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742A -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742A
KR20090021742A KR1020070086511A KR20070086511A KR20090021742A KR 20090021742 A KR20090021742 A KR 20090021742A KR 1020070086511 A KR1020070086511 A KR 1020070086511A KR 20070086511 A KR20070086511 A KR 20070086511A KR 20090021742 A KR20090021742 A KR 20090021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verter
power source
control sig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690B1 (ko
Inventor
엄기명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690B1/ko
Priority to JP2007275362A priority patent/JP4659807B2/ja
Priority to US12/217,817 priority patent/US8749462B2/en
Priority to CNA2008102124427A priority patent/CN101378229A/zh
Priority to EP08163107A priority patent/EP2031941A3/en
Publication of KR2009002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단을 통해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원보다 전압이 낮은 제 2 전원을 생성하고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을 출력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전압생성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방전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EREOF}
본 발명은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비정상적인 디스플레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평판표시장치 중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들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색 재현성의 뛰어남과 얇은 두께 등의 여러 가지 이점으로 응용분야에서 휴대폰용 이외에도 PDA, MP3, DSC 등으로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한 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소는 제 1 트랜지스터(M1), 제 2 트랜지스터(M2), 캐패시터(Cst)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지스터(M1)는 소스는 제 1 전원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노드에 연결되고, 제 2 트랜지스터(M2)는 소스는 데이터선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노드(N1)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주사선(Sn)에 연결되며, 캐패시터(Cst)는 제 1 전극이 제 1 전원(ELVDD)에 연결되고 제 2 전극은 노드(N1)에 연결된다. 그리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발광층을 구비하며 애노드전극은 제 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캐소드 전극은 제 2 전원(ELVSS)에 연결되며 애노드 전극에서 캐소드 전극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흐르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발광층에서 빛을 발광하게 된다. 수학식 1은 제 1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62556173-PAT00001
여기서, Id 는 제 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에 흐르는 전류, Vdata는 데이터신호의 전압, ELVDD는 제 1 트래지스터의 소스에 전달되는 제 1 전원의 전압, Vth는 제 1 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 β는 상수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화소는 데이터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이 화소에 계속 공급되면 캐패시터(Cst)에 의해 소정의 전압이 제 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어 화소가 발광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의 발광은 불필요한 발광으로 화소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오프시에 이상 발광을 방지하도록 하는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입력단을 통해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원보다 전압이 낮은 제 2 전원을 생성하고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을 출력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전압생성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방전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입력단을 통해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1 전압과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을 생성하고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을 출력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전압생성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출력단과 상기 제 2 전압 및 접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을 소모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데이터신호, 주사신호, 제 1 및 제 2 전원을 전달받아 화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구동부,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주사구동부 및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하되, 상기 DC-DC 컨버터는 입력단을 통해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원보다 낮은 상기 제 2 전원을 생성하고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을 출력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전압생성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방전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데이터신호, 주사신호, 제 1 및 제 2 전원을 전달받아 화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구동부,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주사구동부 및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하되, 상기 DC-DC 컨버터는 입력단을 통해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전원의 전압과 상기 제 1 전원의 전압보다 낮은 상기 제 2 전원의 전압을 생성하고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의 전압과 상기 제 2 전원의 전압을 출력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전압생성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출력단과 상기 제 2 전압 또는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을 소모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의하면, DC-DC 컨버터를 오프하더라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화소에 제 1 전 원과 제 2 전원이 전달됨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 발광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화소부(100), 데이터구동부(200), 주사구동부(300) 및 DC-DC 컨버터(400)를 포함한다.
화소부(100)는 복수의 화소(101)가 배열되고 각 화소(101)에 전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행방향으로 형성되며 주사신호를 전달하는 n 개의 주사선(S1,S2,...Sn-1,Sn)과 열방향으로 형성되며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m 개의 데이터선(D1, D2,....Dm-1, Dm)이 배열된다. 또한, 제 1 전원(ELVDD)과 제 2 전원(ELVSS)를 외부에서 전달받아 구동한다. 따라서, 화소부(100)는 주사신호, 데이터신호, 제 1 전원(ELVDD) 및 제 2 전원(ELVSS)에 의해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데이터구동부(200)는 화소부(100)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으로, 적색, 청색, 녹색의 성분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구동부(110)는 화소부(100)의 데이터선(D1, D2,....Dm-1, Dm)과 연결되어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화소부(100)에 인가한다.
주사구동부(300)는 화소부(100)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으로, 주사선(S1,S2,...Sn-1,Sn)에 연결되어 주사신호를 화소부(100)의 특정한 행에 전달한 다. 주사신호가 전달된 화소(101)에는 데이터구동부(200)에서 출력된 데이터신호가 전달되어 화소에서 구동전류가 생성되며 생성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로 흐르게 된다.
DC-DC 컨버터(400)는 화소부에 제 1 전원(ELVDD)와 제 2 전원(ELVSS)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소정의 전압을 외부에서 전달받아 전압레벨을 변경하여 화소부(100)에 적합한 제 1 전원(ELVDD)와 제 2 전원(ELVSS)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DC-DC 컨버터(400)는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제 1 전원(ELVDD)를 생성하기 위한 부스트 회로와 제 2 전원(ELVSS)를 생성하기 위한 인버터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DC-DC 컨버터(400a)는 부스트회로(410a), 인버터 회로(420a), 캐패시터(Cch) 및 스위치부(Rch,Mch)를 포함한다.
부스트회로(410a)는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1 전원(ELVDD)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입력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전원(ELVDD)을 생성한다. 입력전압은 휴대폰의 배터리 등에서 전달받는다.
인버터 회로(420a)는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2 전원(ELVSS)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입력전압을 반전하여 낮은 전압을 갖는 제 2 전원(ELVSS)을 생성한다.
그리고, 부스트회로(410a)와 인버터 회로(420a)는 제어신호(CS)를 입력받아 동작여부를 결정한다.
캐패시터(Cch)는 DC-DC 컨버터(400a)의 제 1 전원(ELVDD)를 출력하는 출력단 에 연결되어 DC-DC 컨버터(400a)의 출력이 안정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부(Rch,Mch)는 DC-DC 컨버터(400a)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어신호(CS)의 동작에 대응하여 캐패시터(Cch)에 연결되어 캐패시터(Cch)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방전 또는 유지시키도록 한다. 부스트회로(410a)가 구동 중 제어신호(CS)에 의해 정지되면 캐패시터(Cch)에는 제 1 전원(ELVDD)의 전압이 충전되어 있게 되어,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제 1 전원(ELVDD)의 전압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화소부에 전달되어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는 제 1 전원(ELVDD)을 전달받아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화소의 발광은 부스트회로(410a)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화소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발광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스위치부(Rch,Mch)를 캐패시터(Cch)에 연결하여 캐패시터(Cch)에 저장된 전압을 방전하는 경로를 생성한다. 스위치부(Rch,Mch)는 저항(Rch)과 트랜지스터(Mch)를 포함하며 저항(Rch)은 한쪽 단이 부스트 회로(410a)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반대편 단은 트랜지스터(Mch)의 소스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Mch)는 소스가 저항(Rch)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인버터회로(420a)에서 생성된 제 2 전원(ELVSS)을 출력하는 제 2 전원선(ELVDD)에 전달되며 게이트는 DC-DC 컨버터(400a)가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CS)를 전달받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신호(CS)에 의해 DC-DC 컨버터(400a)가 동작을 하면 트랜지스터(Mch)는 오프상태가 되고 DC-DC 컨버터(400a)가 동작을 정지하면 트랜지스터(Mch)는 온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ch)가 온 상태가 되면 저항(Rch) 의 한쪽 단에 제 2 전원(ELVSS)이 전달되어 캐패시터(Cch)에 저장된 전압이 저항(Rch)을 통해 제 2 전원(ELVSS)으로 흐르게 되어 캐패시터(Cch)에 저장된 전압이 저항(Rch)에서 소비가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저항(Rch)으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어 출력단의 전압에 영향이 없게 된다.
따라서, DC-DC 컨버터(400a)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때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어 제 1 전원(ELVDD)이 DC-DC 컨버터(400a)가 오프 상태가 되어 있을 때 소정 시간 동안 도 2의 화소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가 이상 발광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DC-DC 컨버터(400b)는 부스트회로(410b), 인버터 회로(420b), 캐패시터(Cch) 및 스위치부(Rch,Mch)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DC-DC 컨버터(400b)는 도 3에 도시된 DC-DC 컨버터(400a)와 의 차이점이 스위치부(Rch,Mch)에서 트랜지스터(Mch)의 한쪽단이 인버터회로(420b)의 출력단에 연결되지 않고 접지에 연결되도록 하여 제어신호(CS)에 대응하여 부스트 회로(410a)가 정지된 경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이 트랜지스터(Mch)를 통해 접지로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DC-DC 컨버터(400b)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때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어 제 1 전원(ELVDD)이 DC-DC 컨버터(400b)가 오프 상태가 되어 있을 때 소정 시간 동안 도 2의 화소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가 이상 발광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스트회로(410c)와 인버터회로(420c)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400c)와 DC-DC 컨버터(400c)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Cch)와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DC-DC 컨버터(400c)와 도 3에 도시된 DC-DC 컨버터(400a)와 의 차이점은 DC-DC 컨버터(400c)의 외부에 트랜지스터(Mch)가 연결되는데 있다. 트랜지스터(Mch) 제 1 전원(ELVDD)의 출력단에 트랜지스터(Mch)의 한쪽단이 연결되고 접지에 인버터회로(420b)의 출력단에 연결되지 않고 접지에 연결되도록 하여 제어신호(CS)에 대응하여 부스트 회로(410a)가 정지된 경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이 트랜지스터(Mch)를 통해 접지로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DC-DC 컨버터(400c)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때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어 제 1 전원(ELVDD)이 DC-DC 컨버터(400b)가 오프 상태가 되어 있을 때 소정 시간 동안 도 2의 화소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가 이상 발광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스트회로(410d)와 인버터회로(420d)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400d)와 DC-DC 컨버터(400d)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Cch)와 스위 치부와 지연회로(430)를 포함한다.
부스트회로(410d)는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1 전원(ELVDD)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입력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전원(ELVDD)을 생성한다. 입력전압은 휴대폰의 배터리 등에서 전달받는다.
인버터회로(420d)는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2 전원(ELVSS)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입력전압을 반전하여 낮은 전압을 갖는 제 2 전원(ELVSS)을 생성한다.
그리고, 부스트회로(410d)와 인버터 회로는 제어신호(CS)를 입력받아 동작여부를 결정한다.
캐패시터(Cch)는 DC-DC 컨버터(400d)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DC-DC 컨버터(400c)의 출력이 안정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부는 DC-DC 컨버터(400d)의 외부에 형성되며 캐패시터(Cch)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방전시키도록 한다.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게 되면 DC-DC 컨버터(400d)가 동작을 하던 중에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면 캐패시터(Cch)에는 제 1 전원(ELVDD)의 전압이 충전되어 있게 된다.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제 1 전원(ELVDD)의 전압이 인버터회로(420d)를 통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화소부에 전달되어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는 제 1 전원(ELVDD)을 전달받아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화소의 발광은 DC-DC 컨버터(400d)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화소의 수명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발광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스위치부에서 캐패시터(Cch)에 저장된 전압을 방전하는 경로를 생성하도록 한다. 스위치부는 트랜지스터(Mch)를 포함하며, 트랜 지스터(Mch)는 소스가 출력단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접지에 연결되며 게이트는 DC-DC 컨버터(400c)가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CS)를 전달받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신호(CS)에 의해 DC-DC 컨버터(400d)가 동작을 하면 트랜지스터(Mch)는 오프상태가 되고 DC-DC 컨버터(400d)가 동작을 정지하면 트랜지스터(Mch)는 온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Mch)가 온 상태가 되면 캐패시터(Cch)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이 트랜지스터(Mch)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어 캐패시터(Cch)에 저장된 전압이 방전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Mch)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접지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어 출력단의 전압에 영향이 없게 된다.
따라서, DC-DC 컨버터(400d)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때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되어 제 1 전원(ELVDD)이 DC-DC 컨버터(400c)가 오프 상태가 되어 있을 때 소정 시간 동안 도 2의 화소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가 이상 발광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연회로(430)은 DC-DC 컨버터(400d)의 구동을 결정하는 제어신호(CS)를 일정시간 경과 후에 트랜지스터(Mch)에 전달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DC-DC 컨버터(400d)가 정지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트랜지스터(Mch)가 온 상태가 되도록 하여 캐패시터(Cch)에 저장된 전압이 트랜지스터(Mch)를 통해 접지로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DC-DC 컨버터(400d)가 제어신호(CS)에 의해 구동이 정지된 후 곧바도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이 트랜지스터(Mch)를 통해 접지로 흐르도록 하지 않고 시간 차이를 두고 트랜지스터(Mch)를 통해 접지로 흘러 제 1 전원(ELVDD)이 곧바로 차단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DC-DC 컨버터(400e)는 부스트회로(410e), 인버터 회로(420e), 캐패시터(Cch) 및 저항(Rch)을 포함한다.
부스트회로(410e)는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1 전원(ELVDD)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입력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전원(ELVDD)을 생성한다. 입력전압은 휴대폰의 배터리 등에서 전달받는다.
인버터 회로(420e)는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2 전원(ELVSS)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입력전압을 반전하여 낮은 전압을 갖는 제 2 전원(ELVSS)을 생성한다.
그리고, 부스트회로(410e)와 인버터 회로(420e)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여부를 결정한다.
캐패시터(Cch)는 DC-DC 컨버터(400e)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DC-DC 컨버터(400e)의 출력이 안정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저항(Rch)은 DC-DC 컨버터(400e)의 외부에 형성되며 캐패시터(Cch)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방전시키도록 한다.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게 되면 DC-DC 컨버터(400e)가 동작을 하던 중에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면 캐패시터(Cch)에는 제 1 전원(ELVDD)의 전압이 충전되어 있게 된다.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제 1 전원(ELVDD)의 전압이 인버터 회로를 통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화소부에 전달되어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는 제 1 전원(ELVDD)을 전달받아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화소의 발광은 DC-DC 컨버터(400e)가 동작을 정지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화소의 수명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 한 발광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저항(Rch)을 통해 캐패시터(Cch)에 저장된 전압을 방전하는 경로를 생성하도록 한다. 저항(Rch)의 일단은 DC-DC 컨버터(400e)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대편단은 접지에 연결된다. 따라서,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저항(Rch)을 통해 소비되게 된다.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하는 시간은 캐패시터(Cch)의 크기와 저항(Rch)의 크기에 대응하기 때문에 캐패시터(Cch)와 저항(Rch)의 크기를 조절하여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이 너무 빨리 소비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DC-DC 컨버터(400e)의 출력단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이 방전되게 되어 DC-DC 컨버터(400e)가 오프 상태가 된 후에 도 2의 화소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가 이상 발광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DC-DC 컨버터(400f)는 부스트회로(410f), 인버터 회로(420f), 캐패시터(Cch1,Cch2) 및 저항(Rch)을 포함한다.
부스트회로(410f)는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1 전원(ELVDD)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입력전압을 승압하여 제 1 전원(ELVDD)을 생성한다. 입력전압은 휴대폰의 배터리 등에서 전달받는다.
인버터 회로(420f)는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2 전원(ELVSS)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입력전압을 반전하여 낮은 전압을 갖는 제 2 전원(ELVSS)을 생성한다.
그리고, 부스트회로(410f)와 인버터 회로(420f)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캐패시터(Cch1,Cch2)는 부스트회로(410f)와 인버터 회로(420f)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 1 전원(ELVDD)의 전압과 제 2 전원(ELVSS)의 전압이 안정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저항(Rch)은 DC-DC 컨버터(400f)의 외부에 형성되며 캐패시터(Cch)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방전시키도록 한다.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게 되면 DC-DC 컨버터(400f)가 동작을 하던 중에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면 캐패시터(Cch)에는 제 1 전원(ELVDD)의 전압이 충전되어 있게 된다.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제 1 전원(ELVDD)의 전압이 인버터 회로를 통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화소부에 전달되어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는 제 1 전원(ELVDD)을 전달받아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화소의 발광은 DC-DC 컨버터(400e)가 동작을 정지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화소의 수명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발광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저항(Rch)을 통해 캐패시터(Cch)에 저장된 전압을 방전하는 경로를 생성하도록 한다. 저항(Rch)의 일단은 부스트회로(410f)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대편단은 인버터회로(420f)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저항(Rch)이 제 1 전원(ELVDD)의 전압과 제 2 전원(ELVSS)의 전압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캐패시터들(Cch1,Cch2)에 충전된 전압이 저항(Rch)을 통해 소비되게 된다.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하는 시간은 캐패시터(Cch)의 크기와 저항(Rch)의 크기에 대응하기 때문에 캐패시터(Cch)와 저항(Rch)의 크기를 조절하여 캐패시터(Cch)에 충전된 전압이 너무 빨리 소비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DC-DC 컨버터(400f)의 출력단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이 방전되게 되어 DC-DC 컨버터(400f)가 오프 상태가 된 후에 도 2의 화소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소부의 각각의 화소가 이상 발광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단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채용한 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Claims (15)

  1. 입력단을 통해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원보다 전압이 낮은 제 2 전원을 생성하고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을 출력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전압생성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방전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생성부는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부스트 회로; 및
    상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상태가 결정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에 의해 연결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달하되, 상기 제어신호가 일정시간 지연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지연회로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접지에 연결되는 DC-DC 컨버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전원에 연결되는 DC-DC 컨버터.
  8. 입력단을 통해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제 1 전압과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을 생성하고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을 출력하 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전압생성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출력단과 상기 제 2 전압 및 접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을 소모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DC-DC 컨버터.
  9. 데이터신호, 주사신호, 제 1 및 제 2 전원을 전달받아 화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구동부;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주사구동부; 및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하되,
    상기 DC-DC 컨버터는
    입력단을 통해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원보다 낮은 상기 제 2 전원을 생성하고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을 출력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전압생성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방전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생성부는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부스트 회로; 및
    상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상태가 결정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달하되, 상기 제어신호가 일정시간 지연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지연회로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접지에 연결되는 DC-DC 컨버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전원에 연결되는 DC-DC 컨버터.
  15. 데이터신호, 주사신호, 제 1 및 제 2 전원을 전달받아 화상을 표현하는 화소부;
    상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구동부;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는 주사구동부; 및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하되,
    상기 DC-DC 컨버터는
    입력단을 통해 입력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전원의 전압과 상기 제 1 전원의 전압보다 낮은 상기 제 2 전원의 전압을 생성하고 출력단을 통해 상기 제 1 전원의 전압과 상기 제 2 전원의 전압을 출력하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전압생성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출력단과 상기 제 2 전압 또는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을 소모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070086511A 2007-08-28 2007-08-28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88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511A KR100889690B1 (ko) 2007-08-28 2007-08-28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7275362A JP4659807B2 (ja) 2007-08-28 2007-10-23 Dc−dcコンバ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12/217,817 US8749462B2 (en) 2007-08-28 2008-07-08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CNA2008102124427A CN101378229A (zh) 2007-08-28 2008-08-26 Dc-dc转换器及利用该转换器的有机发光显示器
EP08163107A EP2031941A3 (en) 2007-08-28 2008-08-27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511A KR100889690B1 (ko) 2007-08-28 2007-08-28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742A true KR20090021742A (ko) 2009-03-04
KR100889690B1 KR100889690B1 (ko) 2009-03-19

Family

ID=4009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511A KR100889690B1 (ko) 2007-08-28 2007-08-28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49462B2 (ko)
EP (1) EP2031941A3 (ko)
JP (1) JP4659807B2 (ko)
KR (1) KR100889690B1 (ko)
CN (1) CN10137822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834B1 (ko) * 2008-08-06 2010-04-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 dc 컨버터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22085B1 (ko) * 2009-07-10 2011-03-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원공급부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40798B1 (ko) * 2009-11-17 2011-06-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49019B1 (ko) * 2009-05-19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원공급부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64462B1 (ko) * 2009-11-17 2011-09-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dc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67225B1 (ko) * 2009-07-08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온/오프 시퀀스 회로
KR20150054292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전압 생성 장치, 및 전원 전압 생성 방법
US9414461B2 (en) 2013-09-03 2016-08-09 Samsung Display Co., Ltd.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79701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504434B2 (en) 2015-03-03 2019-12-10 Samsung Display Co., Ltd. DC-DC conver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2003B2 (ja) * 2007-12-26 2010-07-14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5515331B2 (ja) 2009-03-09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84170B1 (ko) * 2009-08-03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KR101132023B1 (ko) 2010-02-19 2012-04-0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dc 컨버터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WO2011132555A1 (en) 2010-04-23 2011-10-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193194B1 (ko) * 2010-04-30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1992281B1 (ko) * 2012-03-06 2019-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975531B1 (ko) * 2012-09-10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484869B1 (ko) * 2015-12-02 2023-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CN105657898B (zh) * 2016-02-19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7103871B (zh) * 2017-06-30 2019-1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显示屏的供电电路和供电方法
CN110544452B (zh) * 2018-05-28 2021-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供电时序控制电路及控制方法、显示驱动电路、显示装置
KR102519570B1 (ko) 2018-11-12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2073A (en) * 1981-10-27 1983-12-20 The Bendix Corporation Combustible gas detection system
CN1023048C (zh) 1989-08-17 1993-12-08 哈尔滨工业大学 鉴相鉴宽型断相保护器
JPH05236744A (ja) * 1992-02-19 1993-09-10 Ricoh Co Ltd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0152623A (ja) 1998-11-10 2000-05-30 Ricoh Co Ltd 電源装置
GB9921425D0 (en) 1999-09-11 1999-11-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0389019B1 (ko) * 2000-11-22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리셋회로
JP2002233139A (ja) 2001-02-05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c−dcコンバータ
JP2002244617A (ja) * 2001-02-15 2002-08-30 Sanyo Electric Co Ltd 有機el画素回路
JP3788916B2 (ja) 2001-03-30 2006-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光型表示装置
KR100878222B1 (ko) 2001-07-03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US7483001B2 (en) 2001-11-21 2009-01-27 Seiko Epson Corporation Active matrix substrat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698573B2 (en) * 2002-04-02 2010-04-13 Sharp Corporation Power source apparatus for display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514185B1 (ko) * 2003-10-01 2005-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직류-직류 컨버터
US6913554B2 (en) * 2003-10-03 2005-07-05 Gilbert W. Younger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ransmissions for motor vehicles
KR20050046927A (ko) * 2003-11-14 2005-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압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GB0400213D0 (en) 2004-01-07 2004-02-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JP4803629B2 (ja) * 2004-04-27 2011-10-26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駆動制御方法
KR100662981B1 (ko) * 2004-11-04 2006-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직류-직류 변환기
CN100486089C (zh) 2004-12-25 2009-05-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开关电源
JP4984391B2 (ja) * 2005-01-07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並びにその駆動制御方法
KR100649508B1 (ko) * 2005-02-02 2006-11-27 권오영 하이브리드 전원시스템
KR101152118B1 (ko) 2005-02-16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및 dc-dc 변환 장치
KR20080064564A (ko) * 2007-01-05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834B1 (ko) * 2008-08-06 2010-04-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 dc 컨버터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8279212B2 (en) 2009-05-19 2012-10-02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supply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KR101049019B1 (ko) * 2009-05-19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원공급부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67225B1 (ko) * 2009-07-08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온/오프 시퀀스 회로
KR101022085B1 (ko) * 2009-07-10 2011-03-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원공급부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8581896B2 (en) 2009-07-10 2013-11-12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supply for receiving different input voltage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040798B1 (ko) * 2009-11-17 2011-06-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64462B1 (ko) * 2009-11-17 2011-09-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dc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8411077B2 (en) 2009-11-17 2013-04-02 Samsung Display Co., Ltd.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9414461B2 (en) 2013-09-03 2016-08-09 Samsung Display Co., Ltd.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54292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전압 생성 장치, 및 전원 전압 생성 방법
US10504434B2 (en) 2015-03-03 2019-12-10 Samsung Display Co., Ltd. DC-DC conver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079701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1941A3 (en) 2012-01-11
JP4659807B2 (ja) 2011-03-30
EP2031941A2 (en) 2009-03-04
US8749462B2 (en) 2014-06-10
KR100889690B1 (ko) 2009-03-19
JP2009055774A (ja) 2009-03-12
US20090058311A1 (en) 2009-03-05
CN101378229A (zh)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690B1 (ko)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64462B1 (ko) Dc―dc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89460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US9123286B2 (en) Power generator having a power select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605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display apparatus
KR10107318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02210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TWI604425B (zh) 有機發光顯示器
US906445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short detecting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03563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791886B2 (en)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40798B1 (ko)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00097871A (ko) Dc― dc 컨버터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10013687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00091001A1 (en)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80093750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40013587A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5000524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90093019A (ko) Dc―dc 컨버터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22085B1 (ko) 전원공급부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40124608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916906B1 (ko) 버퍼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00124433A (ko) 전원공급부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