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862A - 광학용 복합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복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862A
KR20090021862A KR1020070086733A KR20070086733A KR20090021862A KR 20090021862 A KR20090021862 A KR 20090021862A KR 1020070086733 A KR1020070086733 A KR 1020070086733A KR 20070086733 A KR20070086733 A KR 20070086733A KR 20090021862 A KR20090021862 A KR 20090021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film
prism
composi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068B1 (ko
Inventor
김경남
김현정
김상균
김현진
강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7008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068B1/ko
Priority to CN201110126515.2A priority patent/CN102176081B/zh
Priority to PCT/KR2008/001554 priority patent/WO2008115008A1/en
Priority to CN200880008951.6A priority patent/CN101636670B/zh
Priority to US12/532,081 priority patent/US8506149B2/en
Priority to CN2011101265148A priority patent/CN102176080A/zh
Priority to TW097109950A priority patent/TWI380056B/zh
Publication of KR20090021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에 사용되는 광학용 복합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기재층; 상기 투명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바인더 수지와 광확산성 입자를 포함하되 광확산성 입자와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5 이하인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 상에 형성된 프리즘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공하여, 도광판 및 확산판에서 방출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면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면서도, 광확산층 상에 프리즘층의 형성이 용이하며 광량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서 종래 별도로 광확산 필름 및 프리즘 필름을 장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공정을 현저히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보다 얇은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발생되는 광간섭 현상, 산란 또는 흡수 등의 빛의 손실,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용 복합 필름{Multi-functional optic film}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에 사용되는 광학용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산업 사회가 고도의 정보화 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표시 및 전달하기 위한 매체로서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어 오던 CRT(Cathode Ray Tube)는 설치 공간상의 제약이 커서 대형화가 힘들다는 한계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계 방사 디스플레이(FED) 및 유기EL과 같은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치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의 경우, 액정과 반도체 기술이 복합된 기술 집약적 장치로서 얇고, 가벼우며 소비 전력이 낮은 장점으로 인해, 그 구조 및 제조 기술이 연구 개발되어 왔고, 현재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 휴대용 개인 통신 장치(PDA 및 휴대폰) 등 기존에 액정 디스플레이가 널리 사용되었던 영역뿐만 아니라, 대형화 기술도 점점 그 한계를 뛰어넘고 있어, HD(High Definition) TV급의 대형 TV에까지 응용되고 있는 등 디스플레이의 대명사였던 CRT를 대체 가능한 새로운 디스플 레이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LCD) 장치는 액정 자체가 발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장치의 후면에 별도의 광원을 설치하여, 각 화소(pixel)에 설치된 액정을 통해 통과광의 세기를 조절하여 계조(contrast)를 구현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장치로, 장치 뒷면의 광원 램프에서 발광하여 각종 기능성 프리즘 필름 또는 시트를 통과하여 균일도와 방향성이 제어된 빛을 컬러 필터를 통과시켜 적, 청, 녹(R, G, B)의 색상을 구현하도록 하고, 전기적인 방법으로 각 화소의 계조(contrast)를 제어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간접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및 균일도 등 화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상기 발광 장치로는 백라이트 유닛(BLU)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백라이트 유닛은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의 광원(1)을 사용하여 방출되는 빛을 순차적으로 도광판(3), 확산 시트(4) 및 프리즘 시트(5)를 통과시켜 액정 패널(6)에 도달하게 한다. 여기서, 도광판(3)은 광원(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평면 형태인 액정 패널(6)의 전면에 분포되도록 전달하며, 확산 시트(4)는 화면 전면에 걸쳐 균일한 광세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프리즘 시트(5)는 확산 시트(4)를 거친 다양한 방향의 광선을 관측자가 화상을 인식하기에 적합한 시야각(θ) 범위 내로 변환되도록 하는 광 경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광판(5)의 하부에는 액정 패널(6)로 전달되지 못하고 경로를 벗어난 광을 다시 반사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원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반사시트(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방출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액정 패널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능의 필름을 여러 장 장착하게 되는데, 필름을 복수 장 장착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뉴턴링(Newton's Ring) 현상이나 필름간의 접촉면에서 공기층이 빠져 발생하는 ??아웃(wet-out) 현상 등 광간섭 현상이 야기되며, 빛이 복수의 필름을 거치면서 산란이나 흡수로 인하여 상당량 손실되고, 필름 간의 물리적 접촉으로 인하여 필름이 손상되는 등 생산성 저하 및 단가의 인상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광간섭 현상으로 인하여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야 하는 점이 있었다.
종래 프리즘 필름 중 프리즘 필름을 구성하는 기재층과 프리즘층 이외에 기재층의 이면에 확산 입자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는 빛을 효율적으로 확산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확산 입자의 계면을 지난 빛이 프리즘층에 도달하기까지 기재층을 거쳐야 하므로 빛의 손실이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79028호에는 기재필름과,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산모양을 갖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프리즘부 및 반사방지층을 구비하고, 투명비드를 함유한 수지층이 기재필름과 프리즘부 사이 및/또는 기재필름과 반사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는 광확산 효과를 얻기 위해서 표면 조도를 조절하는 것인데, 고르지 못한 투명 비드층으로 인하여 프리즘부와 비드층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프리즘부 코팅시 기재필름에 접착되지 않아 인각롤의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프리즘부의 탈리가 쉽게 발생하여 백라이트에 장착시 불량률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집광을 위해서는 고굴절 수지를 사용해야 하는데, 광확산층에서 확산되어 프리즘층에서 집광되고 일부분 전반사되어 리사이클링될 때 두 물질간의 큰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리사이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광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및 보호필름 3장을 장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능을 장착 시트 수를 줄임에도 그 기능을 가능케 할 수 있는 복합 광학 필름을 제공하여 복수의 필름이 적층됨으로써 야기되는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원가 및 제조공정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는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확산층 상에 프리즘층의 형성이 용이하며 한 장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광확산 필름과 프리즘 필름 및 보호필름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정도로 휘도가 우수하며,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는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즘층의 굴절률과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 굴절률의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전반사되는 빛을 줄여 광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되는 시트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는 투명기재층; 상기 투명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바인더 수지와 광확산성 입자를 포함하되 광확산성 입자와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5 이하인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 상에 형성된 프리즘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광학용 복합 필름에 있어서, 광확산층은 입경이 1~50㎛인 광확산성 입자를 바인더 수지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광학용 복합 필름에 있어서, 프리즘층은 굴절률이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에 대하여 0.01~0.2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광학용 복합 필름에 있어서, 프리즘층은 다각뿔, 원뿔, 반구형 및 비구형 중 선택된 프리즘 구조의 선형 배열 구조 또는 비선형 배열 구조의 패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의 광학용 복합 필름; 및 상기 광학용 복합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광확산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의 광학용 복합 필름; 및 상기 광학용 복합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의 광학용 복합 필름; 및 상기 광학용 복합 필름의 상부에 위치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광판 또는 확산판에서 방출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면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면서도, 넓은 시야각 및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광확산층 상에 프리즘층의 형성이 용이하며 광량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서 종래 별도로 광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및 보호필름을 장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공정을 현저히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보다 얇은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발생되는 광간섭 현상, 산란 또는 흡수 등의 빛의 손실,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광학용 복합 필름은 투명기재층의 일면에 광확산층이 형성되고, 광확산층 상에 프리즘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우선 상기 투명기재층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스틸렌 필름 또는 폴리에폭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이 사용된다. 상기 투명기재층의 두께는 기계적 강도 및 열안정성, 그리고 유연성에 있어서 유리하도록 하고 투과광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10~100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0㎛이 좋다.
상기 투명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광확산층은 바인더 수지에 광확산성 입자를 분산시켜 형성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바인더 수지와 광확산성 입자의 굴절률 차이를 0.05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두 물질 간의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광의 내부 반사를 줄임으로써 프리즘층으로 입사하는 광의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이러한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로는 상기 투명기재층과 접착성이 좋으며 분산되는 광확산성 입자들과 상용성이 좋은 수지, 즉, 광확산성 입자가 수지에 골고루 분산되어 분리되거나 침전이 잘 생기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수지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폴리에스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 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등을 사용한다.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광확산성 입자는 또한 상기 광확산성 입자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입경이 1~5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의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입경의 광확산성 입자를 상기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백탁현상 및 입자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적절한 광확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성 입자로는 복수 개의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입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입자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입자와 아크릴과 올레핀계의 공중합체 입자 및 단일중합체의 입자를 형성한 후 그 층위에 다른 종류의 단량체로 덮어 씌워 만든 다층 다성분계 입자를 사용하며, 무기 입자로서는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및 불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한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입자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기 나열된 유기 또는 무기 재질의 입자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 는 한 다른 공지된 재료로 얼마든지 대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며, 이러한 재질 변경의 경우도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이다.
한편 상기 광확산층 상에는 프리즘층이 형성된다.
프리즘층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혹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가 사용되는데, 투명성이 우수하고 광학 구조의 형상 유지에 적합한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루이산계나 폴리에틸올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스티렌계,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등의 사용이 가능하며, 이중에서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로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종류로는 폴리우레탄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가 있으며, 다관능 또는 단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단독 또는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프리즘층은 다각뿔, 원뿔, 반구형 및 비구형 중 선택된 프리즘 구조의 선형 배열 구조 또는 비선형 배열 구조의 패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프리즘층은 굴절률이 광확산층을 이루는 바인더 수지에 대하여 0.01~0.2 높도록 형성하는 것이 전반사되는 빛을 줄여 광손실을 줄일 수 있다.
통상 프리즘층의 굴절률이 높을수록 빛이 배출되는 각도가 정면을 기준으로하여 좁아져 정면 휘도를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전반사되는 빛이 더욱 많아져 광손실을 가중시킨다.
상기와 같이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투명기재층을 통과하여 광확산성 입자에 의하여 고르게 확산된 빛이 곧바로 프리즘층을 지나게 되며, 특히 광확산층에서 바인더 수지와 광확산성 입자간의 굴절률 차이를 줄임으로써 광의 내부반사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광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빛이 손실되는 양이 대폭 감소한다. 따라서 빛의 확산 기능과 휘도의 증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조하였던 필름들을 한 번에 제조하므로 장착 구성에 따라 복합 필름을 포함 하여 장착한 시트의 구성이 기존의 광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및 보호필름을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와 동등 정도의 휘도를 제공하면서도 제조공정과 원가가 절감되고, 백라이트용 광학시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되는 시트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광학용 복합 필름의 어느 일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광확산 필름 또는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광학용 복합 필름만을 장착한 경우보다 휘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호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가장 상층에 프리즘층이 오더라도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광학용 복합 필름의 어느 일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광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보호 필름을 적층하였던 경우와 동등 정도의 휘도를 제공하면서도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용 복합 필름을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하는 경우, 장착되는 시트 수 대비 휘도 개선 정도가 우수하며,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와 광확산성 입자의 굴절률 차이가 0.05 이하로 조절된 광학용 복합 필름으로 인하여 시야각이 넓은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투명기재층인 188㎛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FHSS(코오롱社)의 한 면에, 아크릴 수지 52-666(애경화학社) 100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70중량부, 톨루엔 50중량부를 계량하고 희석하여 굴절률 1.50인 바인더 수지를 제조한 후, 평균입경 20㎛의 굴절률 1.50인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MH20F(코오롱社)를 상기 바인더 수지 대비 110중량부 혼합하여 밀링기를 이용하여 단층으로 단분산시키고, 이를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코팅 후 120℃에서 60초간 경화시켜 건조 후 두께가 25㎛가 되도록 광확산층(굴절률:1.50) 을 도포시켰다.
상기 경화된 광확산층의 일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5중량부, 2-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0중량부, 1,6-헥산다이올아크릴레이트 3중량부, BAPO계 광개시제 2중량부를 혼합한 광감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리즘 형상롤러의 프레임 위에 상기 광확산층에 도포된 광감성 조성물을 코팅시키고, 자외선(Fusion社 , 300Watt/inch2)을 투명기재층 쪽에서 조사하여 선형의 삼각 프리즘을 형성하였으며, 굴절률이 1.53인 프리즘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광확산층의 일면에 비선형의 삼각 프리즘을 형성하여 굴절률 1.53인 프리즘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광확산층 형성시 광확산성 입자를 적층 형태로 분산시킨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광확산층의 두께는 30~35㎛, 굴절률은 1.50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광확산층 형성시 광확산성 입자를 적층 형태로 분산시킨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광확산층의 두께는 30~35㎛, 굴절률은 1.50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광확산층 형성시 입자의 평균입경이 20㎛의 굴절율 1.50인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대신에 굴절율이 1.52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광확산층 형성시 입자의 평균입경이 20㎛의 굴절율 1.50인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대신에 굴절율이 1.55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프리즘층 형성시 굴절율 1.6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2에서 광확산층 형성시 입자의 평균입경이 5㎛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2의 광학용 복합 필름의 투명기재층 방향의 일면에 광확산필름(코오롱社, LD602)을 적층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2의 광학용 복합필름의 프리즘층 방향의 일면에 보호필름(코오롱社, LD143)을 적층하였다.
<비교예 1>
광확산필름(코오롱社, LD602)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프리즘필름(코오롱社, LC213)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의 광확산필름에 비교예 2의 프리즘필름을 적층하였다.
<비교예 4>
보호필름(코오롱社, LD143)에 비교예 1의 광확산필름 및 비교예 2의 프리즘 필름을 차례로 적층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광확산층 형성시 입자의 입경이 20㎛의 굴절율 1.50인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대신에 굴절율이 1.6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 고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비교예 5의 광학용 복합 필름의 투명기재층 방향의 일면에 광확산필름(코오롱社, LD602)을 적층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평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휘도평가(Cd/㎡)>
17인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닛에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용 필름을 단독 또는 2장을 적층하여 고정하고, 휘도계(모델명 : BM-7, 일본 TOPCON사)를 사용하여 임의의 13지점의 휘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 휘도가 4500 cd/㎡ 이상인 경우
○ : 휘도가 3500 cd/㎡ 이상 4500 cd/㎡ 미만인 경우
△ : 휘도가 3000 cd/㎡ 이상 3500 cd/㎡ 미만인 경우
ㅧ : 휘도가 3000 cd/㎡ 미만인 경우
<시야각>
17인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닛에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용 필름을 고정하고, 휘도계(모델명 : BM-7, 일본 TOPCON사)를 사용하여 좌우 80도 각도의 휘도를 각 10도 간격으로 측정하고, 최대 휘도의 1/2휘도를 나타내는 각도를 구하였다.
<시인성>
17인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닛에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확용 필름을 장착 시 장착면에 대한 육안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ㅧ : 면 전체가 고르지 못하고 패턴 간섭 등에 의한 무지개 형상 등이 나타날 시
* ○ : 면 전체가 고르고 패턴 간섭 등에 의한 무지개 형상 등이 나타나지 않을 시
Figure 112007062742136-PAT00001
상기 물성평가결과, 실시예들의 광확산층 바인더 수지 굴절율과 입자와의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를 만족하도록 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휘도및 시야각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상부에 프리즘층을 포함하더라도 시인성이 우수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프리즘층의 굴절율이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에 비하여 그 차이가 0.01 내지 0.2 정도로 높은 경우 더욱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광학 필름의 경우 광확산 필름과 프리즘 필름을 적층구조로 한 비교예 3의 경우에 비하여 시야각이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복합 필름임에도 광확산성 입자와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5를 초과하는 비교예 5의 경우에는 실시예들에 비하여 휘도 및 시야각이 낮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복합 필름은 광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광원의 이용효율을 증대시켜 종래 광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및 보호필름을 별도로 모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시트 구성을 줄여서도 적용 가능한 정도의 휘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시야각 및 시인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Claims (7)

  1. 투명기재층;
    상기 투명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바인더 수지와 광확산성 입자를 포함하되 광확산성 입자와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5 이하인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 상에 형성된 프리즘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복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광확산층은 입경이 1~50㎛인 광확산성 입자를 바인더 수지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복합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리즘층은 굴절률이 광확산층의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에 대하여 0.01~0.2 높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복합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리즘층은 다각뿔, 원뿔, 반구형 및 비구형 중 선택된 프리즘 구조의 선형 배열 구조 또는 비선형 배열 구조의 패턴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복합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광학용 복합 필름; 및
    상기 광학용 복합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광확산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광학용 복합 필름; 및
    상기 광학용 복합 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프리즘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광학용 복합 필름; 및
    상기 광학용 복합 필름의 상부에 위치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1020070086733A 2007-03-20 2007-08-28 광학용 복합 필름 KR100980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33A KR100980068B1 (ko) 2007-08-28 2007-08-28 광학용 복합 필름
CN201110126515.2A CN102176081B (zh) 2007-03-20 2008-03-19 光学片
PCT/KR2008/001554 WO2008115008A1 (en) 2007-03-20 2008-03-19 Optical sheets
CN200880008951.6A CN101636670B (zh) 2007-03-20 2008-03-19 光学片
US12/532,081 US8506149B2 (en) 2007-03-20 2008-03-19 Optical sheets
CN2011101265148A CN102176080A (zh) 2007-03-20 2008-03-19 光学片
TW097109950A TWI380056B (en) 2007-03-20 2008-03-20 Optical she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33A KR100980068B1 (ko) 2007-08-28 2007-08-28 광학용 복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62A true KR20090021862A (ko) 2009-03-04
KR100980068B1 KR100980068B1 (ko) 2010-09-06

Family

ID=4069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733A KR100980068B1 (ko) 2007-03-20 2007-08-28 광학용 복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38B1 (ko) * 2009-04-27 2011-09-2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용 복합시트
KR101114352B1 (ko) * 2010-10-07 2012-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268B1 (ko) 2018-04-23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2832B2 (ja) * 1993-10-27 2002-12-0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拡散板
KR100909427B1 (ko) * 2005-07-27 2009-07-28 주식회사 코오롱 광제어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38B1 (ko) * 2009-04-27 2011-09-2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용 복합시트
KR101114352B1 (ko) * 2010-10-07 2012-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2047054A3 (ko) * 2010-10-07 2012-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9448339B2 (en) 2010-10-07 2016-09-20 Lg Display Co., Ltd. Substrate for an organic electronic element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068B1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072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US8506149B2 (en) Optical sheets
KR100525050B1 (ko) 입자들이 배치된 표면 손상 방지층을 갖는 광 투과성 광학필름
KR100909427B1 (ko) 광제어 필름
TWI463216B (zh) 多功能光學片
KR100920645B1 (ko) 프리즘 복합필름
KR101087026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KR101157298B1 (ko) 광학 복합 부재
KR100980068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US20100055409A1 (en) Optical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88764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KR101087187B1 (ko) 광학부재
KR100544518B1 (ko) 광손실을 최소화한 프리즘 필름
KR101233533B1 (ko) 광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101370167B1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100906984B1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100902156B1 (ko) 광제어 필름
KR101353845B1 (ko) 표면이 구조화된 광학시트
WO2008082248A1 (en) Optical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36063B1 (ko) 광확산 부재
KR100834406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101182080B1 (ko) 광확산 부재
KR101155277B1 (ko) 광학 복합 부재
WO2008115008A1 (en) Optical sheets
KR20090128754A (ko) 광학 복합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