수 있다. 초기 조정 후, 마우스(200)는 수평으로 회전하여 베이스(102) 상의 전기적 연결부(110) 위의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다. 일단 조정이 충전 연결부(110)와 이루어지면, 마우스(200)는 마우스(200) 충전을 개시하기 위해 충전 연결부(110)와 접촉하도록 낮춰질 수 있다. 또다른 구성예에서, 마우스(200)는 기본 조정 특징부(108, 208)가 접촉되어 있지만 마우스(200)가 충전 위치로부터 몇도 벗어나 있는 위치에서 베이스(102)와 초기 접촉할 수 있다. 마우스(200)가 처음 조정된 후, 마우스(200)는 수평으로 적당량 회전하여 베이스(102) 상의 전기적 연결부(110) 위의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다.
도 6은 충전 도크(100)의 배면도이고 도 7은 충전 도크(100)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베이스(102)의 일실시예의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면(104) 및 저면(106)을 도시한다.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베이스(102)의 상면(104)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베이스(102)의 저면(106)에 위치될 수 있고 큰 마찰계수를 갖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미끄럼방지 발 (not-slip feet)(116)을 도시한다. 미끄럼방지 발(116)은 베이스(102)의 저면(106)의 주변에 위치한다. 미끄럼방지 발(116)은 충전 도크(100)를 안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도크(100)가 충전 동안에 충격을 받으면, 미끄럼방지 발(116)은 충전 도크(100)의 위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충전되고 있는 입력 장치가 충전 도크(100)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8은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마우스(200)의 저면도 이다. 도 8에 도시된 마우스(200)는 실물크기의 대칭형 마우스이지만, 임의의 발모양(footprint) 또는 형태의 마우스가 입력 장치 도킹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래블 사이즈 (travel size) 마우스, 왼손잡이용 마우스, 오른손잡이용 마우스, 두 버튼 마우스, 네 버튼 마우스, 잠금 버튼이나 스크롤 휠이 있는 마우스,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마우스 디자인이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은 하나의 특정 마우스 모델이나 형태를 갖는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은 판매되는 마우스와 함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절한 조정부 및 충전 연결부를 갖는 마우스는 충전 도크와 별개로, 충전 도크와 동시에 또는 부속품 시장형 제품으로 구입될 수 있다.
여기 사용된 바와 같이, "마우스"라는 용어는 보통 마우스와 이것이 놓이는 표면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결정하는 광학 추적 시스템(209)과 같은 추적 시스템을 갖는 컴퓨터 입력 마우스 디자인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마우스는 움직임 센서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전송하고 컴퓨터 시스템의 지리적 포인터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 중에, 마우스(200)는 컴퓨터에 연결되어 이 컴퓨터에 신호를 제공하고 모니터 상의 커서나 다른 개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연결부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 전송기 및 수신기를 이용한 무선 접속부일 수 있다. 마우스는 또한 배터리와 같은 전원(20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예에서, 배터리는 재충전형 배터리이다.
마우스 장치(20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저면(206)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평평한 지지면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은 사람 손 및 복수의 액추에이터와 인터페이스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하도록 형성된 상부 몸체를 더 포함한다. 마우스는 또한 지지면과 마우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결정하는 광학 추적 시스템(209)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광학 추적 시스템(209)은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지지면에서 향하는 광원, 및 지지면과 마우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결정하는 하우징 내부의 광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 설명된 추적 장치 및 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암형 기본 조정 특징부(208)가 보인다. 암형 기본 조정 특징부(208)는 마우스(200)의 저면(206)에 형성된 리세스이다. 일예에서, 암형 조정 특징부(208)는 베이스(102)에 위치한 조정 특징부(108)의 반구형 수형부에 대응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형 기본 조정 특징부(208)는 베이스(102)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는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에 대응하도록 마우스(20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는 베이스(102)의 상면(204) 에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암형 기본 조정 특징부(208)는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10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연결부(210)의 접속부가 마우스(200)의 저면(206)에서 보인다. 전기적 연결부(210)는 베이스(102)의 배면(112)에 형성된 전기적 연결부(110)에 대응하도록 마우스(200)의 배면(21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입력 장치 충전 도크(1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마우스(200)의 배면도이다. 이 배면도는 마우스(200)의 저면(206)의 전체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도 시한다. 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표면은 마우스(200)의 유연한 동작을 방해하는 돌출부나 방해물이 없음을 보장한다. 마우스(200)를 충전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연결부는 마우스(200)의 저면(206)으로부터 돌출하기 보다는 마우스(200) 내부에 있다. 이 구성예에 따르면, 마우스(200)는 동작중일 때 작업 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다.
도 10은 충전을 개시하기 위해 입력 장치(200)를 충전 도크(100)로 삽입하는 한가지 가능한 방법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200)의 충전을 개시하기 위해, 마우스(200)와 같은 장치는, 암형 기본 조정 특징부가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와 조정되어 접촉하도록 수형 기본 조정 특징부 위에 수평으로 위치한다. 이 위치는 입력 장치(200)에 대한 초기 조정을 제공할 수 있다. 기본 조정 특징부는 수평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대면하는 마우스(200)와 접촉상태에 있을 수 있다. 마우스(200)는 충전 위치로 조정 특징부에 대해 회전된다. 도 10의 화살표는 마우스(200)가 회전될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낸다. 충전 위치는 충전 연결부들이 조정되어 서로 접촉할 때 달성된다. 일단 마우스(200)가 기본 조정 특징부 및 충전 연결부와 적절히 조정되면, 마우스(200)는 전기적 연결을 완성하고 충전을 개시하기 위해 수평으로 도크로 낮춰질 수 있다.
이 수평 충전 구성은 충전 시스템에 안정성을 더해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가 충전되는 동안에 충전 도크가 충격을 받으면, 수평 구성은 입력 장치가 수직 위치에서 충전되는 충전 시스템 보다 입력 장치의 충전 위치를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입력 충전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구성예에서, 베이스(302)는 기본 조정 특징부(308)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302)는 두개의 충전 연결부(310a 및 310b)를 포함한다. 충전 연결부(310a 및 310b)는 서로 베이스(302)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충전 동안, 입력 장치는 기본 조정 특징부(308) 및 두개의 충전 연결부(310a, 310b) 중 하나와 접촉한다. 이 구성예는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위한 입력 장치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왼손잡이 마우스 사용자는 마우스를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반면, 오른손잡이 마우스 사용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마우스를 배치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중 충전 연결부는 두 종류의 사용자를 수용하도록 하나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구성예에서, 입력 장치는 수평 위치에서 충전될 수 있고 입력 장치를 따라 한 지점에서 제자리를 잡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도크는 도크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중인 입력 장치는 돌출부가 꼭 끼워질 수 있는 장치의 저면 내의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일의 접속 지점은 충전되고 있는 입력 장치에 대한 양 조정을 제공할 수 있고 충전을 위해 필요한 임의의 전기적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예는 또한 그 수평 위치 때문에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임의의 형태 또는 발모양의 마우스나 입력 장치가 활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다른 구성예에서, 입력 장치는 수평 위치에서 충전될 수 있고 도크 상의 오목부에서 충전에 의해 충전 도크 상에 자리잡을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충전을 위해 도크 상의 오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장치를 충전하는 것은, 오목한 영역 내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입력 장치 상의 접속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또는 유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구성예는 입력 장치의 위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평 위치 및 오목 영역 때문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다른 구성예에서, 입력 장치는 수평 위치에서 충전될 수 있고 충전 도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입력 장치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표면에 의해 제자리를 잡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승된 영역이 충전 도크에 형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상승된 영역과 동일한 모양의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을 개시하기 위해, 이 장치는 오목부가 상승된 부분과 조정하면서 도크상에 위치한다. 전기적 연결부는 상승된 부분과 오목부에서 포함될 수 있고 또는 충전은 유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승부 및 오목부에 위치한 자석은 이 구성예를 이용한 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조치에 특정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특정한 특징이나 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상기 특정한 특징 및 조치는 청구항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개시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를 검토함으로써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사상 내의 많은 다른 실시예, 수정 및 변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장치(2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면(104)에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1 조정 특징부(108)를 갖는 베이스(base)(102);
    상기 베이스(102)와 수평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02) 상의 상기 제1 조정 특징부(108)의 형태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조정 특징부(108)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2 조정 특징부(208)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200); 및
    상기 베이스(102)의 상기 상면(104)에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1 충전요소(110) 및 상기 입력 장치(200)의 하면(206)에 형성된 대응하는 제2 충전요소(210)를 더 포함하는 충전 연결부
    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200)는 마우스인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특징부(108)는 수형(male type) 조정 특징부이고 상기 제2 조정 특징부(208)는 상기 입력 장치(200)의 저면(206)에 형성된 리세스(recess)인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특징부(108) 및 상기 제2 조정 특징부(208) 각각은 자석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2)는 전체적으로 평면이고 상기 입력 장치(200)가 상기 제1 조정 특징부(108)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막는 구조가 없는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특징부(108) 및 상기 제2 조정 특징부(208)는 전체적으로 반구형인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2)의 저면(106)에 연결된 복수의 미끄럼방지용 패드(116)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8. 지지면에 놓이도록 구성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
    곡선형의 상부 및 전체적으로 평평한 저면(206)에 형성되어 접속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208)를 갖는 하우징(housing);
    복수의 액추에이터(actuator);
    상기 입력 장치의 상대적 이동을 결정하는 움직임 검출 시스템(209);
    상기 전체적으로 평평한 저면(206)에 형성되고 접속 충전 요소(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요소(210)
    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08)로 수용되는 상기 접속 구성요소(110)는 베이스(102)의 상면(104)에 형성된 돌출부(108)인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08) 및 상기 돌출부(108)는 수평면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구성요소(110) 및 상기 리세스(208)는 전체적으로 반구형인 입력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검출 시스템(209)은 광학 추적 시스템인 입력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전원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207)를 더 포함하는 입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7)는 재충전형 배터리인 입력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요소는 전기적 연결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16.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장치(200)를 수평 위치에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제1 조정 특징부(108) 및 제2 조정 특징부(110)를 포함하는 베이스(102); 및
    상기 베이스(102) 상에 수평 배치를 위해 구성되고 제3 조정 특징부(208) 및 제4 조정 특징부(210)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정 특징부(110)는 충전 연결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조정 특징부(208)는 상기 제1 조정 특징부(108)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조정 특징부(210)는 상기 제2 조정 특징부(110)에 결합되도록 구성 되고,
    상기 제4 조정 특징부(210)는 상기 베이스(102)와 충전 연결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200)는 마우스인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특징부(108) 및 상기 제2 조정 특징부(110)는 돌출부이고 상기 제3 조정 특징부(208) 및 상기 제4 조정 특징부(210)는 리세스인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2)는 상기 입력 장치(200)가 회전되는 것을 방해하는 구조가 없는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 특징부(108) 및 상기 제3 조정 특징부(208)는 전체적으로 반구형인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KR1020087028812A 2006-06-02 2007-05-01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KR200900246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22,011 US7589496B2 (en) 2006-06-02 2006-06-02 User input device charging system
US11/422,011 2006-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81A true KR20090024681A (ko) 2009-03-09

Family

ID=3880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812A KR20090024681A (ko) 2006-06-02 2007-05-01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89496B2 (ko)
EP (1) EP2033075B1 (ko)
JP (1) JP4685956B2 (ko)
KR (1) KR20090024681A (ko)
CN (1) CN101460916B (ko)
TW (1) TWI360764B (ko)
WO (1) WO2007142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08B1 (ko) * 2004-12-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로 거치 겸용 세로 거치 유형 충전 거치대
JP5543378B2 (ja) * 2008-02-22 2014-07-09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誘導結合のための磁気的な位置決定
US20090244836A1 (en) * 2008-03-31 2009-10-01 Tung-Lin Leng Attach a Mobile Mouse to Your Laptop
TWI361370B (en) * 2008-10-15 2012-04-01 Primax Electronics Ltd Mouse system with automatic charging function
US20110175567A1 (en) * 2010-01-07 2011-07-21 Chira Kidakarn Power mouse pad
CN102778962A (zh) * 2011-05-13 2012-11-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鼠标
US8619418B2 (en) * 2012-02-26 2013-12-3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use structure
US20130307796A1 (en) * 2012-05-16 2013-11-21 Chi-Chang Liu Touchscreen Device Integrated Computing System And Method
CN203481851U (zh) * 2013-07-03 2014-03-12 力新创展电子(香港)有限公司 一种备用电池产品及其堆叠充电系统
WO2017164808A1 (en) * 2016-03-24 2017-09-28 Razer (Asia-Pacific) Pte. Ltd. Docks, computing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dock,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TWI582605B (zh) * 2016-05-03 2017-05-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可辨識之模組化電子裝置
US11307680B2 (en) * 2020-02-12 2022-04-19 Smash Engineering Inc. Computer mouse adapter and associated methods
TWI788062B (zh) * 2021-10-22 2022-12-21 寶德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滑鼠裝置、無線充電滑鼠、及其下殼體與下殼體的製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365A (en) * 1996-11-29 1998-10-27 Chen; Yao-Kuo Electric field-induced cordless mouse device
JP2000242423A (ja) * 1999-02-22 2000-09-08 Funai Electric Co Ltd コードレスマウス
US6476795B1 (en) * 2000-01-20 2002-11-05 Hewlett-Packard Company Mouse recharging module
TW501326B (en) * 2001-01-10 2002-09-01 Tai-He Yang Electric equipment with backup battery-stand powered by host machine power source
TW535341B (en) * 2001-09-07 2003-06-01 Primax Electronics Ltd Wireless peripherals charg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US6498458B1 (en) * 2001-11-01 2002-12-24 Cliff Chen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a wireless signal source and detachable receiver
US20030160762A1 (en) * 2002-02-22 2003-08-28 Ho-Lung Lu Rechargeable wireless mouse
JP2003337655A (ja) * 2002-05-20 2003-11-28 Toshiba Corp ワイヤレスマウスの充電構造
TW595782U (en) * 2002-12-13 2004-06-21 Kye Systems Corp Wireless pointer device with forcible power-off function
US20040145567A1 (en) * 2003-01-24 2004-07-29 Ho Hsin Lin Inductively charged wireless mouse
TW568307U (en) * 2003-04-11 2003-12-21 Guo-Yang Wei Mouse with attached stand body
US20050017675A1 (en) * 2003-07-16 2005-01-27 Potter Hsieh Hub Structure having a charging function
JP4352839B2 (ja) * 2003-09-29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マウス装置
JP2005110409A (ja) *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US20050108580A1 (en) * 2003-11-19 2005-05-19 Yu-Lin Chu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mouse pad
TWI228678B (en) * 2003-12-02 2005-03-01 Benq Corp Dual mode computer mouse
US7200765B2 (en) * 2004-01-12 2007-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cking station for a wireless mouse with control of a computer
TW200530896A (en) * 2004-03-10 2005-09-16 Cellink Company Ltd Input device with charging structure
US7663602B2 (en) * 2004-04-14 2010-02-16 Microsoft Corporation Removable wireless keyboard with base
CN2704065Y (zh) * 2004-05-10 2005-06-08 彭瑞火 无线可充电鼠标
US20060007147A1 (en) * 2004-07-06 2006-01-12 Cruise Lee Wireless mouse with multiple charging modes
GB2411452C (en) 2004-08-06 2008-03-17 Simon Richard Daniel Flat and collapsible mouse
TWM261754U (en) 2004-09-14 2005-04-11 Yuan-Rung Jang Mouse charging base and mouse thereof
CN2731553Y (zh) * 2004-09-28 2005-10-05 张原荣 鼠标充电座及鼠标组合
US20060097120A1 (en) 2004-11-08 2006-05-11 Yuan-Jung Chang Charge cradle and mouse in combination
US20060202660A1 (en) * 2005-03-08 2006-09-14 Yuan-Jung Chang Wireless mouse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89496B2 (en) 2009-09-15
CN101460916B (zh) 2011-11-16
CN101460916A (zh) 2009-06-17
EP2033075B1 (en) 2018-03-14
EP2033075A4 (en) 2012-12-12
EP2033075A1 (en) 2009-03-11
WO2007142767A1 (en) 2007-12-13
JP4685956B2 (ja) 2011-05-18
JP2009539344A (ja) 2009-11-12
US20080002340A1 (en) 2008-01-03
TWI360764B (en) 2012-03-21
TW200817982A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4681A (ko)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 충전 시스템
KR102379535B1 (ko) 데이터 및 전력 커넥터
US7722358B2 (e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devices
TWI574538B (zh) 具有順應之連接器安裝座的銜接件
EP2778829B1 (en) Docking apparatus of electronic apparatus
US20160072327A1 (en)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00022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broad range of mobile devices to receive wireless power
US8922488B2 (en) Pen mouse
WO2014107256A1 (en) Magnetic device mount
EP3534236B1 (en) Electric conduction apparatus
US2010017747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ock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planar like configuration and that operates in multiple orientations
TW201428460A (zh) 用於電子裝置的鉸鏈結構之技術
US20130147716A1 (en) Computer Receptacle
EP1016955B1 (en) Pointing device and cursor-moving switch
US20220035170A1 (en) A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headset accessory
US10250051B2 (en) Electronic device docking station
CN213304477U (zh) 磁吸插座、磁吸插头、电信号对接结构及便携式超声设备
KR20160072437A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
JP7403604B2 (ja) 通電装置
US20100053862A1 (en) Modular digital image display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