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233A - 단열재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단열재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233A
KR20090019233A KR1020070083505A KR20070083505A KR20090019233A KR 20090019233 A KR20090019233 A KR 20090019233A KR 1020070083505 A KR1020070083505 A KR 1020070083505A KR 20070083505 A KR20070083505 A KR 20070083505A KR 20090019233 A KR20090019233 A KR 20090019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spacer
heat insulating
screw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폴리텍
김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폴리텍, 김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폴리텍
Priority to KR102007008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9233A/ko
Publication of KR20090019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벽체에 부착되는 부착편과, 이 부착편의 중심에 형성되는 나사공을 가지는 벽체측 고정부재와, 상기 벽체측 고정부재에 대하여 이격되게 배치되어 단열재에 접촉하는 접촉편을 가지는 단열재측 조절부재 및,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나사부가 벽체측 고정부재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간격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열재용 스페이서에 의하면 접착제에 의하여 벽체에 접착, 고정되는 단열재와 벽체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단열재의 수평수직맞춤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단열재의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단열재, 스페이서

Description

단열재용 스페이서{Spacer for heat insulator}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단열재를 부착함에 있어서 단열재 표면이 전체적으로 수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벽면 단열재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벽체에 대한 단열재의 부착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W))에 접착제(A)를 바르고 단열재(I)를 대고 누르면서 수평과 수직을 맞추는 작업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접착제(A)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제 시공에 있어서는 단열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접착제(A)는 단열재(I)를 누르는 힘에 따라서 그 두께가 다르게 될 수 있으므로 먹줄작업과 수평계에 의한 수평수직맞춤작업을 반복하면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W)가 고르지 못한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와 수평계를 이용한 수평수직맞춤작업만으로 단열재(I)의 수평과 수직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능률이 더욱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 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재의 수평수직맞춤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단열재의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체에 부착되는 부착편과, 이 부착편의 중심에 형성되는 나사공을 가지는 벽체측 고정부재와, 상기 벽체측 고정부재에 대하여 이격되게 배치되어 단열재에 접촉하는 접촉편을 가지는 단열재측 조절부재 및,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나사부가 벽체측 고정부재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간격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열재용 스페이서.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의 접촉편의 중심에는 상기 간격조절나사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나사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나사의 일단에는 상기 나사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의 나사고정홈과 간격조절나사의 고정부는 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간격조절나사의 고정부는 단열재측 조절부재의 성형시 인서트 성형된다.
상기 벽체측 고정부재의 나사공은 부착편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보스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에는 상기 원통형 보스부를 안내하는 원통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의 접촉편에는 복수개의 압입돌기가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단열재용 스페이서에 의하면 접착제에 의하여 벽체에 접착, 고정되는 단열재와 벽체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단열재의 수평수직맞춤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단열재의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최대간격으로 조절한 상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최소간격으로 조절한 상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부착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부착한 단열재를 전면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W)에 부착되는 벽체측 고정부재(10)와, 상기 벽체측 고정부재(10)에 대하여 간격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열재측 조절부재(20) 및,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에 일단이 고정되고 나사부(31)가 벽체측 고정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간격조절나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 예시하고 있는 단열재(I)는 합성수지 발포체와 합성수지 다공판을 접합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단열재(I)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벽체측 고정부재(10)는 벽체(W)에 부착되는 부착편(11)과, 이 부착편(1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나사공(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는 단열재(I)에 접촉하는 접촉편(21)과, 상기 간격조절나사(3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나사고정홈(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간격조절나사(30)는 상기 나사공(1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1)와, 상기 나사고정홈(2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의 나사고정홈(22)과 간격조절나사(30)의 고정부(32)는 단열재측 조절부재(20)와 간격조절나사(30)가 서로 헛돌지 않고 일체로 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예와 같이 6각형 단면이나 4각형 단면 등의 각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나사(30)는 단열재측 조절부재(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그 고정부(32)가 단열재측 조절부재(20)에 인서트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벽체측 고정부재(10)에 형성되는 나사공(12)은 부착편(11)에 일체로 형 성되는 원통형 보스부(13)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에는 상기 원통형 보스부(13)를 안내하는 원통부(2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의 접촉편(21)에는 복수개의 압입돌기(24)를 형성하여 접촉편(21)이 단열재(I)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벽체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① 단열재측 조절부재(20)의 나사고정홈(22)에 그 고정부(32)가 고정된 간격조절나사(30)의 나사부(31)를 벽체측 고정부재(10)의 나사공(12)에 나사 결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조립한다.
② 조립된 복수개의 단열재용 스페이서의 벽체측 고정부재(10)를 벽체(W)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한다.
③ 단열재용 스페이서가 고정된 위치에 수직추를 띄우고 수직추의 줄에 단열재측 조절부재(20)의 접촉편(21)의 전면이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단열재측 조절부재(20)를 좌측으로 돌리면 벽체(W)에서 접촉편(21)의 전면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고, 우측으로 돌리면 벽체(W)에서 접촉편(21)의 전면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도 2는 벽체(W)에서 접촉편(21)의 전면 사이의 거리(L1)가 최대인 경우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벽체(W)에서 접촉편(21)의 전면 사이의 거리(L2)가 최소인 경우 를 보인 것이다.
④ 벽체(W)에 접착제(A)를 덩어리 모양으로 바른다.
이때 접착제(A) 덩어리의 개수는 단열재(I)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도시한 개수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또한 접착제(A) 덩어리는 단열재(I)의 시공이 완료되었을 때 벽체(W)와 단열재(I)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바른다.
⑤ 단열재(I)를 단열재용 스페이서와 접착제(A)에 대고 가볍게 눌러서 단열재(I)가 접착제(A)에 의하여 벽체(W)에 접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단열재(I)는 벽체(W)에 부착, 고정된 단열재용 스페이서에 의해 더 이상 눌리지 않게 되므로 단열재용 스페이서에 의해 미리 정해진 상태로 정확히 부착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W)가 고른 경우는 물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W)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단열재(I)를 전체적으로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접하는 단열재(I)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석고보드용 스페이서에는 양측 단열재(I)들이 공통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열재측 조절부재(20)의 접촉편(21)의 전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압입돌기(24)가 단열재(I)에 압입되므로 단열재용 스페이서는 스페이서로서의 역할 외에도 단열재(I)를 지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최대간격으로 조절한 상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최소간격으로 조절한 상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부착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용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부착한 단열재를 전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종래 단열재의 부착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7 및 도 8은 횡단면도,
도 9는 부착된 단열재를 전면에서 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벽체측 고정부재 11 : 부착편
12 : 나사공 13 : 원통형 보스부
20 : 단열재측 조절부재 21 : 접촉편
22 : 나사고정홈 23 : 원통부
24 : 압입돌기 30 : 간격조절나사
31 : 나사부 32 : 고정부

Claims (6)

  1. 벽체(W)에 부착되는 부착편(11)과, 이 부착편(11)의 중심에 형성되는 나사공(12)을 가지는 벽체측 고정부재(10)와, 상기 벽체측 고정부재(10)에 대하여 이격되게 배치되어 단열재(I)에 접촉하는 접촉편(21)을 가지는 단열재측 조절부재(20) 및,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에 일단이 고정되고 나사부(31)가 벽체측 고정부재(10)의 나사공(12)에 나사결합되는 간격조절나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열재용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의 접촉편(21)의 중심에는 상기 간격조절나사(3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나사고정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나사(30)의 일단에는 상기 나사고정홈(2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스페이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의 나사고정홈(22)과 간격조절나사(30)의 고정부(32)는 각형 단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스페이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나사(30)의 고정부(32)는 단열재측 조절부 재(20)의 성형시 인서트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스페이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고정부재(10)의 나사공(12)은 부착편(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보스부(13)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에는 상기 원통형 보스부(13)를 안내하는 원통부(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스페이서.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측 조절부재(20)의 접촉편(21)에는 복수개의 압입돌기(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용 스페이서.
KR1020070083505A 2007-08-20 2007-08-20 단열재용 스페이서 KR20090019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505A KR20090019233A (ko) 2007-08-20 2007-08-20 단열재용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505A KR20090019233A (ko) 2007-08-20 2007-08-20 단열재용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233A true KR20090019233A (ko) 2009-02-25

Family

ID=4068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505A KR20090019233A (ko) 2007-08-20 2007-08-20 단열재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92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13A2 (ko) * 2011-04-29 2012-11-01 Kim Jae Ok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20180000235U (ko) 2016-07-13 2018-01-23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 스페이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13A2 (ko) * 2011-04-29 2012-11-01 Kim Jae Ok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WO2012148113A3 (ko) * 2011-04-29 2013-03-28 Kim Jae Ok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20180000235U (ko) 2016-07-13 2018-01-23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1751B1 (en) Alignment spacer for siding outside corner
KR20090019233A (ko) 단열재용 스페이서
CN101804940B (zh)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围裙板与盖板的连接结构
KR20150088967A (ko) 용골용 플로어링 지지대
KR20060042558A (ko) 단열벽 고정구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10131166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알루미늄폼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537083B1 (ko) 흙손
KR100606647B1 (ko)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CN111503707B (zh) 一种地暖模块装置
CN210067349U (zh) 一种木线条踢脚线
CN204626850U (zh) 一种用于在墙体转角安装装饰板的龙骨
CN212153799U (zh) 装配式墙顶面找平结构
CN217557256U (zh) 一种贴合稳定的橡塑保温板
CN204626847U (zh) 一种用于在墙面安装装饰板的龙骨
KR20130126211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N215254110U (zh) 一种可调节式瓦楞复合板组件
CN211899131U (zh) 一种用于高层建筑幕墙加固结构
CN221053084U (zh) 一种用于木、塑料踢脚的固定结构
CN217113768U (zh) 一种固定广告灯片的弹片式画面夹
CN207974435U (zh) 墙板侧边固定组件
CN210530222U (zh) 一种铝墙板与铝墙板之间的拼装结构
CN109083309B (zh) 隔墙及其装配方法
JP2012200591A (ja) 棚受装置
CN204626846U (zh) 一种用于在墙面边沿安装装饰板的龙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