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594A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594A
KR20090022594A KR1020070088093A KR20070088093A KR20090022594A KR 20090022594 A KR20090022594 A KR 20090022594A KR 1020070088093 A KR1020070088093 A KR 1020070088093A KR 20070088093 A KR20070088093 A KR 20070088093A KR 20090022594 A KR20090022594 A KR 20090022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bar
bridge
transformer ba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1842B1 (ko
Inventor
권헌석
Original Assignee
새턴정보통신(주)
권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턴정보통신(주), 권헌석 filed Critical 새턴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07008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8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제 1통전편(14) 일측에 제 1연결단자(13)가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제 1브릿지(15)가 일체로 연결형성된 제 1통전편(14)이 구비된 제 1트랜스바아(16) 및; 제 2통전편(18) 일측에 제 2연결단자(17)가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제 2브릿지(19)가 일체로 연결형성된 제 2통전편(18)이 구비된 제 2트랜스바아(20)를 갖추고서, 보호몸체(1)에 내설된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접속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주개폐기(5)에 제 1연결단자(13)와 제 2연결단자(17) 및 제 1접점(3)과 제 2접점(4)을 매개로 접속되고, 상기 제 1브릿지(15) 및 제 2브릿지(19)를 매개로 분기개폐기(9)에 형성된 제 1분기접점(7)과 제 2분기접점(8)에 각각 접속되게 되어, 접속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배전, 브릿지, 트랜스바아, 절연재

Description

배전반{A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주개폐기 및 이에 연결되는 분기개폐기의 통전 부위에서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전체적인 크기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전반은,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원선을 통해 송전되는 외부전원과 각종 전열기구에 사용되는 내부전원을 연결시켜 송전선로를 구축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최근 들어 분지부에서의 연결 및 접속이 용이하도록 얇은 바아 형태의 송전수단을 매개로 배전라인을 형성하는 예가 증가되고 있다.
이 같은 배전반은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이루는데, 즉, 수용부를 갖춘 박스형태의 케이스(80) 및 이 케이스(80)에 내장되어 외부전원과 직접 연결되는 주개폐기(81), 실내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분기선(82)과 연결되는 분기개폐기(83), 상기 주개폐기(81) 및 분기개폐기(83)간에 연결되는 통전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주개폐기(81)는 누전차단기(도시되지 않음)와 제 1단자(85) 및 제 2단자(86)를 갖추고서 외부전원공급선(87)과 연결되고, 상기 분기개폐기(83)는 대향되는 1쌍이 1조를 이루면서 절연거리 유지를 위해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 배열설치된다.
또한, 상기 통전수단은 일측에 접점부가 형성된 1쌍의 지지바아(90), 체결공이 형성된 하향절곡부를 갖추고서 지지바아(90)상에서 횡방향으로 사다리형태로 배열되는 통전바아(92)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바아(90)에는 체결공과 동일크기로 또 다른 체결공이 소정간격이 유지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이 같은 구조를 이룬 배전반은 전원을 분기시키면서 과전류 및 단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감전 및 누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주통전바아(90)와 보조통전바아(92)가 고정나사(94)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접속력이 약화될 염려가 있다.
즉, 상기 제 1단자(85) 및 제 2단자(86)에 각각 지지바아(90)의 일측이 고정나사를 매개로 연결되고, 지지바아(90)에 연결되는 통전바아(92) 역시 고정나사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나사의 조임력이 느슨해지면 접점부분의 접속력 감소로 단락되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해 스파크가 발생 되면 화재가 발생될 위험도 있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아(90)는 주개폐기(81) 및 지지대(도 8 참조)를 매개로 양쪽 끝부분이 얹혀지는 형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고, 비교적 길이가 긴 통전바아들을 덮어줘야 하기 때문에 보호플레이트(도 8참조) 및 기기전체가 커지게 된다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도전체인 통전바아가 모두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감전사고가 발생 될 여지가 있는 등 안전사고에 극히 취약한 구조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전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통전부재의 양측 연결부를 제외한 몸체 전체가 절연재로 피복되어, 전체적인 외형이 축소되면서 접점불량으로 인한 단락이 구조적으로 방지되고 또, 작업 시 감전사고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구성된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전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각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배전반의 전체적인 외형을 축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배전반 매설시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된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절곡부(J1)가 형성된 제 1연결단자(13) 및,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형성된 제 1브릿지(15)가 구비된 제 1트랜스바아(16)와,
일측에 절곡부(J2)가 형성된 제 2연결단자(17) 및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형성된 제 2브릿지(19)가 구비된 제 2트랜스바아(20)를 갖추고서,
상기 제 1.2브릿지(15,19) 및 제 1.2연결단자(13,17)를 매개로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절곡부(J1,J2)와 제 1.2브릿지(15,19)들이 각각 상향절곡 및 하향절곡되어, 제 1트랜스바아(16) 및 제 2트랜스바아(20)가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접속력이 유지되도록 연결되면서 분기개폐기(9) 상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형태를 이루는 한편, 상기 제 1트랜스바아(16) 및 제 2트랜스바아(20) 윗쪽으로 보호플레이트(P)가 덮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트랜스바아가 층을 이루면서 분기개폐기의 각 분기접점에 연결접속되기 때문에 고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배전반을 컴팩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브릿지가 지속적인 접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접속불량으로 인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전함내의 먼지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는 것도 최소화할 수 있어, 배전반의 구조나 결속상태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각박스형태의 보호몸체(1), 보호몸체(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전원 인입선(2)과 연결되며 제 1접점(3) 및 제 2접점(4)이 인접 형성된 주개폐기(5), 실내로 전원을 분기하는 전원분기선(6)과 연결되고 각각에 제 1분기접점(7) 및 제 2분기접점(8)이 형성된 복수의 분기개폐기(9), 상기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연결되는 분전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분전수단은 일측에 제 1연결단자(13)가 형성된 제 1통전편(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1브릿지(15)가 일체로 배열형성되면서 일측에 절곡부(J1)가 형성된 제 1트랜스바아(16) 및, 일측에 제 2단자(17)가 형성된 제 2통전편(18)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2브릿지(19)가 일체로 배열형성되면서 절곡부(J2)가 형성된 제 2트랜스바아(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브릿지(15)와 제 2브릿지(19)는 각각 제 1통전편(14) 및 제 2통전편(18)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서 소정길이만큼 돌출형성되는데, 이들 분전수단의 표면에는 각각 절연재(21)가 둘러지되, 상기 제 1브릿지(15)의 끝부분 및 제 2브릿지(19)의 끝부분은 통전되도록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개폐기(5)의 제 1,2접점(3,4)과 분기개폐기(8)의 제 1,2분기접점(7,8)위쪽으로 이들을 덮어줄 수 있는 플레이트(P)가 설치되는데, 이 플레이트는 투명 플라스틱등으로 되어 있고 소정간격을 홀더(P1)가 부착되며, 보호몸체(1) 일측에 설치된 지지부(P2) 및 주개폐기(5)를 매개로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통전편(14)은 분기개폐기(9)의 입력단인 제 1분기접점(7) 및 제 2분기접점(8)과 접속되고, 상기 제 2통전편(18)도 이와 마찬가지로 제 1분기접점(7) 및 제 2분기접점(8)과 접속되는데, 이들 제 1,2통전편(14,18)은 보호몸체(1)에 내설되는 분기개폐기(9)의 갯수에 따라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통전편(14) 및 제 2통전편(18)은 일정형태로 절곡형성되는 바, 즉 제 1브릿지(15)는 하향절곡되고, 제 2브릿지(19)는 상향절곡되어 전체적으로 역대칭을 이루는데, 이는 분기개폐기(9)에 접속될 때 서로 근접되지만 구조적으 로는 분리되면서 적층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연결단자(13)와 제 2연결단자(17)는 제 1통전편(14) 및 제 2통전편(18) 일측에 탄성클립과 같이 탄성을 가지도록 절곡형성되는데 이렇게 하면 후술되는 접속력 유지에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는, 상기 제 1트랜스바아(16)에 형성된 제 1연결단자(13)를 주개폐기(9)의 제 1접점(3)에 위치시킨 다음 제 1연결단자(13)의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나사(21)와 같은 연결수단을 매개로 결합시키면 제 1트랜스바아(16)가 주개폐기(5)의 제 1점점(3)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2트랜스바아(20)에 형성된 제 2연결단자(17)를 주개폐기(9)의 제 2접점(4)에 위치시킨 다음 제 2연결단자(17)의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나사(21)와 같은 연결수단을 매개로 결합시키면 제 2트랜스바아(20)가 주개폐기(9)의 제 2점점(4)에 접속된다.
이 같이 제 1,2트랜스바아(16,20)를 주개폐기(9)의 제 1,2접점(3,4)에 각각 접속시키게 되면, 제 1,2통전편(14,18)의 제 1,2브릿지(15,19)가 분기개폐기(9)의 제 1분기접점(7) 및 제 2분기접점(8)에 각각 접속되는데, 이때 제 1,2브릿지(15,19)에 형성된 절곡부위로 인해 제 1,2분기접점(7,8) 각각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이들 절곡부로 인해 제 1통전편(14)과 제 2통전편(18)이 구조적으로 서로 분리된다.
그리고,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절곡부(J1,J2)들로 인해, 조립되면 제 1트랜스바아(16)와 제 2트랜스바아(20)가 절곡부 높이만큼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적층 되는데, 이 같은 구조로 인해 단상전원외에도 후술되는 2실시예에서와 같이 3상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트랜스바아를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적층시키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각각의 트랜스바아가 층을 이루면서 분기개폐기의 분기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요구되는 전기용량이 증가되어 분기개폐기 및 트랜스바아가 증가되더라도 배전반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단지 증가된 트랜스바아 숫자만큼 배전반 보호몸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 배전반은 제 1통전편(14)과 제 2통전편(18)에 동시에 접촉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바, 이는 상기 통전수단 즉, 제 1,2트랜스바아(16,20)에 절연재(21)가 둘러져 있어 노출되는 부위가 최소화 되므로써 작업자의 부주의나 보호몸체(1)내로 유입되는 먼지등으로 인해 합선이나 쇼트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각박스형태의 보호몸체(1), 보호몸체(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전원 인입선(2)과 연결되며 제 1접점(3)과 제 2접점(4) 및 제 3,4접점(25,27)이 인접 형성된 주개폐기(5), 실내로 전원을 분기하는 전원분기선(6)과 연결되고 각각에 제 1분기접점(7)과 제 2분기접점(8) 및 제 3,4분기접점(28,29)이 형성된 복수의 분기개폐기(9), 상기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연결되는 분전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분전수단은 일측에 제 1연결단자(13)가 형성된 제 1통전편(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1브릿지(15)가 일체로 배열형성되면서 일측에 절곡부(J1)가 형성된 제 1트랜스바아(16), 일측에 제 2연결단자(17)가 형성된 제 2통전편(18)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2브릿지(19)가 일체로 배열형성되고 일측에 절곡부(J2)가 형성된 제 2트랜스바아(20), 일측에 제 3연결단자(30)가 형성된 제 3통전편(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3브릿지(33)가 일체로 배열형성되고 일측에 절곡부(J3)가 형성된 제 3트랜스바아(35) 및, 일측에 제 4연결단자(37)가 형성된 제 4통전편(38)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4브릿지(40)가 일체로 배열형성되면서 일측에 절곡부(J4)가 형성된 제 4트랜스바아(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브릿지(15)와 제 2브릿지(19)는 각각 제 1통전편(14) 및 제 2통전편(18)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서 소정길이만큼 돌출형성되는데, 이들 분전수단의 표면에는 각각 절연재(21)가 둘러지되, 이들 제 1브릿지(15)의 끝부분 및 제 2브릿지(19)의 끝부분은 통전되도록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개폐기(5)의 제 1,2,3,4접점(3,4,25,27)과 분기개폐기(8)의 제 1,2,3,4분기접점(7,8,28,29)위쪽으로 이들을 동시에 덮어줄 수 있는 플레이트(P)가 설치되는데, 이 플레이트는 투명 플라스틱등으로 되어 있고 소정간격으로 홀더(P1)가 부착되며, 보호몸체(1) 일측에 설치된 지지부(P2) 및 주개폐기(5)를 매개로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3브릿지(33)와 제 4브릿지(40)는 각각 제 3통전편(32) 및 제 4통전편(38)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서 소정길이만큼 돌출형성되는데, 이들 분전 수단의 표면에는 각각 절연재(21)가 둘러지되, 이들 제 3브릿지(33)의 끝부분 및 제 4브릿지(40)의 끝부분은 전원이 통전되도록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통전편(14)은 분기개폐기(9)의 입력단인 제 1분기접점(7) 과 접속되고, 제 2통전편(18)은 제 2분기접점(8)과 접속된다. 또한, 제 3통전편(32)은 제 3분기접점(28)과 접속되고, 제 4통전편(38)은 제 4분기접점(29)에 접속되는 바, 이들 제 1,2분기접점(7,8)은 보호몸체(1)에 내설되는 분기개폐기(9)의 갯수에 따라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3통전편(14,32) 및 제 2,4통전편(18,38)은 서로 다른 각도 즉, 제 1,3브릿지(15,33)는 하향절곡되고, 제 2,4브릿지(19,40)는 상향절곡되어 전체적으로 역대칭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분기개폐기(9)상에서 근접되지만 구조적으로는 분리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연결단자(13)와 제 2연결단자(17) 및 제 3,4연결단자(30,37)는 제 1통전편(14)과 제 2통전편(18) 및 제 3,4통전편(32,38) 일측에 탄성클립과 같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 즉 소정각도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후술되는 접속력 유지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절곡부(J1,J2,J3,J4)들로 인해, 조립하게 되면 제 1트랜스바아(16) 내지 제 4트랜스바아(42)가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적층되는 바, 이같이 구조로 인해 1실시예와 같이 단상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외에 본 실시예와 같이 3상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트랜스바아를 소정간격을 유지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어 전기적으로 안전한 상태로 회로구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는, 상기 제 1트랜스바아(16)에 형성된 제 1연결단자(13)를 주개폐기(9)의 제 1접점(3)에 위치시킨 다음 제 1연결단자(13)의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나사(21)와 같은 연결수단을 매개로 결합시키면 제 1트랜스바아(16)가 주개폐기(5)의 제 1접점(3)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2트랜스바아(20)에 형성된 제 2연결단자(17)를 주개폐기(9)의 제 3접점(4)에 위치시킨 다음 제 2연결단자(17)의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나사(21)와 같은 연결수단을 매개로 결합시키면 제 2트랜스바아(20)가 주개폐기(9)의 제 2접점(4)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3트랜스바아(35)에 형성된 제 3연결단자(30)를 주개폐기(9)의 제 3접점(25)에 위치시킨 다음 제 3연결단자(30)의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나사(21)와 같은 연결수단을 매개로 결합시키면 제 3트랜스바아(35)가 주개폐기(9)의 제 3접점(25)에 접속된다.
또한, 제 4트랜스바아(42)에 형성된 제 4연결단자(37)를 주개폐기(9)의 제 4접점(27)에 위치시킨 다음 제 4연결단자(37)의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나사(21)와 같은 연결수단을 매개로 결합시키면 제 4트랜스바아(42)가 주개폐기(9)의 제 4접점(27)에 접속된다.
이 같이 제 1,2,3,4트랜스바아(16,20,35,42)를 주개폐기(9)의 제 1,2,3,4접점(3,4,25,27)에 각각 결속시키면, 제 1통전편(14)의 제 1브릿지(15)가 제 1분기접점(7)과 접속되고, 제 2통전편(18)의 제 2브릿지(19)가 제 2분기접점(8)에 접속된 다.
그리고, 제 3통전편(32)의 제 3브릿지(33)는 제 3분기접점(28)에 접속되고, 제 4통전편(38)의 제 4브릿지(40)가 제 4분기접점(29)에 각각 접속되는데, 이때 제 1,2,3,4브릿지(15,19,33,40) 각각에 형성된 절곡부로 인해 제 1,2,3,4분기접점(7,8,28,29)에 탄력적으로 접속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이들 절곡부로 인해 제 1통전편(14) 내지 제 4통전편(38)이 소정간격이 유지되면서 순차적으로 적층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통전편(14) 내지 제 4통전편(38)이 제 1분기접점(7) 내지 제 4분기점점(40)에 제 1브릿지(15) 내지 제 4브릿지(4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이들 통전편들이 순차적으로 층을 이루는 형태를 이루게 됨에 따라 본 실시예보다 더 많은 수의 통전편을 접속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적층되는 층의 숫자만 증가될 뿐 또 다른 연결부재가 필요 없고, 무엇보다 종래 사용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통전부재를 연결 및 지지시키기 위한 부속 구조물 없이도 간단한 구조로 배전선로를 구성할 수 있어 배전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배전반은 제 1통전편(14) 내지 제 4통전편(38)중 적어도 2개 이상에 동시 접촉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바, 이는 상기 통전수단 즉, 제 1트랜스바아(16) 내지 제 4트랜스바아(42)에 절연재(21)가 둘러져 있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최소화 되므로써 작업자의 부주의나 보호몸체(1)내로 유입되는 먼지등으로 인해 합선이나 쇼트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한 실시예로 구현된 배전반 구조를 찍은 사진 을 도 7a 및 도 7b에 나타냈다.
도 8a, 도 8b, 도 8c, 도 8d, 도 8e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로 제조된 다수의 트랜스바아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8a 내지 도 8e에 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은 트랜스바의 체결구조가 다수의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각 트랜스바아 상호간에 충분한 공간이 있으며 안전한 구조로 인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갖고 있음을 쉽게 알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더욱 상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배전함에서 각 트랜스바의 공간배치의 유용성을 상세히 알아보기 위한 사진을 나타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 제조된 배전반에 지지부(P2)에 의해 고정된 네임 홀더(P1)가 있는 플레이트(P)가 장착된 사진을 나타냈다. 이것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전반의 내부구조 사진인 도 11과 비교하여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이 종래기술에 비해 구조나 결속상태가 우수한 컴팩트한 구조를 갖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배전반의 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배전반의 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배전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의 한 실시예로 구현된 배전반의 내부 구조를 찍은 사진을 나타냈다.
도 8a, 도 8b, 도 8c, 도 8d, 도 8e는 본 발명에 의 한 실시예로 구현된 다수의 트랜스바아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도 9e에 상기 도8의 본 발명에 의한 한 실시예의 배전함에서 각 트랜스바의 공간배치의 유용성을 상세히 알아보기 위한 사진을 나타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 제조된 배전반에 지지부(P2)에 의해 고정된 네임 홀더(P1)가 있는 플레이트(P)가 장착된 사진을 나타냈다.
도 1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전반의 플레이트가 장착된 내부 구조 사진이다.
*도면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보호몸체 2 --- 인입선
3 --- 제 1접점 4 --- 제 2접점
5 --- 주개폐기 6 --- 전원분기선
7 --- 제 1분기접점 8 --- 제 2분기접점
9 --- 분기개폐기 13 --- 제 1연결단자
14 --- 제 1통전편 15 --- 제 1브릿지
16 --- 제 1트랜스바아 17 --- 제 2연결단자
18 --- 제 2통전편 19 --- 제 2브릿지
20 --- 제 2트랜스바아 21 --- 절연재
25 --- 제 3접점 27 --- 제 4접점
28 --- 제 3분기접점 29 --- 제 4분기접점
30 --- 제 3연결단자 32 --- 제 3통전편
33 --- 제 3브릿지 35 --- 제 3트랜스바아
37 --- 제 4연결단 38 --- 제 4통전편
40 --- 제 4브릿지 42 --- 제 4트랜스바아
J1,J2,J3,J4 --- 절곡부 P --- 보호플레이트

Claims (2)

  1. 일측에 절곡부(J1)가 형성된 제 1연결단자(13) 및,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형성된 제 1브릿지(15)가 구비된 제 1트랜스바아(16)와,
    일측에 절곡부(J2)가 형성된 제 2연결단자(17) 및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형성된 제 2브릿지(19)가 구비된 제 2트랜스바아(20)를 갖추고서,
    상기 제 1.2브릿지(15,19) 및 제 1.2연결단자(13,17)를 매개로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절곡부(J1,J2)와 제 1.2브릿지(15,19)들이 각각 상향절곡 및 하향절곡되어, 제 1트랜스바아(16) 및 제 2트랜스바아(20)가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접속력이 유지되도록 연결되면서 분기개폐기(9) 상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형태를 이루는 한편, 상기 제 1트랜스바아(16) 및 제 2트랜스바아(20) 윗쪽으로 보호플레이트(P)가 덮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접속되도록 제 3트랜스바아(35) 및 제 4트랜스바아(42)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 3트랜스바아(35)에 일측에 절곡부(J3)가 형성됨과 더불어 제 3브릿지(33)가 연결형성된 제 3연결단자(30)가 구비되고,
    상기 제 4트랜스바아(42)에는 일측에 절곡부(J4)가 형성됨과 더불어 제 4브릿지(40)가 연결형성된 제 4연결단자(37)가 구비되어;
    상기 제 3.4브릿지(33,40) 및 제 3.4연결단자(30,37)를 매개로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절곡부(J3,J4)와 제 3.4브릿지(33,40)들이 각각 상향절곡 및 하향절곡되어, 제 3트랜스바아(35) 및 제 4트랜스바아(42)가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에 접속력이 유지되도록 연결되면서 주개폐기(5) 및 분기개폐기(9)상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 1트랜스바아(16) 내지 제 4트랜스바아(42) 윗쪽으로 보호플레이트(P)가 덮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1020070088093A 2007-08-31 2007-08-31 배전반 KR100931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093A KR100931842B1 (ko) 2007-08-31 2007-08-31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093A KR100931842B1 (ko) 2007-08-31 2007-08-31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594A true KR20090022594A (ko) 2009-03-04
KR100931842B1 KR100931842B1 (ko) 2009-12-15

Family

ID=4069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093A KR100931842B1 (ko) 2007-08-31 2007-08-31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8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976Y1 (ko) * 1994-03-17 1998-04-13 안계훈 꽃임형 분전반
KR100368583B1 (en) * 2001-08-31 2003-01-24 Bestec Co Ltd Bus connection structure of cabinet and distribution panel
KR200420619Y1 (ko) * 2006-04-26 2006-07-04 권헌석 분전반용 무접점 버스바
KR100752235B1 (ko) 2006-08-07 2007-08-27 주식회사 베스텍 부스바의 적층식 절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842B1 (ko)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684B2 (en)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US7286337B2 (en) Switching device for power distribution
US7367830B2 (en) Busway fitting with switch mounted perpendicular to primary axis
JPH05211083A (ja) 配電装置用集合端子
US6921862B2 (en) Connector for conductor bars
KR100973944B1 (ko) 분전반용 플러그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EP2400610B1 (en) Supporting bars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module comprising said bars.
KR20090115451A (ko) 모터 컨트롤 센터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PL182547B1 (pl) Przyrząd rozdzielczy do montażu w szafce rozdzielczej
KR102173310B1 (ko)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KR101204449B1 (ko) 조립식 분전반
KR20090100706A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US10340670B2 (en) Low voltage electrical distribution installation
KR100931842B1 (ko) 배전반
JP4722677B2 (ja) 配電盤
WO2020244749A1 (en) Coupling element for electrically coupling the lateral connecting portions of a first and second laminated busbar via a circuit breaker and an arrangement including such an element
KR20190004404A (ko) 버스바를 구비한 분전반
JP2008061455A (ja) 4極用ブレーカのプラグイン取付アダプタ
KR102010870B1 (ko)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JP2007288963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KR101147058B1 (ko) 조립식 분전반
US2606957A (en) Panel board
JPH1118216A (ja) 絶縁配線配電盤及び裏配線用端子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