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406B1 -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406B1
KR100834406B1 KR1020060040480A KR20060040480A KR100834406B1 KR 100834406 B1 KR100834406 B1 KR 100834406B1 KR 1020060040480 A KR1020060040480 A KR 1020060040480A KR 20060040480 A KR20060040480 A KR 20060040480A KR 100834406 B1 KR100834406 B1 KR 100834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diffusion
particles
sheet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914A (ko
Inventor
김상필
이문복
송정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40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 및 전면 광확산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 광확산층은 상기 투명 플라시틱 시트 지지체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며, 서로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2 이상의 유기 입자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 입자, 및 상기 광확산 입자를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에 고정하는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된다.
광확산 시트, 백라이트 유니트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Light diffusing sheet for back 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일반적인 엣지형 백라이트 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는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램프(CCFL)
200 : 도광판
300, 300‘ : 광확산 시트
400, 400‘ : 프리즘 시트
500, 500‘ : 프리즘 보호 시트
600 : 광확산판
320 : 투명한 플라스틱 기재 시트
310 : 전면 광확산층
330 : 접착 방지층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특히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액정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액정 디스플레이는 다른 자발광형의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액정 자체가 비 발광소재이므로 광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광원으로서 냉음극선관(CCFL)이라는 램프 광원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램프 광원을 면광원으로 전환하고, 화면의 밝기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발광장치가 필요하다. 이런 발광장치를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라고 하며 백라이트 유니트는 크게 램프의 장착 위치에 따라 엣지(edge)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엣지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엣지형은 도광판(200)의 한쪽 혹은 양쪽 단면에 선형 램프(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광판(200)을 이용하여 광을 상부로 내보낸다. 도광판(200)에는 상부로 광을 보내기 위해서 하단에 도트(dot) 패턴을 만들어 주며 그 아래에는 반사시트를 설치하여 아래로 향하는 광을 모두 위로 반사 시켜줌으로서 광 효율성을 높여준다. 도광판(200)에서 나오는 광은 그 광원의 위치가 엣지에 있으므로 광의 출사각이 측면으로 치우쳐 있으며 또한 면광원으로의 균일도(uniformity) 또한 좋지 않아 광의 얼룩이 발생한다. 광확산 시트(300)는 측면으로 치우쳐 있는 광의 출사각을 수직 방향으로 치우치게 전환시켜 주며 불균일한 광을 전면방향으로 균일하게 해주는 역 할을 한다. 광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광확산 시트(300)에서 나온 광을 프리즘 시트(400)를 사용하여 전면 수직방향으로 전환시켜 화상의 밝기를 최대로 만든다. 프리즘 시트(400)를 보호하기 위해서 프리즘 시트(400) 위에 프리즘 보호시트(500)를 사용하기도 하며 액정 디스플레이에서의 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선택적 배향 특성이 있는 시트를 프리즘 시트 (400)위에 장착하기도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니트는 엣지형과는 다르게 그 광원(100')이 백라이트 유니트 이면에 다수 장착되며 그 위에 광확산판(600)을 이용하여 지지대 역할 및 다수의 램프에서 나오는 휘선에 의해서 발생되는 광의 불균일성을 1차로 균일하게 만든다. 광확산판(600)으로 광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그 위에 광확산 시트(300')를 사용하여 광의 균일성을 얻으며 전면으로의 광의 높은 효율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광확산 시트(300') 위에는 엣지형 백라이트 유니트와 같이 프리즘 시트(400') 그리고 보호시트(500') 혹은 선택적 배향 특성을 가지는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전면광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킨다.
엣지형 백라이트 유니트는 휴대폰,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PDA),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및 캠코더 등의 소형용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모니터 등의 중대형 백라이트 유니트에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는 텔레비젼(TV)용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고품위의 모니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
광의 균일성 및 수직방향으로의 지향성을 확보하기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 백 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용 광확산 시트의 플리스틱 시트 기재에 광확산 입자를 수지 바인더와 혼합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출원번호 1992-0014087, 공개번호 1993-008494, 등록번호 313902). 또한 광 효율성 및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플리스틱 시트 기재 위에 투명한 유기 입자를 투명한 수지로 형성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특개평7-174909,공개2000-0027862, 공개1998-0020430). 이러한 종래의 광확산 시트는 전면에 광확산층을 코팅하고 이면에 작업성을 위한 대전방지기능을 가지는 접착 방지층을 코팅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프로젝션, 음극선관(CRT) 방식과 텔레비전(TV) 영역에서 액정 디스플레이가 경쟁하기 위해서 백라이트 유니트의 크기를 대형화, 고품위화 그리고 슬림화로 진행되고 있으며, 따라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 방식에서 램프의 수가 증가하고 반대로 백라이트 유니트 두께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와 같이, 램프의 수가 증가하고 백라이트 유니트 두께가 줄어들면서 기존의 광확산 시트로는 램프의 휘선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균일한 광을 균일하게 만들기에는 부족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광확산 시트를 적층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백라이트 유니트를 박막화하는 현재 기술 추세에 어긋나게 된다. 또한 텔레비젼으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노트북용이나 모니터용의 액정 디스플레이와는 다르게 넓은 시야각이 필요로 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는 광확산 시트가 요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우수한 휘선 차폐 능력 및 넓은 시야각을 동시에 만족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 및 전면 광확산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 광확산층은 상기 투명 플라시틱 시트 지지체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며, 서로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2 이상의 유기 입자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 입자, 및 상기 광확산 입자를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에 고정하는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시트는 광확산층에 굴절율이 서로 상이한 유기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램프에 의한 휘선 차폐 능력이 우수하고, 넓은 시야각을 달성하였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 산 시트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는 전면 광확산층(310),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 및 접착 방지층(330)을 포함한다.
이하,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와 광확산층(310, 330)을 각각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는 입사되는 광을 통과 시켜야 하므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폭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는 광투과시 광 손실을 막기 위해, 우수한 광투과도를 가져야 하며, 코팅 층에 사용되는 수지 바인더와 접착성이 우수해야 한다.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를 포함하는 광확산 시트의 광투과도는 바람직하게는 전투과율이 90% 이상이 되어야 한다.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의 두께는 25㎛ 내지 250㎛로 사용된다.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의 두께는 백라이트 유니트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 핸드폰, PDA 등에 사용되는 소형 백라이트 유니트의 경우에는 주로 100㎛이하의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가, 노트북 및 모니터용 등에 사용되는 중형 백라이트 유니트의 경우에는 50㎛~188㎛ 정도의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가, 그리고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는 대형 백라이트 유니트의 경우에는 125㎛ 이상의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백라이트 유니트가 대형이 될수록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의 두께가 커지게 된다. 이는 백라이트 유니트가 대형일수록 많은 수의 광원이 사용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많아지고, 그 결과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320)의 내열성이 높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2) 광확산층
전면 광확산층(310)은 입사된 광을 굴절 및 산란시켜서 광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도광판에서 나온 광의 진행 방향을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전환시켜준다. 또한, 전면 광확산층(310)은 도광판에서 나온 불균일한 광을 균일한 광으로 출사되게 한다.
텔레비전 등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위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는 그 크기 때문에 광원(램프)의 수가 많으며 그에 따른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휘선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램프의 휘선을 감추기 위해서는 전면 광확산층(310)만으로는 부족하여 광확산 시트의 이면에도 접착 방지층(330)을 도포하게 되면 램프 휘선 차폐성이 증가하게 되며 아울러 기존 광확산시트의 이면층보다 수광 능력이 뛰어나게 되므로 광효율성이 증대되며 시야각 또한 넓어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광확산층(310, 330)으로는 그 헤이즈(haze) 특성이 40% 내지 9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 인 것을 사용한다.
접착(stick) 방지층은 작업성의 편리를 위해서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형성된다.
이때, 대전방지 처리가 안되어 있으면 컷팅 작업시 시트간의 정전기로 인한 부착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도광판 혹은 광확산판에 장착시에도 정전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광확산 시트 이면층에는 대전방지 처리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광확산 시트 이면의 표면저항이 10의 8승 Ω 내지 10의 12승 Ω 인 것이 좋다.
바인더 수지(313)는 광확산 입자(311)를 플라스틱 시트 기재(320)에 접착시킨다. 바인더 수지(313)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수지등을 포함한다. 이들 바인더 수지(313)는 내마모성, 내열성, 작업성, 플라스틱 시트 기재(320)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는 바인더 수지(313)의 수지 피막을 경화도를 높혀 준다. 이때 인쇄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경화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바인더 수지(313)는 광효율을 높히기 위해서 투명해야 하며, 광확산도를 높이기 위해 광확산 입자(311)와 굴절도 차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313)와 광확산입자(311) 사이의 굴절도의 차이가 클수록 입사되는 광을 더욱 잘 확산되게 한다.
전면 광확산층(310)에는 광확산 및 광투과를 높히기 위해서 적절한 크기의 광확산 입자(311)를 사용하게 된다. 광확산 입자(311)의 크기는 다양하게 사용되 어 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가지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2 가지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광확산 입자(311)를 사용함으로서 생길 수 있는 빈 공극을 메우게 되며, 직하형 램프에 대한 휘선 차폐력이 우수하고 또한 시야각이 우수한 특성을 달성하게 된다. 이러한 2 가지 이상의 광확산 입자(311)는 그 굴절율이 서로 상이한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광확산 입자(311)의 굴절율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이다.
사용하는 광확산 입자(311)의 크기, 굴절율, 및 입자와 수지의 비율은 여러 가지의 조합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이는 광확산 시트(311)의 광학적 특성과 연관되어진다. 광확산 입자(311)의 함량이 많아지면 광확산 입자(311)들의 돌출로 인하여 광투과율이 떨어지며 광확산 입자(311)의 탈락이 발생하기 쉬워 작업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광확산 입자(311)의 함량이 적어지면 적절한 광확산성을 확보하기가 힘들어진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될수 있는 광확산 입자(311)는 높은 투명도와 높은 광확산 특성을 갖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유기계 입자, 무기계 입자, 또는 유기계 입자 및 무기계 입자의 혼합물일 수 있다.
유기계 입자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입자, 폴리스틸렌계 및 이들의 공중합체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입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무기입자로는 폴리실리콘계, 산화규소, 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및 불화마그네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무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광투과율에서 문 제가 생기므로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한편, 도포성을 위하여 적절한 분산제, 평활(wetting)제 또는 소포제 등을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시트는 전면 광확산층(310)에 광학산 입자(311)로서 굴절율이 상이한 유기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광확산성을 높이고 이에 따라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에서 램프의 휘선을 차폐 시키는 능력을 향상시켰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시트를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실시예로 인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 광확산층 1의 제조
바인더 수지로서 애경화학 A-811 20 중량부, 경화제로서 센쇼케미칼 DAI-3B 3 중량부, 광확산 입자로서 굴절율이 1.49인 평균 입경 20㎛의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다분산 입자 25 중량부, 및 굴절율이 1.49인 평균 입경 12㎛의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다분산 입자 3 중량부, 톨루엔 49중량부, 그리고 실리콘계 평활제를 총중량의 0.1중량%로 혼합하여 전면 광확산층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시트(도레이새한(주) XG533, 125㎛)의 한면에 메이어 바(mayer Bar)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320℃에서 4분간 건조 경화 시켜서 전면 광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전면 광확산층 2의 제조
바인더 수지로서 애경화학 A-811 20 중량부, 경화제로서 센쇼케미칼 DAI-3B 3 중량부, 광확산 입자로서 굴절율이 1.49인 평균 입경 20㎛의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다분산 입자 15 중량부, 굴절율이 1.47인 평균 입경 20㎛의 폴리메타부틸아크릴레이트 다분산 입자 10 중량부, 및 굴절율이 1.49인 평균 입경 12㎛의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다분산 입자 3 중량부, 톨루엔 49중량부, 그리고 실리콘계 평활제를 총중량의 0.1중량%로 혼합하여 전면 광확산층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시트(도레이새한(주) XG533, 125㎛)의 한면에 메이어 바(mayer Bar)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320℃에서 4분간 건조 경화 시켜서 전면 광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접착 방지층의 제조
바인더 수지로서 센쇼케미칼 DAI-3A 20 중량부, 경화제로서 센쇼케미칼 DAI-3B 5 중량부, 광확산 입자로서 평균 입경 7㎛의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다분산 입자 0.5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74.5중량부, 그리고 음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총중량의 1중량%로 혼합하여 접착 방지층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시트(도레이새한(주) XG533, 125㎛)의 한면에 형성한 후 320℃에서 5분간 건조 경화 시켜서 접착 방지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전면 광확산층 2와 접착 방지층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시트(도레이새한(주) XG533, 125㎛)의 양면에 각각 도포하여 광확산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전면 광확산층 1과 이면층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시트(도레이새한(주) XG533, 125㎛)의 양면에 각각 도포하여 광확산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전면 광확산층 1 및 전면 광확산층 2, 그리고 실시예의 광확산 시트와 비교예의 광확산 시트를 평가하여 각각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도막 접착력
광확산 시트의 접착력은 도포면에 크로스 커터(cross cutter)를 사용하여 커팅을 하고 오피피(OPP : oriented polypropylene) 테이프를 붙힌 후 테이프를 탈착하여 도포층이 테이프와 함께 박리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때, 광확산 시트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으면 양호로 표현하였다.
2) 외관
도포층에 핀홀, 도포 얼룩 등의 흠결 여부를 백라이트 유니트위에서 관찰하여 그 외관에 하나라도 있으면 불량, 없으면 양호로 표현하였다.
3) 전광선투과율(TT, Total Transmittance), 헤이즈(haze)
전면 광확산층 1, 2이 한면에 도포된 시트는 미도포된 방향에서 도포된 방향으로 양면에 도포된 광확산 시트는 이면에서 전면으로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haze)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기기는 NIPPON DENSHOKU KOGYO Co. Ltd. 모델 1000을 이용하였다.
4) 휘선 차폐력
32" 직하형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를 이용하여 휘도를 측정하였으며 광확산시트를 32"로 재단하여 광확산판 위에 장착하여 탑콘사의 BM-7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각도 0.2도, BM-7과 백라이트 유니트와의 간격은 25cm 로 하여 백라이트 유니트에 있는 램프 13개의 위치와 램프와 램프 사이의 공간 12개 지점의 휘도를 측정하여 램프 부분의 휘도 평균값과 램프가 없는 부분의 휘도 평균값의 차이를 측정, 그 차이값이 10 이상이면 불량으로 그 이하면 양호로 표현하였다.
5) 시야각
탑콘사의 BM-7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백라이트 유니트의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장착된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50도와 50도의 휘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휘도값이 3,500cd/㎡ 이상이면 양호로 그 이하면 불량으로 표현하였다.
Figure 112006031737360-pat00001
Figure 112006031737360-pat00002
상기 표 1 및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 시트는 투과율, 헤이즈, 도막 접착력, 외관, 투과율, 헤이즈, 휘선 차폐력, 및 시야각이 모두 우수하였다. 반면에, 비교예에 따른 광확산 시트는 휘선 차폐력 및 시야각이 불량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시트는 굴절율이 상이한 2 이상의 입자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광확산 시트에 비하여 직하형 램프의 휘선 차폐력이 우수하고 또한 시야각이 우수한 특성을 달성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3)

  1. 투명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 및
    상기 투명 플라시틱 시트 지지체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며, 서로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며, 그 굴절율의 차이가 0.02 이상인 2 이상의 유기 입자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 입자, 및
    상기 광확산 입자를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에 고정하는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전면 광확산층;
    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표면 저항이 10의 8승 Ω 내지 10의 12승 Ω인 대전 방지 특성을 가지는 접착 방지층을 상기 전면 광확산층의 반대 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1020060040480A 2006-05-04 2006-05-04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10083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480A KR100834406B1 (ko) 2006-05-04 2006-05-04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480A KR100834406B1 (ko) 2006-05-04 2006-05-04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914A KR20070107914A (ko) 2007-11-08
KR100834406B1 true KR100834406B1 (ko) 2008-06-04

Family

ID=3906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480A KR100834406B1 (ko) 2006-05-04 2006-05-04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86B1 (ko) * 2008-10-16 2011-06-01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고휘도 광확산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597A (ko) * 2001-10-11 2004-06-18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투명 기판 및 확산층을 포함하는 확산막
KR20040084445A (ko) * 2003-03-28 2004-10-06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편광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597A (ko) * 2001-10-11 2004-06-18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투명 기판 및 확산층을 포함하는 확산막
KR20040084445A (ko) * 2003-03-28 2004-10-06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편광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86B1 (ko) * 2008-10-16 2011-06-01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고휘도 광확산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914A (ko)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127B1 (ko)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US7379246B2 (en) Light-diffusing film
KR101503187B1 (ko) 광확산 필름, 광확산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조명 기구
KR20090056903A (ko) 광학용 복합 시트
KR20080012340A (ko) 광확산판과 그 제조 방법
TWI437278B (zh) 異向性光擴散薄膜、其積層薄片及其製造方法
KR100909427B1 (ko) 광제어 필름
TW200842412A (en) Optical sheets
US20190204488A1 (en) Light diffusion film laminate for reflective display device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920645B1 (ko) 프리즘 복합필름
KR101428127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1087026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KR100834406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20150140670A (ko) 광 확산 소자 및 광 확산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80068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KR100988764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KR100737978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이를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KR100920371B1 (ko) 직하형 엘시디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JP3549491B2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906984B1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20070011702A (ko) 액정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100902156B1 (ko) 광제어 필름
KR101370167B1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100936063B1 (ko) 광확산 부재
KR101067679B1 (ko) 광확산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