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665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665A
KR20090024665A KR1020087025111A KR20087025111A KR20090024665A KR 20090024665 A KR20090024665 A KR 20090024665A KR 1020087025111 A KR1020087025111 A KR 1020087025111A KR 20087025111 A KR20087025111 A KR 20087025111A KR 20090024665 A KR20090024665 A KR 20090024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strip
shaped member
bel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886B1 (ko
Inventor
유키 노다
켄이치로 쿠로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생리용 냅킨이 어긋나지 않고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함으로써, 체액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2)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표면 시트부(2)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4)를 적어도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흡수성 물품 본체의 다른쪽측에,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LD, LD)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띠 형상 부재(10)를 구비하고, 대략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띠 형상 부재(10)의 길이 방향(LD, LD)에 있어서의 양단의 적어도 일단측에는, 결합부(9f, 9r)가 설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경혈 등의 배설물을 흡수시키기 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소변 흡수 패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은, 경혈 등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와, 이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측의 표면을 덮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흡수체의 착의측에 위치하는 이면을 덮는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가지며, 예컨대, 속옷의 가랑이 천의 내면에 접착시킨 상태 등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경혈 등의 배설물을 확실하게 포착하기 위해서 흡수체를 갖는 흡수층을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시켜 사용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은, 원래 속옷 등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속옷과 배설부 사이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쉬웠다. 그리고, 배설부와 흡수성 물품 사이에 간극이 생긴 경우에는, 표면 시트에 흘러 넘친 배설물이 표면 시트를 따라서 측방이나 엉덩이부 방향으로 흘러, 속옷이나 착의를 더럽혀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 제3-101933호 공보(이하, 특 허 문헌 1)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신축 가능한 플랩을 형성하고, 플랩에 설치된 어긋남 방지재를 속옷 등에 접착시킴으로써, 속옷 착용 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신체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킨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99179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2)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의 단연부(端緣部)로부터 신축성이 있는 탄성 부재를 연장시키고, 그 연장부에 있어서의 속옷과의 접촉면에 점착 영역을 설치하여, 이것을 속옷 등에 접착함으로써, 속옷을 착용한 경우에 흡수성 물품의 신체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킨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탄성 부재를 설치하고, 이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해서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배설부측으로 인장하여, 밀착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2005-95510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3)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이면 시트측에 벨트를 통과시키는 구멍, 또는 가이드를 형성하고, 이 구멍, 또는 가이드에 통과시키는 벨트의 양단에는, 벨트를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2 및 3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이면 시트측에 형성된 구멍, 또는 가이드에 벨트를 통과시킴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어긋남 등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양단에 설치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인장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배설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충분한 응력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예컨대,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 가로 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흡수체가 배설부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변형해 버리면, 배설부에 대한 흡수성 물품의 밀접력이 약하기 때문에, 배설부와 흡수성 물품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켜 버리고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은, 가이드에 벨트를 통과시킬 뿐으로, 흡수성 물품과 벨트를 고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 중에 흡수성 물품과 벨트가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흡수성 물품과 벨트를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개소에서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는, 신축성을 갖는 벨트여도 각각의 이간된 개소에 있어서는, 신축성이 생기지 않으며, 흡수성 물품의 추종성도 갖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착용자의 배설부와 흡수성 물품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체액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띠 형상 부재를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하고, 띠 형상 부재의 양단을 피결합체에 결합시킴으로써, 띠 형상 부재에 발생하는 피부 접촉면측에의 응력을 흡수성 물품 본체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1) 대략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적어도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적어도 일단측에는, 결합부가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
(1)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흡수성 물품 본체의 다른쪽측에,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대략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적어도 일단측에는,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띠 형상 부재를 배치하고, 이 띠 형상 부재의 양 단부의 각각을 속옷 등의 피결합체의 소정의 장소에 고정 또는 결합시킴으로써, 흡수성 물품 본체 전체를 신체측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배설부 등과 흡수성 물품과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경혈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연신 가능하게 형성되는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2)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연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띠 형상 부재가 연신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피결합체인 속옷 등에의 장착에 필요해지는 띠 형상 부재의 소정의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비장착 시에 있어서는, 띠 형상 부재가 비연신 상태에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띠 형상 부재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신 가능하게 형성한다는 것은, 예컨대, 띠 형상 부재에 물결 형상 등의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어도 좋고, 소정의 접음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연신 가능한 기재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3)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띠 형상 부재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속옷이 헐렁해지거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함으로써 속옷과 신체에 상대적인 어긋남을 발생시켜도, 띠 형상 부재가 그 어긋남에 추종하여 신축하기 때문에, 신체와 흡수성 물품 본체를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착용자의 배설부 등과 흡수성 물품과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경혈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4)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연신 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긴 (2) 또는 (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연신 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띠 형상 부재는, 흡수성 물품 본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이 가능해진다.
(5) 상기 띠 형상 부재는, 비연신 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긴 (2) 또는 (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비연신 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연신 시에 있어서도, 띠 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흡수성 물품 본체로부터 연장된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용이하게 띠 형상 부재의 양 단부를 파지(把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6)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측의 각각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외연부(外緣部)로부터 적어도 그 일부가 연장되는 파지부(把持部)가 형성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각각에,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외연부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이 파지부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보다 장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7)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는,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를 싸고, 상기 띠 형상 부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전부를 싸는 커버부가 더 배치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에 띠 형상 부재를 싸는 커버부를 구비한다. 커버부는,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 및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전부를 싼다. 즉, 커버부는, 흡수성 물품의 다른쪽측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띠 형상 부재는, 흡수성 물품과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띠 형상 부재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커버부 사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측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 본체와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로부터 연장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띠 형상 부재를 싸는 커버부를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띠 형상 부재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커버부는, 띠 형상 부재의 미끄럼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는,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를 싸는 것이어도 좋고, 전부를 싸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를 싸는 복수의 커버부를 설치해도 좋다.
(8)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다른쪽측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와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8)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과 접합된다. 이에 따라, 띠 형상 부재가 흡수성 물품 본체로부터 어긋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복수 개소에 있어서 띠 형상 부재를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는, 각각의 개소 사이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 본체에 신축성을 갖게 함으로써, 상기 개소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신체에 대한 추종성을 손상시킬 우려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9) 상기 파지부는,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연신 방향을 시사하는 안내 요소를 구비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9)의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는, 띠 형상 부재의 연신 방향을 시사하는 안내 요소를 구비한다. 예컨대, 안내 요소는, 장착 시에 있어서 띠 형상 부재를 소정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예컨대, 그 안내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적당한 장착 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촉감 등에 의해 안내 요소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져,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10)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각각에는, 소정의 결합부가 배치되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0)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각각에는, 소정의 결합부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 결합부의 각각을 속옷 등의 피결합체의 소정의 장소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착용자의 배설부 등과 흡수성 물품과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경혈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1)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액 불투과성의 재료를 갖는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1)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액 불투과성의 재료를 갖는다. 이에 따라, 예컨대, 흡수성 물품 본체에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부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띠 형상 부재를 흡수체부의 다른쪽측에 배치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다른쪽측으로의 샘을 방지할 수 있다.
(12) 상기 띠 형상 부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30% 이상의 범위에 있는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2)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 본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30% 이상의 범위에 있다. 이와 같이, 띠 형상 부재는, 흡수성 물품 본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범위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컨대, 흡수성 물품 본체 전체를 적당한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신체의 소정부에 흡수성 물품 본체를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경혈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3) 상기 띠 형상 부재는, 띠 형상의 기재 시트와 탄성 부재를 갖는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3)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띠 형상의 기재 시트와 탄성 부재를 갖는다. 이에 따라, 예컨대, 띠 형상의 탄성 부재 등을 이용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대략 중앙부가 폭이 좁아지는, 이른바, 네크인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4) 소정의 착의에 있어서의 내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신체에 접촉시켜 사용되는 대략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적어도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띠 형상 부재와, 상기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적어도 일단측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사용 시에 있어서, 연신시킨 상태에서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결합부를 피결합체와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를 상기 한쪽측으로 밀어올리는 흡수성 물품.
(14)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흡수성 물품 본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에,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띠 형상 부재와,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적어도 일단측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띠 형상 부재는, 연신한 상태에서 소정의 착의, 예컨대, 속옷 등의 내면측에 결합시켜 사용한다.
이에 따라, 띠 형상 부재는, 착용자의 소정부를 따르도록 흡수성 물품 본체를 밀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지며, 예컨대, 착용자의 신체의 만곡을 따라서 끌어올리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띠 형상 부재에 발생하는 응력이 흡수성 물품 본체 전체를 착용자의 소정부측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 본체 전체를 착용자의 소정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소정부란, 예컨대, 착용자의 배설부 등을 말한다.
(15) 제1 사용형태와, 제2 사용형태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적어도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띠 형상 부재와, 상기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적어도 일단측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띠 형상 부재를 피결합체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제1 사용형태와, 상기 띠 형상 부재를 상기 피결합체에 결합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제2 사용형태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15)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며, 본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띠 형상 부재와,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적어도 일단측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흡수성 물품은, 띠 형상 부재를 소정의 피결합체, 예컨대, 속옷이나 착용자의 엉덩이부 등의 신체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제1 사용형태와, 띠 형상 부재를 소정의 피결합체, 예컨대, 속옷이나 착용자의 엉덩이부 등의 신체에 결합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제2 사용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은, 띠 형상 부재를 소정의 속옷 등에 결합시켜 사용해도 좋고, 결합시키지 않고 사용해도 좋다. 따라서, 착용자의 상황에 따라서, 사용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6) 상기 제1 사용형태는, 상기 띠 형상 부재를 연신한 상태에서, 상기 피결합체와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를 한쪽측으로 밀어올리는 (1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6)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제1 사용형태는, 띠 형상 부재를 연신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피결합체, 예컨대, 속옷이나 착용자의 엉덩이부 등의 신체와 결합시켜 사용한다. 이렇게 사용함으로써, 띠 형상 부재는, 착용자의 소정부를 따르도록 흡수성 물품 본체를 밀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예컨대, 착용자의 신체의 만곡을 따라서 끌어올리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띠 형상 부재에 발생하는 응력이 흡수성 물품 본체 전체를 착용자의 소정부측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 본체 전체를 착용자의 소정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7) 대략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적어도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며, 본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적어도 일단측에는 결합부가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
(17)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며, 본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 본체의 표면 시트부와 흡수체부 사이에 띠 형상 부재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띠 형상 부재의 양단을 속옷 등의 피결합체의 소정의 장소에 고정함으로써, 흡수체보다 피부면에 있는 재료, 다시 말하면 표면 시트를 띠 형상 부재에 의해 신체측으로 끌어올리게 되기 때문에, 민감한 피부의 착용자라도, 흡수체의 단단함이 상시 피부에 가해지지 않고, 동시에 피부를 타고 흘러내리는 경혈의 샘도 방지할 수 있다.
(18)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연신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1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8)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연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띠 형상 부재가 연신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피결합체인 속옷 등에의 장착에 필요해지는 띠 형상 부재의 소정의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비장착 시에 있어서는, 띠 형상 부재가 비연신 상태에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띠 형상 부재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9)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1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9)의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띠 형상 부재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속옷이 헐렁해지거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함으로써 속옷과 신체에 상대적인 어긋남을 발생시켜도, 띠 형상 부재가 그 어긋남에 추종하여 신축하기 때문에, 신체와 흡수성 물품 본체를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착용자의 배설부 등과 흡수성 물품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혈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0) 대략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적어도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 각각이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부재의 각각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다른쪽측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띠 형상 부재의 각각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적어도 일단측에는, 결합부가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
(20)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흡수성 물품 본체의 다른쪽측에, 각각이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대략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띠 형상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측에는,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은, 각각이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배치하고, 이 띠 형상 부재의 양 단부의 각각을 속옷 등의 피결합체에 고정 또는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각 띠 형상 부재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예컨대, 엉덩이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진다.
(21) 대략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적어도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쪽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길이 방향이며, 각각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각 띠 형상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다른쪽측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이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측에는, 결합부가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
(20)의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흡수성 물품 본체의 다른쪽측에,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이며, 각각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대략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띠 형상 부재는, 흡수성 물품의 다른쪽측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각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이 흡수성 물품 본체와 접합되어 있다. 또한, 각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측에는,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2조각으로 분할된 띠 형상 부재를 배치하고, 이 띠 형상 부재의 양 단부의 각각을 속옷 등의 피결합체에 고정 또는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각 띠 형상 부재의 흡수성 물품 본체 전체를 신체측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이 어긋나지 않고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함으로써, 체액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C-C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1의 D-D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띠 형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띠 형상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띠 형상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6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장착 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A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 면이다.
도 9B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C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V-V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0의 X-X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0의 Y-Y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0의 Z-Z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V-V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G-G 단면도이다.
도 18A는 도 17의 H-H 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7의 I-I 단면도이다.
도 18C는 도 17의 J-J 단면도이다.
도 19A는 신축 가능한 생리용 냅킨 본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9B는 신축 가능한 생리용 냅킨 본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A는 신축 가능한 생리용 냅킨 본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B는 신축 가능한 생리용 냅킨 본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K-K 단면도이다.
도 23A는 도 21의 L-L 단면도이다.
도 23B는 도 21의 M-M 단면도이다.
도 23C는 도 21의 N-N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25A는 도 24의 O-O 단면도이다.
도 25B는 도 24의 변형예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정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P-P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1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정면도이다.
도 29A는 도 28의 Q-Q 단면도이다.
도 29B는 도 28의 R-R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1A는 도 30의 S-S 단면도이다.
도 31B는 도 30의 변형예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4A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4B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정면도이다.
도 35B는 도 35A의 T-T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U-U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하기의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신체로부터 배설되는 경혈, 소변, 월경 등을 흡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신체의 고간부에 착용되는 것이지만,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여성의 질구로부터 배설되는 경혈을 흡수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생리용 냅킨을 예로 해서 설명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2개의 표면 중 배설부를 향하는 한쪽측을 피부 접촉면으로 하고, 반대측인 다른쪽측을 그 외측에 착의가 착용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피부 비접촉면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C-C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1의 D-D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띠 형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띠 형상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6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장착 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V-V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0의 X-X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0의 Y-Y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0의 Z-Z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V-V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G-G 단면도이다. 도 18A는 도 15의 H-H 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5의 I-I 단면도이다. 도 18C는 도 15의 J-J 단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신축 가능한 생리용 냅킨 본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신축 가능한 생리용 냅킨 본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K-K 단면도이다. 도 23A는 도 21의 L-L 단면도이다. 도 23B는 도 21의 M-M 단면도이다. 도 23C는 도 21의 N-N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25A는 도 24의 O-O 단면도이다. 도 25B는 도 24의 변형예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P-P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1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29A는 도 28의 Q-Q 단면도이다. 도 29B는 도 29A의 R-R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S-S 단면도이다. 도 31B는 도 30의 변형예이다. 도 32A 및 도 32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4A 및 도 34B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5B는 도 35A의 T-T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배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U-U 단면도이다.
[1] 제1 실시형태
[1.1]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에 의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은, 흡수성 물품 본체인 생리용 냅킨 본체(5)와, 띠 형상 부재(1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1)은,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에 설치되고, 표면층을 구성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2)와, 착용자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설치되고, 이면층을 구성하는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부(3)와, 표면 시트부(2)와 이면 시트부(3) 사이에 배치되어, 흡수층을 구성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4)를 갖는 생리용 냅킨 본체(5)와, 이면 시트부(3)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되고, 흡수성 물품 본체의 두께 방향(TD)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에, 흡수성 물품 본체(5)의 길이 방향(LD)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띠 형상 부재(10)를 구비한다.
생리용 냅킨 본체(5)와 띠 형상 부재(10)는, 길이 방향(LD)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되는 접합부(8)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와 띠 형상 부재(10)는, 착용자의 배설부가 생리용 냅킨 본체(5)의 액 투과 영역(21)과 접촉하는 위치, 즉, 생리용 냅킨 본체(5)의 대략 중앙부에서 접합된다. 띠 형상 부재(10)는, 이 접합부(8)를 기점으로 해서 전방 영역(F) 또는 후방 영역(R)의 각각을 향해서 생리용 냅킨 본체(5)의 길이 방향(LD)을 따르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전 방 영역(F)이란, 생리용 냅킨(1)을 착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질구로부터 복부측에 해당하는 영역을 말하고, 후술하는 후방 영역(R)이란, 생리용 냅킨(1)을 착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질구로부터 엉덩이부측에 해당하는 영역을 말한다. 또한, 중앙 영역이란, 생리용 냅킨을 착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질구를 포함하는 배설부 부근을 갖는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합재에 의해 생리용 냅킨 본체(5)와 띠 형상 부재(10)를 접합하였으나, 압착 등에 의해 접합시켜도 좋다.
띠 형상 부재(1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양 단부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 본체(5)의 양 단부의 외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이 연장 부분의 각각에는, 파지부(6f, 6r)가 설치되어 있다. 각 파지부(6f, 6r)에 있어서의 피부 비접촉면측에는, 피결합체인 속옷(50) 등과 결합하는 결합부(9f, 9r)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9f, 9r)는, 띠 형상 부재(10)의 단부보다도 약간, 띠 형상 부재(10)의 길이 방향(LD) 중심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표면 시트부(2) 및 흡수체부(4)를 연속적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샘 방지 홈부(7)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에 한하지 않고, 탄성재 등의 일래스틱(elastic)재와 샘 방지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샘 방지 벽, 이른바 개더를 생리용 냅킨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을 따라서 배치해도 좋다.
여기서, 생리용 냅킨(1)은, 개별적으로 포장용 용기에 수납할 때에는, 내면을 향하여 셋으로 접거나 또는 넷으로 접은 포장체의 상태로 봉입되고, 포장용 용 기의 개봉부에는 테이프가 구비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1)은, 테이프 등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벗겨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포장체의 내면에 실리콘 등에 의한 이형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생리용 냅킨(1)은, 이형 처리가 실시된 박리용 시트 등이 속옷이나 신체와 접착하는 점착부를 피복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1.2] 생리용 냅킨 본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 본체(5)는, 대략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 본체(5)의 형상은, 예컨대, 직사각형, 타원형, 표주박형 외에, 후술하는 속옷(50)과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이른바 윙(W1, W2)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신체 및 속옷(50)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이면 좋다. 생리용 냅킨 본체(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100∼500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350 ㎜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30∼200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180 ㎜를 예시할 수 있다.
생리용 냅킨 본체(5)는,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측에 설치되고, 표면층을 구성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2)와, 착용자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설치되고, 이면층을 구성하는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부(3)와, 표면 시트부(2)와 이면 시트부(3) 사이에 배치되어, 흡수층을 구성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4)를 구비한다.
또한, 생리용 냅킨 본체(5)는, 생리용 냅킨 본체(5)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액 투과 영역(21)을 구비한다. 액 투 과 영역(21)은, 샘 방지 홈부(7)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샘 방지 홈부(7)는, 액 투과 영역(21)을 구획한다. 배설부로부터 배설되는 경혈 등의 배설물은, 액 투과 영역(21)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부(2)를 투과하여, 흡수체부(4)에서 흡수된다.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부(3)는 액 불투과성이기 때문에, 배설물은 피부 비접촉면측에는 투과하지 않고, 흡수체부(4)에 흡수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샘 방지 홈부(7)는, 액 투과 영역(21)을 둘러싸도록 고압착과 저압착으로 이루어지는 압착부가 연속적, 또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주로, 흡수체부(4)에 흡수된 경혈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흡수체부(4)에 있어서의 배설물의 확산을 방지한다.
여기서, 표면 시트부(2)와 흡수체부(4)는, 각각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도록 해서 접합된다. 또한, 표면 시트부(2)와 이면 시트부(3)는, 핫멜트 접착제 및 가열 압착 등에 의해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 의해 접착되도록 해서 접합된다. 전체적으로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각 시트에 있어서의 면과 면을 접착하고, 각 시트에 있어서의 단부를 가열 압착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핫멜트 접착의 도공 패턴은, 예컨대, 스파이럴 도공, 컨트롤 시임 도공, 코터 도공, 커튼 코터 도공, 서밋 건 도공 등을 들 수 있다. 핫멜트 접착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단위 중량은, 1∼30 g/㎡가 바람직하고, 특히 3∼1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가 선 형상으로 도공되어 있는 패턴인 경우에는, 그 선 직경은 30∼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1.3] 띠 형상 부재
도 3 내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 부재(10)는, 대략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띠 형상 부재(10)는, 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탄성재(12)를 한 쌍의 띠 형상의 기재 시트(11, 13) 사이에 끼워 넣고, 기재 시트(11, 13)의 각각을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재(12)의 길이 방향(LD)에 소정의 장력을 가함으로써, 탄성재(12)를 소정의 길이로 연신시키고, 연신시킨 상태의 탄성재(12)를 기재 시트(11, 13)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형성된다. 기재 시트(11, 13)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을 주체로 한 스펀 본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중량이 15∼25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도로서는, 1.5∼2.5 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재(12)는, 예컨대, 우레탄계의 탄성사를 이용할 수 있다. 탄성사의 섬도로서는, 350∼450 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사는, 예컨대, 7개에서 9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재 시트(11, 13)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장력을 해제하여, 탄성재(12)의 연신을 해제하면, 기재 시트(11, 13)에 소정의 연장 여유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띠 형상 부재(10)는, 신장 가능해진다. 여기서, 연장 여유란 탄성재(12)의 탄성력이 해제된 경우에 기재 시트(11, 13)에 생기는 헐거워짐이나 느슨해짐을 포함한다. 띠 형상 부재(10)는, 이 헐거워짐 등을 갖는 분만큼 신축 가능해진다. 그리고, 띠 형상 부재(10)는, 탄성재(12)를 비신축재인 기재 시트(11, 13) 사이에 끼우는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예컨대, 탄성 부재 등을 연신시켰을 때에, 대략 중앙부가 폭이 좁아지는, 이른바 네크인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신장 가능하게 하는 다른 신장 가공으로서는, 예컨대, 부분적으로 슬릿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물결 형상의 엠보스 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물결 형상의 엠보스 가공은, 예컨대, 물결 형상의 엠보스롤끼리로 기재 시트(11, 13)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물결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띠 형상 부재(10)는, 물결 형상의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는, 탄성재(12)를 연신시킨 상태에서 기재 시트(11, 13)에 끼워 넣어 형성해도 좋고, 연신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끼워 넣어 형성해도 좋다.
도 6및 도 7A는, 물결 형상의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구체적인 예이다. 도 6 및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결 형상의 엠보스 가공은, 폭 방향으로 연속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반복 요철을 갖는 물결 형상 패턴이며, 볼록부끼리의 피치는, 예컨대, 0.5∼5.0 ㎜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의 높이는, 예컨대, 0.5∼5.0 ㎜를 예시할 수 있다. 서로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의 볼록부 측면끼리의 클리어런스는, 0∼3.0 ㎜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형성된 띠 형상 부재(10)는, 신장 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신장 범위가 130%인 경우, 착용자가 띠 형상 부재(10)를 130% 신장한 상태로 인장한 시점에서, 그 이상은 지나친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띠 형상 부재(10)는, 인장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신장 범위를 용이하게 인식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신장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착용자를 선택하지 않고, 누구나 안정된 범위에 있어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연장 여유의 형성 방법에서는 연장 여유가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버리기 때문에, 규칙성을 갖게 하는 방법으로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11, 13)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반복 요철을 갖는 물결 형상 패턴이 폭 방향(WD)으로 부분적으로 제거부(30)(요철이 없는 부분)가 있는 엠보스 패턴으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서 도시한 엠보스 패턴에 추가하여, 폭 방향(WD)으로 5∼40 ㎜ 피치로 0.5∼3.0 ㎜ 폭의 제거부(30)가 형성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기재에 핫멜트를 폭 방향(WD)으로 연속해서 길이 방향(LD)으로 반복해서 도공, 비도공을 반복하는 도공 패턴으로 도공해도 좋다. 이에 따라, 규칙적인 주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 시트(11, 13)로서 비연신재를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연신 재료, 신축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 시트(11, 13)와 탄성재(12)에 의해 띠 형상 부재(10)를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신축성을 갖는 기재 시트만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한 섬유 형상 시트를 이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우레탄 섬유와 합성 섬유를 혼면(混綿)한 부직포나 엘라스토머 수지를 멜트 블로운으로 형성한 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또는 필름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탄성재(12)는, 기재 시트(11, 13)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일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컨대, 속옷(50)과의 결합부인 결합재를 설치하는 개소에 있어서는 기재 시트(11, 13)로 형성하고, 다른 영역에 있어서 탄성재(12)를 협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파지부(6)를 구성하는 영역에 있어서도, 탄성재(12)를 협지할 필요는 없고, 기재 시트(11, 13)에 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띠 형상 부재(10)는, 적어도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일부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영역을 가지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장착 시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 본체(5)가 배설부와 밀착하는 위치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상태이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리용 냅킨 본체(5)가 질구부와 밀착하는 위치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상태이면 된다. 즉, 장착 시에 있어서, 길이 방향(LD)의 일부에 비신축 영역을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컨대, 이면 시트부(3)와 띠 형상 부재(10)를 접합하는 영역, 및 생리용 냅킨 본체(5) 또는 띠 형상 부재(10)와 속옷(50)을 결합하는 영역에서는 신축성을 갖지 않고, 그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면 시트부(3)와 띠 형상 부재(10)를 접합하는 접합부(8), 및 생리용 냅킨 본체(5) 또는 띠 형상 부재(10)와 속옷(50)을 결합하는 결합부(9f, 9r)에 있어서는, 신축성을 갖는 않는 구성인 것이 좋다. 이면 시트부(3)와 띠 형상 부재(10)를 접합하는 접합재, 및 띠 형상 부재(10)와 속옷(50)을 결합하는 결합재가 떨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비신축 영역으로서는, 예컨대, 탄성재(12)를 신장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기재 시트(11, 13)와 접합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또한, 신장한 상태의 탄성재(12)를 절단함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해제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한,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생긴 신장 가능 영역끼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또한, 기재 시트(11, 13)에 물결 형상의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등의 신축 영역의 작성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기재 시트(11, 13) 그 자체를 비신축성의 것으로 해도 좋다.
띠 형상 부재(1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의 30∼1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30%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생리용 냅킨 본체(5)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의 30%보다 작으면,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 전체를 충분히 끌어올릴 수 없어, 생리용 냅킨 본체(5) 전체를 신체측에 밀착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150%보다도 크면, 착용자의 대퇴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과잉이 되어, 대퇴부와 스쳐서 피부 트러블 등을 발병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띠 형상 부재(1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의 30∼3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50%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생리용 냅킨 본체(5)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의 30%보다 작으면, 예컨대, 띠 형상 부재(10)가 연신해도 생리용 냅킨 본체(5)를 충분히 신체측에 밀착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150%보다도 크면, 착용자의 대퇴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과잉이 되어, 대퇴부와 스쳐서 피부 트러블 등을 발병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컨대, 띠 형상 부재(10)를 연신시킨 상태에서 속옷(50)에 장착시킬 수 없게 되어, 배설부에 밀착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띠 형상 부재(10)의 연신 가능 범위는, 예컨대, 탄성재(12)의 비연신 상태를 100%라고 하면, 105∼3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80%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연신 상태가 105%보다도 작으면 생리용 냅킨 본체(5)를 신체측으로 밀어올리는 응력이 약해져, 생리용 냅킨 본체(5)를 끌어올리는 것과 같은 구조가 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300%보다도 크면, 필요 이상으로 신체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발생하여, 착용자에 대해서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신 상태가 150∼300%인 신장 배율에 있어서의 탄성재(12)의 응력은, 예컨대, 5∼500 cN/25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0∼100 cN/25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띠 형상 부재(10)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방 영역(F), 및 후방 영역(R)의 각각에 있어서, 파지부(6)를 구비한다. 파지부(6)는, 띠 형상 부재(10)의 양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 본체(5)의 외연(外緣)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예컨대, 용이하게 파지부(6)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착 시에 있어서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파지부(6)는, 착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파지부(6)는, 착용자가 잡기 쉽도록, 띠 형상 부재(10)의 파지부(6)에 해당하는 위치에 소정의 강도를 갖는 시트 부재(14)를 기재 시트(11, 13) 사이에 협지시켜도 좋다. 또한, 파지부(6)는, 비연신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생리용 냅킨 본체와 띠 형상 부재와의 접합 위치
생리용 냅킨 본체(5)와 띠 형상 부재(10)는, 접합부(8)에 있어서 접합된다. 생리용 냅킨 본체(5)에 대한 띠 형상 부재(10)의 접합 위치로서는, 띠 형상 부 재(10)의 신축성이 발휘되지 않아도 영향이 적은 개소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착용자의 배설부 근방,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질구 근방에 있어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생리용 냅킨 본체(5)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배설부 근방에 있어서는, 그다지 변형하지 않고 거의 직선 형상을 유지하지만, 배설부의 전후 단부로부터는, 신체측으로 만곡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배설부 부근에서는 띠 형상 부재(10)의 신축성이 직접 작용하지 않아도, 전후의 띠 형상 부재(10)가 연신하여 생리용 냅킨 본체(5)를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생리용 냅킨 본체(5)를 신체측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와 띠 형상 부재(10)의 접합 범위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각 배설부에 해당하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질구와 접하는 생리용 냅킨 본체(5)의 액 투과 영역(21)을 중심으로,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20 ㎜ 이내(전체로서는, 길이 방향으로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질구와 접하는 생리용 냅킨 본체(5)의 액 투과 영역(21)을 중심으로,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1.0 ㎜(전체로서는, 길이 방향(LD)으로 2.0 ㎜)로부터 10 ㎜(전체로서는, 길이 방향(LD)으로 20 ㎜)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각각으로 20 ㎜보다 크면, 띠 형상 부재(10)의 신축성이 발휘되지 않는 영역이 지나치게 커져 버려, 신체의 자세 변화에 의해 생리용 냅킨 본체(5)가 배설부로부터 용이하게 벗어나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폭 방향(WD)에 있어서는, 생리용 냅킨 본체(5)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10%로부터 100%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0%로부터 1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폭 방향(WD)에 있어서는, 연속적으로 고정되는 것, 간헐적으로 고정되는 것 중의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접합재로서는,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 엠보스 가공, 소닉 가공 등을 예시할 수 있다.
[1.5] 띠 형상 부재와 속옷과의 결합 위치
띠 형상 부재(10)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양 단부측의 각각에 속옷(50) 등과 결합하는 결합부(9f, 9r)를 갖는다. 결합부(9f)는, 전방 영역(F)에 있어서 속옷(50) 등과 결합하고, 결합부(9r)는, 후방 영역(R)에 있어서 속옷(50) 등과 결합한다. 이것은, 생리용 냅킨 본체(5)는,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배설부 근방에 있어서는, 그다지 변형하지 않고 거의 직선 형상을 유지하지만, 배설부의 전후 단부로부터는, 신체측으로 만곡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결합부(9f, 9r)의 각각을 전방 및 후방 영역(F, R)에 있어서 속옷(50) 등과 결합시킴으로써, 띠 형상 부재(10)의 신장 범위가 커지며, 또한, 신체의 만곡을 따라서 끌어올려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띠 형상 부재(10)의 응력이 배설부 근방에 배치된 액 투과 영역(21)에 전달되기 쉬워진다. 또한, 결합부(9f, 9r)는, 띠 형상 부재(10)의 양 단부보다도, 약간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중심부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가 파지부(6f, 6r)를 잡은 경우에, 결합재가 손가락 등에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합부(9f, 9r)에 사용되는 결합재로서는,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 훅재, 점 착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후방 영역(R)에 설치되는 결합부(9r)에 사용되는 결합재는, 속옷(50)과의 결합재여도 좋고, 착용자의 신체와의 결합재여도 좋다. 즉, 결합부는, 속옷(50) 등에 결합되는 것이어도 좋고, 착용자의 신체에 결합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착용 중에 띠 형상 부재(10)가 속옷 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신축성을 갖는 띠 형상 부재(10)의 경우, 띠 형상 부재(10)의 수축력보다 결합재에 의한 결합력 쪽이 클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결합력 다시 말하면 전단 응력은, 5∼500 cN/25 ㎜의 범위인 수축력보다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6] 사용형태
도 8 및 도 9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의 사용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은, 제1 사용형태 및 제2 사용형태를 구비한다.
도 8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의 사용형태예로서, 생리용 냅킨(1)의 장착 과정에서의, 피결합체인 속옷(50)에 생리용 냅킨(1)을 부착하는 장착 순서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사용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사용형태로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1)을 속옷(5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어서, 띠 형상 부재(10)의 양단에 설치된 각 파지부(6f, 6r)를 파지하고, 각각을 전방 영역(F) 및 후방 영역(R)으로 인장한다. 이에 따라, 띠 형상 부재(10)가 연신된다. 후술하는 커버부(1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여기서 띠 형상 부재(10)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결합부(9f, 9r)가 나타난다. 띠 형상 부재(10)가 소정량 연신되면, 띠 형상 부재(10)의 양단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각각에 설치된 결합부(9f, 9r)를 피결합체인 속옷(5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각 결합부(9f, 9r)의 각 결합재를 속옷(50)에 접착한다. 이때, 결합부(9f, 9r)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설치된 각 박리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벗김으로써, 각 결합재가 노출된다. 또한, 속옷(50)의 소정의 위치란, 예컨대,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의 액 투과 영역(21)을 착용자의 배설부에 접촉 가능한 예측 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띠 형상 부재(10)는, 가능한 한 연신시킨 상태에서, 속옷(50)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용 냅킨(1)의 장착 완료 후, 이 상태에서 속옷(50)을 착용함으로써, 띠 형상 부재(10)와 생리용 냅킨 본체(5)가 완만한 만곡 형상으로 변형하며, 띠 형상 부재(10)로부터 생리용 냅킨 본체(5)에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응력을 전달한다. 이때, 띠 형상 부재(10)는, 생리용 냅킨 본체(5)를 끌어올리도록, 신체측으로 밀어올린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배설부나 배설부 부근의 홈과 생리용 냅킨(1)을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9 참조).
제2 사용형태로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사용형태와 동일한 위치에 생리용 냅킨(1)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속옷(50)을 착용한다. 이어서, 전방 및 후방 영역(F, R)의 각각에 있어서, 속옷(50)과 신체 사이에 손을 넣어, 띠 형상 부재(10)에 설치된 파지부(6f, 6r)를 파지하고, 신체의 만곡을 따르도록 전방 및 후방 영역(F, R)의 각각으로 인장한다. 여기서, 예컨대, 후술하는 커버부(1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파지부(6f, 6r)를 인장하면 띠 형상 부재(10)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설치된 결합부(9f, 9r)가 나타난다. 그리고, 속옷(5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시킨다.
또한, 예컨대, 결합부(9r)에 박리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미리 박리 시트를 벗겨 두거나, 길이 방향으로 인장한 후 또는 전에 벗겨 두면 된다.
이때,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속옷(50)은 흡수성 물품(1)과 함께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띠 형상 부재(10)의 양단에 설치된 파지부(6f, 6r)를 인장하여 속옷(50)에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신체의 배설구 부근의 홈에 밀착하도록 위치가 조정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6f, 6r)를 잡아 띠 형상 부재(10)를 전방 및 후방 영역(F, R)으로 인장하여, 속옷(50)에 고정하기 때문에, 띠 형상 부재(10)에 길이 방향으로의 장력이 작용하며, 이 띠 형상 부재(10)를 신체측으로 가지고 감으로써, 띠 형상 부재(10)와 생리용 냅킨 본체(5)가 완만한 만곡 형상으로 변형하며, 띠 형상 부재(10)로부터 생리용 냅킨 본체(5)에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응력을 전달한다. 이때, 띠 형상 부재(10)는, 생리용 냅킨 본체(5)를 끌어올리도록, 신체측으로 밀어올린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배설부나 배설부 부근의 홈과 생리용 냅킨(1)을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9B, 도 9C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용형태는, 다른 사용형태로서, 띠 형상 부재(1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속옷(50)의 착용 후에 새롭게 띠 형상 부재(1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2] 다른 실시형태
도 10 내지 도 4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내지 제1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는, 띠 형상 부재(10)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는, 띠 형상 부재(10)의 고정재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4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는, 커버부(15)가 설치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8 실시형태는, 띠 형상 부재(10)의 배치 위치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9 실시형태는, 띠 형상 부재(10)의 결합부(9r)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10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는, 띠 형상 부재(10)의 안내 요소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12 실시형태 내지 제14 실시형태는, 생리용 냅킨 본체(5)의 액 투과 영역(21)의 시사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15 실시형태 및 제17 실시형태는, 띠 형상 부재(10)의 배치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도면에 붙인 번호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2.1] 제2 실시형태
도 10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P)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P)은, 띠 형상 부재(10P)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 로는, 도 12 내지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P)은, 생리용 냅킨 본체(5)와 1장의 비신축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 부재(10P)가 피부 비접촉면측의 접합부(8)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비신축성의 시트로서는, 예컨대, 부직포, 필름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띠 형상 부재(10P)를 끌어올릴 때에 가해지는 응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부재이면 된다. 또한, 형상은, 띠 형상, 끈 형상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생리용 냅킨(1P)은, 띠 형상 부재(10P)에 비신축성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강도가 다른 복수 매의 기재 시트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띠 형상 부재(10P)는, 소정량의 접힘부(17)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소정량의 접힘부(17)가 형성됨으로써, 띠 형상 부재(10P)에 있어서의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띠 형상 부재(10P)를 되접어서 배치함으로써, 예컨대, 소정의 길이를 가짐과 아울러, 띠 형상 부재(10P)를 콤팩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힘부(17)는, 서로 포개지는 부분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어도 좋고,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접합 상태는, 서로 벗겨지기 쉽도록 약하게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의 길이란,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30∼3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50%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접힘부(17)에 있어서의 소정량이란, 상기 띠 형상 부재(10P)의 소정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기 위해서 접힘 가능한 길이를 포함한다.
[2.2] 제3 실시형태
도 15 내지 도 20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A)을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A)은, 띠 형상 부재(10)의 고정재의 배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A)은, 도 15 내지 도 1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 부재(10)에 있어서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있어서, 폭 방향(WD)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LD)으로 이간된 2개의 접합부(8r, 8f)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A)은, 띠 형상 부재(10)의 신장에 맞춰, 이간된 각 접합부(8r, 8f)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개소에서의 생리용 냅킨 본체(5A)가 신장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길이 방향(LD)으로 이간된 각각의 개소에서 생리용 냅킨 본체(5A)와 띠 형상 부재(10)를 고정해 버리면, 신장성을 갖지 않는 생리용 냅킨 본체(5A)에 의해, 고정 간의 띠 형상 부재(10)도 신장성이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접합재가 길이 방향(LD)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그 영역에서는 띠 형상 부재(10)에 신장성이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A)은, 생리용 냅킨 본체(5A)의 대략 중앙부에 신장 영역(S)을 형성하고, 이간된 접합부(8r, 8f)의 각각은, 이 신장 영역(S)의 양단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폭 방향(WD)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LD)으로 이간된 2개의 접합부(8r, 8f)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각 접합 부(8r, 8f) 사이에 신장 영역(S)을 형성함으로써, 생리용 냅킨 본체(5A)는 신장 가능해진다. 따라서, 띠 형상 부재(10)의 신장에 맞춰 생리용 냅킨 본체(5A)도 신장 가능해져, 상기 영역에 있어서도, 띠 형상 부재(10)는 신장 가능해진다.
여기서, 신장성을 구비한 생리용 냅킨 본체(5A')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장성을 구비한 생리용 냅킨 본체(5A')로서는, 예컨대, 일래스틱계의 소재에 의해 구성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열수축 섬유 등의 코일 형상 섬유를 이용해도 좋다. 일래스틱계의 소재나 열수축 섬유 등의 코일 형상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생리용 냅킨 본체(5A')는, 신장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생리용 냅킨 본체(5A')를 구성하는 소재 자체가 신장성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신장 가공에 의해, 신장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 본체(5A')의 소정의 장소에, 물결 형상의 엠보스 가공 등의 신장 영역(S)을 형성함으로써, 생리용 냅킨 본체(5A')에 신장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9A는, 생리용 냅킨 본체(5A')의 비신장 상태를 도시하고, 도 19B는, 생리용 냅킨 본체(5A')의 신장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예컨대,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 본체(5A'')의 소정의 장소에 형성된 신장 영역(S)에, 생리용 냅킨 본체(5A'')의 폭 방향(WD)으로 소정의 홈을 갖는 복수의 슬릿(90)을 형성함으로써, 생리용 냅킨 본체(5A'')에 신장성을 갖게 해도 좋다.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90)은, 생리용 냅킨 본체(5A'')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 영역(F, R)의 각각에 소정의 응력이 발생한 경우, 슬릿(90)의 폭 방향(WD)에 형성한 홈이 길이 방향(LD)으로 인장 됨으로써 개구한다. 이에 따라, 생리용 냅킨 본체(5A'')는, 슬릿(90)의 길이 방향(LD)에 대한 개구량의 신장이 가능해진다.
[2.3] 제4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
도 21 내지 도 29B를 이용하여, 제4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B, 1C, 1D, 1E)을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B, 1C, 1D, 1E)은, 커버부(15)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21 내지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B)은, 생리용 냅킨 본체(5B)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띠 형상 부재(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피복하는 커버부(15B)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커버부(15B)는, 띠 형상 부재(10)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와,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전부를 싼다. 띠 형상 부재(10)는, 접합부(8)를 기점으로 해서, 생리용 냅킨 본체(5B)와 커버부(15B) 사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부(15B)와 생리용 냅킨 본체(5B)는, 생리용 냅킨(1B)의 양측부에 있어서 피부 비접촉면측에서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생리용 냅킨(1B)의 양측부에 있어서 이면 시트부(3)와 접합된다.
도 23A 내지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15B)는, 생리용 냅킨(1B)의 양측부에 있어서, 연장된 상태에서 이면 시트부(3)와 접합되어도 좋다. 또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부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부(3)가 이면 시트부(3)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의 50% 이상의 길이에 대해서 연장시키고, 이 각각 의 시트를 되접어서, 피부 비접촉면측에 있어서 적층하도록 포개어, 접합하는 것이어도 좋다.
커버부(15B)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B)의 길이 방향(LD)의 길이의 10∼1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0%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10%보다 작으면,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B)와 띠 형상 부재(10B)와의 자유도가 지나치게 커져 버려, 착용 중에 어긋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100%보다 크면, 예컨대, 띠 형상 부재(10B)를 연신시켜 속옷(50)에 결합시킬 때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커버부(15B)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B)의 폭 방향(WD)의 길이의 30∼1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10%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30%보다 작으면,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B)를 충분히 신체에 밀착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150%보다 크면, 예컨대, 대퇴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과잉이 되어, 스침 등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발병시킬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커버부(15B)는, 생리용 냅킨 본체(5B)에 있어서의 각 구성 재료와 다른 재료에 의해 구성해도 좋고, 생리용 냅킨 본체(5B)에 있어서의 각 구성 재료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재료를 연장하도록 연속해서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표면 시트부(2)를 연속해서 이용해도 좋고, 이면 시트부(3)를 연속해서 이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표면 시트부(2) 또는 이면 시트부(3)를 연속해서 이용한 경우, 연속해서 설치한 각 시트를 피부 비접촉면측에 있 어서 포개어 접합해도 좋다.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B)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 본체(5B)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의 소정량을 연속시키고, 각각의 연장한 시트끼리를 되접어, 적층해서 접합해도 좋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부(15C)는, 생리용 냅킨 본체(5C)의 전방 및 후방 영역(F, R)에 각각 배치해도 좋다. 또한, 도 2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15C)는, 커버부(15C)의 양측부를 생리용 냅킨 본체(5C)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 이면 시트부(3)와 접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이면 시트부(3)와 커버부(15C)와의 개구를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져, 띠 형상 부재(10)의 신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은, 생리용 냅킨 본체(5C)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부의 커버부(15C)를 되접은 부분의 내측의 각각에 탄성재(16)를 배치해도 좋다.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C) 또는 띠 형상 부재(10)가 비틀어지려고 해도 탄성재(16)의 탄성력에 의해, 비틀림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힘이 작용하여, 생리용 냅킨 본체(5C) 또는 띠 형상 부재(1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부(15D)는, 띠 형상 부재(10)의 결합부(9f, 9r)를 덮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띠 형상 부재(10)가 비신축 상태에 있을 때에는, 띠 형상 부재(10)의 파지부(6f, 6r)의 각각이 생리용 냅킨 본체(5D)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 영역(F, R)의 각각의 외연으로부터 연장되고, 결합부(9f, 9r)는, 커버부(15D)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9f, 9r)가 커버부(15D)에 피복됨으로써, 예컨대, 띠 형상 부재(10)를 연신시킬 때까지, 의도하지 않은 다른 개소에 결합부(9f, 9r)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6f, 6r)가 연장됨으로써, 예컨대, 착용자가 용이하게 파지부(6f, 6r)를 잡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버부(15D)의 표면측에 실리콘 수지 등을 코팅해도 좋다. 실리콘 수지 등을 코팅함으로써, 결합부(9f, 9r)가 커버부(15D)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9f, 9r)의 표면을 박리 시트 등에 의해, 피복하는 것이어도 좋다.
커버부(15D)는, 복수 설치해도 좋으나, 적어도, 생리용 냅킨 본체(5)의 전방 및 후방 영역(F, R)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용 냅킨 본체(5)의 전방 및 후방 영역(F, R) 근방에 배치됨으로써, 착용 중에 띠 형상 부재(10)가 생리용 냅킨 본체(5)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8 내지 도 2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부(15E)의 대략 중앙부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에 있어서, 속옷(50)과의 결합부(91R, 91L)를 각각 설치해도 좋다. 결합부(91R, 91L)를 커버부(15E)의 양측부에 배치함으로써, 띠 형상 부재(10)의 장력에 의해, 속옷(50)도 신체측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예컨대, 생리용 냅킨(1E)과 속옷(50)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부(15E)의 대략 중앙부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에, 길이 방향(LD)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부(91R, 91L)를 설치하였으나, 예컨대, 복수 개의 결합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커버부(15E)의 대략 중앙부의 폭 방향(WD) 전부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대략 중앙부로부터, 커버부(15E)의 전방 및 후방 영역(F, R)까지 설치해도 좋다. 또한, 커버부(15D) 전체에 설치해도 좋다.
[2.4] 제8 실시형태
도 30 및 도 31A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F)을 설명한다. 도 30 및 도 3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는, 띠 형상 부재(10)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F)은, 표면 시트부(2)와 흡수체부(4) 사이에 티슈(7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부재(10)는, 티슈(73)와 흡수체부(4) 사이에 설치된다. 이 경우, 표면 시트부(2)와 이면 시트부(3)는, 도 2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1E)의 양측부에 있어서 접합된다. 띠 형상 부재(10)는, 생리용 냅킨(1E)의 전방 및 후방 영역(F, R)에 있어서의 비접합부인 각각의 개구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띠 형상 부재(10)는 표면 시트부(2)와 티슈(73)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 띠 형상 부재(10)의 기재 시트(11, 13)는, 친수성이며 또한 액 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부(2)로부터의 흡수체부(4)로의 경혈 등의 배설물의 이행성을 유효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부(4)와 이면 시트부(3) 사이에 띠 형상 부 재(10)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흡수체부가 복수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 흡수체부 사이에 띠 형상 부재(10)를 배치해도 좋다.
[2.5] 제9 실시형태
도 32A 및 도 32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G)을 설명한다. 도 3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G)은, 후방 영역(R)에 있어서의 띠 형상 부재(10G)의 후방 영역(R)에 속옷(50)과 결합하는 결합부(9r)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G)은 후방 영역(R)에 있어서, 속옷(50)과 결합하는 결합부(9r)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의 사용형태로서는, 이하를 들 수 있다. 예컨대, 속옷(50)을 착용자의 무릎 부근까지 내린 후, 생리용 냅킨 본체(5G)의 양측부에 있어서, 결합부(91R, 91L)의 각각을 속옷(50)에 고정한다. 이어서, 전방 영역(F)의 파지부(6f)를 파지하고, 이것을 인장하여 속옷(50)의 소정의 개소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속옷(50)을 착용하고, 신체의 배면측으로부터 속옷(50)과 신체 사이에 손을 넣으며, 파지부(6r)를 파지하여 띠 형상 부재(10G)를 신체의 만곡을 따라서 후방 영역(R)으로 인장하고, 배설부 근방의 홈, 구체적으로는, 엉덩이부 근방의 홈에 끼워 넣도록 인장한다.
또한, 예컨대, 속옷(50)을 착용자의 무릎 부근까지 내린 후, 생리용 냅킨 본체(5G)의 양측부에 있어서, 결합부(91R, 91L)의 각각을 속옷(50)에 고정함과 아울러, 속옷(50)을 착용한다. 이어서, 신체의 앞면 및 배면측으로부터 속옷(50)과 신 체 사이에 손을 넣어, 파지부(6f, 6r)의 각각을 파지하고, 띠 형상 부재(10G)를 신체의 만곡을 따라서 전방 및 후방 영역(F, R)으로 각각 인장한다. 여기서, 파지부(6f)는, 속옷(5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시키고, 파지부(6r)는, 배설부 근방의 홈, 구체적으로는, 엉덩이부 근방의 홈에 끼워 넣는다.
[2.6] 제10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
도 33 내지 도 34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H, 1I)을 설명한다. 도 33 내지 도 3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H, 1I)은, 안내 요소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10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H, 1I)은, 파지부(6Hf, 6Hr, 6If, 6Ir)에 띠 형상 부재(10H, 10I)의 연신 방향을 나타내는 안내 요소(70)를 구비해도 좋다.
안내 요소(70)로서는, 예컨대, 화살표, 기호, 일러스트, 문자, 색 또는 색의 그레데이션 등의 지시표 시트나 엠보스 등에 의한 촉감으로 이루어지는 안내 요소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요소(70)는, 예컨대, 파지부(6Hf, 6Hr, 6If, 6Ir)의 피부 접촉면측 또는 피부 비접촉면측에 핫멜트 접착제를 패턴 가공함으로써 붙여도 좋다. 핫멜트 접착제를 착색 패턴 가공함으로써 안내 요소(70)를 붙인 경우에는, 동시에 파지부(6Hf, 6Hr, 6If, 6Ir)에 있어서의 기재 시트(11, 13)끼리를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안내표 등 인쇄된 지시표 시트를 이용하여, 이것을 기재 시트(11, 13)에 있어서 협지해도 좋다. 또한, 기재 시트(11, 13)에 직접 인쇄해도 좋다.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6Hf, 6Hr)가 생리용 냅킨 본체(5H)의 길이 방향(LD)의 전방 및 후방 영역(F, R)에 있어서의 외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파지부(6Hf, 6Hr)의 피부 접촉면측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착용자에 의한 파지부(6Hf, 6Hr)의 개소가 용이하게 인식 가능해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예컨대, 파지부(6Hf, 6Hr)를 띠 형상 부재(10H)의 주변부와 다른 색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기호, 일러스트, 문자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파지부(6Hf, 6Hr)의 형상을 삼각형 형상,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물결 형상 등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제11 실시형태로서, 도 34A 및 도 3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6If, 6Ir)에 속옷(50)과의 결합부(9f, 9r)의 위치를 시사하는 안내 요소(70')를 설치해도 좋다. 예컨대, 도 3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속옷(50)과의 결합부(9f, 9r)에 있어서 결합재가 배치되어 있는 표면측에 착색된 시트를 배치하고 있는 생리용 냅킨(1)을 예시한다. 결합부(9f, 9r)의 위치를 시사하는 안내 요소(70')로서는, 착색된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요소(70')로서, 엠보스, 인쇄, 착색한 핫멜트 접착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띠 형상 부재(10)의 기재 시트(11, 13)를 투명성이 높은 시트로 구성하여, 이면 시트부(3)측에 설치된 결합부(9f, 9r)를 시인 가능하게 해도 좋다.
[2.7] 제12 실시형태 내지 제14 실시형태
도 35A 내지 도 3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 내지 제1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J, 1K, 1L)을 설명한다. 도 35A 내지 도 37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 내지 제1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J, 1K, 1L)은, 안내 요소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12 실시형태 내지 제1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J, 1K, 1L)은, 생리용 냅킨(1)의 액 투과 영역(21)을 시사하는 안내 요소를 구비해도 좋다.
도 3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J)은, 생리용 냅킨(1J)의 양측부에 윙(W1, W2)을 설치하고, 이 윙(W1, W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심부에 액 투과 영역(21)이 있는 것을 시사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K)은, 생리용 냅킨(1K)의 양측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다른 색에 의한 안내 요소(71)를 설치하고, 이 안내 요소(7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심부에 액 투과 영역(21)이 있는 것을 시사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액 투과 영역(21)의 시사로서는, 예컨대, 착용자의 배설부에 해당하는 위치뿐만 아니라, 그 전후로서 위치를 특정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4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L)은, 띠 형상 부재(10L)의 파지부(6Lf, 6Lr)의 소정의 위치에 후방 영역(R)을 시사하는 안내 요소(72)를 설치해도 좋다. 이 안내 요소(72)는, 예컨대, 엠보스, 착색한 핫멜트, 인쇄 등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영역과 색채를 다르게 함으로써 시사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색채의 그레데이션, 기호, 일러스트, 문자, 도형 등에 의해 시사하는 것이어도 좋다.
[2.8] 제15 실시형태 및 제17 실시형태
도 38 내지 도 4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5 실시형태 내지 제1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M, 1N, 1P)을 설명한다. 도 38 내지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5 실시형태 내지 제1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M, 1N, 1P)은, 띠 형상 부재(10)의 배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5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M)은, 생리용 냅킨 본체(5M)의 폭 방향(WD)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 본체(5M)의 길이 방향(LD)을 따라서 전방 및 후방 영역(F, R)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띠 형상 부재(10Ma, 10Mb)를 병렬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1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생리용 냅킨(1M)은, 한 쌍의 띠 형상 부재(10Ma, 10Mb)를 폭 방향(WD)에 대하여 병렬로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생리용 냅킨(1M)은, 복수 개의 띠 형상 부재를 폭 방향(WD)에 대하여 병렬로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생리용 냅킨(1M)은, 한 쌍의 띠 형상 부재(10Ma, 10Mb)를 생리용 냅킨 본체(5M)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병렬로 배치하고, 생리용 냅킨 본체(5M)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된 접합부(8Ma, 8Mb)에 있어서, 이면 시트부(3)와 접합시켜도 좋다. 이에 따라, 예컨대, 띠 형상 부재(10Ma, 10Mb)의 각각이 보행 시에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1M)은, 엉덩이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6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N)은, 생리용 냅킨 본체(5N)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영역(F, R)의 각각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띠 형상 부재(10Nf, 10Nr)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각 띠 형상 부재(10Nf, 10Nr) 사이는, 신장 영역(S)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후방 영역(R)으로 신장하는 띠 형상 부재(10Nr)를 제15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수의 띠 형상 부재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띠 형상 부재(10Nf, 10Nr)의 한쪽 또는 양쪽에 복수의 띠 형상 부재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7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Q)은, 생리용 냅킨 본체(5Q)의 두께 방향(TD)에 있어서, 2개의 띠 형상 부재(18, 19)의 각각을 적층시키도록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1Q)은, 제1 띠 형상 부재(18)와 제2 띠 형상 부재(19)를 갖는다. 제1 띠 형상 부재(18)는, 생리용 냅킨 본체(5Q)의 이면 시트부(3)와 대략 중앙부의 접합부(8C)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제2 띠 형상 부재(19)는, 제1 띠 형상 부재(18)와 후방 영역(R)에 있어서의 접합부(8r)에 있어서 제1 띠 형상 부재(18)와 접합되어 있다. 제1 띠 형상 부재(18)와 제2 띠 형상 부재(19)는, 이면 시트부(3)에 있어서, 커버부(15Q)에 싸여 있다. 또한, 제1 띠 형상 부재(18)는,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Q)의 50%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다. 제2 띠 형상 부재(19)는, 예컨대, 생리용 냅킨 본체(5Q)의 95%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띠 형상 부재(18)와 제2 띠 형상 부재(19)를 포개서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배설부로부터 후방 영역(R)에 있어서의 항문에 걸친 응력이 보다 높아져, 밀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외의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다른 생리용 냅킨 본체의 피부 접촉면측 에, 본건을 보조 패드로서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병용하는 생리용 냅킨 본체의 폭 방향(WD) 및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건의 보조 패드로부터 다른 생리용 냅킨으로 경혈이 이행하기 쉽도록, 본건의 보조 패드는 모두 액 투과성 재료로 구성하거나, 또는 액 불투과성 재료를 사용해도 부분적으로 통액 구멍이 있어도 좋다. 보조 패드로부터 경혈 등이 새어 나왔다고 해도 병용하는 생리용 냅킨 본체에 있어서 흡수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띠 형상 부재는, 흡수성 물품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결합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처리용의 띠 형상 테이프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3] 각 구성물
이하에, 생리용 냅킨의 각 구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3.1] 생리용 냅킨 본체
[3.1.1] 표면 시트부
표면 시트부(2)는, 사용 시에는 신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배설부에 접촉된다. 표면 시트부(2)는, 전면이 액 투과성이어도 좋고, 일부가 액 투과성이어도 좋다. 또한, 한 장의 시트 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시트 형상 부재가 접착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부(2)로서는, 직포, 부직포, 또는, 유공(有孔) 플라스틱 시트 등, 액 투과성을 갖는 시트 형상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직포, 부직포의 재료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천연 섬유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화학 섬유로서는, 레이 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을 그래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심초 구조(core-sheath structure) 등의 복합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를 이용한 경우에는, 웨브 포밍(web forming)으로서, 카드법, 스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및 에어레이드법 등의 건식이나 습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웨브 포밍은, 상기 건식이나 습식을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본딩의 방법으로서는,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류 교락법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스펀 레이스를 이용해도 좋다.
유공 플라스틱 시트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유공 시트나, 다공질의 발포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유공 플라스틱 시트는, 산화티탄이나 탄산칼슘 등의 필러를 0.5∼10%의 범위에서 혼입함으로써, 백탁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퍼포레이션, 히트 엠보스 가공, 또는 기계 가공 등에 의해 개공한 필름을 사용해도 좋다. 유공 필름은, 부직포와의 복합 시트로서 사용해도 좋다.
[3.1.2] 흡수체부
흡수체부(4)는, 경혈 등의 배설물을 유지 및 흡수가 가능하면 되고, 부피가 크고, 또한, 형이 붕괴되기 어려우며,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피브 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 형상 폴리머, 섬유 형상 폴리머,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케미컬 본드 처리된 에어레이드 펄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흡수체부(4)로 성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에어레이드법, 멜트 블로운법, 스펀 레이스법, 초지법(抄紙法)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에 의해 시트화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흡수체부(4)로서는, 셀룰로오스 발포체, 합성 수지의 연속 발포체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체 또는 상기 시트화한 재료를 분쇄한 후에 흡수체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펄프를 80∼100%의 범위, 입자 형상 폴리머를 20 이하의 범위에서 혼합하고, 티슈(7)로 피복한 후,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한 단위 중량이 100∼2000 g/㎡, 부피가 1∼50 ㎜인 흡수체가 바람직하다. 엠보스 가공은, 흡수체의 형 붕괴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엠보스 면적률은 10∼1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80%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부(4)의 재료의 다른 예로서는, 예컨대, 흡수 시트 및 폴리머 시트를 들 수 있다. 흡수 시트 및 폴리머 시트의 두께는, 0.3∼5.0 ㎜인 것이 바람 직하다. 이 흡수 시트 및 폴리머 시트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것이면 된다.
흡수 시트로서는, 예컨대, 흡수지나 부직포, 섬유를 바인더 등으로 시트화한 펄프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시트로서는, 예컨대, 분쇄 펄프, 및 섬유에 입자 형상 폴리머를 혼합하여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섬유에 입자 형상 폴리머를 혼합하여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시트로서는, 입자 형상 폴리머가 층 형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 삼차원 형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의 어떠한 것도 예시할 수 있다.
흡수 시트를 형성하는 재료 및 폴리머 시트에 이용되는 섬유로서는, 예컨대, 목재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등의 친수성 합성 섬유, 또는, 계면활성제 등으로 섬유 표면을 친수화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복합 섬유,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 섬유가 바람직하고, 친수성을 고려하면, 셀룰로오스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머 시트에 이용되는 입자 형상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자중의 20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겔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분, 가교 카르복시메틸화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염 및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3.1.3] 이면 시트부
이면 시트부(3)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주체로 한 열가소성 필름,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을 접합한 것,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우·스펀 본드)의 복수 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고, 단위 중량이 15∼30 g/㎡인 범위에서 얻어지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을 가지며, 장착감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띠 형상 부재에 액 불투과성 시트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이면 시트부(3)는, 표면 시트부(2)와 동일한 액 투과성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3.1.4] 접합부
표면 시트부(2) 및 흡수체부(4)는, 각각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도록 해서 접합된다. 또한, 표면 시트부(2)와 이면 시트부(3)는, 핫멜트 접착제 및 가열 압착 등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부에 의해 접착되도록 해서 접합된다. 전체적으로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각 시트에 있어서의 면과 면을 접착하고, 각 시트에 있어서의 단부를 가열 압착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부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또한, 접합은, 상기 핫멜트 접착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히트 엠보스 가공, 초음파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핫멜트 접착에 의해 접합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공 패턴은, 예컨대, 스파이럴 도공, 컨트롤 시임 도공, 코터 도공, 커튼 코터 도공, 서밋 건 도공 등을 들 수 있다. 핫멜트 접착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단위 중량은, 1∼30 g/㎡가 바람직하고, 특히 3∼1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가 선 형상으로 도공되어 있는 패 턴인 경우에는, 그 선 직경은 30∼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3.2] 띠 형상 부재
[3.2.1] 기재 시트
이면 시트부(3)가 액 불투과성 시트인 경우에 있어서는, 예컨대, 띠 형상 부재(10)의 기재 시트(11, 13)는, 표면 시트부(2)로서 예시한 액 투과성 시트를 각각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11, 13)는, 두께가 얇은 부직포이면 되고, 스펀 본드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것은, 두께가 얇은 부직포인 편이, 띠 형상 부재의 신축 상태의 원활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예컨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물결 형상의 엠보스 가공에 의한 요철 형상을 부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물결 형상의 엠보스 가공 시에 부직포가 파손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연속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 본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부(3)가 액 투과성 시트인 경우에 있어서는, 예컨대, 띠 형상 부재(10)의 기재 시트(11, 13)는, 이면 시트부(3)로서 예시한 액 불투과성 시트를 각각 이용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는, 탄성재에 대하여, 피부 접촉면측만이어도 좋고, 피부 접촉면측 및 피부 비접촉면측의 양면이어도 좋다.
[3.2.2] 탄성재
탄성재(12)는, 예컨대,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의 탄성사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엘라스토머 성분, 발포 폴리에틸렌의 발포체 등을 단독, 또는, 이들을 배합한 것을 실 형상, 띠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예시할 수 있 다.
엘라스토머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올레핀계, 스티렌계, 폴리아미드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복수를 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예컨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하드 세그먼트로, 비결정성 폴리에테르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소프트 세그먼트로 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우레탄계의 엘라스토머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저분자 글리콜, 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이고, 폴리락톤에스테르폴리올에 단쇄 폴리올의 존재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부가 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예컨대,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나 제3 성분으로서 디엔을 공중합시킨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SEBS, SIS, SEPS, SBS 등의 블록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예컨대, 나일론을 하드 세그먼트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 성분의 구성 폴리머 중에는, 탄성재의 성형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배합해도 좋다. 또한, 블로킹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증점 분기제, 무광 택제, 착색제, 그 외의 각종 개량제를 배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열이나 일그러짐에 대하여 영향이 적어 바람직하다.
[3.2.3] 접합재
기재 시트(11, 13)와 탄성재(12)와의 접합, 또는 기재 시트(11)와 기재 시트(13)와의 접합에 있어서의 접합재로서는, 예컨대, 히트 엠보스 가공, 초음파, 핫멜트형 접착제 등을 단독,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재 시트(11)에 핫멜트형 접착제를 스파이럴 도공, 코터 도공, 커튼 코터 도공, 서밋 건 도공 등의 도공 방법으로 도공하고, 그 위에 탄성재(12)를 포개며, 또한 그 위에 기재 시트(13)를 포개서 접합한다. 탄성재(12)가 기재 시트(11, 13)로부터 떨어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미리 탄성재(12)에 슬릿 도공, 컨트롤 시임 도공 등의 도공 방법으로 도공해 두어도 좋다.
핫멜트형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SEBS, SBS, SIS 등의 고무계나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를 주체로 한 감압형 접착제나 감열형 접착제,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감수성 접착제를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상기 접착제가 스며나와 버렸다고 해도, 그 시점에서는 턱(tuck)성을 갖지 않는 감열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SEBS를 5∼25%,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를 40∼60%, 방향족 변성 테르펜을 1∼10%, 첨가제를 15∼35%의 범위에서 용융 혼합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3.3] 결합재
생리용 냅킨 본체와 속옷을 결합하는 결합부에 있어서의 결합재로서는, 예컨대, 핫멜트형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핫멜트형 접착제로서는, 상온 시에 턱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감압형 접착제를 예시할 수 있다. 이 접착제의 주성분은, 상기의 접합재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하며, 구체적으로는, SEBS를 15∼25%, 가소제를 15∼35%, 점착 부여제를 40∼70%의 범위에서 용융 혼합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산화 방지제, 형광 방지제 등을 0.1∼1.0%의 범위에서 첨가해도 좋다. 단위 중량은, 10 gsm으로부터 200 gsm으로 코터 도공, 비드 도공 등에 의해, 균일, 줄무늬 형상, 도트 형상의 패턴으로 도공된다. 또한, 아크릴계의 접착제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각 테이프 형상부의 표면에 기립하는 복수의 훅부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형상부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압출 성형하고, 테이프부와 일체로 성형한 리브 구조 부분에 절단·절제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그 테이프 형상부의 표면 상에 훅부가 형성된다. 또한, 테이프 형상부 표면에 설치한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의 루프를 측방으로부터 컷트하여 훅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만일 피부를 다치게 해 버릴 위험성을 저감하기 위해서, 훅부의 단부면을 둥그스름하게 해도 좋다. 피부를 다치게 할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서, 훅부의 단(端)을 둥그스름하게 한 원형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의 형상에 의해 훅의 머리 꼭대기부에 둥그스름함을 갖게 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훅부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끝이 가 늘어지는형, T자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띠 형상 부재(10)의 피부 접촉면측에 결합재(9)를 설치함으로써, 속옷과는 고정시키지 않고, 착용자의 신체측과 고정시키는 결합재(9)로서는, 수용성 고분자, 가교제, 가소제, 수분으로 이루어지는 겔 점착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고분자의 예로서는, 젤라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가교제의 예로서는,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과 같은 수용성 금속염이, 가소제의 예로서, 글리세린, 왁스, 파라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감압형 접착제나 결합재(9)에 대해서는, 턱성을 갖는 부분을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박리지인 박엽지에 실리콘 수지를 코트한 시트 또는 필름에 실리콘 수지를 코트한 시트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관 시에 있어서의 점착부의 오손(汚損)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21)

  1.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일부 또는 전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중 일단 또는 양단측에 결합부가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일부 또는 전부가 연신 가능하게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일부 또는 전부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연신 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긴 흡수성 물품.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는, 비연신 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긴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양단측의 각각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외연부로부터 일부 또는 전부가 연장되는 파지부(把持部)가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는,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싸고, 상기 띠 형상 부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전부를 싸는 커버부가 더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다른쪽측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와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연신 방향을 시사하는 안내 요소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각각에는, 결합부가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일부 또는 전부가 액 불투과성의 재료를 갖는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30% 이상의 범위에 있는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는, 띠 형상의 기재 시트와 탄성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
  14. 착의에 있어서의 내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신체에 접촉시켜 사용되는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일부 또는 전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 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띠 형상 부재와, 상기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중 일단 또는 양단측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사용 시에 있어서, 연신시킨 상태에서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결합부를 피결합체와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를 상기 한쪽측으로 밀어올리는 흡수성 물품.
  15. 제1 사용형태와, 제2 사용형태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일부 또는 전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띠 형상 부재와, 상기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중 일단 또는 양단측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띠 형상 부재를 피결합체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제1 사용형태와, 상기 띠 형상 부재를 상기 피결합체에 결합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제 2 사용형태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형태는, 상기 띠 형상 부재를 연신한 상태에서, 상기 피결합체와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를 한쪽측으로 밀어올리는 흡수성 물품.
  17.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일부 또는 전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중 일단 또는 양단측에 결합부가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일부 또는 전부가 연신 가능하게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부재는, 일부 또는 전부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20.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일부 또는 전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 각각이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띠 형상 부재의 각각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다른쪽측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띠 형상 부재의 각각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중 일단 또는 양단측에 결합부가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
  21.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에 배치되는 일부 또는 전부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이며, 상기 표면 시트부의 상기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다른쪽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의 상기 길이 방향이며, 각각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각 띠 형상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다른쪽측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 띠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이 상기 흡수성 물품 본체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띠 형상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측에는, 결합부가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
KR1020087025111A 2006-06-02 2007-06-01 흡수성 물품 KR101208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55114 2006-06-02
JP2006155114A JP4890947B2 (ja) 2006-06-02 2006-06-02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65A true KR20090024665A (ko) 2009-03-09
KR101208886B1 KR101208886B1 (ko) 2012-12-05

Family

ID=3880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111A KR101208886B1 (ko) 2006-06-02 2007-06-0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40225A1 (ko)
EP (1) EP2025313A4 (ko)
JP (1) JP4890947B2 (ko)
KR (1) KR101208886B1 (ko)
CN (1) CN101484118B (ko)
WO (1) WO2007142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28693T3 (es) 2003-02-12 2013-1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ATE523180T1 (de) 2003-02-12 2011-09-15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JP5154106B2 (ja) * 2006-06-02 2013-0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54143B2 (ja) * 2006-06-02 2013-0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819580B2 (ja) 2006-06-02 2011-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087866A4 (en) 2006-11-22 2011-12-28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DE112008000010B4 (de) 2007-06-18 2013-08-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inwegabsorptionsartikel mit im wesentlichen kontinuierlich verteilten, teilchenförmigem polymerem Absorptionsmateria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5259705B2 (ja) 2007-06-18 2013-08-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ほぼ連続的に分布した吸収性粒子状ポリマー材料を含む封止された吸収性コアを備え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CN102014826A (zh) 2008-04-29 2011-04-13 宝洁公司 制造具有抗应变芯覆盖件的吸收芯的方法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WO2012040906A1 (zh) * 2010-09-28 2012-04-05 富士通株式会社 基站及其通信资源分配方法、用户设备及其通信控制方法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BR112013030593B1 (pt) 2011-06-10 2021-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strutura absorvente para artigos absorventes
PL3338750T5 (pl) 2011-06-10 2023-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CN105816277A (zh) 2011-06-10 2016-08-03 宝洁公司 一次性尿布
CA2838980A1 (en) 2011-06-10 201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PL2532328T3 (pl) 2011-06-10 2014-07-31 Procter & Gamble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orzenia struktur chłonnych z materiałem chłonnym
EP2532332B2 (en)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USD714029S1 (en) 2011-08-17 2014-09-30 The Underwares Group, Llc Panel for lower body garment
US9713351B2 (en) 2011-08-17 2017-07-25 The Underwares Group, Llc Undergarment and gusset therefor
JP6022216B2 (ja) * 2012-05-31 2016-11-09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の後処理テープ、及び後処理テープ付き紙おむつ
RU2635070C2 (ru) 2012-11-13 2017-11-08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с каналами и знаками
EP2740452B1 (en) 2012-12-10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D699921S1 (en) * 2013-03-13 2014-02-25 Michelle L Wexler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USD718918S1 (en) 2013-03-15 2014-12-09 The Underwares Group, Llc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pointed end
USD713619S1 (en) 2013-03-15 2014-09-23 The Underwares Group, Llc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pointed ends
EP2813201B1 (en) 2013-06-14 2017-11-0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789011B2 (en) 2013-08-27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CN105555243A (zh) 2013-09-16 2016-05-04 宝洁公司 带有通道和信号的吸收制品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886092B1 (en) 2013-12-19 2016-09-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c-wrap seals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USD724818S1 (en) 2014-02-21 2015-03-24 The Underwares Group, Llc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lips shape
USD724819S1 (en) 2014-03-06 2015-03-24 The Underwares Group, Llc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butterfly shape
US10271997B2 (en) 2014-04-08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DE112014006804T5 (de) * 2014-08-28 2017-05-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erlängerbarer absorbierender artikel
EP3270857B1 (en) 2015-03-16 2019-12-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GB2555016B (en) 2015-03-16 2021-05-12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BR112017024325A2 (pt) 2015-05-12 2018-07-24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com um adesivo aprimorado entre o núcleo e a camada inferior
CN107683126A (zh) 2015-05-29 2018-02-09 宝洁公司 具有槽和润湿指示标记的吸收制品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BR112018015938B1 (pt) 2016-02-29 2023-04-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MX2018009555A (es) 2016-02-29 2018-09-10 Kimberly Clark Co Articulo absorbente con elemento de proteccion con trasero plano.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CN105769448A (zh) * 2016-05-03 2016-07-20 杭州余宏卫生用品有限公司 吸液透气抗血无渗漏卫生巾
JP6203906B1 (ja) * 2016-06-14 2017-09-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27324B1 (ja) * 2016-11-24 2018-05-2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6901905A (zh) * 2017-03-02 2017-06-30 广东茵茵股份有限公司 带衣物的吸湿用品
CN110891536B (zh) * 2017-08-22 2022-09-09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带有液体侧阻挡件的一次性卫生物品
JP6588667B2 (ja) * 2019-01-07 2019-10-09 正雄 千後瀧 便失禁専用パッド及び便失禁専用おむつ
JPWO2024080054A1 (ko) * 2022-10-12 2024-04-18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835A (en) * 1932-03-24 1935-11-05 Voss Walter Catamenial bandage
US3587580A (en) * 1969-04-07 1971-06-28 Jones Sr John L Two-piece sanitary belt
US4050462A (en) * 1976-03-29 1977-09-27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elastically constricted crotch section
US4605405A (en) * 1983-09-26 1986-08-12 Kimberly-Clark Corporation Dynamically moveable napkin
US4609373A (en) * 1983-10-03 1986-09-02 Kimberly-Clark Corporation Sanitary napkin with attachment means
US4753648A (en) * 1987-05-08 1988-06-28 Personal Products Company Sanitary napkin adhesively attached via elastic member
JPH03101933U (ko) 1990-02-05 1991-10-23
US5824004A (en) * 1990-06-18 1998-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s
US5702382A (en) * 1990-06-18 1997-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ensible absorbent articles
SK38093A3 (en) * 1991-07-23 1993-10-06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having resilient center
GR1002279B (el) * 1991-09-03 1996-05-02 Mcneil-Ppc Inc. Απορροφητικο αντικειμενο το οποιο εχει μια συσκευη ανθισταμενη σε παραμορφωση.
BR9307085A (pt) 1992-09-21 1999-03-30 Procter & Gamble Absorvente feminino
EG20712A (en) * 1993-07-23 1999-12-29 Procter & Gamble Stretchable absorbent structure
US5618282A (en) * 1995-10-16 1997-04-08 Kimberly-Clark Corporation Removal aids for adhesively secured absorbent articles
US5885268A (en) * 1996-12-18 1999-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having decoupled topsheet and topsheet support strip
JP3819127B2 (ja) 1997-09-30 2006-09-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WO1999055268A1 (en) * 1998-04-28 1999-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US6413249B1 (en) * 1998-06-12 2002-07-02 First Quality Enterprises,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 and sides
US6322552B1 (en) * 1998-06-19 2001-1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belt loops and an adjustable belt
ATE228345T1 (de) * 1998-06-30 2002-12-15 Procter & Gambl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mformung einer zweidimensionalen damenbinde in eine dreidimensionale damenbinde
US20010041879A1 (en) * 2001-03-01 2001-11-15 First Quality Enterprises,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fastening system
SE9904839L (sv) * 1999-12-29 2001-06-30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astsättningsanordningar
US6613031B2 (en) * 2000-12-22 2003-09-02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intergluteal strip
CA2446002A1 (en) *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al pad individual packaging vessel
EP1407742B1 (en) * 2001-05-22 2009-03-04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al pad
JP4426163B2 (ja) * 2001-10-02 2010-03-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別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02766B2 (ja) * 2002-01-15 2007-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262561B2 (ja) 2003-09-26 2009-05-13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尿取りパッド
JP5154143B2 (ja) * 2006-06-02 2013-0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819580B2 (ja) * 2006-06-02 2011-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70282257A1 (en) * 2006-06-05 2007-12-06 Schatz Richard A Myocardial injector with balloon abutment
JP5144917B2 (ja) * 2006-11-17 2013-0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24794B2 (ja) * 2007-12-05 2013-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90947B2 (ja) 2012-03-07
JP2007319543A (ja) 2007-12-13
KR101208886B1 (ko) 2012-12-05
US20090240225A1 (en) 2009-09-24
CN101484118A (zh) 2009-07-15
CN101484118B (zh) 2013-07-10
WO2007142145A1 (ja) 2007-12-13
EP2025313A1 (en) 2009-02-18
EP2025313A4 (en)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886B1 (ko) 흡수성 물품
KR101311639B1 (ko) 흡수성 물품
KR101208765B1 (ko) 흡수성 물품
KR100801943B1 (ko) 음순간 패드
JP5154106B2 (ja) 吸収性物品
EP2380542A1 (en) Absorbent article
EP2380541A1 (en) Absorbent article
JP4790528B2 (ja) 補助パッド及び補助パッド付き吸収性物品
JP4178043B2 (ja) 陰唇間パッド
JP4178044B2 (ja) 陰唇間パッド及びその包装体
WO2002045636A1 (en) Tapering absorbing article with side bodies
WO2022118734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