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964A -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964A
KR20090017964A KR1020080013198A KR20080013198A KR20090017964A KR 20090017964 A KR20090017964 A KR 20090017964A KR 1020080013198 A KR1020080013198 A KR 1020080013198A KR 20080013198 A KR20080013198 A KR 20080013198A KR 20090017964 A KR20090017964 A KR 20090017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pads
dielectric block
chip antenna
antenn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505B1 (ko
Inventor
전찬익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6864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1796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ublication of KR2009001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8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mounted in or on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s a chip-type antenna or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into an IC pac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는, 전후 및 좌우가 대칭형으로 형성된 육면체의 유전체블록; 상기 유전체블록의 상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면 전극, 상기 복수의 상면 전극의 각각의 한쪽 끝으로부터 상기 유전체블록의 좌우 양 측면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연장된 복수의 측면 전극, 상기 복수의 측면 전극의 각각에서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으로 연장되며, 서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면 전극, 및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에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과 전후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을 포함한다. 이로써,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조건을 변경하거나 안테나의 구조를 변경하는 일없이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설치되어 전기적 특성을 변화할 수 있게 된다.
내장형, 칩 안테나, 인쇄회로기판, 대칭, 패드, 시그널 라인, 접지 라인

Description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Inner type chip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조건을 변경하거나 안테나의 구조를 변경하는 일없이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내장형 안테나가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일반적인 안테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소형화가 용이한 내장형 칩 안테나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형화된 칩 안테나는 단일 유전체블록 또는 복수 개의 유전체시트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유전체 블록에 방사소자를 구성하는 도체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칩 안테나는 소형화를 이루기 위해 통상적으로 나선형(helix type), 미앤더형 (meander type)(이하, '지그재그 타입'이라고도 한다)으로 설계되며, 성능 향상을 위하여 평판형 역 F 안테나(PIFA : Planar Inverted-F Antenna)형태로 설계되고 있다.
나선형 안테나는 소형 안테나 설계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기본적으로 안테나는 공진 길이에 비례하여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가 결정되는데, 일정한 동작 주파수를 갖는 기다란 도체를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설계 법칙에 따라 일정 방향의 나선형으로 감아올리게 되면 실제 물리적인 길이는 길게 펴져 있을 때보다 줄어들지만 그 동작 주파수는 펴진 상태의 동작 주파수와 유사하게 구현 가능하여 소형화 방안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이다. 이와 같은 나선형 타입의 안테나는 도 1b와 같은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지그재그 타입의 경우도 상기의 나선형 타입과 유사한 방식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안테나를 좌우로 지그재그로 접어 올리게 되면 동작 주파수를 유지하며 안테나의 물리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평판형 역 F 안테나는 나선형 칩 안테나의 특성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5)의 일부가 반드시 그라운드(10)에 접지되며 소형화를 위하여 간혹 나선형 방식 또는 지그재그 방식이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나선형 안테나 또는 지그재그 타입 안테나의 경우, 반드시 전극의 한 곳은 신호를 인가하는 선로와 연결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평판형 역 F 안테나의 경우에는 전기적인 특성을 달리하기 위하여 간혹 신호선과 안테나의 전극이 떨어진 상태(커플링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도 있어 다양한 설계의 응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그라운드가 가정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와 같은 가정이 변경되면 결과도 변경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내장형 안테나의 경우 그라운드 조건이 변경되면 동일한 안테나라고 하더라도 그 전기적인 특성이 달라진다. 즉, 그라운드 조건에 따라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가 변화하며, 구조적인 임피던스가 변경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내장형 안테나는 동작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 길이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된다. 또한, 구조적인 임피던스를 변경하기 위하여 안테나의 구조를 변경(예를 들어, 도체의 폭을 변경하거나, 나선 사이 또는 지그재그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거나, 나선의 방향 또는 지그재그의 방향을 변경하는 등)함으로써 안테나의 전기적인 특성을 조절하여 원하는 특성을 만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하여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스템마다 서로 다른 안테나의 설계를 반영하거나, 안테나의 특성에 맞추어 시스템의 설계가 변경되어야 한다.
그런데, 다양한 시스템의 조건에 맞추어 튜닝 작업을 통하여 안테나의 설계 구조를 변경하거나 안테나의 특성에 따라 시스템의 조건을 변경하여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개발 과정에서 많은 비용의 손실을 발생시키게 되며 신규 부품의 개발을 위한 시간적인 손실도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의 개발로 인한 제품의 관리적 어려움을 동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안테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며 무선통신 시스템의 설계 조건을 변경하거나 안테나의 구조를 변경하는 일없이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의 제1 실시예는, 전후 및 좌우가 대칭형으로 형성된 육면체의 유전체블록; 상기 유전체블록의 상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면 전극; 상기 복수의 상면 전극의 각각의 한쪽 끝으로부터 상기 유전체블록의 좌우 양 측면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연장된 복수의 측면 전극; 상기 복수의 측면 전극의 각각에서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으로 연장되며,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면 전극; 및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에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과 전후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의 내장형 칩 안테나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의 각각에 접촉되는 복수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패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1 집중 정수소자를 포함하는 시그널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시그널 라인이 연결된 패드를 제외한 나머지 패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2 집중 정수소자를 포함하는 접지 라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블록은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상면 전극은 상기 유전체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의 제2 실시예는, 직육면체로 형성된 유전체블록; 상기 유전체블록의 상면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면 전극; 상기 복수의 상면 전극의 각각의 한쪽 끝에서 상기 유전체블록의 양 측면으로 직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측면 전극; 상기 복수의 측면 전극으로부터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으로 연장된 복수의 하면 전극;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의 각각과 전후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하면 전극; 및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의 위치에 대응하고, 각각에 집중 정수소자를 포함하는 시그널 라인 또는 접지 라인과 연결되는 복수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는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 패드; 및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 패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 라인은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 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지 라인은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시그널 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의 제3 실시예는, 직육면체로 형성된 유전체블록; 상기 유전체블록에 형성되며, 좌우 대칭형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유전체블록에 형성되며, 좌우 대칭형을 이루는 복수의 제2 전극;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의 좌우 대칭되는 소정 부위에 접촉되는 복수의 제1 패드;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의 좌우 대칭되는 소정 부위에 접촉되는 복수의 제2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패드 및 상기 복수의 제2 패드는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집중 정수 소자를 포함하는 시그널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집중 정수 소자를 포함하는 접지 라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장형 칩 안테나를 좌우 대칭형으로 설계하고 인쇄회로기판에는 내장형 칩 안테나의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패드를 마련함으로써, 내장형 칩 안테나를 인쇄회로기판의 최외곽 측면의 어느 곳에 위치시키든 설계 조건을 변경하는 일없이 동일한 조건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는, 내장형 칩 안테나가 설치되 는 주변 조건과 위치에 관계없이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며, 주변의 설계 조건 또한 조건에 맞추어 단일 조건으로 고정되고, 집중 정수 소자(lumped element)만을 이용하여 원하는 주파수 및 동작대역은 물론 안테나 임피던스를 포함한 모든 전기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는, 전후 및 좌우가 대칭형으로 형성된 유전체블록(10), 유전체블록(10)에 형성되며 좌우 대칭형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전극(12a, 12b, 14a, 14b, 16a, 16b), 및 유전체블록(10)에 형성되며 좌우 대칭형을 이루는 복수의 제2 전극(18a, 18b)을 구비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와, 제1 전극(12a, 12b, 14a, 14b, 16a, 16b) 중의 좌우 대칭되는 소정 부위에 접촉되는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및 제2 전극(18a, 18b) 중의 좌우 대칭되는 소정 부위에 접촉되는 복수의 제2 패드(22c, 22d)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는 유전체블록(10)은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복수의 제1 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유전체블 록(10)의 상면에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면 전극(12a, 12b), 각각의 상면 전극(12a, 12b)의 한쪽 끝으로부터 유전체블록(10)의 좌우 양 측면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연장된 복수의 측면 전극(14a, 14b), 및 복수의 측면 전극(14a, 14b)에서 유전체블록(10)의 하면으로 연장되며 서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면 전극(16a, 16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상면 전극(12a, 12b)은 유전체블록(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면 전극(12a, 12b)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유전체블록(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 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두 개의 측면 전극(14a, 14b)이 유전체블록(10) 상면의 길이방향 한쪽 끝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상면 전극(12a, 12b) 및 복수의 측면 전극(14a, 14b)이 연결되는 위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유전체블록(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 되는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복수의 측면 전극(14a, 14b)이 유전체블록(10)의 하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측면 전극(14a, 14b)의 형상은 수직선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유전체블록(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 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측면 전극(14a, 14b)은 유전체블록(10)의 길이방향의 양 측면의 전방 또는 후방 끝으로부터 유전체블록(10) 하면의 전방 또는 후방 끝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복수의 하면 전극(16a, 16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2 전극(18a, 18b)은 유전체블록(10)의 하면에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하면 전극(16a, 16b)과 전후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2 전극(18a, 18b)이 유전체블록(10)의 하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제2 전극(18a, 18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2 전극은 유전체블록(10)의 하면으로부터 측면으로, 또는 유전체블록(10)의 하면으로부터 측면 및 상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유전체블록(1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전극(18a, 18b)은 다른 복수의 제2 전극과 구분하여 복수의 제2 하면 전극(18a, 18b)이라 일컬으며, 이 경우에도 복수의 제2 하면 전극(18a, 18b)은 복수의 하면 전극(16a, 16b)과 전후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및 복수의 제2 패드(22c, 22d)는 인쇄회로기판(20)의 내장형 칩 안테나가 실장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즉, 복수의 제1 패드(22a, 22b)는 복수의 제1 전극(12a, 12b, 14a, 14b, 16a, 16b) 중 유전체블록(1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하면 전극(16a, 16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2 패드(22c, 22d)는 복수의 제2 전극 중 유전체블록(1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하면 전극(18a, 18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및 복수의 제2 패드(22c, 22d)는 인쇄회로기판(20)의 최 외곽에 설치되며, 복수의 하면 전극(16a, 16b)과 복수의 제2 하면 전극(18a, 18b)에 대응하는 위치라면 인쇄회로기판의 전, 후, 좌, 후의 어느 위치라도 관계없다.
이때, 복수의 하면 전극(16a, 16b)은 각각이 서로 좌우 대칭이고, 복수의 제2 하면 전극(18a, 18b)도 각각이 서로 좌우 대칭이며, 복수의 하면 전극(16a, 16b) 및 복수의 제2 하면 전극(18a, 18b)은 서로 전우 대칭이므로, 그에 따라 복수의 제1 패드(22a, 22b)는 각각이 서로 좌우 대칭이 되고, 복수의 제2 패드(22c, 22d) 또한 각각이 서로 좌우 대칭이 되며,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및 복수의 제2 패드(22c, 22d)는 서로 전후 대칭이 된다. 따라서, 내장형 칩 안테나의 방향을 180도 회전한다면 복수의 제1 패드(22a, 22b)는 복수의 제2 하면 전극(18a, 18b)의 위치에 대응되며, 복수의 제2 패드(22c, 22d)는 복수의 하면 전극(16a, 16b)의 위치에 대응된다.
한편,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중 적어도 하나는 시그널 라인(24)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 패드(22c, 22d) 중 적어도 하나는 접지 라인(26)에 연결된다. 이때, 시그널 라인(24) 및 접지 라인(26)의 연결은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중 적어도 하나에 접지 라인이 연결되고, 복수의 제2 패드(22c, 22d) 중 적어도 하나에 시그널 라인이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중 하나에 시그널 라인(24)이 연결되고, 복수의 제2 패드(22c, 22d) 중 하나에 접지 라인(26)이 연결되며, 각각의 제1 패드(22a, 22b)는 제1 연결 패드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2 패드(22c, 22d)는 제2 연결 패드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시그널 라인(24) 및 접지 라인(26)의 연결은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중 하나에 접지 라인이 연결되고, 복수 의 제2 패드(22c, 22d) 중 하나에 시그널 라인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은 인쇄회로기판(20)에 내장형 칩 안테나(10)가 장착된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생략된 부재번호는 도 4 및 도 5의 부재번호를 참조한다.
상기와 같은 내장형 칩 안테나 및 인쇄회로기판(20)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는 인쇄회로기판(20)에 내장형 칩 안테나를 180도 회전하여 장착하더라도 인쇄회로기판(20)의 설계 조건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시그널 라인(24)과 접지 라인(24)은 내장형 칩 안테나가 180도 회전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패드(22a 및 22d, 또는 22b 및 22c)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그널 라인(24) 및 접지 라인(26)은 각각 집중 정수소자(lumped element)(30a, 30b, 30c)를 포함하며, 각각의 집중 정수소자를 통해 동작 주파수 및 구조적인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여기서, 집중 정수 소자(30a, 30b, 30c)는 인덕터(L) 및 커패시터(C)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하여 매칭(matching) 회로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집중 정수소자 값을 통해 안테나의 방사 성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시그널 라인(24) 및 접지 라인(26)에 형성된 집중 정수 소자의 값만을 조절함으로써, 내장형 칩 안테나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무선 통신 기기의 설계조건을 변경하는 일 없이 조건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가 응용되는 각각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내장형 칩 안테나의 설치방향은 그대로 유지되며 내장형 칩 안테나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 상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또는 복수의 제2 패드(22c, 22d)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패드 또는 제2 연결 패드의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즉, 내장형 칩 안테나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기 설계된 인쇄회로기판(20)의 설계조건을 새롭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제1 패드(22a, 22b) 또는 복수의 제2 패드(22c, 22d)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패드 또는 제2 연결 패드를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내장형 칩 안테나의 크기 또는 무선 통신 기기의 설계 조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어떠한 조건에도 응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초기 설계에 따라 모노폴(monopole) 구조 또는 PIFA 구조에 모두 응용이 가능한 동일한 칩 안테나로 이용되며 주변의 설계 조건도 초기 설정과 동일한 상태에서 단순히 상기 안테나 주변의 집중정수소자 (Lumped Element)만을 이용 하여 동작 주파수대역을 비롯하여 안테나의 구조적인 임피던스를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성능 또한 우수하고,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형을 이용하지 않고도 소형화가 가능하며, 또한 칩 안테나의 부품공용화를 가능하게 하여 제품의 관리 및 생산성 향상에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나선형 구조의 칩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지그재그 타입의 칩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평판형 역 F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의 칩 안테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의 인쇄회로기판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의 응용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의 다른 응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전체블록 12a, 12b : 상면 전극
14a, 14b : 측면 전극 16a, 16b : 하면 전극
18a, 18b : 제2 하면 전극 20 : 인쇄회로기판
22a, 22b, 22c, 22d : 패드

Claims (13)

  1. 전후 및 좌우가 대칭형으로 형성된 육면체의 유전체블록;
    상기 유전체블록의 상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면 전극;
    상기 복수의 상면 전극의 각각의 한쪽 끝으로부터 상기 유전체블록의 좌우 양 측면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연장된 복수의 측면 전극;
    상기 복수의 측면 전극의 각각에서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으로 연장되며, 서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면 전극; 및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에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과 전후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의 각각에 접촉되는 복수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1 집중 정수소자를 포함하는 시그널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시그널 라인이 연결된 패드를 제외한 나머지 패드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2 집중 정수소자를 포함하는 접지 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라인과 상기 접지 라인은 상기 복수의 패드 중 대각방향에 위치한 패드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블록은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면 전극은 상기 유전체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7. 직육면체로 형성된 유전체블록;
    상기 유전체블록의 상면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면 전극;
    상기 복수의 상면 전극의 각각의 한쪽 끝에서 상기 유전체블록의 양 측면으로 직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측면 전극;
    상기 복수의 측면 전극으로부터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으로 연장된 복수의 하면 전극;
    상기 유전체블록의 하면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의 각각과 전후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하면 전극; 및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의 위치에 대응하고, 각각에 집중 정수소자를 포함하는 시그널 라인 또는 접지 라인과 연결되는 복수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 패드; 및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드 및 상기 제2 연결 패드의 형태를 변경하여 설계 조건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라인은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 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라인은 상기 복수의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시그널 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2 하면 전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12. 직육면체로 형성된 유전체블록;
    상기 유전체블록에 형성되며, 좌우 대칭형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유전체블록에 형성되며, 좌우 대칭형을 이루는 복수의 제2 전극;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의 좌우 대칭되는 소정 부위에 접촉되는 복수의 제1 패드;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의 좌우 대칭되는 소정 부위에 접촉되는 복수의 제2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패드 및 상기 복수의 제2 패드는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집중 정수소자를 포함하는 시그널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집중 정수소자를 포함하는 접지 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KR1020080013198A 2007-08-16 2008-02-13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KR100893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219 2007-08-16
KR20070082219 2007-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964A true KR20090017964A (ko) 2009-02-19
KR100893505B1 KR100893505B1 (ko) 2009-04-16

Family

ID=4068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198A KR100893505B1 (ko) 2007-08-16 2008-02-13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5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1799B2 (en) 2010-02-11 2013-11-12 Radina Co., Ltd Ground radiation antenna
US8604998B2 (en) 2010-02-11 2013-12-10 Radina Co., Ltd Ground radiation antenna
US8648763B2 (en) 2010-02-11 2014-02-11 Radina Co., Ltd Ground radiator using capacitor
KR101463971B1 (ko) * 2013-03-26 2014-12-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성 조절이 가능한 역에프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7532A (ja) * 1998-04-15 1999-10-29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7271B1 (ko) * 2002-05-15 2005-03-22 (주) 코산아이엔티 마이크로 칩 듀얼밴드 안테나
KR100638726B1 (ko) * 2005-02-25 2006-10-3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1799B2 (en) 2010-02-11 2013-11-12 Radina Co., Ltd Ground radiation antenna
US8604998B2 (en) 2010-02-11 2013-12-10 Radina Co., Ltd Ground radiation antenna
US8648763B2 (en) 2010-02-11 2014-02-11 Radina Co., Ltd Ground radiator using capacitor
KR101463971B1 (ko) * 2013-03-26 2014-12-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성 조절이 가능한 역에프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505B1 (ko)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052B1 (ko) 멀티밴드 안테나 컴포넌트
US7274334B2 (en) Stacked multi-resonator antenna
US7148847B2 (en) Small-size, low-height antenna device capable of easily ensuring predetermined bandwidth
KR100799875B1 (ko)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088218A (ja) 平面アンテナ
KR101714537B1 (ko) 미모 안테나 장치
JP2001007639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CN110380190B (zh) 一种天线模组及电子设备
JPWO2009081803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
CN114447583B (zh) 天线及电子设备
US6906667B1 (en) Multi frequency magnetic dipole antenna structures for very low-profile antenna applications
KR101003014B1 (ko) 칩 안테나를 위한 pcb 레이아웃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칩 안테나 장치
JP6990833B2 (ja) アンテナ装置
KR20050106533A (ko) 이중 커플링 급전을 이용한 다중밴드용 적층형 칩 안테나
KR100893505B1 (ko) 내장형 칩 안테나 장치
US7911396B2 (en) Meandered antenna
JP5645121B2 (ja) アンテナ装置用基板およびアンテナ装置
US9570800B2 (en) Ground antenna and ground radiator using capacitor
TWI536666B (zh) 天線
CN112563733A (zh) 一种高频辐射单元及紧凑型双频带天线
US7728773B2 (en) Multi-band antenna
WO2006028212A1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機
EP4030779A1 (en) Bluetooth earphone
JPH09232854A (ja) 移動無線機用小型平面アンテナ装置
JP3554972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の実装構造および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805

Effective date: 201006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