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535A -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 Google Patents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535A
KR20090020535A KR1020080082899A KR20080082899A KR20090020535A KR 20090020535 A KR20090020535 A KR 20090020535A KR 1020080082899 A KR1020080082899 A KR 1020080082899A KR 20080082899 A KR20080082899 A KR 20080082899A KR 20090020535 A KR20090020535 A KR 20090020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et
protrusion
grip
finger
shak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905B1 (ko
Inventor
류종렬
Original Assignee
류종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종렬 filed Critical 류종렬
Publication of KR2009002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2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solid surfaces
    • A63B59/45Rubbe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bonding between a rubber part and the racke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2Handles contoured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user's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Golf Club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그립부의 외면에 손가락이 밀착지지되는 돌기부를 더 구비하여 공격시에 타구되는 탁구공의 위력이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면을 모두 사용함에 있어 타구면의 전환시에 돌기부를 지지하는 동작에 의해 타구면이 전환되도록 하여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그립부(돌기부)를 파지하는 엄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과 약지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쉐이크 핸드 라켓의 양측 타구부를 사용하여 탁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라켓 몸체와; 상기 라켓 몸체의 양면에 각각 러버가 부착된 2개의 타구부와; 상기 라켓 몸체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그립부의 파지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지지되는 돌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탁구 라켓, 쉐이크 핸드 라켓, 라켓 그립부

Description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WITH SUPPORTING PROJECTION PART}
본 발명은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지손가락을 라켓 몸체의 후면부에 밀착 지지하고 그립부를 엄지손가락과,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쉐이크 핸드형 라켓의 그립부에 돌기부를 더 구비하여 공격시에 타구되는 탁구공의 위력이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면을 모두 사용함에 있어 타구면의 전환시에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미끄러짐과 흔들림이 적어 초보자도 쉽게 쉐이크 핸드 라켓의 양측 타구부를 사용하여 탁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에 각각 러버(1)(1)가 부착된 양면 타구부와, 사용자가 라켓을 잡을 수 있는 그립부(2)로 구성되어 있는 바,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2)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손가락이 이면 타구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엄지손가락과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이 상기 그립부(2)를 잡아 쥐는 형태로 파지하여 상기 러버(1)(1)가 부착된 양면 타구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탁구공을 상대방측으로 넘김으로써 탁구를 즐기는 것으로, 탁구공을 타격할 수 있는 타구부가 양면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백핸드 나 포핸드공격과, 쇼트공격은 물론 드라이브 공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쉐이크 핸드형 라켓은, 손으로 라켓을 잡을 때 그립부(2)를 축으로 하는 기하학적인 라켓의 중심축선(a)상에 위치한 라켓 타격부의 중심점(c)이 손목을 축으로 하여 전/후진되는 원심력선(b)상 보다 상부에 위치되어져 있음에 따라, 타구점인 타격부의 중심점(c)이 손목을 축으로 한 원심력 축선(b)보다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어져 다양한 각도로 공을 타격할 때, 손목 및 팔의 변화에 따른 러버(1)의 중심점에 맞추는 타구점의 일관성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탁구공의 타격시 손목 또는 팔의 높이를 변화시켜 러버의 중심점에 맞추어야만 정확한 타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연습과정을 거쳐야 함으로써 초보자들로서는 기술습득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또, 종래 쉐이크 핸드형 라켓의 경우 라켓을 파지하는 그립부가 단순하게 타구부로부터 일자형으로 수직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도중에 손에 땀이 차거나 할 경우 그립부로부터 손이 미끄러지는 슬립(slip)현상이 발생되어 라켓을 종종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그립부와 손의 미끄러짐 현상은 사용자가 힘차게 스매싱 동작을 취했을 때, 라켓의 타구부가 흔들리는 원인이 되어 스매싱 공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쉐이크 핸드형 라켓은 타구부의 하부측에 막대자루 형상의 그립부를 결합시키어 단순히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기능만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라 켓의 무게가 타구부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어 숙달되지 않은 사람은 손목이나 손끝에 지나치게 힘을 넣고 타격함으로써 무리한 타격을 하게 되고, 타격시 원심력으로 인하여 라켓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쉐이크 핸드형 라켓은 스매싱이나 백핸드 스매싱과 같이 날아오는 공의 방향에 따라 양면 타구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포핸드 동작에서 백핸드 동작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백핸드 동작에서 포핸드 동작으로 전환할 때, 라켓의 이면 타구부에 대한 각도를 정확하게 설정하여야 함으로써, 전환시에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쉐이크 핸드형 라켓은 손가락 또는 손바닥에 접하는 접점부근에 비어있는 공간이 없어서 손가락 또는 손바닥 면의 전체가 그립부에 닿아 있어 인해 손에서 흐른 땀이 공기중으로 증발될 수가 없으므로 많은 공격 및 수비 실수와 타구의 부정확성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 안출된 바 있는 등록실용신안 제428238호인 탁구라켓을 살펴보면, 탁구 라켓 손잡이가 라켓몸체 가장자리에서 반대쪽 대각선 방향으로 내려오는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라켓몸체의 손잡이가 라켓몸체 가장자리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히 내려와서 권총의 손잡이처럼 라켓손잡이를 쥐게되는 구조로 되어 탁구라켓을 쥘 때 손목이 꺽이지 않고 타구시 손바닥이나 손등으로 치듯이 양면을 쉽고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권총손잡이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428238호인 탁구라켓의 경우, 라켓 몸체의 양측에 각각 러버가 부착되어 있음에 따라 종래 쉐이크 핸드형 라켓과 같이 양면타법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마치 권총손잡이와 같이 하향 절곡지게 형성하여 라켓의 파지가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양면타법을 이용한 탁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428238호의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 쉐이크 핸드형 라켓이 지닌 문제점들인, 그립부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이나, 또는 백핸드에서 포핸드로 공격을 전환할 때 라켓의 타구부를 전환시킴에 있어서의 손목에 무리가 오는 문제점이나, 또는 타구부의 타격점에 탁구공이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음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들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립부의 외면에 손가락이 밀착지지되는 돌기부를 더 구비하여 공격 시에 타구되는 탁구공의 위력이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 또는 손바닥 면의 전체가 그립부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흐른 땀이 공기중으로 쉽게 증발하도록 해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억제하여, 양면을 모두 사용함에 있어 타구면의 전환시 돌기부의 마찰작용에 의해 타구면이 전환되도록 하여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엄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과, 약지손가락 및 새끼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돌기부를 파지하도록 하여 손바닥이 그립부에서 미끄러짐과 흔들림을 억제하므로써 초보자도 쉽게 쉐이크 핸드 라켓의 양측 타구면을 사용하여 탁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은, 라켓 몸체와; 상기 라켓 몸체의 양면에 각각 러버가 부착된 2개의 타구부와; 상기 라켓 몸체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외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그립부의 파지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지지되는 돌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부는, 엄지손가락,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새끼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그립부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그립부의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그립부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구부의 하단부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밀착하여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구부의 하단부의 밀착부분에 흔들림방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은, 라켓 몸체를 파지하는 그립부의 외면에 손가락이 거치되어 지지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양면을 모두 사용함에 있어 타구면의 전환시 돌기부의 마찰작용에 의해 백핸드와 포핸드간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돌기부에 의하여 그립부의 외면에 엄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과 약지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손가락과 그립부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되며, 미끄러짐을 방지되므로써 초보자들도 쉽게 쉐이크 핸드형 라켓의 양면타법을 이용하여 탁구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흔들림이 적어짐으로써 탁구공의 타격에 따른 공격성이 향상된다.
또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되므로써 라켓을 잡은 손을 눈으로 보지 않더라도 라켓이 잡힌 각도를 감각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용이하여 정확하고 빠른 대응과 공격이 가능해진다.
또한, 돌기부는, 엄지손가락,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지지하므로써 마찰력을 발생하여 적은 힘으로 견고하게 그립을 쥐는 효과를 제공하여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라켓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빠른 만큼 더욱 강력한 타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걸리는 강력한 고리 역할도 겸비하여 공을 타구시 라켓이 빠져나갈 수 없도록 하여 더욱 강하게 타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기부는, 그립부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되, 그립부의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로 구성되어지며 형성된 돌기로 인하여 그립부의 어느 부분에서라도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부는 그립부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므로, 센 힘이 아닌 최소한의 힘으로 어느 부분을 잡더라도 그 부분의 돌기부로 인하여 그립이 미끌어지는 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게 되어 오히려 더욱 빠른 스냅으로 강하게 타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구부의 하단부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밀착하여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구부의 하단부의 밀착부분에 흔들림방지부가 형성되어 안정된 라켓의 각도가 유지하기가 용이하고 미끄러짐이 없어서 초보자는 물론 숙련된 사람도 용이한 화백전환을 구사하기가 쉬우며 더욱 강하고 안정된 타구를 구사할 수가 있다.
또한, 그립부를 잡은 손을 통하여 느끼는 돌기부로 인하여 미끄러짐과 흔들림이 적어져서 라켓의 각도감이 예민하고 정확하게 느껴지므로써 급작스런 화,백 전환시에도 반사적으로 정확한 각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가 있어서 타구면에 공을 맞혀주기만 하여도 쉽게 공에 대응하여 타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부의 돌기로 인하여 화쪽의 타구는 물론이고 백쪽의 타구를 강력하게 칠 수가 있어서 더욱 빠른 공을 상대에게 보냄으로써 상대방의 반사시간을 압도하여 더욱 높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부의 돌기로 인하여 커트 시에도 더욱 많은 회전의 공을 상대에게 보냄으로써 상대방이 공의 회전을 쉽게 처리하지 못하게 하므로써 더욱 높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부의 돌기로 인하여 손가락이 돌기에 걸리게 되어 화쪽의 타구 및 백쪽의 타구시 그립부를 잡을 때 손가락을 조금만 움직여 돌려도 그립부의 앞면과 옆면의 중간 각도로 타구부가 틀어지게 잡는 것이 용이해서 타구시 공을 보내고 싶은 틀어진 각도의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원할하고 자유스럽게 공을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립부의 외면에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빠르고 신속한 타구부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타구부의 변화가 사용자의 손목 스냅동작 뿐만 아니라 동시에 돌기부의 마찰력을 이용한 동작에 의해 이루어져서 전혀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타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립부의 외면에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돌기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그립부를 가볍게 쥐고 힘을 들이지 않고 타격함으로써, 그립부를 세게 잡아서 칠 때 사용자의 팔과 손목에 발생하는 근육피로, 근육경직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돌기부의 모서리가 손가락 또는 손바닥에 압점으로 작용하여 신경을 자극하여 활성도를 높여주는 지압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더욱 흔들림 없이 견고한 그립상태를 유지해준다.
또한, 그립부의 외면에 구비된 돌기부는 돌기부의 모서리가 손가락 또는 손 바닥에 접하는 접점 부근에 비어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그 공간으로 공기가 순환 유통되어 손에서 흐른 땀이 쉽게 공기중으로 증발되어 이로 인해 땀에 의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손가락 또는 손바닥 면의 전체가 그립부에 완전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그립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다른 실시예들을 각각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은, 라켓 몸체(10)와, 상기 라켓 몸체(10)의 양면에 각각 러버가 부착된 2개의 타구부(11)(12)와, 상기 라켓 몸체(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13)와,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그립부(13)의 파지시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h1)이 측면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돌기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부(20)는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에 대해 외부측으로 양각지게 돌설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20)는 그립부(13)의 외면에 대해 양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0)를 제외한 그립부(13)의 외면은 자연스럽게 음각으로 요입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부(20)의 양각과 그립부(13)의 음각에 따라 사용자가 그립부(13)를 파지할 경우 양각의 돌기부(20)와 음각의 그립부(13)에 손바닥면이 밀착되어 그립부(13)를 파지하는 손의 파지력을 느끼게 되어 날아오는 탁구공의 타구시에 탁구공의 반발력을 강하할 수 있어 탁구공의 공격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양각의 돌기부(20)와 음각의 그립부(13) 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지지됨으로써 손가락의 파지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탁구공의 타구시 그립부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고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정교한 타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에 돌기부(20)가 더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빠르고 신속한 타구부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타구부의 변화가 사용자의 손목 스냅동작 뿐만 아니라 동시에 돌기부(20)의 마찰력을 이용한 동작에 의해 이루어져서 전혀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타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에 돌기부(20)가 더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돌기부(20)의 마찰력을 이용한 동작에 의해 이루어져서 그립부(13)를 가볍게 힘을 들 이지 않고 침으로써, 그립부(13)를 세게 잡아서 칠 때 사용자의 팔과 손목에 발생하는 근육피로, 근육경직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에 이루어진 돌기부(20)의 측면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h1)을 밀착시킨 후 엄지손가락(h1)을 이용하여 돌기부(20)의 측면을 밀면, 자연스럽게 그립부(1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라켓몸체(10)가 회전되면서 타구부가 전환될 수 있음으로써, 타구부의 전환동작이 빠르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백핸드에서 포핸드로의 공격전환시에 초보자도 쉽게 타구부를 전환하여 공격할 수 있음에 따라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을 이용한 탁구게임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20)는, 상기 그립부(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그립부(13)의 외면으로부터 적어도 1개 이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1개 이상으로 돌기부(20)가 돌설되어 있음에 따라, 그립부의 파지능력이 향상되고 타구부의 전환동작이 빠르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기부(20)는,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1)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돌기부(20)는,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으로부터 나선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20)는 상기 그립부(13)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20)는 엄지손가락,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새끼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지지하는 역할 또는 마찰력을 발생하는 역할 또는 손가락을 걸어주는 고리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그립부(13)와 손바닥이 미끄러지는 현상과 흔들림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변경된 형태로써 상기 돌기부(20)는 엄지손가락, 검지손가락,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새끼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지지하는 역할 또는 마찰력을 발생하는 역할 또는 손가락을 걸어주는 고리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그립부(13)와 손바닥이 미끄러지는 현상과 흔들림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은,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돌기(21)를 이용하여 흔들림 없이 강력한 타구를 날릴 수가 있으며, 화백 전환시에도 원활하게 라켓을 다룰 수가 있어서 정확한 타구를 날릴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13)은 좌우,앞뒤 대칭 형태로 형성하여 오른손잡이 왼손잡이가 동시에 앞 뒤로 회전하며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타구부(11)(12)의 하단부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밀착하여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구부(11)(12)의 하단부의 밀착부분에 흔들림방지부(70)가 더 형성되므로써, 더욱 견고하게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편안한 라켓과 손의 일체감을 갖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돌기부(20)의 상기 돌기(21)로 인하여 손가락이 돌기(21)에 걸리게되어 화쪽의 타구 및 백쪽의 타구시 상기 그립부(13)를 잡을 때 손가락을 조금만 움직여 돌려도 상기 그립부(20)의 앞면과 옆면의 중간 각도로 타구부(11)(12)가 틀어지게 잡는 것이 용이해서 타구시 공을 보내고 싶은 틀어진 각도의 방향으로 원활하고 자유스럽게 공을 보낼 수 있다.
또한, 돌기부(20)의 뾰쪽한 모서리가 손가락 또는 손바닥에 압점으로 작용하여 신경을 자극하여 활성도를 높여주는 지압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더욱 흔들림 없이 견고한 그립상태를 유지해 준다.
또한, 그립부(13)의 외면에 구비된 돌기부(20)는 돌기부(20)의 뾰쪽한 모서리가 손가락 또는 손바닥에 접하는 접점 부근에 비어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그 공간으로 공기가 유통되어 손에서 흐른 땀이 쉽게 공기중으로 증발되어 이로 인해 땀에 의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손가락 또는 손바닥 면의 전체가 그립부(13)에 완전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그립부(13)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부(2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례로서 십이지(十二支) 중, 사용자의 태어난 해를 상징하는 동물의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 바, 동물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동물의 형상이 갖는 양각과 음각에 의해 돌기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 쉐이크 핸드 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쉐이크 핸드 라켓의 그립부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그립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인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다른 실시예들을 각각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라켓 몸체 11, 12 : 타구부
13 : 그립부 20 : 돌기부
21 : 돌기 22 : 빗살돌기
70 : 흔들림방지부

Claims (5)

  1. 쉐이크 핸드형 라켓에 있어서,
    라켓 몸체(10)와;
    상기 라켓 몸체(10)의 양면에 각각 러버가 부착된 2개의 타구부(11)(12)와;
    상기 라켓 몸체(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13)와;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그립부(13)의 파지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지지되는 돌기부(2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0)는, 엄지손가락,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0)는,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그립부(13)의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1)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0)는 상기 그립부(13)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타구부(11)(12)의 하단부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밀착하여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구부(11)(12)의 하단부의 밀착부분에 흔들림방지부(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
KR1020080082899A 2007-08-23 2008-08-25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KR100986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890 2007-08-23
KR20070084890 2007-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535A true KR20090020535A (ko) 2009-02-26
KR100986905B1 KR100986905B1 (ko) 2010-10-08

Family

ID=4037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899A KR100986905B1 (ko) 2007-08-23 2008-08-25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098143A1 (ko)
EP (1) EP2185253A1 (ko)
JP (1) JP2010536468A (ko)
KR (1) KR100986905B1 (ko)
CN (1) CN101820958A (ko)
AU (1) AU2008289715A1 (ko)
BR (1) BRPI0815287A2 (ko)
CA (1) CA2697661A1 (ko)
MX (1) MX2010002148A (ko)
WO (1) WO200902553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57Y1 (ko) * 2016-05-13 2016-12-01 노현승 탁구 라켓
WO2017196017A1 (ko) * 2016-05-13 2017-11-16 노현승 탁구 라켓
KR20170128754A (ko) * 2016-05-13 2017-11-23 류종렬 도구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3021A (en) * 2011-07-21 2013-01-23 Yung Ken Cheung Thumb rest for table tennis bat
WO2015002112A1 (ja) * 2013-07-03 2015-01-08 株式会社 清水電子研究所 卓球ラケットのグリップ
USD741413S1 (en) * 2014-06-10 2015-10-20 Howard Smikle Toy
DE112021000690T5 (de) * 2020-02-27 2022-12-08 Min Gu Kang Tischtennisschläger mit Fingerstützteil
JP2022190580A (ja) * 2021-06-14 2022-12-26 正彦 岸 運動練習具
JP7100870B1 (ja) 2021-10-28 2022-07-14 星二 古屋 卓球ラケット
JP7450999B1 (ja) 2023-10-04 2024-03-18 俊幸 柘植 シェイクハンド式の卓球用ラケット、および、その取付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742Y2 (ja) * 1978-09-19 1985-06-13 宏司 川又 卓球ラケツト
JPS63111168U (ko) * 1987-01-13 1988-07-16
CN1014117B (zh) * 1987-02-21 1991-10-02 杜谏 体育器械通用手柄
JPS63158369U (ko) * 1987-04-06 1988-10-17
JPH03103099U (ko) * 1990-02-01 1991-10-25
JP2001112900A (ja) 1999-10-15 2001-04-24 Hisao Nakayama 卓球用ラケット
US20030013564A1 (en) * 2001-07-13 2003-01-16 Mcdaniel Donald Wesley Table tennis paddle
JP2003325715A (ja) 2002-05-09 2003-11-18 Kazuo Yamazawa 卓球用ラケット
KR20040021748A (ko) * 2002-09-04 2004-03-11 나동균 광 매체의 공간이동을 통한 3차원 공간위치좌표형성입체영상디스플레이 장치
DE20301529U1 (de) 2003-02-01 2003-05-15 Sing Wo Sports Ltd Tischtennisschläger
JP4736410B2 (ja) * 2004-11-08 2011-07-27 ▲たかし▼ 國澤 卓球ラケット
KR200421748Y1 (ko) 2006-05-02 2006-07-14 문창환 운동경기용 라켓
KR100797270B1 (ko) * 2007-07-03 2008-01-23 손공주 블레이드와 그립이 예각으로 비틀어진 양면 탁구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57Y1 (ko) * 2016-05-13 2016-12-01 노현승 탁구 라켓
WO2017196017A1 (ko) * 2016-05-13 2017-11-16 노현승 탁구 라켓
KR20170128754A (ko) * 2016-05-13 2017-11-23 류종렬 도구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97661A1 (en) 2009-02-26
CN101820958A (zh) 2010-09-01
JP2010536468A (ja) 2010-12-02
MX2010002148A (es) 2010-08-09
BRPI0815287A2 (pt) 2015-02-03
KR100986905B1 (ko) 2010-10-08
EP2185253A1 (en) 2010-05-19
US20110098143A1 (en) 2011-04-28
WO2009025534A1 (en) 2009-02-26
AU2008289715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905B1 (ko)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US8944942B2 (en) Apparatus suspension system
US20170182396A1 (en) Batting pad for adjusting location of bat in batter's hand
KR100817249B1 (ko)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
KR20090045455A (ko) 탁구 라켓
KR200488250Y1 (ko) 구멍과 그립을 가지는 탁구채
KR200437769Y1 (ko) 스윙용 보조기구 및 골프클럽
JP3184479U (ja) 卓球ラケット
KR20170112301A (ko) 수도지지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KR200376174Y1 (ko) 골프채용 그립
CN111388973B (zh) 乒乓球拍
JP2006130279A (ja) 卓球ラケット
JPS6019742Y2 (ja) 卓球ラケツト
JP3248096B2 (ja) スティックアレイ
AU2011341804B2 (en) A grip for a cricket bat handle
KR20170004283A (ko)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CN209392691U (zh) 直拍式乒乓球球拍
US20190388748A1 (en) Grip For A Ball Bat
KR20230149750A (ko) 스포츠용품 손잡이 그립용 보조기구
KR20170004282A (ko) 수도 지지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KR20080111867A (ko) 양면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라켓
JP2005312579A (ja) 卓球用ラケット
KR940007715Y1 (ko) 탁구 배트
KR20150004443U (ko) 탁구라켓
RU158529U1 (ru) Ракетка для настольного тенни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