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220A -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220A
KR20090017220A KR1020070081807A KR20070081807A KR20090017220A KR 20090017220 A KR20090017220 A KR 20090017220A KR 1020070081807 A KR1020070081807 A KR 1020070081807A KR 20070081807 A KR20070081807 A KR 20070081807A KR 20090017220 A KR20090017220 A KR 20090017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skin
green tea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879B1 (ko
Inventor
안호규
Original Assignee
안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규 filed Critical 안호규
Priority to KR102007008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8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초, 녹차, 천일염, 흑임자 등의 천연물질을 혼합하여 발모제로 사용하거나, 해초 , 녹차, 죽염, 달걀흰자 등의 천연물질을 혼합하여 팩으로 사용하거나, 해초, 녹차, 녹두 등의 천연물질을 혼합하여 각질제거제로 사용하는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해초, 녹차, 녹말, 율무, 천연소금, 발모, 탈모, 각질제거,

Description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COMPOSITION FOR APPLYING HUMAN}
본 발명은 해초, 녹차와 같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피부 각질제거, 미백효과, 주름제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부의 노화가 빨리 일어나거나, 탈모 증상이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체의 피부는 자외선, 대기오염, 스트레스 및 과도한 미용제품의 사용으로 인해 노화 진행이 진척되어 점진적으로 피부에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인체의 머리는 환경적 요인 및 유전적 요인에 의해 모발이 잘 빠지거나 거칠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증상의 구체적인 원인으로는 내분비계의 장애, 자율신경계의 이상, 알레르기, 모근의 영양결핍, 세균 감염, 노화 등으로 추정되고 있다.
머리털이 빠지는 탈모증은 남녀 모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으로, 이와 같은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해, 현재 상당한 사회적 비용이 지출되고 있는 실정이 다. 정상적인 모발의 성장은 성장기(anagen), 퇴축기(catagen) 그리고 휴식기(telogen)의 주기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동물의 털이나 인체의 다른 부위의 모발에 비해 인간 머리카락은 상대적으로 긴 성장주기를 가진다(성장기, 2-5년; 퇴축기, 수일-수주; 휴식기, 3달).
탈모증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첫째는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baldness), 장년형 탈모증(alopecia seniles) 또는 남성 호르몬성 탈모증 (androgenic alopecia)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중년 남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전두부와 두정부에서 시작되고, 둘째로는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원형 내지는 타원형의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탈모를 보이며 청소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탈모증이 있다. 탈모증은 남성에만 있는 질병이 아니고 여성에서도 발생하며, 탈모증의 대부분은 남성형 탈모증으로서 남녀에 상관없이 발생한다. 원형 탈모증 역시 남녀 모두에게 발생하나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발생 빈도가 낮다. (M. Inaba et al., Androgenetic Alopecia, Springer-Berlag, Tokyo, Japan, 1996).
상기와 같은 피부의 노화증상과 탈모 증상의 예방을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며, 특히 탈모 증상에 대한 연구로서,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에 바르거나 복용함으로써 발모를 촉진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 난초과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157667호), 웅지와 만형자를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 특허 제0161338호), 만병초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한국특허공개 제91-106호), 소나무잎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촉진제(한국특허공개 제96-40346호), 누에 등을 이용한 발모촉진제(한국특허공개 제 90-2757호), 오갈피 뿌리, 단삼 뿌리, 적하수오 뿌리, 부채마, 및 메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 육모제(한국공개 특2000-24499),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 특허 제259037), 원잠아, 잠종, 잠태, 잠사, 및 번데기를 약 200℃에서 15분 정도 가열하여 얻은 기름을 사용하는 경우 (한국공개특허 제90-2757호), 인삼, 황기, 당귀, 하수오, 호도, 복분자, 생지황, 보골지, 송채, 단삼, 홍화, 여정실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한국공개특허 제90-13934호), 원잠아(누에나방), 잠종(누에씨), 번데기(누에), 검은깨, 다시마, 참깨, 및 호두알을 고압 고온 추출하여 사용하는 경우(한국공개특허 제90-5952호), 녹두분, 대두분, 흑미분, 들깨분, 참깨분, 호두분, 김분, 홍합분, 굴분, 멸치분, 미역분, 다시마분,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대한민국 특허 제0260673호), 사상자, 솔잎, 및 원잠아를 사용하는 경우(한국공개특허 제90-002757호), 구기자 열매, 뿌리, 가지(줄기), 잎, 순, 꽃 및 강냉이 수염을 사용하는 경우(한국공개특허 특2000-36534호) 등이 공개된 바 있으나, 상기 특허들은 그 작용 원리가 명확하지 않으며 효능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피부의 노화, 탈모 증상의 예방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피부 건강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이 다양하게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미인이 되기 위한 노력은 고대로부터 끊임없이 이어져 내려오는데, 현재의 화장품은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많은 것을 새로 개발하고 또 화장품에 첨가를 하고 있지만, 실험에 의해서가 아닌 체험에 의해서 고대로마시대 때부터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우유로 목욕을 하면 피부가 고와지고, 포도주와 레몬 주스를 적신 압박붕대를 얼굴 전체에 감싸는 미용법도 행하여 졌다는데 이러한 우유나 과일을 이용한 미용법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이다.
이러한 우유와 과일 속에 함유된 알파 하이드록시산이라는 물질에 피부의 필링 효과가 밝혀지고 있다. 상기 필링(Peeling)은 말 그대로 껍질을 벗긴다는 뜻으로, 피부에 무리한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부작용이 없이 각질을 떼어내는 것을 말하는데, 피부에 필링이 필요한 이유는 피부 세포의 기저 층에서 생겨난 세포가 약 28일이 지나면 각질층에 이르러 각화현상으로 떨어져 나가는데 이러한 현상이 원활해야 피부는 윤기가 있고 건강하게 된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 피부의 신진대사가 저하되고 죽은 각질세포가 쌓여 거칠고 칙칙한 피부가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표면을 매끈하게 하기 위해서 필링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해초, 녹차, 천연소금, 흑임자, 멘톨, 쥐눈이콩, 솔잎, 죽염, 달걀흰자, 녹두, 녹말, 당귀, 율무와 같은 천연재료를 기능성에 맞도록 혼합물 및 혼합비율을 고려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 상태의 개선, 잔주름 제거 및 탈모 예방을 할 수 있는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초 1 ~ 20중량%, 녹차 1 ~ 15중량%, 천연소금 45 ~ 95.49중량%, 흑임자 0.5 ~ 10중량%, 멘톨 1 ~ 15중량%, 쥐눈이콩 1 ~ 15중량%, 솔잎 0.01 ~ 10중량%를 혼합하여 발모제로 사용하거나,
해초 1 ~ 20중량%, 녹차 1 ~ 15중량%, 죽염 0.1 ~ 2중량%, 달걀흰자 55 ~ 89.8중량%, 녹두 1 ~ 30중량%, 녹말 7 ~ 30중량%, 당귀 0.1 ~ 2중량%를 혼합하여 팩으로 사용하거나,
해초 1 ~ 20중량%, 녹차 1 ~ 15중량%, 천연소금 45 ~ 95.49중량%, 녹두 1 ~ 30중량%, 율무 1.51 ~ 30중량%를 혼합하여 세안용 각질제거제로 사용하는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을 그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해초는 다시마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초에는 피를 맑게 하는 영양소와 그 외 다량의 미네랄인 알긴산, 요오드, 비타민 B2, 글루탄산, 칼륨, 칼슘이 포함되는 것으로, 1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피부 보습 및 피부 보호기능이 떨어지고,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탈모 예방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해초는 기능성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 ~ 2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차는 톡 쏘는 성분인 테르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인체에 흡수되게 되면 혈관벽을 자극해 피를 잘 돌게 하고, 기생충과 병균 사멸기능과 모근을 튼튼하게 하여 발모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생체조직의 산화환원과정의 촉진 작용, 수렴성 염증 제거, 피 멈춤 작용 특성이 있다.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 중 항산화성과 폴리페놀성 화합물로서 지질 과산화에 의한 생체의 순환기 장애와 발암, 노화억제 및 생체조절 물질인 카테킨을 포함하고 있고, 그 외에 알카로이드, 유기산과 지방산, 비타민 C, 탄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녹차 분말의 성분인 타닌산과 세정력이 강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비듬이나 간지러움을 없애주고 탈모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녹차를 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피부 미백효과 등 피부 개선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1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두피 개선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녹차는 기능성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 ~ 15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해초와 녹차 외에 다른 성분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탈모제에 첨가하는 조성물의 경우 천연소금, 흑임자, 멘톨, 쥐눈이콩, 솔잎을 더 포함하고, 주름제거용 팩의 경우 죽염, 달걀흰 자, 녹두, 녹말, 당귀를 더 포함한다.
이외에도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안용 각질제거제는 상기 팩의 구성성분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해초, 녹차 외에 녹두, 율무, 천연소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천연소금은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해줄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을 비롯하여 몸을 단단하고 부드럽게 풀어주는가 하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체내의 독소를 밖으로 끌어내 소변과 땀으로 나오게 한다. 특히, 여성의 생리 기능, 피부호흡을 바르게 해줌으로써, 비누, 샴푸, 린스, 로션 이상의 기능을 가진다. 불필요해져 피부에서 내보내야만 하는 노폐물 단백질이나 쓸데없는 폐지를 녹이는 특징을 갖는다.
천연소금의 종류로는 해염과, 암염이 있으며, 상기 해염은 바닷물에 포함된 소금으로써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들여 햇볕과 풍력으로 증발, 농축시켜 만들고, 암염은 소금 덩어리로 이루어져 오염이 없고 미네랄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칼륨, 마그네슘, 철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신체에 불필요한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천연소금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45 ~ 95.49중량%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4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각질제거 효과, 모공청소, 두피상태개선 효과가 떨어지고, 95.49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각질제거제, 탈모제의 제품가치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천연소금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45 ~ 95.49중량%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임자는 검은깨를 칭하는 것으로,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고 비타민E는 말초혈관의 혈류를 촉진하며, 단백질은 머리카락의 주성분인 케라딘(Keratin)의 원료가 된다. 또한, 흑임자에 함유된 트립토판은 피부를 깨끗하게 해주고 모발의 영양 공급원으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항산화작용을 하는 토코페놀과 정력에 좋은 필수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있으며, M-100이라는 암 억제 작용이 뛰어난 성분이 있어 피부암, 위장암, 폐암 억제능력이 높다.
상기 흑임자를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0.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모발 영양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모발 영양상태가 호전되기 어렵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두피 개선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흑임자는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0.5 ~ 1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멘톨은 박하뇌(薄荷腦)라고도 하는 것으로, 화학식 C10H20O. 분자량 156.27, 녹는점 41.6℃, 비중 0.890(15℃)이다. 멘톨(menthol)은 독특한 상쾌감이 있는 냄새가 나는 무색의 침상결정이다.
상기 멘톨을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비듬균 사멸효과가 떨어지고, 1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른 성분 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모제의 기능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멘톨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 ~ 15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쥐눈이콩은 서목태를 칭하는 것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어 약용으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말기 암환자들에게 영양의 공급 및 종양의 억제를 위해 다른 약물과 함께 배합하여 복용하면 쥐눈이콩의 활혈 작용으로 항암약물의 투과성을 높이고, 그 외에 암예방과 재발방지, 비만, 당뇨, 고지혈증, 어린이의 성장, 신장질환, 산후 풍 등에 많이 사용된다.
쥐눈이콩은 단백질 40%, 탄수화물 35%(25%는 식이성 섬유, 10%는 올리고당), 지질 20%, 비타민 5%, 칼슘, 레시틴, 이소플라본으로 구성되어, 특히, 탈모의 원인인 5-alpha-reductase를 저해시키고, 모발의 성장에 꼭 필요한 영양분인 Argin-ine(아르기닌)이란 성분은 모발성장을 촉진해주는 Nitric Oxide의 대사 전구물질로 항안드로겐 복용으로 오는 성기능 부작용을 막아주며 회복시켜주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쥐눈이콩을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모발성장 효과가 떨어지고, 1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두피 개선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쥐눈이콩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 ~ 15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잎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만주,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적송(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의 잎으로서, 솔잎 외에 송진, 꽃가루, 솔방 울, 껍질 등은 구황식품으로 널리 식용되어 왔고, 현재도 한방과 식품분야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솔잎은 생체조직의 산화 환원 촉진작용 및 지혈작용 등이 있으며, 솔잎에는 엽록소, 비타민 A, 비타민 K가 함유되어 있고 그 외에도 단백질, 지방, 인, 철, 효소, 정유(식물성 휘발류, 테르펜 계열), 미네랄,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으며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잎은 톡 쏘는 성분인 테르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인체에 흡수되게 되면 혈관벽을 자극해 피를 잘 돌게 하고, 기생충과 병균 사멸기능과 모근을 튼튼하게 하여 발모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생체조직의 산화환원과정의 촉진 작용, 수렴성 염증 제거, 피 멈춤 작용 특성이 있다.
이러한 솔잎은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1 ~ 10중량%로 사용되며, 0.0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비듬균 등의 사멸기능이 떨어지고, 모근을 튼튼하게 할 수 없어 탈모제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탈모제의 기능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상기 솔잎은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1 ~ 1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죽염은 천일염을 대나무 속에 넣고 진흙으로 봉한 후 소나무 장작불로 1,000 ~ 1,300℃로 가열하여 태우기를 여덟 번 반복한 후, 마지막으로 송진가루를 장작 위에 뿌려 1,300 ~ 1,700℃로 가열하여 용용되어 식으면 죽염의 결정이 된다. 죽염의 주성분도 식염과 마찬가지로 Na와 Cl이지만 제조과정에서 대나무 성분 등 많은 다른 성분을 포함하게 되어, 어두운 회색을 띄고 유황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죽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1 ~ 2중량%로 사용되는 것으로,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주름제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2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팩 제품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죽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1 ~ 2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달걀흰자는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55 ~ 89.8중량%로 사용되는 것으로, 55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팩의 유효성분을 피부에 전달하는 공급기능이 떨어지고, 89.8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흡착력이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되어 제품의 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달걀흰자는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55 ~ 89.8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두는 당질이 약 55%를 차지하며 헤미셀룰로오스가 약 3.5% 포함되어 있고, 펜토산(pentosan), 덱스트린, 팥과는 달리 점성물질인 갈락탄(galactan)을 함유하고 있다. 단백질은 약 21%를 차지하며 메티오닌(methionine), 트립토판, 시스틴(cystine)과 같은 아미노산은 적으나 류신(leucine), 라이신, 발린 같은 아미노산의 함량이 풍부하여 영양가가 높은 두류의 일종으로, 미백효과 해독작용 살균 및 멸균의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녹두를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각질제거 효과 및 탈모제에서의 비듬균 등의 멸균효과가 떨어져 탈모 방지 기능이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상태 개선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녹두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 3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말은 철분, 칼륨, 마그네슘, 비타민 B, C,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을 공급하여 긴장을 억제하고 모공을 수축시키고 탄력을 주는 성분으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7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피부탄력 효과가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팩의 흡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녹말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7 ~ 3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귀는 승검초의 부리를 약재로 이르는 말로서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라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굵은 뿌리에서 원줄기가 나오고 높이 80 ~ 90cm이며 잎자루와 더불어 검은 자줏빛이 돌고 털이 없다. 그 구분은 산형과(傘形科)에 속하는 2 ~ 3년생 초본식물로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일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A)로 분류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참당귀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일본은 일당귀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상기 당귀는 당귀의 효능은 얼굴 피부에 보습작용을 하여 기미나 잡티 등을 제거하고 피부의 탄력을 좋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피부의 보습작용과 같은 피부개선효과가 떨어지고, 2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그 효과의 상승이 미진하여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당귀는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0.1 ~ 2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율무(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Roman] Stapf)는 벼과(Gramineae)에 속하는 중국 원산으로, 국내에서는 종자를 식용으로 사용하며 건강 식품으로 알려진 율무차로 사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의(薏苡仁)이라고 부르며 이뇨, 건위, 진통 및 소염제로, 또는 폐결핵 등에 민간 약으로 쓰여왔다.
율무의 일반적인 성분으로는 씨와 뿌리에 단백질, 지방, 당, 유기산, 정유, 비타민, 불포화지방산이 들어있고 뿌리에는 코익솔(coixol)이 그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율무를 1.5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항산화작용이 떨어져 각질제거와 피부노화 예방 기능성이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각질제거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율무는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51 ~ 3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은 천연물질만을 사용하여 탈모제, 팩, 세안용 각질제거제를 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 제품에 비해 사용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모발, 두피, 피부상태를 개선하기에 적합한 성분을 취하여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두피, 모발상태를 좋게 하여 탈모 예방을 갖고, 주름제거 및 각질제거에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기술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 예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탈모방지용 기능성 조성물
실시 예 1
각각 건조한 해초 300g, 녹차 300g, 천연소금 10㎏, 흑임자 200g, 멘톨 300g, 쥐눈이콩 300g, 솔잎 10g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50mesh로 분쇄한다.
실시 예 2
각각 건조한 해초 300g, 녹차 250g, 천연소금 10㎏, 흑임자 200g, 멘톨 300g, 쥐눈이콩 300g, 솔잎 60g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50mesh로 분쇄한다.
상기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에 제시되어 있는 탈모용 기능성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 모발세척시 가루비누처럼 사용하나,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고삼액을 추가하 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의 실시 예 3과 같다.
실시 예 3
실시 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탈모용 기능성 조성물 10g과 고삼액 100㎖를 혼합하여 발모제를 제조한다.
상기 고삼액의 제조는 고삼을 고온의 증류탕에 넣어 쪄서 만든 것으로, 상기 고삼은 마트린(matrine)이라고 하는 알카로이드가 약 2% 함유되어 있어 대단히 쓰며, 그외 아로마트린과 플라보노이드, 이소안하이드, 로이카린을 함유하고 있으며, 조직배양중 L-마키아닌과 소량의 프테로칼핀의 생성을 인정하고, 잎에는 루테오린-7-구루코시드와 종자에는 지방유 및 휘발성 알카로이드, 시스타신을 소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한약제로 외과를 주치하는 약용이며 습진 또는 신경성 피부질환 멸균 작용의 지유제로 많이 사용되며, 고미건위, 해열, 이뇨의 효과가 있으므로 민간약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팩용 기능성 조성물
실시 예 4
각각 건조한 해초 300g, 녹차 200g, 죽염 5g, 녹두 300g, 녹말 300g, 당귀 5g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50mesh로 분쇄한 것과 달걀흰자 1㎏을 혼합하여 액상화한 것을 팩으로 사용한다.
실시 예 5
각각 건조한 해초 290g, 녹차 200g, 죽염 10g, 녹두 300g, 녹말 300g, 당귀 10g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50mesh로 분쇄한 것과 달걀흰자 1㎏을 혼합하여 액상화한 것을 팩으로 사용한다.
각질제거용 기능성 조성물
실시 예 6
각각 건조한 해초 250g, 녹차 200g, 천연소금 10g, 녹두 250g, 율무 300g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50mesh로 분쇄한 것을 피부세척시 가루비누처럼 사용한다.
실시 예 7
각각 건조한 해초 300g, 녹차 200g, 천연소금 5g, 녹두 200g, 율무 295g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50mesh로 분쇄한 것을 피부세척시 가루비누처럼 사용한다.

Claims (3)

  1. 해초 1 ~ 20중량%, 녹차 1 ~ 15중량%, 천연소금 45 ~ 95.49중량%, 흑임자 0.5 ~ 10중량%, 멘톨 1 ~ 15중량%, 쥐눈이콩 1 ~ 15중량%, 솔잎 0.01 ~ 1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2. 해초 1 ~ 20중량%, 녹차 1 ~ 15중량%, 죽염 0.1 ~ 2중량%, 달걀흰자 55 ~ 89.8중량%, 녹두 1 ~ 30중량%, 녹말 7 ~ 30중량%, 당귀 0.1 ~ 2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3. 해초 1 ~ 20중량%, 녹차 1 ~ 15중량%, 천연소금 45 ~ 95.49중량%, 녹두 1 ~ 30중량%, 율무 1.51 ~ 3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KR1020070081807A 2007-08-14 2007-08-14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KR100886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07A KR100886879B1 (ko) 2007-08-14 2007-08-14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07A KR100886879B1 (ko) 2007-08-14 2007-08-14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20A true KR20090017220A (ko) 2009-02-18
KR100886879B1 KR100886879B1 (ko) 2009-03-04

Family

ID=4068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807A KR100886879B1 (ko) 2007-08-14 2007-08-14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62B1 (ko) * 2011-06-01 2013-08-08 안호규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250B1 (ko) 2012-06-08 2014-01-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죽염 및 파파인 효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924A (ko) * 2002-06-15 2003-12-24 성충유 황토 분말.느릅 나무껍질 분말(한약재 분말.허브분말)을이용한 황토 맛사지 용 파우더 조성물 제조 방법
KR20040039042A (ko) * 2002-10-30 2004-05-10 진경희 여드름치료위한천연식물과한방재로얼굴팩과먹는약,화장품및세안용액을구성한조합물
KR100577982B1 (ko) * 2003-09-22 2006-05-11 황교익 미백을 위한 팩 조성물
KR100668878B1 (ko) * 2005-07-29 2007-01-12 강민용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62B1 (ko) * 2011-06-01 2013-08-08 안호규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879B1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23682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KR10096379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
KR101294762B1 (ko)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761660B1 (ko)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CN107157909A (zh) 一种防脱发洗发水
KR20170050222A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CN108078834A (zh) 一种具有抑制黑色素和舒缓皮肤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4825347B (zh) 一种医用生物美白袪斑敷料及其制备方法
KR100873033B1 (ko)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090099110A (ko) 나노 은이 함유된 기능성 영양 크림
KR100780180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019094B1 (ko) 기능성 미백 화장수의 제조방법
CN109381419A (zh) 包含银木犀提取物及钝齿铁线莲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CN103948541A (zh) 一种黑加仑黑发洗发液的制备方法
KR101223683B1 (ko) 동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
KR100886879B1 (ko)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KR20130075207A (ko) 탈모 및 새치 방지용 천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154606B2 (ja) 韓薬材混合エキスを含有する抗酸化用又は美白用の化粧料組成物
KR20110116388A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