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957A - 송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957A
KR20090017957A KR1020070132645A KR20070132645A KR20090017957A KR 20090017957 A KR20090017957 A KR 20090017957A KR 1020070132645 A KR1020070132645 A KR 1020070132645A KR 20070132645 A KR20070132645 A KR 20070132645A KR 20090017957 A KR20090017957 A KR 20090017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rix
beamforming
user terminal
antenna
sub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374B1 (ko
Inventor
최준일
마사아키 후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109,601 priority Critical patent/US8102934B2/en
Publication of KR2009001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송신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귀환된 채널 행렬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관한 채널 행렬인 서브셋 행렬(subset matrix)을 설정하는 서브셋 행렬 설정부, 설정된 서브셋 행렬을 이용하여 소정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되는 웨이트 벡터들로 구성되는 빔포밍 행렬을 산출하는 빔포밍 행렬 산출부,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산출된 빔포밍 행렬에 따라 빔포밍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빔포밍 처리부, 및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송신하는 안테나들을 포함하며, 적은 연산량을 통해 각 사용자 단말간의 간섭을 제거하면서, 다이버시티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및 방법{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 사용자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방식에 관한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장치 간의 통신 속도를 고속화하는 기술의 하나로서, 다입력ㅇ다출력 전송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방식은 글자 그대로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의 입출력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 방식의 특징은 서로 다른 복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같은 타이밍에 같은 주파수로 복수의 송신 데이터를 한꺼번에 송신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그 때문에, 동시에 송신 가능한 채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채널의 수만큼 단위 시간당 송신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방식은 통신 속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점유하는 주파수 대역이 증가되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동일 주파수의 반송파 성분을 가진 복수의 변조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혼합된 변조 신호를 분리할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수신측에서는 무선 전송로의 전송 특성을 나타내는 채널 행렬을 추정하고, 그 채널 행렬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각 서브 스트림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분리한다. 이때, 채널 행렬은 파일럿 심볼 등을 이용하여 추정된다.
그렇지만, 전송로 내에서 부가되는 잡음나 서브 스트림간에 생기는 간섭 등의 영향을 충분히 제거하여 서브 스트림마다 송신 신호를 정밀하게 재현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근래, MIMO 신호 검출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MIMO 방식의 신호 전송이 가능한 복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에 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에서의 신호 검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최소 평균 제곱 오차(MMSE:Minimum Mean Squared Error, 이하 'MMSE'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검파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수신측에서 MMSE 검파 후의 SINR(Signal pow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power Ratio)을 산출하여 송신측에 귀환시키고, 이 MMSE 검파 후의 SINR에 기초하여 전송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나아가, 이러한 MMSE 검파 방식보다도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최대 우도(ML:Maximum Likelihood, 이하, 'ML'이라 칭하기로 한다) 검파 방식 등을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의 수신측에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은 연산량을 통해 사용자 단말간의 간섭을 제거하면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가져오는 송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귀환된 채널 행렬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관한 채널 행렬인 서브셋 행렬(subset matrix)을 설정하는 서브셋 행렬 설정부; 상기 설정된 서브셋 행렬을 이용하여 소정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되는 웨이트 벡터들로 구성되는 빔포밍 행렬을 산출하는 빔포밍 행렬 산출부;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산출된 빔포밍 행렬에 따라 빔포밍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빔포밍 처리부; 및 상기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송신하는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귀환된 채널 행렬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관한 채널 행렬인 서브셋 행렬(subset matrix)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서브셋 행렬을 이용하여 소정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되는 웨이트 벡터들로 구성되는 빔포밍 행렬을 산출하는 단계;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산출된 빔포밍 행렬에 따라 빔포밍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송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갖는 목적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역행렬 연산에 의해 산출된 빔포밍 행렬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특이값 분해에 의해 산출된 빔포밍 행렬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2 개의 사용자 단말을 갖는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은 송신 장치(10)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20(사용자 단말A(20-1), 사용자 단말(20-2))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송신 장치(10)는 빔포밍 행렬 계산부(12), 빔포밍 처리부(14), 복수의 안 테나(16)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들(20)은 복수의 안테나들(22)을 가지고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송신 장치(10)의 안테나 개수가 4개이고, 사용자 단말들의 개수가 2개이며, 각 사용자 단말들(20)의 안테나 개수가 2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다음의 수학식 1의 식 (1) 및 식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20-1)에 의해 추정되는 채널 행렬을 HA, 사용자 단말 B(20-2)에 의해 추정되는 채널 행렬을 HB로 표기한다. 또한, 수학식 1의 식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멀티 사용자 MIMO 채널의 채널 행렬을 H로 표기한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에 의해 추정된 채널 행렬을 서브 채널 행렬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Figure 112007090730202-PAT00001
먼저, 빔포밍 행렬 계산부(12)는 각 사용자 단말들(20)로부터 귀환된 서브 채널 행렬에 다음의 식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역행렬 연산을 함으로써 빔포밍 행렬(W)을 산출한다. 이때, 빔포밍 행렬은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할 때, 채널의 상태에 따라 가중치를 가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이 목적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행렬을 말하고, 특히 이 계산은 사용자 단말들(20)이 가진 안테나를 각각 수신 장치로 판단하여, 전체 안테나 간의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위첨자 H는 에르미트(hermitian)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Figure 112007090730202-PAT00002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A(20-1)에 대해 송신되는 송신 심볼 벡터를 sA=[s1, s2]T, 사용자 단말 B(20-2)에 대해 송신되는 송신 심볼 벡터를 sB=[s3, s4]T로 표기하고, 이들을 정리하여 송신 장치(10)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심볼 벡터를 s=[sA T, sB T]로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 A(20-1)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심볼 벡터를 rA=[r1, r2]T, 사용자 단말 B(20-2)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심볼 벡터를 rB=[r3, r4]T로 표기하고, 이들을 정리하여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에 수신되는 수신 심볼 벡터를 r=[rA T, rB T]로 표기한다. 단, 위첨자 T는 전치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빔포밍 처리부(14)는 빔포밍 행렬 계산부(12)에 의해 산출된 빔포밍 행렬(W) 을 송신 심볼 벡터(s)에 작용시켜 사용자 단말들(20)에 대해 송신한다. 이때, 식(4)를 이용하면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에서의 수신 심볼 벡터 r=[rA T, rB T]는 다음의 식(5)와 같이 표현된다. 그리고, 이러한 식(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빔포밍 후의 실효적인 채널 행렬(HW)은 빔간의 간섭을 나타내는 비대각 요소가 모두 제거된 대각 행렬이 된다.
Figure 112007090730202-PAT00003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의하면, 각 사용자 단말기가 구비하는 복수의 안테나 간의 간섭 성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이득이 상실된다. 그렇지만, 상기 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단순한 역행렬 연산에 의해 빔포밍 행렬이 산출되기 때문에 연산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특이값 분해에 의해 산출된 빔포밍 행렬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도 1에 도시된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2)은 송신 장치(30)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40 사용자 단말A(40-1), 사용자 단말B(40-2))로 구성된다. 그리고, 송신 장치(30)는 빔포밍 행렬 계산부(32), 빔포밍 처리부(14), 복수의 안테나(16)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40-1, 40-2)은 복수의 안테나들(22)과 MIMO 신호 검출부(42)를 포함한다.
우선, 빔포밍 행렬 계산부(32)는 각 사용자 단말들(40)로부터 귀환된 서브 채널 행렬들을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SVD)함으로써 빔포밍 행렬(W)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빔포밍 행렬 계산부(32)는 사용자 단말 B(40-2)로부터 귀환된 서브 채널 행렬(HB)에 대해 다음의 식(6)과 같이 특이값 분해함으로써 특이값 벡터(VB)를 산출한다. 이때, 특이값 0에 대응하는 우특이값 벡터(VB (0))는 서브 채널 행렬(HB)에 대한 영공간 벡터(null space vector)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빔포밍 행렬 계산부(32)는 이 우특이값 벡터(VB (0))를 사용자 단말 A(40-1)에 대한 빔포밍 행렬 성분으로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빔포밍 행렬 계산부(32)는 사용자 단말 A(40-1)로부터 귀환된 서브 채널 행렬(HA)에 대해 다음의 식 (7)과 같이 특이값 분해함으로써 특이값 벡터(VA)를 산출한다. 이때, 특이값 0에 대응하는 우특이값 벡터(VA (0))는 서브 채널 행렬(HA)에 대한 영공간 벡터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빔포밍 행렬 계산부(32)는 이 우특이값 벡터(VA (0))를 사용자 단말 B(40-2)에 대한 빔포밍 행렬 성분으로 사용한다.
이를 통해, 빔포밍 행렬 계산부(32)는 빔포밍 행렬 W=[(VB (0)), (VA (0))]을 산출한다.
Figure 112007090730202-PAT00004
이어, 빔포밍 처리부(14)는 빔포밍 행렬 계산부(32)에 의해 산출된 빔포밍 행렬(W)을 송신 심볼 벡터(s)에 작용시킨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빔포밍 행렬(W)은 다른 사용자 단말의 서브 채널 행렬에 대한 영공간 벡터를 성분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빔포밍 행렬(W)을 사용하면, 사용자 단말간의 간섭 성분이 제거된다. 즉, 송신 심볼 벡터(s)에 이 빔포밍 행렬(W)을 작용시키면, 수신 심볼 벡터(r)는 다음의 식(8)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7090730202-PAT00005
이러한 식(8)과 같이, 사용자 단말간의 간섭 성분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 단말이 구비하는 MIMO 신호 검출부들(42)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의 서브 채널을 추정하고, MMSE 검파나 MLD 검파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의하면, 각 사용자 단말이 구비하는 복수의 안테나간의 간섭 성분을 남기면서 사용자 단말간의 간섭 성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 단말간의 간섭을 0으로 하면서, 사용자 단말마다 MIMO 서브 채널이 형성된다. 그러나, 식(6) 및 식(7)에 의한 특이값 분해를 위하여 요구되는 연산 부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연산 처리 능력이 특별히 높은 송신 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한, 이러한 방법을 실현시키기는 어렵다. 즉, 이러한 송신 장치가 매우 값이 비싼 것은 물론, 소형 기기에 응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
이와 같이 채널 이득의 저하 및 연산 부하의 증대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일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사용자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간의 간섭이 제거되면서, 각 사용자 단말에 따른 MIMO 서브 채널로부터 산출되는 빔포밍 행렬이 비교적 연산량이 적은 역행렬 연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000)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000)의 구성 과 이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송신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0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000)은 송신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들(사용자 단말A(200-1), 사용자 단말B(200-2))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들(200)은 복수의 안테나들(202 #1, 202 #2, 202 #3, 202 #4)을 포함하고, 송신 장치(100)에는 각 사용자 단말들(200)에 추정된 서브 채널 행렬들(HA, HB)이 귀환된다.
[송신 장치(100)의 기능 구성]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100)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장치(100)는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 역행렬 연산부(104),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 빔포밍 처리부(110), 복수의 안테나들(1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역행렬 연산부(104) 또는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빔포밍 행렬 계산부(12, 32)의 일 예이다.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는 채널 행렬(H)의 요소에 기초하여, 하나의 사용자 단말A(200-1)가 가진 안테나(202)의 하나(#i)와, 다른 사용자 단말 B(200-2)가 가진 전체 안테나들(202)에 관한 서브셋 행렬(Hi')을 설정한다. 이러한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는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모든 사용자 단말들(200)에 대해, 각 사용자 단말들(200)이 구비하는 안테나(202)(#i)마다에 대하여 서브셋 행렬(Hi')을 설정한다. 이때, #i는 i번째의 안테나(202)를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예를 들어,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는 다음의 식(9)와 같이, 사용자 단말A(200-1)의 안테나(#1)와 사용자 단말B(200-2)의 전안테나(#3, #4)에 관한 서브셋 행렬(H1')을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는 다음의 식(10)과 같이 사용자 단말A(200-1)의 안테나(#2)와 사용자 단말B(200-2)의 전안테나(#3, #4)에 관한 서브셋 행렬(H2'), 다음의 식(11)과 같이 사용자 단말B(200-2)의 안테나(#3)와 사용자 단말A(200-1)의 전안테나(#1, #2)에 관한 서브셋 행렬(H3') 및 다음의 식(12)와 같이 사용자 단말B(200-2)의 안테나(#4)와 사용자 단말A(200-1)의 전안테나(#1, #2)에 관한 서브셋 행렬(H4')을 설정한다.
Figure 112007090730202-PAT00006
(역행렬 연산부(104))
역행렬 연산부(104)는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에 의해 설정된 각 서브셋 행렬들(Hi')에 대해, 다음의 식(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역행렬 연산을 함으로써 각 서브셋 행렬들(Hi')에 대한 빔포밍 웨이트들(Wi')를 산출한다. 이 연산은 앞서 기술된 식(4)와 대응되며, 식(4)와 비교할 때 서브셋 행렬에 포함되지 않은 안테나에 의한 간섭 성분이 제거되지 않는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빔포밍 후의 멀티 사용자 MIMO 채널 내에 사용자 단말마다 MIMO 서브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90730202-PAT00007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는 서브셋 행렬들(Hi')에 대해 산출된 빔포밍 웨이트(Wi')들을 이용하여, 채널 행렬(H)을 사용자 단말 단위로 블럭 대각화하기 위한 빔포밍 행렬(W')을 생성한다. 우선,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는 빔포밍 웨이트 Wi'의 구성 성분 Wi'={wj (i); j=1, 2,…}(이하, '웨이트 벡터'라 칭하기로 한다) 중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안테나(#i)에 대응되는 웨이트 벡터(wk (i))를 추출한다. 단, k는 안테나(#i)에 대응되는 구성 성분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는 추출된 웨이트 벡터(wk (i)(k=1, 2, …))를 이용하여 빔포밍 행렬(W')을 생성한다.
일 예로서, 사용자 단말A(200-1)의 안테나(#1)에 대응되는 웨이트 벡터(wk (i))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앞서 기술된 식 (9)를 참조하면, 안테나(#1)에 대한 서브셋 행렬(H1')의 첫번째 행(row)에 사용자 단말A(200-1)의 안테나(#1)에 대응하는 행렬 성분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식(13)에 따라 이 서브셋 행렬(H1')에 역행렬 연산을 하면, 다음의 식(14)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서브셋 행렬(H1')의 첫번째 행(row)의 성분은 빔포밍 웨이트(W1')의 첫번째 열(column)의 성분에 대응한다. 따라서,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는 빔포밍 웨이트(W1')의 첫번째 열(column)에 위치하는 벡터(w1 (1))을 웨이트 벡터로 추출한다.
마찬가지로,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는 사용자 단말(200)의 안테나(#i(i=2,3,4))에 대해서도, 웨이트 벡터(w1 (2), w3 (3), w3 (4))를 추출한다. 그리고,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는 추출된 웨이트 벡터(w1 (1), w1 (2), w3 (3), w3 (4))를 이용하여 다음의 식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빔포밍 행렬(W')을 생성한다.
Figure 112007090730202-PAT00008
(빔포밍 처리부(110))
빔포밍 처리부(110)는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에 의해 생성된 빔포밍 행렬(W')을 이용하여 송신 심볼 벡터(s)에 빔포밍을 실시한 후, 빔포밍 후의 송신 심볼 벡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송신한다. 그 결과, 수신 심볼 벡터(r)는 다음의 식(16)과 같이 표현되는데, 식(16)에 의하면, 빔포밍 후의 실행적인 채널 행렬(HW')은 사용자 단말마다 블럭 대각화되고, 사용자 단말간의 간섭 성분이 제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실행적인 채널 행렬(HW')에는 사용자 단말(200)이 구비하는 복수의 안테나간의 간섭 성분이 남아 있다. 예를 들면, 다음의 식 (16)에서 ρ21은 안테나(#1)에 대한 웨이트 벡터와 안테나(#2)의 채널 벡터에 따른 상호 상관 성분으로서, 안테나(#2)에 의해 수신되는 성분이다.
Figure 112007090730202-PAT00009
이러한 효과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에 의해, MIMO 서브 채널을 남기도록 서브셋 행렬이 선택된 결과로 인해 얻어진다. 이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 (200)이 가진 하나의 안테나를 향한 빔이 그 사용자 단말의 다른 안테나에 대해 널(null)을 형성하지 않고, 나아가 그 다른 안테나를 향한 빔이 상기 하나의 안테나에 대해 널(null)을 형성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그 결과, 각 사용자 단말(200)이 가진 복수의 안테나들에 대해 MIMO 채널을 형성하면서, 사용자 단 말들(200) 사이에서 서로 간섭을 하지 않도록 멀티 사용자 MIMO 채널의 채널 행렬을 블럭 대각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예]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실시 상황을 상정하여, 보다 구체적인 장치의 구성예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000)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송신 장치(100)의 구성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장치(100)는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 역행렬 연산부(104),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 빔포밍 처리부(110), SP(시리얼/패러럴) 변환부(122), 채널 부호화부(124) 및 변조 매핑부(126)로 구성된다. 그리고, 역행렬 연산부(104)와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를 합하여 빔포밍 행렬 산출부라고 한다.
먼저, 서브셋 행렬 설정부(102)는 각 사용자 단말들(200)로부터 귀환된 서브 채널 행렬(HA, HB)에 기초하여 서브 채널 행렬(Hi')을 설정한다. 이어서, 역행렬 연산부(104)는 각 서브 채널 행렬(Hi')에 역행렬 연산을 함으로써 각 안테나에 대응되는 빔포밍 웨이트(Wi')를 산출한다. 그리고,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는 이 빔포밍 웨이트(Wi')에 기초하여 빔포밍 행렬(W')을 생성하고, 이 빔포밍 행렬(W')을 빔포밍 처리부(110)에 전송한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들(200)에 대해 송신되는 데이터(데이터(uA, uB))는 SP 변환부(122)들에 의해 복수의 서브 스트림으로 분배된다. 그리고, 각 서브 스트림의 데이터는 각 채널 부호화부들(124)에 의해 채널 부호화된 후, 변조 매핑부들(126)에 의해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 매핑된다.
그리고, 빔포밍 처리부(110)는 변조 매핑부들(126)로부터 입력된 송신 심볼을 포함하는 송신 심볼 벡터(s)에 대해 빔포밍 행렬 생성부(108)에 의해 생성된 빔포밍 행렬(W')을 작용시킨다. 그리고, 빔포밍 처리부(110)는 안테나(112)를 통해 빔포밍 후의 송신 심볼 벡터를 사용자 단말(200)들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빔포밍 후 서브 채널 추정부(204), 최우 검출부(206) 및 채널 복호화부(208)로 구성된다. 빔포밍 후 서브 채널 추정부(204)는 빔포밍 후의 서브 채널 행렬을 추정한다.
최우 검출부(206)는 추정된 빔포밍 후의 서브 채널 행렬에 기초하여, 수신된 빔포밍 후의 수신 심볼 벡터에 대해 최우 검출(MLD: Maximum Likelihood Detection)법을 사용하여 신호들을 검출한다.
채널 복호화부(208)는 최우 검출부(206)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채널복호화함으로써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한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10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상기한 구성을 적용하면, 제로 포싱ㅇ빔포밍(zero-forcing beam forming) 기술을 이용하는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에 있어서, 어떤 사용자 단말에 멀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빔포밍 행렬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처리량(throughput)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MIMO 신호 검출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멀티 사용자 MIMO 시스템의 다른 일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9)

  1.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귀환된 채널 행렬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관한 채널 행렬인 서브셋 행렬(subset matrix)을 설정하는 서브셋 행렬 설정부;
    상기 설정된 서브셋 행렬을 이용하여 소정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되는 웨이트 벡터들로 구성되는 빔포밍 행렬을 산출하는 빔포밍 행렬 산출부;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산출된 빔포밍 행렬에 따라 빔포밍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빔포밍 처리부; 및
    상기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송신하는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셋 행렬 설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각 안테나에 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나의 안테나와 상기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다른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에 관한, 서브셋 행렬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행렬 산출부는
    상기 설정된 서브셋 행렬에 역행렬 연산을 함으로써 상기 각 안테나에 대응 되는 빔포밍 웨이트들을 계산하는 역행렬 연산부; 및
    상기 채널 행렬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블록 대각화하는 빔포밍 행렬을 생성하는 빔포밍 행렬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송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행렬 생성부는
    소정 안테나에 대응되는 상기 빔포밍 웨이트 중에서 상기 소정 안테나에 대응되는 벡터 성분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벡터 성분을 상기 소정 안테나에 관한 빔포밍 웨이트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귀환된 채널 행렬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관한 채널 행렬인 서브셋 행렬(subset matrix)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서브셋 행렬을 이용하여 소정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되는 웨이트 벡터들로 구성되는 빔포밍 행렬을 산출하는 단계;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산출된 빔포밍 행렬에 따라 빔포밍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빔포밍 후 송신 신호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셋 행렬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각 안테나에 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나의 안테나와 상기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다른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에 관한, 서브셋 행렬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행렬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서브셋 행렬에 역행렬 연산을 함으로써 상기 각 안테나에 대응되는 빔포밍 웨이트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행렬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블록 대각화하는 빔포밍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송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행렬 생성부는
    소정 안테나에 대응되는 상기 빔포밍 웨이트 중에서 상기 소정 안테나에 대응되는 벡터 성분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벡터 성분을 상기 소정 안테나에 관한 빔포밍 웨이트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70132645A 2007-08-16 2007-12-17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32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09,601 US8102934B2 (en) 2007-08-16 2008-04-25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12362 2007-08-16
JP2007212362A JP5133007B2 (ja) 2007-08-16 2007-08-16 送信装置、及びビームフォーミング行列生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957A true KR20090017957A (ko) 2009-02-19
KR101321374B1 KR101321374B1 (ko) 2013-10-28

Family

ID=4050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645A KR101321374B1 (ko) 2007-08-16 2007-12-17 송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33007B2 (ko)
KR (1) KR1013213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55B1 (ko) * 2009-04-10 2012-01-11 한국과학기술원 여러 사용자가 있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간섭 채널에서 간섭 정렬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07699B1 (ko) * 2012-02-13 2015-03-31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로지, 엘엘씨 안테나 어레이를 위한 장애 보상 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6107B2 (en) * 2009-09-04 2013-03-12 Hitachi Ltd. Generalize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precoder with receiver beamforming for matrix calculations in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WO2011159800A1 (en) * 2010-06-16 2011-12-22 Marvell World Trade Ltd. Alternate feedback types for downlink multiple user mimo configurations
EP3614635A1 (en) 2010-08-10 2020-02-26 Marvell World Trade Ltd. Sub-band feedback for beamforming on downlink multiple user mimo configurations
EP2501055B1 (en) * 2011-03-17 2013-09-25 Alcatel Lucent Data signal detection in Cooperative Multi-Point using channel submatrix decomposition.
US9008677B2 (en) * 2011-06-08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devices for multiple group communications
JP5761798B2 (ja) * 2011-08-26 2015-08-12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974355B1 (ko) * 2016-11-25 2019-08-2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빔포밍을 이용한 채널 희소화 장치 및 방법
CN108736940B (zh) * 2017-04-13 2022-06-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空分复用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8372B2 (ja) * 2003-12-05 2008-11-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60028989A (ko) * 2004-09-30 200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입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
KR100659539B1 (ko) * 2005-03-09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폐루프 방식의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에서 송수신 장치및 방법
US20060203794A1 (en) 2005-03-10 2006-09-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in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CN102571177B (zh) * 2005-04-11 2014-07-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基站装置、终端装置及无线通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55B1 (ko) * 2009-04-10 2012-01-11 한국과학기술원 여러 사용자가 있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간섭 채널에서 간섭 정렬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07699B1 (ko) * 2012-02-13 2015-03-31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로지, 엘엘씨 안테나 어레이를 위한 장애 보상 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374B1 (ko) 2013-10-28
JP5133007B2 (ja) 2013-01-30
JP2009049604A (ja)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374B1 (ko) 송신 장치 및 방법
US8102934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US84677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multi-user interference in multi-antenna system
JP6027172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端末、並びにそれらの動作方法
US79079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multi-user interference
KR101320915B1 (ko) 다중 입력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될 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950643B1 (ko) Mimo 통신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그 장치
CN102624496B (zh) 预编码处理方法、基站和通信系统
JP5727201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8619641B2 (en) Single-user beamforming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
US20090262719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hybrid division duplex
US100752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back channe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763447A (zh) 用于采用了多输入多输出(mimo)传输的无线通信系统中的信道状态信息反馈的系统和方法
EP2237451A1 (en) Downlink beam forming method, device and system of time division duplex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chwarz et al. Grassmannian product codebooks for limited feedback massive MIMO with two-tier precoding
KR101345387B1 (ko) 빔포밍을 이용한 무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1873190B (zh) 预编码方法和装置
US201002200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signal in multi user-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87566B1 (ko)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유니터리 프리코딩 장치 및 방법
EP2234287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ime division duplex multiple input and multiple output beamforming
Stankovic et al. Multi-user MIMO downlink beamforming over correlated MIMO channels
KR20080103395A (ko) 다중 입출력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입출력 통신시스템
EP31032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CN102571295B (zh) 用于确定预编码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KR101205996B1 (ko) 양방향 릴레이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