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115A -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115A
KR20090019115A KR1020070083301A KR20070083301A KR20090019115A KR 20090019115 A KR20090019115 A KR 20090019115A KR 1020070083301 A KR1020070083301 A KR 1020070083301A KR 20070083301 A KR20070083301 A KR 20070083301A KR 20090019115 A KR20090019115 A KR 20090019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blem
signal
unit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7008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9115A/ko
Publication of KR2009001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등의 자체 발광수단을 구비한 앰블럼에 있어서, 단순히 조명에 의한 발광 특성뿐만이 아니라 차량 내 통신단을 통해 ACC ON/OFF 유무, DOOR LOCKING 유무, WINDOW 열림 유무, 실내 LAMP ON/OFF 유무, 트렁크 개폐 유무, SIDE BREAK 작동 실시 유무 등과 같은 차량 상태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 상태에 따라 앰블럼의 조명 색상 및 점멸 주기 등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차량 외부의 운전자에게 현재 차량 상태를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앰블럼, 고휘도 LED, 차량 신호 입력부, 조명조절회로부

Description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Vehicles state information device that use Emblem}
본 발명은 차량 상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외부에 설치된 앰블럼에 발광수단을 구비하고, ACC ON/OFF 유무, DOOR LOCKING 유무, WINDOW 열림 유무, 실내 LAMP ON/OFF 유무, 트렁크 개폐 유무, SIDE BREAK 작동 실시 유무 등과 같은 차량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차량 상태에 따라 앰블럼의 조명 색상 및 점멸 주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차량 외부의 운전자에게 현재 차량 상태를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소비층에게 어필하기 위한 자동차 제작회사의 로고 또는 자동차의 제품명과 같은 브랜드 이미지를 상징화한 앰블럼(emblem)이라 불리우는 장식구가 자동차의 전후방측 리어그릴이나 트렁크 판넬 중앙 등에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엠블럼은 단순히 브랜드의 대표성을 표시하는 기능만 있을 뿐 더 나은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자체 발광수단이 없기 때문에 주간에는 자연광의 반사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나 야간에는 광량이 부족하므로 식별이 어려워 제 기능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09017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97-32741호에는 자체 발광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엠블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량용 엠블럼은 자체 발광수단을 통해 야간에도 엠블럼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브랜드의 대표성을 부각시킬 수 있다는 효과만 가지고 있을 뿐 다른 기능 및 효과를 전혀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등의 자체 발광수단을 구비한 앰블럼에 있어서, 단순히 조명에 의한 발광 특성뿐만이 아니라 차량 내 통신단을 통해 ACC ON/OFF 유무, DOOR LOCKING 유무, WINDOW 열림 유무, 실내 LAMP ON/OFF 유무, 트렁크 개폐 유무, SIDE BREAK 작동 실시 유무 등과 같은 차량 상태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 상태에 따라 앰블럼의 조명 색상 및 점멸 주기 등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차량 외부의 운전자에게 현재 차량 상태를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 외부 판넬 상에 노출 설치되며,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측에 다수의 조명 수단이 구비되는 앰블 럼 구조부; 차량 상태 진단 기능이 내장된 차량 내 복수의 전자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이들 장치로부터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차량 신호 입력부; 상기 차량 신호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분석 처리한 후, 앰블럼 구조부의 조명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앰블럼 구조부 내의 조명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앰블럼 구조부의 조명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조절하는 조명조절회로부; 및 상기 각 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발광 효과뿐만 아니라 앰블럼의 발광 색상 및 발광 주기에 따라 차량 외부에 위치한 운전자에게 현재 차량 상태를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에 대한 대처를 긴급히 하여 차량 파손 및 절도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는 앰블럼 구조부(10), 차량 신호 입력부(20), 제어부(30), 조명조절회로부(40) 및 전원부(50)로 이루어진다.
앰블럼 구조부(10)는 차량 외부 판넬 상에 노출 설치되며,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측에 다수의 조명 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조명 수단의 빛과 색상이 차량 외부 원거리에서도 잘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설계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앰블럼 구조부(10)의 구조 및 부착 상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 수단은 전력소모량이 적으면서도 수명이 길고 밝기가 우수한 고휘도 LED로 이루어지며, 이는 각각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색상을 갖거나 또는 바람직하게 내부에 레드, 그린, 블루가 함께 조명되는 일체형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신호 입력부(20)는 ECU, TCU, ETACS 등 차량 상태 진단 기능이 내장된 차량 내 복수의 전자제어장치(100)에 접속되어 이들 장치로부터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한다. 이 때, 차량 신호 입력부(20)가 상기 각 전자제어장치(100)로부터 입력받는 차량 상태 신호는 ACC ON/OFF 유무 신호, DOOR LOCKING 유무 신호, WINDOW 열림 유무 신호, 실내 LAMP ON/OFF 유무 신호, 트렁크 개폐 유무 신호 및 SIDE BREAK 작동 실시 유무 신호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각종 차량 상태 신호들은 CAN/LIN, MOST 등 차량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게 된다.
제어부(30)는 차량 신호 입력부(2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분석 처리한 후, 앰블럼 구조부(10)의 조명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30)는 차량 내 각 전자제어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상태 신호에 따라 조명 색상을 다르게(예들 들어, 트렁크가 열린 경우는 블루, DOOR가 열린 경우는 그린, 실내 LAMP가 ON 된 경우에는 레드 등) 발광시키게 되며, 이와 아울러 조명의 발광 방법을 조절함으로써(예를 들어, 30sec 점등 후 10sec 깜박거림 등) 차량 상태를 세분화하여 차량 외부에 위치한 운전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제어부(30)에는 차량 신호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상태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조명 수단의 색상 및 점멸 주기에 관한 설정값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되는 메모리부(미도시)가 더욱 포함된다.
조명조절회로부(40)는 앰블럼 구조부(10) 내의 조명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앰블럼 구조부(10)의 조명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조절한다. 즉, 제어부(30)가 차량 신호 입력부(2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이에 해당되는 LED 설정값을 메모리부로부터 가져와 LED의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조명조절회로부(40)가 기 설정된 값에 따라 레드, 그린, 블루를 담당하는 각각의 LED 또는 레드, 그린, 블루가 조명되는 일체형 LED를 제어하여 각각의 색상 및 점멸주기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LED의 조명 색상은 레드, 그린, 블루 3가지 색상 중에 하나만 점등시켜 그 각각의 단일 색상으로 조명시키거나, 또는 레드, 그린, 블루 중 2가지 이상의 색상을 가산 혼합하여 각각 여러 단계로 밝기를 가변하면 그 가변단계에 따라 혼합되어 조명되는 색상을 다변화할 수 있다.
전원부(50)는 상기 각 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차량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차량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별도의 충전용 전원을 구성하여 차량 시동 ON 시에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하고, 시동 OFF 시에는 차량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태 알림 장치 내부 전원이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 알림 장치의 동작흐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201에서 제어부(30)가 ECU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ACC OFF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201에서의 판단 결과, 만약 ACC OFF 된 경우 단계 202로 진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상태 알림 장치를 초기화함과 동시에 차량 신호 입력부(20)를 통해 ECU, TCU, ETACS 등 차량 내 복수의 전자제어장치(100)로부터 각종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차량 상태를 분석한다.
이어, 단계 203에서 제어부(30)가 차량 신호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받은 각종 차량 상태 신호 중 DOOR 열림, 실내 LAMP ON, WINDOW 열림, SIDE BREAK 풀림, 트렁크 열림 등을 나타내는 이상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203에서의 판단 결과, 만약 이상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계 204로 진행하여 제어부(30)가 기 저장되어있던 앰블럼 발광색상 및 점멸주기에 관한 설정값 중에서 현재 차량 상태값에 상응하는 설정값을 불러와 이에 해당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조명조절회로부(40)로 출력한다.
이어, 단계 205에서 조명조절회로부(40)가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앰블럼 구조부(10)에 내장된 고휘도 LED의 발광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차량 외부에 위치한 운전자가 앰블럼 구조부(10)의 발광 색상 및 점멸 주 기를 통해 현재 차량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앰블러를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앰블러를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의 작동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앰블럼 구조부 20 : 차량 신호 입력부
30 : 제어부 40 : 조명조절회로부
50 : 전원부 100 : 전자제어장치

Claims (6)

  1. 차량 외부 판넬 상에 노출 설치되며,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측에 다수의 조명 수단이 구비되는 앰블럼 구조부;
    차량 상태 진단 기능이 내장된 차량 내 복수의 전자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이들 장치로부터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차량 신호 입력부;
    상기 차량 신호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분석 처리한 후, 앰블럼 구조부의 조명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앰블럼 구조부 내의 조명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앰블럼 구조부의 조명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조절하는 조명조절회로부; 및
    상기 각 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앰블럼 구조부에 구비되는 조명 수단은 고휘도 L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LED는 내부에 레드, 그린, 블루가 함께 조명되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신호 입력부에 접속되는 전자제어장치는 ECU, TCU 및 ETAC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신호 입력부에 입력되는 차량 상태 신호는 ACC ON/OFF 유무 신호, DOOR LOCKING 유무 신호, WINDOW 열림 유무 신호, 실내 LAMP ON/OFF 유무 신호, 트렁크 개폐 유무 신호 및 SIDE BREAK 작동 실시 유무 신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상태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조명 수단의 색상 및 점멸 주기에 관한 설정값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KR1020070083301A 2007-08-20 2007-08-20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KR20090019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301A KR20090019115A (ko) 2007-08-20 2007-08-20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301A KR20090019115A (ko) 2007-08-20 2007-08-20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115A true KR20090019115A (ko) 2009-02-25

Family

ID=4068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301A KR20090019115A (ko) 2007-08-20 2007-08-20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91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729A2 (en) * 2009-05-15 2010-11-18 Jepp Industries, Inc. System for enhancing perception of a motor vehicle's mark emblem
US8823506B2 (en) 2009-05-15 2014-09-02 Jepp Industries, Inc. System for enhancing perception of a motor vehicle's mark emblem
US10267481B2 (en) 2017-06-16 2019-04-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ng vehicle assemblies with illuminated badg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729A2 (en) * 2009-05-15 2010-11-18 Jepp Industries, Inc. System for enhancing perception of a motor vehicle's mark emblem
WO2010132729A3 (en) * 2009-05-15 2011-03-24 Jepp Industries, Inc. System for enhancing perception of a motor vehicle's mark emblem
US8188850B2 (en) 2009-05-15 2012-05-29 Jepp Industries, Inc. System for enhancing perception of a motor vehicle's mark emblem
US8823506B2 (en) 2009-05-15 2014-09-02 Jepp Industries, Inc. System for enhancing perception of a motor vehicle's mark emblem
US10267481B2 (en) 2017-06-16 2019-04-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ng vehicle assemblies with illuminated badges
US10619820B2 (en) 2017-06-16 2020-04-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ing vehicle assemblies with illuminated bad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380B1 (en) Enhanced informational vehicle puddle lamp assemblies
CN113423607B (zh) 增强的车辆危险系统
US20080191626A1 (en) Lighting system
US988979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warning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to provide warning signals
US9818268B2 (en) Motor vehicle with indication of a state of charg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CN107719227B (zh) 调节仪表盘亮度的方法和系统
RU268627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дсветки для двери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1137122B2 (en) Vehicle-mounted illumination device
KR20090019115A (ko) 앰블럼을 이용한 차량 상태 알림 장치
CN201652096U (zh) 车辆顶篷模块
CN208615804U (zh) 氛围灯自动调节系统及车辆
KR102213684B1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US10182482B2 (en) Lamp kit for installation in a motor vehicle, and a motor vehicle
US10744932B2 (en) Control and monitoring circuit for controlling lighting system
US20210076474A1 (en) Wirelessly Activated Light
US10806002B2 (en) Rear view device assemblies and circuits
US10029610B1 (en) Lighting system and indicating method for a vehicle
CN211457468U (zh) 车灯控制系统
CN113119855A (zh) 一种车辆开关背光模组的控制方法及装置
KR100689602B1 (ko) 타임딜레이를 이용한 차폭등/방향지시등 겸용회로.
US2018036191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sources in motor vehicles
CN214325000U (zh) 汽车前大灯未关提醒装置
EP4124352A1 (en) Vehicular sanitization control device and vehicular sanitization control system
CN110996471A (zh) 车灯控制系统
TWM565655U (zh) Wheel eyebrow light assembly, wheel eyebrow and wheel eyebrow ligh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