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455A - 탁구 라켓 - Google Patents

탁구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455A
KR20090045455A KR1020070111280A KR20070111280A KR20090045455A KR 20090045455 A KR20090045455 A KR 20090045455A KR 1020070111280 A KR1020070111280 A KR 1020070111280A KR 20070111280 A KR20070111280 A KR 20070111280A KR 20090045455 A KR20090045455 A KR 20090045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able tennis
tennis racket
plate
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07011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5455A/ko
Publication of KR2009004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0Handles with two handg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탁구 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탁구 라켓은 플레이트,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홈 및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탁구, 라켓, 그립, 홈

Description

탁구 라켓{PADDLE}
실시예는 타구 라켓에 관한 것이다.
탁구는 올림픽 공식 종목이며, 국민 생활 체육 스포츠로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탁구를 즐기거나 경기를 하기 위해서 여러 장비와 도구들이 필요하고,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라켓이다.
라켓의 중요성은 개인의 실력향상은 물론 중요한 경기의 승패를 좌우할 정도이다. 탁구 라켓의 종료에는 팬홀더 형태와 쉐이크핸드 형태가 있다. 쉐이크핸드 형태의 라켓은 팬 홀더 라켓에 비해 체력 소모가 적고, 공격 및 수비에 효과적이므로 여러 세계적 선수들로부터 애용되고 있다. 심지어, 기존 팬홀더를 잡고 치던 사람들도 쉐이크핸드 형태로 전환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쉐이크핸드 형태의 라켓에서는 라켓 손잡이를 악수하듯이 잡고 공을 정확하게 치기 위해서 손목을 꺽어서 힘을 주어 고정시켜야한다. 이때, 탁구공은 빠른 속도로 오고 가며, 엄청난 상대편 공의 회전을 무력화 하기 위해선 순간 순간 라켓의 각도를 조절해야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여기서, 쉐이크핸드 형태의 라켓에서는 손목을 꺽은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해 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쉐이크핸드 형태의 라켓에서는 처음에 잡았던 라켓의 각도가 틀어지고, 원하는 대로 공을 칠 수 없게 된다.
또한, 쉐이크핸드 형태의 라켓에서는 손과 라켓의 일체감이 떨어진다.
실시예는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고, 보다 정확하게 공을 칠수 있으며, 손과 일체감이 향상되는 탁구 라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홈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플레이트 및 홈을 포함하며, 홈에 손가락을 넣어서 플레이트를 잡았을 때, 탁구 라켓의 그립이 형성된다. 이때, 탁구 라켓의 방향은 그립의 방향과 수평이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손목을 꺽지 않고 잡아도 탁구 라켓의 방향과 팔은 일직선이 된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사용하면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보다 정확하게 공을 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플레이트 자체에 삽입하므로, 탁구 라켓과 손의 일체감이 향상된다.
도 1 은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탁구 라켓은 플레이트(100), 홈(200), 그립보조부재(300), 탄성부재(400) 및 커버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 형상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플레이트(1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부가 잘린 타원 형상을 가진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플레이트(100)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제 1 측면(110) 및 제 2 측면(120)을 가진다. 상기 제 1 측면(110)은 곡면이며, 상기 제 2 측면(120)은 평평하다. 상기 플레이트(1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홈(200)은 상기 플레이트(100)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상기 홈(200)은 제 1 홈(210) 및 제 2 홈(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홈(210)은 일 방향으로 형성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홈(210)은 상기 제 2 측면(120)이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일 방향과 상기 제 2 측면(120)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홈(210)과 상기 제 2 측면(120)까지의 거리(W1)는 약 2 내지 3 cm이다.
상기 제 1 홈(210)은 내측에 돌기들(20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들(200a)에 의해서, 상기 제 1 홈(210)에 손가락은 구분되어 삽입되고, 손가락은 탁구 라켓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돌기들(200a)은 예를 들어, 손가락의 곡면에 대응하는 오목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홈(220)은 상기 제 1 홈(210)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의 연장선으로부터 이탈되어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홈(220)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 1 홈(210)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의 연장선까지의 수직거리(S1)는 약 1 내지 1.5cm 이 다.
즉, 상기 제 2 측면(120)과 상기 제 1 홈(210)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제 2 측면(120)과 상기 제 2 홈(220)까지의 거리가 더 크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기 홈(200)에 의해서 타격부(130) 및 그립부(140)로 구분된다. 즉, 상기 그립부(140)는 상기 홈(200) 및 상기 제 2 측면(120) 사이의 플레이트(100)이고, 상기 그립부(140)는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타격부(130)는 상기 그립을 제외한 나머지 플레이트(100)이고, 탁구공을 타격하는 부분이다.
상기 그립보조부재(300)는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그립보조부재(300)는 상기 그립부(140) 상에 배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플레이트(100) 상 뿐만 아니라 상기 그립보조부재(300)는 상기 제 2 측면(120)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00)의 하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립보조부재(300)는 상기 플레이트(100)보다 더 소프트하며, 마찰력이 크다. 따라서, 상기 그립보조부재(300)는 상기 그립부(140)를 손으로 잡았을 때, 손과 탁구 라켓의 일체감을 향상시키며,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그립보조부재(3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코르크 또는 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타격부(130) 상에 배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탄성부재(400)는 그립부(140)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하부에도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탁구 라켓의 반발력을 향상시켜서, 상기 라켓에 탁구공이 부딪칠 때, 상기 탁구공을 강하게 튕겨낸다.
상기 탄성부재(4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고무계 수지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00)는 상기 탄성부재(4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재(500)는 상기 탄성부재(400)를 덮는다. 상기 커버부재(500)는 마찰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탁구 라켓에 의해서 탁구공에 보다 높은 회전력을 줄 수 있다.
상기 제 1 홈(210)에는 탁구 라켓 사용자의 중지, 약지 및 소지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홈(220)에는 검지가 삽입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140)를 손바닥으로 잡아서, 탁구 라켓을 잡는다.
이때, 사용자는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권총을 잡는 것처럼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목을 꺽지 않고도, 탁구 라켓과 팔을 일직선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탁구 라켓의 방향과 팔의 방향이 일치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고, 사용자가 탁구공을 보다 정확하고 강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과 사용자의 손의 일체감이 향상된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사용자의 손목의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켜서, 사용자의 경기력을 향상시킨다.
도 2 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고, 홈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홈(200)은 제 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2 측면(120)이 연장되는 제 2 방향과 소정의 각도(A1)를 가지며 기울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A1)는 약 5 내지 20°이다.
또한, 상기 홈(200) 내측에는 3 개의 돌기들(200a)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들(200a)에 의해서, 제 1 골부(201), 제 2 골부(202), 제 3 골부(203) 및 제 4 골부(204)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골부(201)에는 소지가, 상기 제 2 골부(202)에는 약지가, 상기 제 3 골부(203)에는 중지가, 상기 제 4 골부(204)에는 검지가 삽입된다. 그리고, 손바닥에 의해서 상기 그립부(140)가 감싸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4 골부(204)와 상기 제 2 측면(120)까지의 거리를 비교하면, 상기 제 1 골부(201)와 상기 제 2 측면(120)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고, 상기 제 4 골부(204)와 상기 제 2 측면(120)가지의 거리가 가장 크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그립부(140)를 쥘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사용자에게 향상된 일체감을 제공한다.
도 3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 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조하고, 홈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홈(200)은 제 1 홈(210) 및 제 2 홈(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홈(210)은 제 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홈(210)은 내측에 2 개의 돌기들(200a)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들(200a)에 의해서 제 1 골부(201), 제 2 골부(202) 및 제 3 골부(20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2 측면(120)이 연장되는 제 2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2)로 기울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A2)는 약 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제 2 홈(220)은 상기 제 1 홈(210)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홈(220)에서 상기 제 2 측면(120)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 1 홈(210)에서 상기 제 2 측면(120)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 1 골부(201), 상기 제 2 골부(202) 및 상기 제 3 골부(203)로부터 상기 제 2 측면(120)까지의 거리를 비교하면, 상기 제 1 골부(201)로부터 상기 제 2 측면(120)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으며, 상기 제 3 골부(203)로부터 상기 제 2 측면(120)까지의 거리가 가장 크다.
상기 제 2 홈(220)에 검지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골부(201)에는 소지가 삽입되며, 상기 제 2 골부(202)에는 약지가 삽입되고, 상기 제 3 골부(203)에는 중지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상기 제 2 홈(220)이 따로 형성되어 검지가 삽입되므로, 견고하게 사용자의 손에 잡힐 수 있다.
도 4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고하고, 홈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홈(200)은 다수 개이며, 상기 홈(200)들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1.5 내지 2 cm이고, 상기 홈(200)들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어, 2 cm 내지 2.5 cm이다.
상기 홈(200)들은 예를 들어, 제 1 홈(210), 제 2 홈(220), 제 3 홈(230) 및 제 4 홈(240) 일 수 있다. 상기 홈(200)들 및 상기 제 2 측면(120) 사이의 거리들을 비교하면, 상기 제 3 홈(230) 및 상기 제 2 측면(120)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크고, 상기 제 1 홈(210) 및 상기 제 2 측면(120)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다.
상기 제 1 홈(210)에는 소지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홈(220)에는 약지가 삽입되며, 상기 제 3 홈(230)에는 중지가 삽입되고, 상기 제 4 홈(240)에는 검지가 삽입된다.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각 손가락 별로 삽입되는 홈(200)이 따로 형성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사용자의 손에 잡힐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넓게 사용자의 손에 잡히므로, 사용자에게 향상된 일체감을 제공한다.
도 5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 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고하고, 홈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홈(200)은 다수 개이며, 상기 홈(200)들은 예를 들어, 제 1 홈(210), 제 2 홈(220), 제 3 홈(230) 및 제 4 홈(240) 일 수 있다. 상기 제 1 홈(210), 상기 제 2 홈(220) 및 상기 제 3 홈(230)은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열은 상기 제 2 측면(120)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일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 4 홈(240)은 상기 열에서 이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4 홈(24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열까지의 거리(S2)는 약 1 내지 1.5 cm 이다.
상기 제 1 홈(210)에는 소지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홈(220)에는 약지가 삽입되며, 상기 제 3 홈(230)에는 중지가 삽입되고, 상기 제 4 홈(240)에는 검지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그립부(140)는 손바닥으로 감싸진다.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사용자에 의하여, 권총을 쥐듯이 잡힐 수 있으며, 각 손가락 별로 홈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보다 견고하게 사용자에 의해서 잡힐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은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보다 향상된 일체감을 제공한다.
도 1 은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Claims (7)

  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홈;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탁구 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측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탁구 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다수 개가 일렬로 형성되는 탁구 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다수 개가 일렬로 형성되는 제 1 홈 및 상기 열을 이탈하여 형성되는 제 2 홈을 포함하는 탁구 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그립보조부재를 포함하는 탁구 라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포함하는 탁구 라켓.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홈 및 상기 제 1 홈에서 상기 방향으로의 연장선으로부터 이탈하여 형성되는 제 2 홈을 포함하는 탁구 라켓.
KR1020070111280A 2007-11-02 2007-11-02 탁구 라켓 KR20090045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80A KR20090045455A (ko) 2007-11-02 2007-11-02 탁구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80A KR20090045455A (ko) 2007-11-02 2007-11-02 탁구 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455A true KR20090045455A (ko) 2009-05-08

Family

ID=4085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280A KR20090045455A (ko) 2007-11-02 2007-11-02 탁구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545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9083A (zh) * 2015-03-30 2015-07-08 仇玉伟 双手通用固定式乒乓球拍
KR20170001444U (ko) 2015-10-14 2017-04-24 유은호 탁구 라켓
KR20170003534U (ko) * 2017-09-25 2017-10-13 구강영 구멍과 그립을 가지는 탁구채
CN109432729A (zh) * 2018-11-07 2019-03-08 马鞍山沐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乒乓球拍
WO2019105299A1 (zh) * 2017-11-30 2019-06-06 赵谊华 一种乒乓球底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9083A (zh) * 2015-03-30 2015-07-08 仇玉伟 双手通用固定式乒乓球拍
KR20170001444U (ko) 2015-10-14 2017-04-24 유은호 탁구 라켓
KR20170003534U (ko) * 2017-09-25 2017-10-13 구강영 구멍과 그립을 가지는 탁구채
WO2019105299A1 (zh) * 2017-11-30 2019-06-06 赵谊华 一种乒乓球底板
CN109432729A (zh) * 2018-11-07 2019-03-08 马鞍山沐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乒乓球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905B1 (ko) 돌기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WO2009105558A2 (en) Double-sided ping pong paddle
KR20090045455A (ko) 탁구 라켓
US20050181895A1 (en) Table tennis paddle with two handles
US20140283274A1 (en) Batting pad for adjusting location of bat in batter's hand
KR200488250Y1 (ko) 구멍과 그립을 가지는 탁구채
KR20150102779A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
CN106110609B (zh) 拍柄、拍柄套、球拍与仿球拍的训练器
KR200469533Y1 (ko) 연습용 탁구라켓
JP3184479U (ja) 卓球ラケット
KR200461622Y1 (ko) 배드민턴용 손잡이
KR200428238Y1 (ko) 탁구라켓
KR20230149750A (ko) 스포츠용품 손잡이 그립용 보조기구
KR20080111867A (ko) 양면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라켓
JP2008264493A (ja) 素振りトレーニング器
KR20170112301A (ko) 수도지지부가 구비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
KR20120080046A (ko) 탁구채
JP3248096B2 (ja) スティックアレイ
CN201516266U (zh) 一种乒乓球拍
JP2010279677A (ja) トレーニングボール
KR20150004443U (ko) 탁구라켓
AU2011341804B2 (en) A grip for a cricket bat handle
JP2005312579A (ja) 卓球用ラケット
CN204798757U (zh) 曲柄双孔乒乓球拍
JP3136148U (ja) ゴルフクラブパター、手袋およびパッティ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