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715Y1 - 탁구 배트 - Google Patents

탁구 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715Y1
KR940007715Y1 KR2019910018275U KR910018275U KR940007715Y1 KR 940007715 Y1 KR940007715 Y1 KR 940007715Y1 KR 2019910018275 U KR2019910018275 U KR 2019910018275U KR 910018275 U KR910018275 U KR 910018275U KR 940007715 Y1 KR940007715 Y1 KR 940007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
table tennis
handle
ball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8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294U (ko
Inventor
이종완
Original Assignee
이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완 filed Critical 이종완
Priority to KR2019910018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715Y1/ko
Publication of KR930008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2Handles contoured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user's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2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soli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탁구 배트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탁구배트를 쥔상태의 배년 상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탁구배트를 쥔상태의 인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형판 2 : 손잡이
2' : 손잡이 중심 2a : 만곡요부
2c : 요부 2d : 경사선
4 : 중앙선 5, 5' : 경사선
5a, 5a' : 외주연지점 6 : 러버
7a : 꼭지점 7, 7' : 사선
8 : 둔턱 9 : 사선
10 : 측면 11 : 요부
21 : 둔턱 23 : 중지
24 : 약지 25 : 새끼손가락
26 : 엄지손가락 27 : 검지손가락
본 고안은 탁구배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트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마치 권총손잡이 처럼 라운드지게 형성하되, 약 30°정도 하향경사지게 형성하고, 동시에 손잡이 중심선이 배트중심선보다 1㎝정도 상측에 위치되게 하여 게임을 하기위해 탁구배트를 잡으면 배트중심선과 팔의 각도가 자연적으로 120°로 이루어지면서(이때 배트 일측면과 팔의 각도는 90°를 이룸)배트는 공을 가장 치기 용이한 위치에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탁구의 발생지는 서양으로 본래 실외에서 경기를 할 수밖에 없는 테니스를 실내의 좁은공간에서도 즐길수 있도록 하기위해 개발되어진 운동으로서, 실제 테니스와 비교해보더라도 완전히 테니스의 축소판이라는 것은 누구든 쉽게 알수 있다.
또한 배트에 있어서도 테니스라켓을 보면 알수 있듯이, 라켓자체가 주로 서양인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쉐이크 핸드식 배트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어 별반차이를 느낄수 없으며, 이는 테니스 라켓을 휘두르는 식으로 탁구를 칠수 있어 결국 폼에 있어서도 테니스와 탁구는 비슷한 점이 상당히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서양의 탁구가 동양으로 건너오면서, 현재 동양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팬홀드식배트로 변형된 것이 탄생되었는데 이는 동양사람들의 체형과 상당히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이다.
즉, 서양인들은 보편적으로 팔이길고, 다리와 허리가 길기 때문에 탁구게임을 하더라도 쉐이크핸드식 배트로 공을 때리는 힘이 매우 강하고 스피드 또한 매우 빠르다.
반면에 동양인들은 서양인들과 비교하여 볼 때 보편적으로 팔과 다리가 짧아 쉐이크 핸드식 라켓으로 서양인과 대적하게 되면 파워가 부족할 수 밖에 없으므로 결국 기교의 면을 크게 살린 팬홀드식 배트를 사용하지 않을수 없는데, 이는 오랜기간 동안의 반복훈련으로 인하여 기교를 습득 발휘할 수는 있으나 파워탁구를 지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현재의 탁구게임은 종래 기교를 중시하던 탁구에서 벗어나 이제는 힘의 탁구를 지향하면서 여러 가지 다양한 기교도 함께 요구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위와같은 탁구게임의 흐름의 변화를 감안하여 볼 때 힘과 기교를 동시에 발휘할수 있으면서 오랜 숙련을 하지 않더라도 누구든 쉽게 탁구게임을 즐길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대적 과제로 대두되는 것이다. 또한 탁구배트를 편하게 잡고 편한세트 탁구를 치도록 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로 다양한 기교를 비선수들이라 할지라도 쉽게 구사할수 있도록 하고 무궁무진한 구질을 발휘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위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누구든 탁구게임을 즐길수 있도록 하려면 누구든 빠르고 쉽게 배울수 있고, 편한자세와 마음으로 칠수 있는 탁구를 말한다고도 볼수 있으며, 탁구게임을 할 때마다 새로운 구질과 방법이 자신도 모르게 구사되거나 발견 된다고 하면 탁구에 대한 흥미와 취미는 매우 높아질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같이 치려면 대중의 몸에 탁구지는 방법, 기술, 기교 등이 습득되어있지 않더라도 배트를 잡는 방법 자체가 매우 간편하고 무의식중에 잡아도 탁구 게임 자세로 되며 각각 각자에게 가장편한 자세로 자유롭게 게임을 할수 있다면 무엇보다 바람직한 일이 아닐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국민 대중누구나가(남여노소를 가기지 않고) 쉽게 배우 사용할수 있고 잠시만 쳐도 쉽게 친숙해지며, 훈련된 탁구 게임자세가 아니더라도 여러 가지 구질 구사와 기교를 발휘할수 있도록 한 배트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였던 것이다.
이를 더욱 부연하여 설명하면 탁구치는 자세가 특별히 숙달되어 있지 않더라도 배트만 잡으면 자연적으로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여러 가지의 구질개발, 정확성 및 기교와 힘의 탁구를 느낄수 있고 이로 인하여 국민 건강 생활의 바탕으로 자리잡을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잠깐 상기한 쉐이크핸드식 배트와 팬홀드식 배트의 장단점을 요약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쉐이크핸드식은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같이 테니스 라켓의 축소형으로 볼수 있다. 그러나 테니스 라켓은 자루가 길기 때문에 손잡이 끝단을 잡고 사용할 때 손이나 팔이 꺽이는 일이 없어 자연스럽게 테니스를 칠수 있는데 반하여 쉐이크핸드식 배트는 손아귀에 들어오는 정도의 짧은 손잡이 임으로 이를 테니스라켓을 쥐는 식으로 쥐면 팔과 배트의 중심선은 상측이 90°하측은 120°의 각도를 갖게 된다. 그런데 상기의 각도를 유지하고서는 탁구공을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송구할수 없을 뿐만 아니라 되받아 친공이 정확한 위치로 들어갈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쉐이크 핸드식 배트를 쥐었을때는 항상 스냅을 약 30도 가량 하향지게 꺽어줌으로써 배트의 각도는 상측 90°, 하측 90°를 이루게 되고 이상태에서만이 탁구공을 제대로 칠수 있는 것이어서, 배트를 원만하게 사용하려면 오랜기간의 훈련이 필요하고 동시에 손목을 인위적으로 꺽어주어야 하는데 따른 손목피로도가 따름은 물론 배트손잡이 자체가 곧은 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바닥과 손가락이 손잡이에 완전밀착이 불가능하여 게임중 배트를 놓칠우려가 컸던 것이다. 또한 백스매싱, 백드라이브, 스매싱, 숏트, 컷트등 여러 가지 기법을 발휘하는데는 오랜기간의 훈련속에서 손가락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배트를 자유자재로 교정할 정도의 숙련자가 아니면 위와같은 기술을 구사하기 매우 힘들었던 것이다.
팬홀드식 배트는 주로 동양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배트로서, 이는 펜을 잡듯이 배트손잡이를 쥐어야하고, 사용시 반드시 손목을 30°가량 꺾어주어야만 함은 물론 스매싱할때는 배트상측이 전방으로 약 30°-45°가량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올려쳐야만 제위치로 탁구공을 공격할수 있고 되받아 칠때는 날아오는 공에 대하여 엄지와 검지 및 중지를 적절히 조절하여 배트를 교정하여야만 이 공을 되받아 치거나 방어할수 있게 되는데, 이는 오랜기간동안 규격화된 고도의 훈련으로 습득하지 않으면 구사하기 어렵고 또 배트를 쥐고 공을 치거나 받을 때 항상 팔목 및 팔이 꺾이거나 꼬이는 자세로 될 수 밖에 없어 피로감이 쉬몰려오게 되며, 특히 쉐이크 핸드식 배트에 비하여 파워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탁구게임은 공이 오가는데 있어 매우짧은 찰나의 순간에 이루어지므로서 탁구배트를 반사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면 공을 제위치에 때릴수 없게 됨은 매우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쉐이크 핸드식 배트와 펜홀드식배트는 다같이 손목관절 및 손가락, 그리고 어깨까지 모두 순간적으로 작용하여 반사적 행동이 나오지 않으면 공을 받아치기 어려운 것이며, 특히 날아오는 공은 순간적으로 판단하여 대응하기에는 어느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수밖에 없어 위의 2종류의 배트는 한계성이 들어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날아오는 공을 보고 순간적으로 정확한 판단을 하였다 하더라도 이 판단에 따른 어깨, 팔꿈치, 및 손목관절을 작용시키는 데는 뇌로부터 전해지는 시간을 감안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고, 이에따라 날아오는 빠른공을 되받아치는 것을 실로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공이 몸쪽으로 날아오는 경우에는 더더욱 당혹감을 안겨주게 되는 것이다.
즉, 탁구자세에서 가장곤란을 안겨주는 것은 손목 및 팔, 그리고 어깨관절에 대한 규격화된 훈련을 습득해야만 하지만, 이와같은 규격화된 자세에서는 큰힘을 발휘할수 없음은 물론 억지로 만들어진 자세에서 공을 치므로서 인체와 탁구배트의 일체감을 느낄수 없어 몸쪽으로 오는 공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격 또는 수비가 곤란하고, 이로인하여 대중 스포츠로서의 인기도 날로 떨어지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쉐이크 핸드식 배트와 펜홀드식 배트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기 탁구경기자와 탁구 배트가 일체감을 느낄수 있도록 매우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게하고, 남녀노소 누구라도 쉽게 사용하여 탁구를 즐길수 있도록 국민 건강스포츠로서의 일익을 담당할수 있도록하며, 동시에 배트자체의 특성에 의해 여러 가지의 기교와 파워를 스스로 습득발휘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흥미감과, 취미 및 재미를 배가시켜 나갈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고안의 사시도로서 배트의 원형판(1')일측에 손잡이(2)를 형성시킨 구성이다.
제 2 도는 본고안의 탁구배트를 설명하기위한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배트(3)의 중앙선(4)상에 손잡이(2)가 30°가량 하향 형성되게 하였는데, 이는 배트의 원형판(1') 중심(1a)에서 상항 30°의 각도로서 경사선(5)(5')을 구획하여 이 경사선(5)(5')과 만나는 배트 외주연 지점(5a)(5a')까지 레버(6)가 부착고정되게 하고, 상기 경사선(5)(5')상의 배트와 주연지점(5a)(5a')에 수직으로 사선(7)(7')을 구획하여 사선(7)과 (7')가 서로 교차되는 꼭지점(7a)부위에 둔턱(8)을 형성하며, 손잡이(2)는 권총손잡이 처럼 만곡지도록 형성하되 30°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또 손잡이 중심(2')을 배트 중앙선(4)보다 약 1㎝가량 상측에 위치시켰다.
특히 손잡이(2)는 잡을 때 부드럽고 편하도록 상측에형 만곡요부(2a)를 형성하여 손아귀에 둔턱(21)이 편안하게 안착될수 있도록 하고, 만곡요부(2a)와 이어지는 선상의 하부는형 만곡돌부(2b)를 형성함으로써 손바닥(22)이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하였으며, 내측은 중지(23)가 견고하고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요부(2c)를 형성하고, 이요부(2c)선을 따라 내려가서 약지(24)와 새끼손가락(25)이 안착되는 경사선(2d)을 형성하였으며, 이 경사선(2d)과 원형판(1)의 외주연 지점(5a')에 수직으로 구획되는 사선(9)은 90°를 이루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한 둔턱(8)은 꼭지점(7a)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은 비스듬하고 약간 만곡지게 형성하여 엄지손가락(26)의 안착이 편안하도록 하였고 둔턱(8)과 측면(10)사이에 요부(11)을 형성하여 이 요부(11)에 중지 손가락(23)의 끝마디가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하였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탁구배트를 쥐고 자연스럼게 게임자세를 취했을때의 각도를 예시한 것으로, 이때의 각도는 좌측, 또는 우측에 모두 30가량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탁구배트와 인체와의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트는 배트자체만을 놓고 볼때는 불균형한 형상을 갖추고 있지만 제 2 도의 예시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손으로 일단 파지하면 그때서야 균형잡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인체의 구조 및 기능과 가장 조화를 이룰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탁구배트의 중앙선(14)과 인체의 손 및 팔이 120°를 이룰 때 배트를 휘둘러도 가장 안정적이고 편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게다가 배트자체가 손잡이(2) 중심선(2')보다 하방에 위치하므로 탁구공을 칠 때 공이 배트의 중심부에 제대로 타격될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펜홀드식이나 쉐이크 핸드식 배트를 잡고 탁구를 칠 때 손목관절을 30°정도 꺽어주거나 손목관절 및 팔을 뒤틀어서 몸쪽으로 오는 공을 타격할때와 같이 규격화되고 인위적인 동작에 의해 탁구배트를 고정할 필요가 전혀 없으면서도 실제적으로는 종래 배트로서 훈련된 사람이 치는 효과보다도 몇배더 안정적이면서도 강하고, 또 자연스럽게 탁구를 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탁구배트를 파지할때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탁구배트는 손잡이(2)를 잡으면 자연적으로 손가락과 손바닥의 각 부위가 손잡이(2)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하게 파지되는 것이다.
즉, 손잡이를 잡으면 손잡이 외측의 상부에 형성된형 만곡요법(2a)에 엄지손가락(26)의 근육이라할수 있는 손바닥의 둔턱(21)이 편안하게 자리잡게 되고, 하부의형 만곡돌부(26)은 가볍게 펴서 둔턱(8) 상측에 대고 검지(27)는 원형판(1) 뒷면에 가볍게 펴서 갖다 대며, 중지(23), 약지(24) 새끼손가락(25)은 손잡이(2) 내측의 요부(2c) 및 경사선(2d)에 대고 쥐면 배트 중앙선(4)과 팔이 자연적으로 120°의 자연스러운 각도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위에 열거한 손잡이 파지방법은, 손잡이를 잡아야 하는 방법이 별도로 있는 것은 아니며, 탁구게임을 하기위해 무심결에 손잡이를 잡으면 손가락 및 손바닥이 자연적으로 손잡이의 위치에 잡혀지게 됨으로써 별로 신경 쓸바가 없다 할 것이다.
또한, 일단 손잡이를 잡으면 손잡이 자체의 경사각 및 배트 중심선(4)과 손잡이 중심선(2')의 편차에 따라 인체와 탁구배트가 자연적으로 조화를 이루게 되고, 동시에 일체감을 느낄수 있어 별도로 손목을 꺾거나 또는 틀거나 팔을 크게 비틀지 않더라도 편한자세로 탁구를 칠수 있고 테니스 라켓을 휘두르는 듯한 편한자세로 체중을 실어서 공을 칠수 있으므로 매우 큰 파워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고안은 앞에서도 기술하였듯이 탁구배트만을 바라보면 균형이 제대로 잡힌 형상은 아니지만 일단 손에 쥐었을때는 손 및 팔과 일체감을 느낄수 있어, 이때야 비로서 탁구배트의 균형이 잡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팬홀드식 배트와 쉐이크 핸드식 배트는 배트자체만을 보게되면 균형이 잡혀있는 모습이지만, 막상 손에쥐면 인위적으로 팔목을 꺾고, 틀어주어야만 균형이 잡히도록 되어 있고, 이로인하여 자연히 게임시 피로를 크게 느낄 수밖에 없고 규격화된 탁구모션, 파지방법등을 숙련시켜야만 하였던 것인데, 본 고안의 탁구배트는 종래와 같은 폐단을 일소시켰다는 점에서 인체공학적이면서 매우 고도의 것이라 할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탁구배트로서 게임시의 상태를 설명한다.
본고안은 편한자세로 파지하여 게임을 하게됨으로써 스매싱이 강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어깨와 팔꿈치, 그리고 손목에 이르기까지 일부러 꺽어주거나 뒤틀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에 어깨와 팔, 손목 및 배트가 일체감을 느끼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게임을 할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손잡이부의 파지가 매우 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손가락 및 손바닥이 배트 손잡이에 별 틈이 없이 밀착됨으로 매우 안정적으로 배트를 휘두를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공을 때리는 힘이 매우 커짐과 동시에 공의 스피드는 매우 빠르게 반격되어 나갈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숏트할때는 손잡이를 잡은 손이 매우 편한상태이므로 날아오는 공에 따라 손쉽고 유연하게 대처할수 있게 되고 공을 치는 별도의 방식이나 방법이 불필요함으로 반사적인 행동만으로도 능히 할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몸쪽으로 날아오는 공을 백스매싱하거나 백드라이브 할 때도 사람에게 본래 갖추어진 반사작용으로 감당할수 있지만, 약간의 연습을 하게되면 매우 훌륭하게 할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종래 펜홀드식 배트나 쉐이크 핸드식 배트에 있어서는 손목이나 팔을 꺾고 뒤틀어야만 가능하였고, 동시에 이는 고도의 훈련으로 습득되지 아니하면 쉽게 구사할수 없는데 비해 본고안은 손목이나 팔을 크게 뒤틀필요 없이 반사적인 수단으로 갖다 대거나 치면 되는 것으로 이때 날아가는 공은 상당히 정확하게 상태편쪽으로 날아가게 되는 것이다.
즉 어깨와 팔과 손목 및 배트가 인체로 되어 배트자체가 몸의 일부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아도 틀림이 없는 것이며, 따라서 반사적인 행동만으로도 상당한 정확성을 가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탁구게임시 다양한 구질 구사도 필요한데 이는 본 고안의 탁구배틀 바로잡고 게임을 할 때와 뒤집어서 잡고 게임을 할 때에 따라 여러 가지 구질구사가 가능하며 배트에 맞게되는 공의 위치 손놀림, 배트의 기울기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구질을 구사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배트를 뒤집어서 잡게되면 손잡이(2) 내측이 손바닥의 둔턱(21)에 꼭맞는 상태로 되면서 엄지(26)와 검지(27)사이의 부위에 배트의 요부(2c)가 안착되면서 중지(23), 약지(24), 새끼손가락(25)은 자연적으로 배트손잡이(2)의 외측에 형성된 만곡요부(2a)와 만곡돌부(2b)를 감싸게 되며, 검지손가락(27)은 탁구배트를 바로 잡았을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잡으면 되는 것이다.
특히 이방법으로 탁구배트를 잡으면 배트 원형판(1')의 중앙선(4)의 손잡이 중심선(2')보다 약 1㎝정도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자연히 배트원형판(1') 상부가 하부보다 무겁게 되므로 배트를 휘두를 때 원형판(1')상부가 후방으로 눕는 상태로 되면서 휘둘러지게 되며, 동시에 원형판(1')에 공이 맞는 위치도 일반적으로 쳤을 때 원형판(1')의 중심보다 상측에 맞게 되므로서 배트를 바로잡고 스매싱할때와는 달리 공의 속도가 매우 느린상태로 되어 나가게 되므로 시간차 공격 및 방어가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대편 게임자는 구질파악이 곤란하여 공을 타격하는 타이밍을 제대로 맞출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트를 거꾸로 쥔상태는 전형적인 수비자세로 되지만 이상태에서 서브하면 배트를 바로 쥔 상태와는 전혀 다른 구질의 서브를 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공이 배트에 맞는위치에 따라 더욱 다양한 구질의 서브를 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트를 바로잡은 상태에서 몸쪽으로 오는 공을 받아칠 때 손목이 꺽이지 않은 상태에서 백스매싱을 할수 있고, 또 날아오는 공의 상태에 따라 컷트가 자유로움은 물론 이 또한 배트를 거꾸로 잡고 실시하면 전혀 다른 구질 및 기교가 구사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배트는 손잡이와 배트의 구조에 의해 팔이 비교적 짧은 동양인들에게는 긴팔의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는 상태로 되어 어떤 구질의 공이라도 자유롭게 공격 및 수비가 용이하고, 또한 편한자세에서 반사적 행동으로 탁구 게임을 하더라도 보편적인 수준이상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어 사용시 흥미 유발로 인한 국민체육 건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원형판(1)과 손잡이(2)로 이루어진 탁구배트에 있어서, 원형판(1)의 중심(1a)에서 상, 하로 30°각도 선상의 배트 외주연 지점(5a)(5a')까지 레버(6)를 부착고정시키고, 손잡이(2)는 원형판(1)의 중앙선(4)보다 1㎝ 높은 위치에 30°의 각도로 상향형성하는데, 상기 손잡이(2)는 마치 권총손잡이 처럼 형성하되, 외측에 "" 형 만곡요부(2a)와 이와 이어지는형 만곡돌부(2b)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요부(2c) 및 경사선(2d)을 형성하며, 상기 외주연 지점(5a)(5a')과 수직으로 사선(7)(7')을 구획하여 서로만나는 꼭지점 부위(7a)에 둔턱(8)과 이 직하부에 요부(11)를 형성하여 손으로 손잡이를 잡았을 때 120°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손으로 잡기편하도록 함으로써 매우자연스러운 자체로 배트를 파지함은 물론 자연스러운 자세로 탁구 게임을 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배트.
KR2019910018275U 1991-10-29 1991-10-29 탁구 배트 KR940007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275U KR940007715Y1 (ko) 1991-10-29 1991-10-29 탁구 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275U KR940007715Y1 (ko) 1991-10-29 1991-10-29 탁구 배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294U KR930008294U (ko) 1993-05-24
KR940007715Y1 true KR940007715Y1 (ko) 1994-10-24

Family

ID=1932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8275U KR940007715Y1 (ko) 1991-10-29 1991-10-29 탁구 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7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294U (ko) 199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lz Dave Pelz's putting bible: the complete guide to mastering the green
KR100986905B1 (ko)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US4759546A (en) Hand-held rackets for games
TW200824758A (en) Baseball throwing training and exercise apparatus
JP2001218881A (ja) 投球練習具
US5312101A (en) Table tennis paddle
KR200488250Y1 (ko) 구멍과 그립을 가지는 탁구채
US4399993A (en) Two handed tennis racket
US4293129A (en) Game rackets and paddles with nonparallel playing surfaces
KR940007715Y1 (ko) 탁구 배트
JPH03502899A (ja) 両手用ラケット
US56579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and improving manual dexterity and hand/eye coordination
JP2006130279A (ja) 卓球ラケット
JPS6019742Y2 (ja) 卓球ラケツト
US20220233935A1 (en) Weighted swing training bat
US20170028286A1 (en) Train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KR200428238Y1 (ko) 탁구라켓
JP6812528B1 (ja) 運動用具
JP3248096B2 (ja) スティックアレイ
TW526074B (en) Configuration for a sporting or game racket and method for racket head positioning
CN111388973B (zh) 乒乓球拍
US10272306B2 (en) Table tennis paddle
CN207253683U (zh) 乒乓球拍及体育用具
US20200276485A1 (en) Table tennis paddle
CN206138678U (zh) 一种乒乓球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