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273A - 기지국, 유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유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273A
KR20090021273A KR1020087029828A KR20087029828A KR20090021273A KR 20090021273 A KR20090021273 A KR 20090021273A KR 1020087029828 A KR1020087029828 A KR 1020087029828A KR 20087029828 A KR20087029828 A KR 20087029828A KR 20090021273 A KR20090021273 A KR 20090021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 unit
user device
scheduling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키오 이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2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기지국은, 액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송신버퍼와, 하향 무선링크에서 재송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재송버퍼와, 유저장치에 대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계획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출력하는 스케줄러와, 송신버퍼 또는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신호를,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작성하는 송신신호 처리수단을 갖는다. 스케줄러는,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을 결정한다.
Figure P1020087029828
액세서 게이트웨이, 송신버퍼, 재송버퍼, 스케줄링 정보, 기지국, 이동국

Description

기지국, 유저장치 및 방법{BASE STATION, USER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술분야에 관련되며, 특히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유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분야에서는 3GPP하에서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연구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통신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1에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GW)(11)와,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인터페이스(S1)를 통해서 접속된 기지국(eNB)(12,13)과, 기지국(12 또는 13)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UE)(14)가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게이트웨이(aGW)는 이동관리 엔티티/서빙 게이트웨이(MME/S-GW)라 불리어도 좋다. 유저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이동국이다. 기지국간은 인터페이스(x2)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유저장치(14)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상태가 도시되며, 좌측의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이동원)이 되고, 우측의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이동처)이 되고 있다. 기지국(12,13)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구성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aGW)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구성해도 좋으며, 구성하지 않아도 좋다. 어느쪽이든 액세스 게이트웨 이(aGW)는, 기지국(eNB) 및 코어 네트워크(CN)상의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액세스 게이트웨이(aGW) 및 기지국(eNB) 간의 통신은,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이라 불리는 데이터 단위로 인터페이스(S1)를 통해서 수행된다.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은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이며, 예를 들면 1500 바이트와 같은 처리 단위여도 좋으며,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 사이즈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기지국(eNB) 및 유저장치(UE) 간의 통신은, 패킷 데이터 유닛(PDU)이라 불리는 데이터 단위로 수행된다.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사이즈는 무선채널 상태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된다.
도 2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패킷 데이터 유닛(PDU) 사이의 대응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가로축은 시간에 상당한다. 설명의 편의상 하향링크의 데이터 전송이 설명된다.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데이터 사이즈가 다양하게 변해있다. 또한 무선채널 상태에 따라서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데이터 사이즈도 다양하게 변해있다. 소요품질을 확보하면서 무선전송이 수행되는 경우에, 채널상태가 좋으면 큰 데이터 사이즈가 사용되고, 채널상태가 나쁘면 작은 데이터 사이즈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한편, 수신신호를 오류없이 복원하는 등의 관점에서, 오류정정부호화 및 자동재송제어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ARQ(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도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N채널 스톱 앤드 웨이트(N-channel Stop-and-Wait) 방식의 HARQ가 수행된다.
도 3은 6채널 스톱 앤드 웨이트 방식이 수행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는 어느 유저장치로의 패킷 전송에 관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하향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이 설명되며, 송신측은 기지국이고 수신측은 유저장치이다. 그러나 상향링크에서는 그들의 호칭법은 역전한다. 1∼6까지의 번호가 프로세스 ID로서 사이클릭하게 사용된다. 도면중 좌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ID가 1인 프레임에서는 #1로 도시되는 패킷 데이터 유닛(PDU)(도면 중, '#1'로 약기됨)이 송신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 유닛 #1, #2, …은 모두 같은 크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 유닛(PDU)은 채널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 사이즈를 취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유닛 #1이 수신측에서 적절히 수신되면, 수신기(이 예에서는, 유저장치)는 긍정응답신호(ACK)를 기지국으로 돌려보낸다. 이 응답신호는 기지국에서 수신되고, 기지국은 한번 더 찾아오는 프로세스 ID=1에서 N+1=6+1=7번째의 패킷 데이터 유닛 #7을 송신한다.
한편, 좌측의 프로세스 ID=2에서 전송된 패킷 데이터 유닛 #2는, 도시된 예에서는 적절히 수신되지 않아, 부정응답신호(NACK)가 기지국으로 돌려보내져 있다. 이 응답신호에 따라서, 기지국은 다음에 찾아오는 프로세스 ID=2에서 2번째의 패킷 데이터 유닛 #2를 재송한다(도면 중, 송신측에서 '#2 재송'으로 도시되어 있다). 재송된 패킷 데이터 유닛 #2를 수신한 유저장치는, 초회에 수신한 PDU #2와 금회 재송된 PDU #2를 합성하고, 다시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여전히 오류 검출 결과가 부정적이며, 재송이 더 요구된다.
이와 같이 HARQ에서의 재송단위는, 채널상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하는 패 킷 데이터 유닛(PDU)이다. 도 2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은 1 이상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패킷 데이터 유닛 #1, #3 및 #5는 양호하게 수신되어 있으나, 패킷 데이터 유닛 #2, #4는 아직 양호하게 수신되지 못했다고 한다. 이때,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관점에서는,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3)밖에 수신되지 못했다. 다른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1, 2, 4)은 미완성이다. 이후 부족한 패킷 데이터 유닛이 재송 처리를 통해서 갖추어지는대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완성되고,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들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패킷 데이터 유닛 #1, #3 및 #5는 유저장치에서 양호하게 수신되어 있으나, 패킷 데이터 유닛 #2, #4는 아직 양호하게 수신되지 못한 경우에,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기지국간 핸드오버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 경우에, 소스 기지국(12)은 송신 버퍼에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1, 2, 4)을 타겟 기지국(13)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은 인터페이스(x2)를 통해서 수행된다. 또한 소스 기지국(12)은 패킷 데이터 유닛(PDU #2, #4)을 파기한다. 유저장치(UE)는 타겟 기지국(13)으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1, #2, #4)에 관한 정보를 새로이 취득한다. 즉, 타겟 기지국(13)과의 사이의 채널상태에 따라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1,2,4)을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패킷 데이터 유닛이 작성되고, 그것들이 유저장치(UE)로 전송된다.
상기에서는 다운링크의 데이터 전송이 설명되었으나, 상향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도중에 기지국간 핸드오버가 개시된 경우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상기와 마 찬가지로 패킷 데이터 유닛 #1, #3 및 #5는 기지국에서 양호하게 수신되어 있으나, 패킷 데이터 유닛 #2, #4는 아직 양호하게 수신되지 못했다고 한다. 이 경우, 소스 기지국(12)은 양호하게 수신된 패킷 데이터 유닛 #1, #3, #5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3을 구축하고 있다. 기지국(12)은 완성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3을 액세스 게이트웨이(aGW)로 전송한다. 핸드오버가 시작되면, 기지국(12)은 불완전하게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1,2,4 모두를 파기한다. 따라서 이들의 내용은 타겟 기지국(13)을 통해서 유저장치(UE)로부터 새로이 송신되게 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핸드오버시에 상기와 같은 처리가 이루어졌다고 하면, 다운링크 전송에 관해서는, 기지국간에 필요한 통신량이 많아져, 기지국의 부담이 증가하거나 네트워크 리소스를 압박해버리는 등의 문제가 우려된다. 이 문제는 핸드오버하는 유저장치 수가 많아질수록 심각해진다. 소스 기지국에서 재송에 관련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이 파기되고, 타겟 기지국에서 새로이 패킷 데이터 유닛이 재작성되므로, 이것은 무선 리소스의 유효 활용을 도모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 업링크에서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일부분이 양호하게 수신되어 있다고 해도, 전체적으로 불완전하다면 그 서비스 데이터 유닛 전부가 파기된다. 부분적으로 양호하게 전송된 데이터도 타겟 기지국을 통해서 재차 전송되지 않으면 안되며, 이 경우도 무선 리소스의 유효 활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1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과제는,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장치의 기지국간 핸드오버시의 통신 리소스의 유효 활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은, 액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송신버퍼와, 하향 무선링크에서 재송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재송버퍼와, 유저장치에 대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계획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출력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송신버퍼 또는 상기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신호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작성하는 송신신호 처리수단을 갖는다. 상기 스케줄러는,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을 결정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장치의 기지국간 핸드오버시의 통신 리소스의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대응관계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6채널 스톱 앤드 웨이트 방식이 수행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액세스 게이트웨이
12,13 기지국
14 유저장치
402 수신앰프부
404 CQI 처리부
406 메트릭(metric) 처리부
408 메저먼트 리포트 처리부
410 스케줄러
412 송신버퍼
414 송신신호 처리부
416 HARQ 버퍼
418 송신앰프
502 앰프
504 CQI 처리부
506 주변 셀 측정부
508 핸드오버 이벤트 판정부
510 메저먼트 리포트 작성부
512 송신버퍼
514 HARQ 버퍼
516 제어채널 작성부
518 송신신호 처리부
520 송신앰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기지국에 구비되는 스케줄러는,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초회 송신 데이터 또는 재송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을 결정한다. 이 수법은, 핸드오버시에 송달 미확인 채로 파기되는 데이터량 및/또는 기지국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줄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나타내는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결정되어도 좋다. 이 수법은, 그 유저장치로의 송신버퍼 체류량을 줄이고, 기지국간의 데 이터 전송량을 줄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을 나타내는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결정되어도 좋다. 이 수법은, 그 유저장치로의 HARQ 버퍼 체류량을 줄이고, 쓸모없이 파기되는 PDU량을 줄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패킷 데이터 유닛(PDU) 각각의 데이터 사이즈 및 데이터 경계 위치에 따라서, 송신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는 패킷 데이터 유닛의 내용이 결정되어도 좋다.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관해, 추가적인 세그멘테이션이 금지되어도 좋다. 이 수법은, 유저장치에서 SDU를 완성하기 쉽게하고, 송달 미확인 채로 소스 기지국에서 파기되는 PDU량을 줄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유저장치에서 미완성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패킷 데이터 유닛 중, 보다 많은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완성에 기여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이, 다른 것에 우선하여 전송되어도 좋다. 이 수법도, 유저장치에서 SDU를 완성하기 쉽게하고, 송달 미확인 채로 소스 기지국에서 파기되는 PDU량을 줄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는,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보다도 우선하여 데이터 송신의 기회가 부여되도록 기지국에 요구한다.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핸드오버 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을 나타내는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결정되어도 좋다.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패킷 데이터 유닛(PDU) 각각의 데이터 사이즈 및 데이터 경계 위치에 따라서, 송신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는 패킷 데이터 유닛의 내용이 결정되어도 좋다.
기지국에서 미완성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패킷 데이터 유닛 중, 보다 많은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완성에 기여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이, 다른 것에 우선하여 전송되어도 좋다.
유저장치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 유저장치에서 추가적인 세그멘테이션이 금지되어도 좋다.
실시 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에는, 수신앰프부(402), CQI 처리부(404), 메트릭(metric) 처리부(406), 메저먼트 리포트(measurement report) 처리부(408), 스케줄러(410), 송신버퍼(412), 송신신호 처리부(414), HARQ 버퍼(416) 및 송신앰프(418)가 도시되어 있다.
수신앰프부(402)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상향신호에 동조하여 그것을 수신한다.
CQI 처리부(404)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CQI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CQI는, 유저장치에 의한 수신 SIR의 측정값이 예를 들면 32단계의 레벨로 부호화 표현된 값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주지인 다른 다양한 수법으로 CQI가 표현되어도 좋다.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된 순시 CQI는 평균화되어도 좋다.
메트릭 처리부(406)는, CQI를 나타내는 정보, 송신버퍼의 데이터량, 재송정보(재송 횟수, 재송 패킷의 데이터 사이즈 등의 재송에 관한 정보) 등의 각종 파라미터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메트릭을 산출한다. 메트릭은 채널상태의 좋고 나쁨이나 공평성 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변화하는 어떠한 양이면 좋다.
메저먼트 리포트 처리부(408)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메저먼트 리포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한다. 이 메저먼트 리포트에 기초하여, 유저장치는 핸드오버해야할 상태에 있는 것이 판명난다.
스케줄러(410)는, 메트릭 처리부(406)로부터의 메트릭, 메저먼트 리포트의 보고결과, 송신버퍼량, 재송 정보 등에 기초하여, 어느 유저장치에 어느 무선 리소스를 어떻게 할당할지를 계획하고, 할당내용을 나타내는 스케줄링 정보를 출력한다. 송신버퍼량 및 재송 정보는 메트릭 처리부(406)에서만 고려되어도 좋다. 후술하는 동작 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케줄러(410)는,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을 결정한다.
송신버퍼(412)는 하향 유저 데이터(즉,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를 송신할때까지 버퍼링한다.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은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이며, 예를 들면 1500 바이트와 같은 처리 단위여도 좋으며,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 사이즈로 구성되어도 좋다.
송신신호 처리부(414)는,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신호를 작성한다. 송신신호는 패킷 데이터 유닛(PDU)이라 불리는 데이터 단위로 수행된다. 무선채널 상태에 따라서 소요품질이 만족되도록,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사이즈 및 전송방식은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제어된다. 전송방식은, 데이터 변조방식, 채널 부호화율, 주파수 리소스 블록 등으로 지정된다.
송신신호 처리부(414)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과 무선 전송용 패킷 데이터 유닛(PDU)과의 대응관계를 관리한다. 송신신호 처리부(414)는, 송신버퍼(412)에 축적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사이즈에 맞춰서 적절히 구분하고(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무선 패킷을 작성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이 연결되고(컨케터네이션(concatenation)), 하나의 무선 패킷이 작성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1은 2개로 구분되고, 그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1의 앞부분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 PDU #1이 작성되어 있다. 패킷 데이터 유닛 PDU #2는, SDU #1의 뒷부분과 SDU #2의 앞부분을 연결함으로써 작성되어 있다.
HARQ 버퍼(416)는 재송 제어용의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후의 재송에 대비하여, 초회 송신 완료된 패킷 데이터 유닛(PDU), 프로세스 번호, 재송 횟수, 응답신호의 내용(ACK,NACK) 등의 정보가 기억된다.
송신앰프(418)는 송신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도시의 간명화를 위해서, 제어채널 그 밖의 채널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제로는 그들의 채널이 적절히 다중되어 송신신호가 작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유저장치는 전형적으로는 휴대전화기와 같은 이동국이다. 도 5에는 수신앰프(502), CQI 처리부(504), 주변 셀 측정부(506), 핸드오버 이벤트 판정부(508), 메저먼트 리포트 작성부(510), 송신버퍼(512), HARQ 버퍼(514), 제어채널 작성부(516), 송신신호 처리부(518) 및 송신앰프(520)가 도시되어 있다.
수신앰프(502)는 수신하고자 하는 시스템 및 주파수에 동조하여 신호를 수신한다.
CQI 처리부(504)는 현재 통신중인 셀의 수신신호(예를 들면 공통 파일럿 채널)로부터 무선 채널 상태 CQI(순시 CQI)를 측정한다. CQI는 다양한 양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Es/Io(Symbol energy to interference power ratio)로 표현되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공통 파일럿 채널을 수신하고, 수신 SIR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32단계의 레벨로 부호화하는 것으로 CQI가 표현되어도 좋다. CQI의 측정은 갭 중을 제외하고 소정의 측정 주기마다 수행된다. 측정된 CQI는 기지국에 보고된다. CQI의 순시값은 거리변동이나 쉐도잉에는 추종할 수 있을 정도로 적절히 평균화되어도 좋다.
주변 셀 측정부(506)는 접속 중인 셀 이외의 주변 셀로부터의 신호의 수신품질을 측정한다.
핸드오버(HO) 이벤트 판정부(508)는, 주변 셀 측정부(506)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유저장치(자국)가 핸드오버해야 할 이벤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 정한다. 대체적으로, 주변 셀의 수신신호 품질이 접속 중인 셀의 수신신호 품질에 필적하거나 또는 보다 커진 경우에,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한다.
메저먼트 리포트 작성부(510)는, 검출된 핸드오버 이벤트에 기초하여, 해당 유저장치가 핸드오버해야 할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는 메저먼트 리포트를 작성한다.
송신버퍼(512)는 상향 유저 데이터(상향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를 송신할때까지 버퍼링한다.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은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이며, 예를 들면 1500 바이트와 같은 처리 단위여도 좋으며,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 사이즈로 구성되어도 좋다.
HARQ 버퍼(514)는 재송 제어용의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후의 재송에 대비하여, 초회 송신 완료된 패킷 데이터 유닛(PDU), 프로세스 번호, 재송 횟수, 응답신호의 내용(ACK,NACK) 등의 정보가 기억된다.
제어채널 작성부(516)는 (상향) 제어채널을 작성한다. 제어채널에는, 상향 송신용 무선 채널의 할당 요구, 메저먼트 리포트 등의 제어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송신신호 처리부(518)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CQI를 나타내는 정보,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등을 다중화하고, 송신신호를 작성한다. 이 송신신호도 패킷 데이터 유닛(PDU)이라 불리는 데이터 단위로 수행된다. 무선채널 상태에 따라서 소요품질이 만족되도록,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사이즈 및 전송방식은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제어된다.
송신신호 처리부(518)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과 무선 전송용 패킷 데이 터 유닛(PDU)과의 대응관계를 관리한다. 송신신호 처리부(414)는, 송신버퍼(412)에 축적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사이즈에 맞춰서 적절히 구분하고(세그멘테이션), 무선 패킷을 작성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이 연결되고(컨케터네이션), 하나의 무선 패킷이 작성된다.
송신앰프(520)는 송신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낸다. 다운링크 전송에 있어서의 핸드오버시의 동작 예가 도시된다. 단계 S12에서는, 유저장치(UE)가 핸드오버 이벤트를 검출하고, 메저먼트 리포트를 소스 기지국에 통지한다. 소스 기지국은 유저장치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이다.
단계 S14에서는 유저장치로부터의 통지에 응답하여,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구가 있었음을 통지한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구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확보한 것을 소스 기지국에 통지한다(단계 S16). 적절한 무선 리소스가 확보되지 못하면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없다.
단계 S18에서는 소스 기지국에서 '우선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8에서는 소스 기지국은 이하의 동작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한다.
(A)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하고자 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송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가, 다른 유저장치의 데이터보다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스케줄링한다. 핸드오버하고자 하고 있는 유저장치가 어느 것인지는, 메저먼트 리포트를 참조함으로써 판명난다(도 4의 408). 이 유저장치로의 데 이터가 우선적으로 전송되면, 그 유저장치로의 송신버퍼(412)에 쌓여있는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송신되어, 버퍼 체류량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후 단계 S21에서 인터페이스(x2)를 통해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량도 적어지게 된다. 이 수법에 따르면 핸드오버에 있어서의 기지국간의 통신 리소스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B)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하고자 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재송 데이터(HARQ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 유닛(PDU))가, 다른 데이터보다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스케줄링한다. 도 3의 '#2 재송' 부근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의 데이터 전송에서는 어느 유저장치에 관한 연속하는 프로세스 ID 사이에, 다른 유저장치로의 패킷이 전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수법에서는 '#2 재송'으로 도시되는 데이터 전송의 개시 타이밍이 가능한 한 빨라지도록 스케줄링의 내용이 결정된다. 재송에 관한 정보는 HARQ 버퍼(416)로부터 메트릭 처리부(406) 및/또는 스케줄러(410)에 통지된다. 이 재송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송신되면,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긍정응답신호(ACK)가 통지될 확률이 높아진다. 핸드오버시에(HO 커맨드 발행 후에) HARQ 버퍼(416)에 잔존해 있는 패킷 데이터 유닛(PDU)은 파기되므로, 본 수법에 따르면, 송달 미확인 채로 파기되는 패킷 데이터량을 적게할 수 있다.
(C) 소스 기지국은, 유저장치에서 미완성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패킷 데이터 유닛(PDU) 중, 보다 많은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완성에 기여하는 패킷 데이터 유닛(PDU)이, 다른 것에 우선하여 전송된다. 예를 들 면, 어느 유저장치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관계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 유닛 PDU #1, #3에 대해서는 긍정응답신호(ACK)가 얻어져 있으나, 다른 PDU에 대해서는 그것이 아직 얻어져 있지 않았다고 한다. 이 경우, 완성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은 SDU #3뿐이다. 미완성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패킷 데이터 유닛은, PDU #2, #4, #5이다. PDU #2가 적절히 전송되면,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1, #2를 완성시킬 수 있다.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4를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패킷 데이터 유닛 PDU #4 및 PDU #5 쌍방이 적절히 전송될 필요가 있다. 본 수법에 따르면, SDU #1, #2의 완성에 기여하는 PDU #2가, PDU #4, #5보다도 우선적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완성을 재촉할 수 있으며, 이후 단계 S21에서 인터페이스(x2)를 통해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량을 적게할 수 있다. 이 수법에 의해서도 핸드오버에 있어서의 기지국간의 통신 리소스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D) 소스 기지국은,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패킷 데이터 유닛(PDU) 각각의 데이터 사이즈 및 데이터 경계 위치에 따라서, 송신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는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내용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하고자 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관해서, 추가적인 세그멘테이션을 금지하면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정보 비트 레이트를 가능한 한 낮게 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 우선처리가 개시된 시점에서, PDU #1, #2는 송신완료되었으나, PDU #3은 미송신되었다고 한다. 본 수법 이외의 수법 에서는, PDU #3에 포함되는 정보는, SDU #2의 일부분, SDU #3의 전부 및 SDU #4의 일부분이다. 스케줄링 정보에서 지정된 전송방식을 이용하면, 소요품질을 만족하면서 이만큼의 정보를 전송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본 수법에서는 우선처리 개시 후의 세그멘테이션은 금지되어, SDU #4의 일부분을 뽑아내기 위한 세그멘테이션은 금지된다. 따라서 본 수법에서의 PDU #3에 포함되는 정보는, SDU #2의 일부분과 SDU #3의 전부밖에 없다. 도 2에서 'Δ'로 도시되는 남은 리소스는, SDU #2, #3을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예를 들면, 그만큼 MCS 레벨이 낮추어지거나, 채널 부호화율이 작게 낮추어지거나 혹은 변조 다치수가 작게 낮추어진다). 그 결과, 일부의 SDU #2와 전(全) SDU #3이 적절히 전송될 확률이 높아진다. 만일 SDU #4의 일부가 PDU #3에 포함되고, PDU #4, #5가 이후 작성되었다고 해도, PDU #4, #5는 송달 미확인 채로 파기될 가능성이 높다. 경우에 따라서는 PDU #3도 파기될지도 모른다. 현재의 상정 예에서, 핸드오버 커맨드 발행 전의 단시간 동안에 PDU #4, #5에 관해서(경우에 따라서는 PDU #3에 관해서도) 송달 확인을 얻는 것은 반드시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송달 미확인 채로 버리는 PDU량을 줄이는 관점에서는, 오히려 새로운 세그멘테이션을 금지하고, 이미 잘려진 SDU가, 보다 확실하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세그멘테이션 금지에 더하여, 그와 같은 유저장치로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세그멘테이션이 금지되어도 좋다. 세그멘테이션이 허가되어, 패킷 데이터 유닛의 일부가 핸드오버 전에 유저장치에 도착했다고 해도, 남은 부분이 도착하지 않으면, 그것들은 쓸모없게 되어버린다. 따라서 핸드오버하는 유저장치로의 패킷 데이터 유닛의 세그멘테이션은 적극적으로 허가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핸드오버하고자 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나 재송 데이터 등을 다른 데이터보다 우선하는 것에 더하여, 그 핸드오버가 동일 기지국에 속하는지 아닌지 더 구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동일 기지국에 속하는 핸드오버보다도,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유저장치의 우선도가 높게 설정되어도 좋다. 기지국이 변하지 않는 핸드오버(인트라 eNB 핸드오버 또는 섹터간 핸드오버)에서는, HARQ를 관리하는 MAC 프로토콜 레이어나, HARQ의 잔류 오류에 따라서 재송 처리 등을 취급하는 RLC 프로토콜 레이어가 리셋되지 않아, 핸드오버 종료 후에도 HARQ 프로세스를 이어받거나, RLC 레벨에서 PDU를 이어받거나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기지국이 변하는 핸드오버(인터 eNB 핸드오버 또는 셀간 핸드오버)에서는, MAC 및 RLC 등은 리셋되어, HARQ 프로세스나 RLC 레벨의 PDU를 이어받는 것은 사실상 어려워진다. 따라서, 그와 같은 유저장치의 스케줄링을 우선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단계 S20에서는 소스 기지국이 유저장치로 핸드오버 커맨드를 발행하고, 핸드오버 처리가 실제로 이루어지게 한다. 핸드오버 커맨드의 발행 후, 소스 기지국에서 송달 미확인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이, 인터페이스(x2)를 통해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된다(단계 S21). 도시의 간명화를 위해 단계 S21의 전송은 이 시점에서만 이루어지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HO 커맨드 발행 후의 적절한 어떠한 시점에서 전송이 수행되어도 좋다. 단, 타겟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적어도 전송 데이터의 선두부분이 타겟 기지국에 도착해 있을 것을 요한다.
단계 S22에서는, 유저장치는 HO 커맨드에 응답하여 소스 기지국에 동기하도록 동작한다. 이에 따라 그 유저장치용으로 예약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계 S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장치가 타겟 기지국에 동기한 후,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이 유저장치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통지된다.
단계 S26에서는 타겟 기지국은, 상위노드인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대해서 다운링크 전송경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이후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그 유저장치로의 하향 패킷을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단계 S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기지국은, 유저장치로부터의 핸드오버 완료보고에 응답하여, 소스 기지국에 대해서, 그 유저장치용 무선 리소스를 해방해도 좋음을 연락한다. 또한, 경로전환(단계 S26) 및 리소스 해방(단계 S28)의 순서는 반대여도 좋으며, 동시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핸드오버에 관한 일련의 수순이 종료된다.
또한, '우선처리'(단계 S18)는 HO 요구확인(단계 S16) 후로 한정되지 않고, HO 커맨드(단계 S20) 발행 전의 적절한 어떤 시점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다시 말하면 '우선처리'는 메저먼트 리포트 수신 후 HO 커맨드 발행 전의 어떠한 시점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단,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거절된 경우에도 처리가 쓸모없게 되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는, HO 요구확인 후에 우선처리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2
제1 실시 예에서는 다운링크에 관한 사항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업링크에 관한 사항이 설명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낸다. 대체적으로 도 6에서 설명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유저장치가, 단계 S12에서 메저먼트 리포트를 소스 기지국에 보고한 후, 단계 S20의 핸드오버 커맨드에 응답할때까지 사이에, 단계 S19에서 '우선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9의 '우선처리'에서는, 유저장치는 이하의 동작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한다.
(A) 유저장치는, 핸드오버하고자 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송신버퍼에서 송신 대기중인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이, 다른 유저장치의 데이터보다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기지국에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유저장치에 대한 리소스 할당이 우선되도록, 유저장치가 기지국으로 제어채널을 통해서 요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업링크에서는, 핸드오버시에 기지국에서 미완성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은 파기된다. 보다 많은 송신기회가 주어짐으로써, 소스 기지국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완성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져, 핸드오버시에 파기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량을 줄일 수 있다.
(B) 유저장치는, 미송신 데이터(송신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보다도 재송 데이터(HARQ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우선하여 전송한다. 재송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송신되면, 기지국에서 SDU를 완성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 그 결과, 핸드오버시에 파기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량을 줄일 수 있다.
(C) 유저장치는, 기지국에서 미완성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패킷 데이터 유닛(PDU) 중, 보다 많은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의 완성에 기여하는 패킷 데이터 유닛(PDU)이, 다른 것에 우선하여 전송된다. 소스 기지국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을 효율적으로 완성시킬 수 있어, 핸드오버시에 파기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량을 줄일 수 있다.
(D) 유저장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패킷 데이터 유닛(PDU) 각각의 데이터 사이즈 및 데이터 경계 위치에 따라서, 송신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는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내용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장치는, 추가적인 세그멘테이션을 금지하면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정보 비트 레이트를 가능한 한 낮게한다. 본 수법에서는 우선처리 개시 후의 세그멘테이션은 금지되며, 그 결과 남은 리소스는, 이미 잘려진 패킷 데이터 유닛의 전송에 사용되어, 적절히 전송될 확률이 높아진다. 이리하여 핸드오버시에 파기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량을 줄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이 몇 개의 실시 예로 나뉘어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제1 또는 제2 실시 예의 일방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으며, 쌍방의 실시 예가 동시에 사용되어도 좋다. 특히 쌍방이 사용되는 경우, 상하링크 쌍방에서 쓸모없이 파기되는 SDU가 줄어들어, 기지국간의 네트워크 리소스 사용량도 절약된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 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서력 2006년 6월 16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6-167998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17)

  1.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송신버퍼;
    하향 무선링크에서 재송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재송버퍼;
    유저장치에 대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계획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출력하는 스케줄러; 및
    상기 송신버퍼 또는 상기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신호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작성하는 송신신호 처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스케줄러는,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송신버퍼에 저장된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송신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유저장치에서 미완성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패킷 데이터 유닛 중, 보다 많은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완성에 기여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이, 다른 것에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5. 제 1항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 및 패킷 데이터 유닛 각각의 데이터 사이즈 및 데이터 경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송신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는 패킷 데이터 유닛의 내용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6. 제 5항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세그멘테이션이 금지되며, 상기 세그멘테이션에 의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은 분할되고, 분할된것이 복수의 패킷 데이터 유닛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 제 5항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패킷 데이터 유닛을 분할하는 세그멘테이션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재권 셀의 기지국과는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가, 다른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액세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송신버퍼와, 하향 무선링크에서 재송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재송버퍼를 가지며, 해당 방법은,
    유저장치에 대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계획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스케줄러로부터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버퍼 또는 상기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신호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작성하는 송신신호 처리단계;를 가지며,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 용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지국과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송신버퍼;
    상향 무선링크에서 재송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재송버퍼; 및
    상기 송신버퍼 또는 상기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작성하는 송신신호 처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기지국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미완성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패킷 데이터 유닛 중, 보다 많은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완성에 기여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이, 다른 것에 우선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 및 패킷 데이터 유닛 각각의 데이터 사이즈 및 데이터 경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송신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는 패킷 데이터 유닛의 내용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 추가적인 세그멘테이션이 금지되며, 상기 세그멘테이션에 의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분할되고, 분할된 것이 복수의 패킷 데이터 유닛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 패킷 데이터 유닛을 분할하는 세그멘테이션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재권 셀의 기지국과는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 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가, 다른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기지국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7.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유저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지국과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는,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송신버퍼와, 상향 무선링크에서 재송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을 저장하는 재송버퍼를 가지며, 해당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버퍼 또는 상기 재송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신호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작성하는 단계; 및
    작성된 송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내용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는 유저장치로의 데이터가,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있지 않은 유저장치로의 데이터보다도 우선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기지국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29828A 2006-06-16 2007-06-15 기지국, 유저장치 및 방법 KR20090021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7998 2006-06-16
JPJP-P-2006-167998 2006-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273A true KR20090021273A (ko) 2009-03-02

Family

ID=3883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828A KR20090021273A (ko) 2006-06-16 2007-06-15 기지국, 유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54736B2 (ko)
EP (1) EP2031893A4 (ko)
JP (1) JP4954996B2 (ko)
KR (1) KR20090021273A (ko)
CN (1) CN101467480B (ko)
WO (1) WO2007145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7349B2 (en) * 2007-07-20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order delivery of data packets during handoff
WO2009084103A1 (ja) * 2007-12-28 2009-07-09 Fujitsu Limited 送信制御方法、無線基地局、移動局および制御方法
US9055612B2 (en) 2008-02-11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continuity
JP5115802B2 (ja) * 2008-03-11 2013-01-09 富士通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67841A (ja) * 2008-04-25 2009-11-12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09267840A (ja) * 2008-04-25 2009-11-12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063467B2 (ja) * 2008-04-25 2012-10-3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125994B2 (en) * 2008-05-09 2012-0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network layer data units
CN102014508B (zh) * 2009-09-04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半静态调度重激活的方法及基站
US9560682B2 (en) * 2010-11-05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s to support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cellular networks
JP5631828B2 (ja) * 2011-09-16 2014-11-2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3143671A (ja) * 2012-01-11 2013-07-22 Sumitomo Electric Ind Ltd 無線基地局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102121526B1 (ko) * 2012-07-23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US9485061B2 (en) * 2012-10-12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flexible repeat-respons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955387B1 (en) * 2013-05-16 2018-04-24 Sprint Spectrum L.P. Management of modulation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nticipation of handover
CN105637926B (zh) * 2013-06-11 2019-06-21 七网络有限责任公司 将应用流量分载至共享通信信道进行无线网络中的信令优化用于使用专有和非专有协议的流量
WO2017053964A1 (en) 2015-09-25 2017-03-30 Fsa Technologies, Inc. Data flow prioritization system and method
JP2019169750A (ja) * 2016-08-10 2019-10-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再送制御方法
CN109565512B (zh) * 2017-05-04 2021-07-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链路层的数据包切割配置方法及相关产品
US11129224B2 (en) * 2018-09-11 2021-09-21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ed access backhaul link management during loss of uplink synchronization
US11805079B2 (en) * 2021-11-17 2023-10-3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5153B2 (ja) * 2002-07-04 2008-03-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ケット送信装置および送信タイミング制御方法
JP3943475B2 (ja) * 2002-10-04 2007-07-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端末、移動通信方法
EP1432262A1 (en) * 2002-12-20 2004-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tocol context preserv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EP1549097A1 (en) * 2003-02-18 2005-06-29 Fujitsu Limited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E353174T1 (de) * 2003-08-14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Zeitüberwachung von packetwiedersendungen während eines sanften weiterreichens
JPWO2005046282A1 (ja) * 2003-11-07 2007-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局、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
CN1934886A (zh) * 2004-02-27 2007-03-21 三菱电机株式会社 调度器、基站以及调度方法
WO2005120109A1 (en) * 2004-06-04 2005-12-1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oft handoff in mobile broadband systems
AU2005287981B2 (en) * 2004-08-17 2008-08-2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nd transmitting/receiving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in a BWA communication system
JP2006167998A (ja) 2004-12-13 2006-06-2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7395066B2 (en) * 2005-06-15 2008-07-01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mproving performance during cell change
US20070153742A1 (en) * 2006-01-03 2007-07-05 Benoist Sebire Method, apparatus, software, and system for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54996B2 (ja) 2012-06-20
EP2031893A1 (en) 2009-03-04
US8654736B2 (en) 2014-02-18
JPWO2007145340A1 (ja) 2009-11-12
CN101467480A (zh) 2009-06-24
WO2007145340A1 (ja) 2007-12-21
CN101467480B (zh) 2011-05-25
EP2031893A4 (en) 2014-03-12
US20100111036A1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4996B2 (ja) 基地局、ユーザ装置及び方法
JP4952586B2 (ja) パケットデータの廃棄方法、無線通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
US7957349B2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99044B1 (ko) 고속 업링크 패킷 접속 방식의 개선
CN10856630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缓冲器状态报告的终端及其方法
JP517492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991011B2 (ja) 無線装置とネットワーク間のデータユニットのシーケンスの送信のための無線通信方法
JP477290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状態報告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100487245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압축 모드에 따른 전송 불능 구간을 최소화하는장치 및 방법
JP538029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情報通知方法
KR1007708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추산 버퍼 상태 정보를 이용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US200300311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data in an HSDP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507422A1 (en) Serving base station selection during soft handover
KR2005000487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셀 변경 방법
US8331320B2 (en) Fast serving cell change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7076363A1 (en) Method for efficient reliable transmission
CN107734576A (zh) 上行数据发送方法及装置
KR1009697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117370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EP2262302A1 (en) Tele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