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504A - 보청기 - Google Patents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504A
KR20090023504A KR1020097001433A KR20097001433A KR20090023504A KR 20090023504 A KR20090023504 A KR 20090023504A KR 1020097001433 A KR1020097001433 A KR 1020097001433A KR 20097001433 A KR20097001433 A KR 20097001433A KR 20090023504 A KR20090023504 A KR 20090023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electromotive force
voltage
circui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387B1 (ko
Inventor
준지 이마이
히토시 마키나가
히로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2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2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1Behind the ear [BTE]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1Behind the ear [BTE] hearing aids
    • H04R2225/0216BTE hearing aids having a receiver in the ear mou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1Aspects of the use of accumulators in hearing aids, e.g. rechargeable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지의 교환 작업이나 충전 작업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함이 없이, 사용시에는 전원의 공급이 확실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음성을 모으고, 집음한 음성을 증폭하며, 증폭된 음성을 출력하는 보청기(1a, 1b, 1c 및 1d)에서, 인체 접촉부와 외기 접촉부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펠티에 모듈(Peltier module)(20)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을 승압하고, 승압된 전압에 의해 집음장치(11 및 12), 컨트롤러 IC(15), 스피커(4a)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현한다.
보청기, 승압기, 기전력, 집음장치, 펠티에

Description

보청기{HEARING AID}
본 발명은 집음한 음성을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청각 기능을 보충하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집음한 음성을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청력의 저하를 보충하는 보청기가 고안되어 실시되어왔다. 이러한 보청기는, 사용자의 기호나 사용상황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일본특허출원공개 특개평7-162997호에 개시되어 있는, 귀걸이형(Behind-the-Ear(BTE))과 귓구멍형(Completely-in-Canal(CIC))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어느 쪽의 경우도 보청기는 내장전지나 충전지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사용 빈도 또는 시간에 따라서 전원공급이 갑자기 정지해 버려, 보청기로서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항상 있다.
이와 같이 내장 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보청기에서는 전지의 교환 시기나 충전 시간을 미리 소리로 알림으로써 갑작스러운 전원공급의 정지를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지 교환 작업이나 충전 작업은 매일 사용하는 보청기에 있어서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전지 교환 작업이나 충전 작업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함이 없이, 사용시 확실하게 전원을 공급 할 수 있는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청기는 음성을 모으는 집음(集音)장치와, 상기 집음장치에 의해 집음한 음성을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인체에 접촉하는 인체 접촉부와, 외기와 접촉하는 외기 접촉부와, 상기 인체 접촉부와 상기 외기 접촉부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electromotive force)를 발생시키는 열전 소자(thermoelectric device)와, 상기 열전 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을 승압하는 승압기(booster)와, 상기 승압기에 의해 승압된 전압에 의해 상기 집음장치, 상기 증폭기, 상기 출력장치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보청기는, 상기 열전 소자에 의해 발생된 기전력 중, 집음한 음성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데 필요한 전압 이외의 전압을 잉여전압으로서 저장하는 축전기(capaciot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열전 소자에 의해 발생된 기전력의 저하에 따라 상기 축전기에 저장된 잉여전압에 의해 상기 집음장치, 상기 증폭기, 상기 출력장치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보청기는, 상기 승압기가 입체 회로 기판 위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보청기는, 상기 축전기가 입체 회로 기판 위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보청기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보청기의 트랜스식 승압 회로(boosting transformer circuit)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1a)는, 보청기(1a)의 주요 회로가 조립되고 사용자의 귀의 윗부분에 걸 수 있는 형상으로 된 본체부(main unit)(2), 본 체부(2)로부터 뻗어져 나온 케이블(cable)(3) 및 케이블(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본체부(2)에 의해 집음된 음성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어폰(earphone)(4)을 포함한다. 보청기(1a)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를 사용자의 귀의 윗부분에 걸고, 이어폰(4)을 귓구멍에 삽입하여 사용된다.
다음에, 도 2에 도시된 도 1a의 종단면도와 도 3에 도시된 블록도를 참조하여, 보청기(1a)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의 본체부(2)는 집음장치(11 및 12), 분압회로(voltage divider circuit)(13), 승압 회로(14) 및 제어 IC(Integrated Circuit)(15)가 설치된 입체 회로 기판(10); 열전발전(熱電發電)을 행하는 펠티에 모듈(Peltier module)(20); 열전도 그리스(grease)(18)을 통해 펠티에 모듈(20)의 저온 측에 밀착하도록 접속된 열전도 탄소섬유(carbon-fiber) 시트(16); 및 열전도 그리스(19)를 통해 펠티에 모듈(20)의 고온 측에 밀착하도록 접속된 열전도 탄소섬유 시트(17)를 포함한다.
입체 회로 기판(10)은 전자 부재(electronic component)의 고밀도 실장(mounting)을 실현하기 위한 기판이며, 상기 보청기(1a)의 한정된 실장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집음장치(11 및 12)는 외부의 음성을 모으는, 소위 마이크로폰(microphone)이다. 본체부(2)를 사용자의 귀에 걸 때, 집음장치(11)는, 입체 회로 기판(10) 상에서, 앞쪽이나 위쪽으로부터 오는 음성을 모을 수 있는 원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집음장치(12)는 뒤쪽으로부터 오는 음성을 모을 수 있는 원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음장치(11 및 12)에 의해 집음한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된 다음 제어 IC(15)에 출력된다.
펠티에 모듈(20)은 제벡효과(Seebeck effect)에 의거해 온도차와 물질의 물리적 성질에 의해 정해지는 열전발전을 이용함으로써 열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 소자이다. 예를 들어, 펠티에 모듈(20)은 4mm×4mm의 질화 알루미늄(aluminum nitride) 기판 위에 Bi(Bismuth)-Te(Tellurium)계의 재료로 형성된 0.45×0.5mm 크기의 P형 펠티에 소자와 N형 펠티에 소자를 각각 12개씩 실장하여 이루어지고,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6개의 펠티에 모듈(20)을 직렬로 접속하여 충분한 기전력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P형 펠티에 소자의 제벡계수를 205㎶/K 라고 하고, N형 펠티에 소자의 제벡계수를 -200㎶/K 라고 하면, 외기 온도와 체온의 온도차가 2℃정도에서 보청기(1a)의 각 회로 부재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분압 회로(13)는 펠티에 모듈(20)에 의해 발생된 기전력을 분압(예를 들면, 0.03V 정도로)하고, 승압 회로(14)에 출력함과 동시에, 분압에 의해 남은 잉여전압의 방전을 제어하는 IC이다.
승압 회로(14)는, 분압 회로(13)에서 분압되고 펠티에 모듈(20)에서 발생된 기전력을 승압한다. 예를 들면, 승압 회로(14)는, 분압 회로(13)로부터 출력된 0.03V의 분압값을 50배(1.5V)로 승압하여, 입체 회로 기판(10) 상에 실장된 각 회로에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또한, 승압 회로(14)에 의해 승압된 승압값은, 케이블(3)을 통해 이어폰(4) 내에 설치되는 스피커(4a)에도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된 다.
제어 IC(15)는, 상기 보청기(1a)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IC(15)는, 집음장치(11 및 12)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의 잡음제거나, 증폭처리 등과 같은 음질조정을 실행한다.
본체부(2)의 하우징(housing)은, 상기 보청기(1a)를 사용자의 귀에 걸어 사용할 때, 외기에 접촉하는 부분은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Liquid Crystal Polyester package)(2a)로 형성되고,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도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b)로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본체부(2)의 하우징은 유리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c)로 형성되어,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a)와 탄소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b)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도 있다. 본체부(2)의 하우징의 두께는 약 0.5mm이다. 또한,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a 및 2b)는 각각 30%의 탄소 섬유를 함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에 모듈(20)의 저온 측(윗면)에 열전도 그리스(18)를 통해 밀착도를 높이도록 접속된 열전도 탄소 섬유 시트(16)는, 보청기(1a)의 본체부(2)의 하우징의 일부인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a)와 접촉하도록 유도된다. 이에 의하여 외기에 접촉하는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a)로부터의 외기 온도를 펠티에 모듈(20)의 저온 측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펠티에 모듈(20)의 고온 측(아랫면)에 열전도 그리스(19)를 통해 밀착도를 높이도록 접속된 열전도 탄소 섬유 시트(17)는, 보청기(1a)의 본체부(2)의 하 우징의 일부인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b)와 접촉하도록 유도된다. 이에 의하여 인체에 접촉하는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b)로부터의 사용자의 체온을 펠티에 모듈(20)의 고온 측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열전도 그리스(18 및 19) 대신, 열전도 시트와 같은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시트를 사용해도 좋다.
[제1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1a)는, 본체부(2)의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는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a), 열전도 탄소 섬유 시트(16), 열전도 그리스(18)를 통해 펠티에 모듈(20)의 저온 측에 외기 온도를 전달하고, 또한 본체부(2)의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는 탄소 섬유로 채워진 LCP 패키지(2b), 열전도 탄소 섬유 시트(17), 열전도 그리스(19)를 통해 펠티에 모듈(20)의 고온 측에 사용자의 체온을 전달한다.
이에 의해, 펠티에 모듈(20)은 제벡 효과에 의하여 외기 온도와 체온 사이의 온도차에 의거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기전력의 일부를 승압 회로(14)에 의해 원하는 전압으로 승압하여, 보청기(1a)를 동작시키는데 필수적인 입체 회로 기판(10) 에 실장된 각 회로와, 이어폰(4) 내의 스피커(4a)에 전지 교환이나 충전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함이 없이 확실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이어서,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1b)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청기(1b)의 외관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보청기(1a)의 외관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1b)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1a)의 구성에 단지 축전기(21)를 부가한 것뿐이므로, 중복하는 부분에 대해서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1a)에서는, 분압 회로(13)에 의해 필요한 전압만 승압 회로(14)에 출력하지만, 보청기(1b)에서는, 축전기(21)에 의해 잉여전압을 축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압 회로(13)은 펠티에 모듈(20)로부터의 기전력이 승압 회로(14)에 의해 승압된 경우에도, 충분히 전원 공급을 할 수 없을 만큼 전압이 떨어진(예를 들면, 0.03V 이하) 경우에, 축전기(21)에 축전되어 있는 전압을 부족 전압으로서 판독하여, 판독된 전압을 승압 회로(14)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b)는, 상술한 보청기(1a)의 경우와 같이, P형 펠티에 소자의 제벡계수를 205㎶/K 라고 하고, N형 펠티에 소자의 제벡계수를 -200㎶/K 라고 하면, 외기 온도와 체온의 온도차가 2℃정도에서 보청기(1b)의 각 회로 부재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b)는, 예를 들면, 외기 온도와 체온 사이의 온도차가 3℃정도인 곳에서 보청기(1b)를 약 3시간 동안 사용하여 축전기(21)에 잉여전압을 축전하면, 외기 기온과 체온의 사이의 온도차가 1℃밖에 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약 1시간 동안이나 동작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b)는, 펠티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기전력 중 승압회로(14)로 공급하지 않는 잉여전압을 축전 기(21)에 축전한다.
이에 의해, 펠티에 모듈(20)에서 발생한 기전력의 저하에 의하여 승압 회로(14)에 충분한 전압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축전기(21)에 축전된 전압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전원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이어서,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c)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청기(1c)의 외관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보청기(1a)의 외관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1c)는, 제1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a)의 승압 회로(14) 대신에, 단지 트랜스식 승압 회로(boosting transformer circuit)(22)를 추가만 한 것이므로, 중복하는 부분에 대해서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분압 회로(13)는, 펠티에 모듈(20)에서 발생된 기전력을 분압(예를 들면, 0.035V 정도로)하여, 트랜스식 승압 회로(22)에 출력하는 동시에, 분압에 의해 남은 잉여전압을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IC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식 승압 회로(22)는, 입체 회로 기판(10)에 코일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압 회로(13)에서 분압되고 펠티에 모듈(20)에서 발생된 기전력을 승압한다. 도 8은 트랜스식 승압 회로(22)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식 승압 회로(22)는 3단으로 되어 있고, 1단에서 3.5배 승압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트랜스식 승압 회로(22)는, 분압 회로(13)로부터 출력된 0.035V의 분압값을 3.5×3.5×3.5 배(약 1.5V)로 승압하여 입체회로 기판(10)에 실장된 각 회로의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또한, 트랜스식 승압 회로(22)에서 승압된 승압값은 케이블(3)을 통해 이어폰(4) 내에 설치된 스피커(4a)에도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c)는, 상술한 보청기(1a)의 경우와 같이, P형의 펠티에 소자의 제벡계수를 205㎶/K 라고 하고, N형의 펠티에 소자의 제벡계수를 -200㎶/K 라고 하면, 외기 기온과 체온 사이의 온도차가 2.5℃정도에서 보청기(1c)의 각 회로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c)의 펠티에 모듈(20)은, 제벡 효과에 의해 외기 온도와 체온과의 온도차에 의거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기전력의 일부를 트랜스식 승압 회로(22)에 의해 원하는 전압으로 승압하여, 보청기(1c)를 작동시키는데 필수인 입체 회로 기판(10)에 실장된 각 회로와, 이어폰(4)의 스피커(4a)에 전지 교환이나 충전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함이 없이 확실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식 승압 회로(22)는, 입체 회로 기판(10)에 조립되기 때문에, 본체부(2)의 한정된 실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보청기(1c)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또한,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d)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청기(1d)의 외관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보청 기(1a)의 외관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1d)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보청기(1c)의 구성에 단지 축전기 회로(23)가 부가된 것뿐이므로, 중복하는 부분에 대해서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c)에서는, 분압 회로(13)에 의해 필요한 전압만 트랜스식 승압 회로(22)에 출력하도록 되어있지만, 보청기(1d)에서는, 축전기 회로(23)에 의해 잉여전압을 축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전기 회로(23)는, 유전체막(dielectric film)(23c)을 전극막(electrode film)(23a 및 23b) 사이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입체 회로 기판(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소정 면적의 전극막(23a)을 구리 도금에 의해 형성하고, 그 위에 스크린 인쇄(screen-printed)에 의해 인쇄하여, 고체화시킴으로써 유전체막(23c)을 형성한다. 다음에, 입체 회로 기판(10) 위에 배선 등의 회로를 형성하고, 유전체막(23c) 위에 구리 도금으로 전극막(23b)을 형성함으로써, 입체 회로 기판(10) 위에 축전기 회로(23)를 형성한다.
분압 회로(13)는, 펠티에 모듈(20)로부터의 기전력이, 트랜스식 승압 회로(22)에서 승압된 경우에도 충분히 전원을 공급할 수 없을 정도로 전압저하(예를 들면, 0.035V 이하)한 경우에, 축전기 회로(23)에 축전되어 있는 전압을 부족 전압으로서 판독해서 트랜스식 승압 회로(22)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d)는, 상술한 보청기(1c)의 경우와 같이, P형의 펠티에 소자의 제벡계수를 205㎶/K 라고 하고, N형의 펠티에 소자 의 제벡계수를 -200㎶/K 라고 하면, 외기 기온과 체온 사이의 온도차가 2.5℃정도에서 보청기(1d)의 각 회로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d)는, 예를 들면, 외기 온도와 체온 사이의 온도차가 3℃정도인 곳에서 보청기(1d)를 약 3시간 동안 사용하여 축전기 회로(21)에 잉여전압을 축전하면, 외기 기온과 체온의 사이의 온도차가 2℃밖에 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약 2시간 동안이나 동작시킬 수 있다.
[제4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로서 나타낸 보청기(1d)는, 펠티에 모듈(20)에서 발생하는 기전력 중 트랜스식 승압 회로(22)로 공급하지 않는 잉여전압을 축전기 회로(23)에 축전한다.
이에 의해, 펠티에 모듈(20)에서 발생한 기전력의 저하에 의하여 트랜스식 승압 회로(22)에 충분한 전압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축전기 회로(23)에 축전된 전압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전원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축전기 회로(23)는, 소위 얇은 막 기술(thin-film technology)에 의해 입체 회로 기판(10) 위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2)의 한정된 실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보청기(1d)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 실시형태 이외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라면, 설계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교환이나 충전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함이 없이 사용시에는 확실하게 전원 공급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 소자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의 저하에 의해 승압기에 충분한 전압을 공급할 수 없을 경우에는, 축전기에 축전된 전압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전원 공급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압기는 입체 회로 기판에 직접 형성되고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청기의 한정된 실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보청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축전기가 입체 회로 기판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청기의 한정된 실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보청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음성을 모으는 집음(集音)장치와,
    상기 집음장치에 의해 집음한 음성을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인체에 접촉하는 인체 접촉부와,
    외기에 접촉하는 외기 접촉부와,
    상기 인체 접촉부와 상기 외기 접촉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electromotive force)을 발생시키는 열전 소자(thermoelectric device)와,
    상기 열전 소자에 의해 발생한 기전력을 승압하는 승압기(booster)와,
    상기 승압기에 의해 승압된 전압에 의해 상기 집음장치, 상기 증폭기, 상기 출력장치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와,
    인체에 접촉하는 상기 인체 접촉부의 온도를 상기 열전 소자의 고온 측으로 전도시키는 제1열전도 시트(sheet)와,
    외기에 접촉하는 상기 외기 접촉부의 온도를 상기 열전 소자의 저온 측으로 전도시키는 제2열전도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한 기전력 중, 집음한 음성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데 필요한 전압 이외의 전압을 잉여전압으로서 축전(蓄電)하는 축전기(capaciotr)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열전 소자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의 저하에 따라, 상기 축전기에 축전된 잉여전압에 의해 상기 집음장치, 상기 증폭기, 상기 출력장치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기는 입체 회로 기판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기는 상기 입체회로기판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KR1020097001433A 2006-08-11 2007-08-10 보청기 KR101023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20445A JP2008048067A (ja) 2006-08-11 2006-08-11 補聴器
JPJP-P-2006-220445 2006-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504A true KR20090023504A (ko) 2009-03-04
KR101023387B1 KR101023387B1 (ko) 2011-03-18

Family

ID=3903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433A KR101023387B1 (ko) 2006-08-11 2007-08-10 보청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31893B2 (ko)
EP (1) EP2051544A4 (ko)
JP (1) JP2008048067A (ko)
KR (1) KR101023387B1 (ko)
CN (1) CN101502130A (ko)
WO (1) WO2008018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3923B1 (ja) 2009-06-09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補聴器
JP4554718B1 (ja) * 2009-06-12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補聴器
PL2506600T3 (pl) * 2011-04-01 2016-12-30 Zasilacz dla aparatu słuchowego lub układu wspomagania słuchu
JP5854498B2 (ja) * 2011-08-29 2016-02-09 有限会社工北サーモ 電子回路、温度測定方法、プログラム、火災警報器および火災警報受信出力装置
FR2999734B1 (fr) * 2012-12-19 2014-12-26 Jean-Paul Borreau Equipement comprenant au moins un module actif a alimentation electrique et destine a etre porte par la tete d'un individu
CN103546856B (zh) * 2013-09-26 2018-12-25 闽西职业技术学院 碳纤维通讯耳机附架的制备方法
CN105898661A (zh) * 2016-06-14 2016-08-24 电子科技大学 一种可自发充电的助听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7670A (en) * 1953-02-27 1957-04-02 Douglas H Rowland Hearing aid
US4689294A (en) 1984-11-19 1987-08-25 Miles Laboratories, Inc. Enhancement of hybridization of nucleic acids by anionic polymers
JPS61128900U (ko) * 1985-01-30 1986-08-12
FR2611283B1 (fr) * 1987-02-19 1989-06-09 Em Microelectronic Marin Sa Dispositif comportant un circuit electronique de traitement d'un signal analogique
JP2994929B2 (ja) 1993-12-07 1999-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耳掛け型補聴器
DE19530382A1 (de) * 1995-08-18 1997-02-20 Meiners Hors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elektrischem Strom und Verwendung des Verfahrens und der Vorrichtung
CA2190787C (en) 1996-11-20 2000-02-01 Jeremy A. Agnew A gain compression amplifier providing a linear compression function
DE19827898C1 (de) * 1998-06-23 1999-11-11 Hans Leysieff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sorgung eines teil- oder vollimplantierten aktiven Gerätes mit elektrischer Energie
JP2000090221A (ja) 1998-09-09 2000-03-31 Hitachi Maxell Ltd 非接触型icカード
US7327850B2 (en) * 2003-07-15 2008-02-05 Bose Corporation Supplying electrical power
JP2005050130A (ja) * 2003-07-29 2005-02-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cカード電力制御方法及びicカード
JP4422548B2 (ja) 2004-05-17 2010-02-24 学校法人立命館 熱電変換デバイス
JP2006013133A (ja) 2004-06-25 2006-01-12 Toshiba Corp 熱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熱電変換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8527052B2 (en) * 2004-07-12 2013-09-03 Cochlear Limited Thermoelectric power supply
JP4330541B2 (ja) * 2005-01-31 2009-09-16 ヤマハ株式会社 体温利用発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人工内耳システム
DE102005032291B3 (de) * 2005-07-11 2006-12-21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vorrichtung mit thermoelektrischem Wandler
AU2008284042B2 (en) * 2007-08-03 2013-06-27 Scion NeuroStim, Inc. Vestibular stimul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1544A1 (en) 2009-04-22
JP2008048067A (ja) 2008-02-28
WO2008018586A1 (fr) 2008-02-14
EP2051544A4 (en) 2011-10-05
US20090238390A1 (en) 2009-09-24
US8031893B2 (en) 2011-10-04
KR101023387B1 (ko) 2011-03-18
CN101502130A (zh)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387B1 (ko) 보청기
US8160655B2 (en) Automatic recharging wireless headset
US20210313837A1 (en) Portable device, charging system, and power source circuit substrate
EP2898705B1 (en) Cic hearing device
US8971558B2 (en) Hearing device with external electrode
US5303305A (en) Solar powered hearing aid
US20190149041A1 (en) Switched capacitor dc-dc converter comprising external and internal flying capacitors
CN105594230B (zh) 助听器以及助听器充电系统
US20080192967A1 (en) Circuit arrangement with bonded SMD component
US8098862B2 (en) Hearing apparatus with a special charging circuit
US2006026177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olar Cell
WO2008041479A1 (fr) Dispositif de sortie audio
US11659339B2 (en) Battery module and hearing device
US20210211815A1 (e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al device worn in the ear canal, electrical device, charging module, and hearing system
JP6604708B2 (ja) 補聴器
WO2012016587A1 (en) Rechargeable partially implantable hearing instrument
CN109314830B (zh) 固持助听器电子构件的电子元件框架、助听器及其套装
US20130114838A1 (en) Hearing device with a battery compartment
KR101476401B1 (ko) 일체형 전자부품 모듈을 갖는 보청기
TW201717511A (zh) 用於電力產生之方法、系統及設備
EP1414267A2 (en) Miniaturized loudspeakers
CN2572704Y (zh) 骨传导助听器
US20080298617A1 (en) Hearing aid component holder with battery cavity
US20240171071A1 (en) An ear level audio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ear level audio device
JP2008177920A (ja) 耳かけ形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