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33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338A
KR20090018338A KR1020070082728A KR20070082728A KR20090018338A KR 20090018338 A KR20090018338 A KR 20090018338A KR 1020070082728 A KR1020070082728 A KR 1020070082728A KR 20070082728 A KR20070082728 A KR 20070082728A KR 20090018338 A KR20090018338 A KR 20090018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support member
air conditioner
main body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선
안익태
황지상
이원희
손선희
김진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8338A/ko
Priority to CNA2008100925219A priority patent/CN101368750A/zh
Publication of KR20090018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며 개폐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패널을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전면패널의 무게가 지지부재를 통해 지면에 지지되므로, 전면패널의 개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본체의 전도는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되어 있는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포함하여 냉동사이클에서 발생한 냉기나 열기를 실내 공간에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7-44742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각 또는 가열되게 하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가 본체 내부를 통과하며 순환되도록 하는 송풍팬 등의 구성을 포함하며, 본체에는 실내 공간의 공기가 본체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본체 내부에서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공기가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근래 이러한 공기조화기 중에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을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전면 하부를 개방하고, 본체의 전면 일측에는 전면패널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전면패널을 회전시키며 개방되어 있는 본체의 전면 하 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가 있다.
그런데 근래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면패널은 디자인을 고려하여 무게가 무거운 장식유리 등을 부착하여 제작하므로 대부분 무겁게 제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무거운 전면패널을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본체의 전면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면 무게중심이 전면패널의 무게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본체가 전방측으로 전도될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면패널의 무게에 의해 본체가 전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며 개폐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을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면패널의 하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타단이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전면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돌기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 하부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하우징의 후방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하며 수용되는 수용홈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의 전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퀴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전면패널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는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며 개폐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에는 하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패널을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전면패널의 무게가 지지부재를 통해 지면에 지지되므로, 전면패널의 개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본체의 전도는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며 그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을 포함하며, 본체(10) 내에는 본체(1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2)와,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내 공기가 본체(10) 내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2)와 열교환 한 후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팬(13)이 포함된다.
본체(10)의 하부 양측에는 공기가 본체(10) 내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10a)가 마련되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는 본체(10) 내부에서 열교환기(12)와 열교환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10b)가 마련된다. 토출구(10b)에는 토출구(10b)를 개폐하며 토출구(10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블레이드(10c)가 배치된다.
열교환기(12)는 본체(10)의 내부 상부 공간에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본체(1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기(12)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하도록 되어 있으며, 송풍팬(13)은 본체(10)의 내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어 송풍팬(13)이 수용되는 팬 케이스(14) 내에 설치되어 송풍팬(13)에서 토출된 공기가 팬 케이스(14)에 의해 상부의 열교환기(12)측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팬케이스(14)의 전면에는 팬케이스(14)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유닛(15)에 설치되어 있다.
전면패널(1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각종 구성요소들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본체(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전면패널(11)은 그 일측단이 본체(10)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며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이러한 전면패널(11)은 그 전면에 디자인을 위한 장식유리 등이 부착되어 상당한 무게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패널(11)이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전면패널(11)의 무게가 지면(G)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장치(20)를 포함한다.
지지장치(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전면패널(11) 타측단과 인접한 부위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지면(G)에 지지되어 전면패널(11)의 무게가 지면(G)에 직접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21)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장치(20)를 통해 전면패널(11)의 무게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무게중심이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10)가 전방측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지지부재(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1)에 하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패널(11)이 회전하여 본체(10)의 전면이 개방됨에 따라 전면패널(11)의 하측으로 돌출하여 지면(G)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이 개방됨에 따라 지지부재(21)가 전면패널(11)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21)는 그 일단이 전면패널(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그 타단이 전면패널(11)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지지부재(21)의 일단에는 지지부재(21)가 전면패널(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돌기(21a)가 양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힌지돌기(21a)에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2)가 설치되어 탄성부재(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지부재(21)가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타단이 전면패널(11)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면(G)에 지지되는 지지부재(21)의 단부, 즉 지지부재(21)의 타단에는 원형 단면의 바퀴(2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패널(11)은 지지부재(21) 및 바퀴(23)를 통해 지면(G)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장치(20)는 이러한 지지부재(21)의 설치를 위하여 전면패널(11)의 후면 하부에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설치하우징(24)을 포함한다. 설치하우징(24)은 지지부재(21)가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며 후방측 단부 양측에는 지지부재(21)의 힌지돌기(21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공(24a, 도 2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면패널(11)에 의해 본체(10)의 전면이 폐쇄되는 과정에서 전면패널(11)의 하측으로 돌출되었던 지지부재(21)가 다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전면 하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1)가 회전하며 수용되는 수용홈(10d)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수용홈(10d)의 전방측 단부에는 지지부재(21)의 타단이 걸려 일정 이상의 힘이 전면패널(11)에 가해지기 이전까지 지지부재(21)가 수용홈(10d)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걸림부(10e)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1)의 타단에는 바퀴(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걸림부(10e)에는 바퀴(23)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21)는 전면패널(11)에 의해 본체(10)의 전면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바퀴(23)가 걸림부에 걸려 수용홈(10d)과 설치하우징(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전면패널(11)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해 전면패널(11)을 회전시키며 바퀴(23)가 걸림부로부터 이탈하게 하면 본체(10)의 전면은 개방되고 그에 따라 수용홈(10d) 및 설치하우징(24)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지지부재(21)는 탄성부재(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며 전면패널(1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전면패널(11)은 지지부재(21) 및 바퀴(23)에 의해 지면(G)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전면패널(1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10)의 전면이 전면패널(11)에 의해 폐쇄되도록 하면 지지부재(21)는 수용홈(10d)에 마련된 걸림부(10e) 를 통해 힘을 전달받아 탄성부재(22)를 탄성변형시키며 회전하고 그에 따라 수용홈(10d)과 설치하우징(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다시 수용된다. 이때, 지지부재(21) 타단에 설치되어 있는 바퀴(23)는 걸림부(10e)에 의해 걸리게 되므로 지지부재(21)는 일정 이상의 힘이 전면패널(11)을 통해 전달되기 이전까지 걸림부(10e)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1)의 타단에는 바퀴(23)가 설치되어 지지부재(21)와 바퀴(23)에 의해 전면패널(11)이 지면(G)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6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G)에 지지되는 지지부재(21')의 단부, 즉 지지부재(21)의 타단을 다른 형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는 형태인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전면패널(11)이 지지부재(21)를 통해 지면(G)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부 확대도이다.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된 지지장치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된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10d: 수용홈
10e: 걸림부 11: 전면패널
20: 지지장치 21: 지지부재
22: 탄성부재 23: 바퀴
24: 설치하우징

Claims (16)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며 개폐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을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면패널의 하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타단이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전면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돌기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 하부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하우징의 후방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하며 수용되는 수용홈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전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퀴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전면패널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는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며 개폐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에는 하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그 일측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개방되어 있는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그 타단이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전면패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돌기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전면패널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는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082728A 2007-08-17 2007-08-17 공기조화기 KR20090018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728A KR20090018338A (ko) 2007-08-17 2007-08-17 공기조화기
CNA2008100925219A CN101368750A (zh) 2007-08-17 2008-04-18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728A KR20090018338A (ko) 2007-08-17 2007-08-1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338A true KR20090018338A (ko) 2009-02-20

Family

ID=4041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728A KR20090018338A (ko) 2007-08-17 2007-08-1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18338A (ko)
CN (1) CN1013687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98Y1 (ko) * 2011-02-16 2012-05-25 김대읍 찌꺼기 제거용 주걱
KR20190124484A (ko) 2018-04-26 2019-11-05 남중수 두부 제조용 맷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5433A (zh) * 2011-07-20 2012-01-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98Y1 (ko) * 2011-02-16 2012-05-25 김대읍 찌꺼기 제거용 주걱
KR20190124484A (ko) 2018-04-26 2019-11-05 남중수 두부 제조용 맷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8750A (zh)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08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4538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17141839A1 (ja) 空気調和機
ES2627418T3 (es) Unidad interior para acondicionador de aire
KR20090018338A (ko) 공기조화기
JP5375900B2 (ja) 空調室内機
KR1007274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1950501A1 (en) Air conditioner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0900936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JP6538374B2 (ja) 空気調和機
KR100861954B1 (ko) 공기조화기
EP195050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KR10075895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023293A (zh) 空调室内机
KR20070044161A (ko) 공기조화기
KR20070044736A (ko) 공기조화기
KR101362307B1 (ko) 공기조화기
KR100725739B1 (ko) 공기조화기
KR100637670B1 (ko) 공기조화기
KR200458704Y1 (ko) 공기조화기
KR100637671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44164A (ko) 공기조화기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