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219A -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219A
KR20090017219A KR1020070081806A KR20070081806A KR20090017219A KR 20090017219 A KR20090017219 A KR 20090017219A KR 1020070081806 A KR1020070081806 A KR 1020070081806A KR 20070081806 A KR20070081806 A KR 20070081806A KR 20090017219 A KR20090017219 A KR 20090017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medium
area
til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서정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219A/ko
Publication of KR2009001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7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using the near-field effec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과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빔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 또는 회절되는 신호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영역에 따라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신호를 다분할 수광부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70081806
쉬프트, 틸트, 회절격자

Description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Mehtod for Recording/Reproducing of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과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다양한 기록매체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매체로는 CD(Compact Disc), DVD(Digial Versatile Disc)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CD, DVD보다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킨 차세대 기록매체로 BD(Blu-ray Disc), 근접장 기록매체(Near Field Recording: NFR)등이 있다. 기록매체의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짧은 파장의 광원을 사용하고, 높은 개구수를 갖는 광학계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기록매체의 용량이 증대될수록 보다 정밀한 제어 시스템이 요구되어 이를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와 기록/재생 장치간의 정확한 위치 제어를 하여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빔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 또는 회절되는 신호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영역에 따라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신호를 다분할 수광부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절격자는 상기 회절격자에 입사하는 빔을 3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빔을 3 분할하는 것은, 상기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빔을 3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분할 수광부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빔을 수신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분할 수광부는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 중의 한 방향이 다른 한 방향보다 더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분할 수광부의 분할영역은,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분할 수광부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은 각각 상하(上下)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의 상하 영역의 차를 이용하여 제 1 방향으로의 틸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과 제 3 영역의 차를 이용하여 제 2 방향으로의 틸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해진 틸트 신호는 틸트 성분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으로 구성된 수광부의 각 영역의 상하 신호의 차이의 합을 이용하여, 쉬프트 신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 트랙의 접선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방향은 기록매체 트랙의 반지름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은 근접장(Near Field)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제 1 방향 틸트 제어 신호, 제 2 방향 틸트 제어 신호, 쉬프트 제어 신호, 갭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부터 반사 또는 회절된 빔을 신호의 영역에 따라서 분할하는 회절격자와; 상기 분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다분할 수광부와; 상기 다분할 수광부에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적용 및 상용화가 쉬우며, 서보 불안정을 해결하여 기록/재생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SNR)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디스크 특히 "근접장 기록매체"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재생 장치는 픽업부(100), 신호 생성부(200), 제어부(300), 서보 구동부(400), 디코더(500), 엔코더(600), ATAPI(700)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호스트와 같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픽업부(100)는 광을 기록매체에 조사하고, 기록매체에서 반사 또는 회절된 광을 집광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픽업부(100)의 자세한 구성은 추후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부(100)는 기록매체에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하고, 기록매체로부터 광을 집광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픽업부(100)의 위치제어는 기록매체의 정확한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서 필요하다.
신호 생성부(200)는 픽업부(1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와 제어에 필요한 갭 에러 신호, 트랙에러 신호등을 생성한다. RF 신호 및 트랙 에러 신호는 기록매체와 기록/재생 장치의 픽업부간 트랙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갭 에러 신호는 기록매체와 기록/재생 장치간의 수직거리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제어부(300)는 신호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 또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 예로, 신호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갭 에러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수직거리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신호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트랙 에러 신호 또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픽업부의 쉬프트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쉬프트'란 기록매체의 재생하고자 하는 트랙에서 기록장치의 픽업부의 렌즈부가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탈한 것을 의미한다. '쉬프트'가 발생하면, 기록매체의 트랙에 기록장치의 픽업부가 정확하게 조준되지 않아, 정확한 기록 및/또는 재생이 어렵다.
또한, 기록매체와 기록장치의 픽업부간의 '틸트'가 발생할 수 있다. 틸트는 기록매체와 기록장치의 픽업부 간에 기울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 록장치의 픽업부가 기울어짐 때문에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기록매체의 안착면의 공차, 삽입시의 기울어짐 때문에 틸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틸트는 기록매체 트랙의 반지름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기록매체 트랙의 접선 방향(tangential direction)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편의상,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둘 수 있다. 또한, 편의상,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둘 수 있다. 이후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위와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으나, 기록매체의 종류 및 기록/재생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을 다른 의미로 설정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제어부(300)는 틸트 신호를 수신하여, 틸트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예로, 틸트를 제어하는 신호가 서보 구동부를 통해 픽업부에 전달되면, 픽업부의 액츄에이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서보 구동부(400)을 포함한다. 서보 구동부(400)는 갭 서보 구동부, 트랙킹 서보 구동부, 슬레드 서보 구동부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틸트를 제어하기 위한 틸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픽업부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갭 서보 구동부는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수직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이다.트랙킹 서보 구동부는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쉬프트를 보상하기 위한 구동부이다. 또한, 슬레드 서보 구동부는 픽업부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이다. 트랙킹 서보 구동부는 트랙 단위 혹은 몇개의 트랙단위로 픽업부를 이 동시키는 데 반하여, 슬레드 구동부는 보다 큰 범위에서 픽업부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동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500)는 신호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암호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디코더(600)는 신호생성부에 복호화된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록재생 장치에는 PC와 같은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록재생 명령을 제어부(300)으로 전송하고, 디코더(600)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기록할 데이터를 엔코더(5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호스트의 기록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엔코더(500), 디코더(600) 및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통상 ATAPI(Advanced Technology Attached Packet Interface, 700)와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ATAPI(700)는 기록재생 장치와 호스트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 제안된 규격이며, 디코딩된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인 패킷 형태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매체에(900) 기록을 하거나, 기록매체로부터 반사 또는 회절되어져 나오는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근접장 기록매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는 이 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의 광학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광학계는 픽업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광학계 내부의 광원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그 외에는 신호의 흐름을 기준으로 하여 작동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100)는 광원(110), 제 1 빔 분리기(120), 제 2 빔 분리기(130), 렌즈부(140), 제 1 수광부(150), 제 2 수광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는 콜리메이터 렌즈(C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CL)는 입사하는 광을 평행광으로 바꾸어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은 제 1 분리합성부(120)로 입사하여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통과되어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된다.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는 상기 선편광된 광에서 수직 편광 성분은 통과시키고 수평 편광 성분은 반사시킨다. 즉, 상기 제 1 분리합성부(120)로 비편광 빔 스플리터(NBS: Non-polarized Beam Splitte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로는 편광 빔 스플리터(PBS: Polarized Beam Splitter)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분리합성부(120)와 제 2 분리합성부(130)의 역할을 바꿀 수도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제 2 분리합성부(130)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는 편광 변환면(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2 분리합성부(130)를 통과한 광은 렌즈부(140)로 입사한다. 여기서 렌즈부(140)의 대물 렌즈로 입사한 광은 근접장 형성 렌즈를 통과하면서 소산파를 형성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에 입사한 광은 렌즈의 표면과 기록매체(900)의 표면에서 전반사한다. 그리고 임계각을 넘지 않는 각도로 근접장 형성 렌즈에 입사한 광은 기록매체(900)의 기록층에 반사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소산파는 기록매체의 기록층에 도달하여 기록/재생을 수행한다.
상기 기록매체(900)로부터 반사된 광은 다시 렌즈부(140)를 통하여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하는 경로상에 편광 변환면(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편광 변환면은 기록매체(900)로 입사하는 광과 반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변환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에 의해 수평 편광 성분만 통과되어 입사된 광은 기록매체(900)에 반사되어 다시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될 때 수직 편광 성분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직 편광 성분의 반사광은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에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광은 제 2 수광부(160)로 입사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되는 반사광의 일부는 편광 방향의 왜곡에 의하여 수평 편광 성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통과된 반사광은 제 1 분리합성부(120)로 입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리합성부(120)는 입사된 광의 일부를 통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킨다. 상기 제 1 분리합성부(120)에서 반사된 광은 제 1 수광부(150)로 입사하게 된다.
또한, 제 1 수광부(150)와 제 2 수광부(160)는 상기 분리합성부를 통과한 신호를 수신하여, 그 광량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수광부(150)와 제 2 수광부(160)는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제 1 수광부(150) 혹은 제 2 수광부(16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수광부(150, 160)는 다분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수광부를 구성하는 수광소자의 개수 및 분할영역등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근접장 기록 재생 장치에서 렌즈부(140)의 개구수(Numeric Aperture, NA)는 1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140)를 통하여 조사되고 반사되는 과정에서 광의 편광 방향에 왜곡이 생긴다.
또한, 렌즈부(140)는 기록매체에 광을 조사시키고 기록매체(900)로부터 반사 또는 회절된 광을 수신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기록/재생을 위해서는 기록매체(900)와 렌즈부(140)와의 위치제어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근접장 기록/재생 장치에서 렌즈부(140)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부(1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렌즈부(140)는 대물렌즈(142)와 근접장 형성 렌즈(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장 형성 렌즈(144)를 통해서 렌즈부(140)의 개구수를 높이고 이를 통해서 소산파(Evernescent Wave)를 형성한다. 근접장 형성 렌즈(144)의 일 예로 고체 함침 렌즈(Solid Immersion Lens: SIL)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체 함침 렌즈(SIL)로 반구형 혹은 초반구형의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근접장 형성 렌즈(144)를 사용하지 않고, 근접장 형성 거울(Solid Immersion Mirror)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근접장 형성 거울(SIM)이 사용되는 경우, 대물렌즈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렌즈부(140)와 기록매체(900) 사이의 거리를 갭(gap)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의 정의 및 명칭은 기록매체 및 기록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렌즈부(140)를 포함하는 픽업부의 광학계는 기록매체(900)와 매우 근접하여 위치한다. 일 예로, 근접장 광학계의 경우 그 거리는 1/4(즉, λ/4) 이하일 수 있다. 한 예로, 405nm 정도의 파장을 사용할 경우에 그 근접 거리는 100nm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근접장 광학계는 λ/4 이하의 거리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한다. 렌즈부(140)와 기록매체(900)를 광 파장의 약 1/4(즉, λ/4) 이하로 근접시키면, 렌즈부(140) 내부에서 생성된 소산파는 성질을 유지하며 기록/재생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부(140)와 기록매체(900)의 간격이 λ/4 이상으로 멀어지면, 광의 파장은 소산파의 성질을 잃어버린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렌즈부(140)는 기록매체(900)와의 간격이 대략 λ/4을 넘지 않도록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λ/4가 근접장의 한계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광학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설명에 필요한 최소한의 광학계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광학적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도 1 내지 도 3에서 이에 대한 설명들을 참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광원(110), 콜리메이터 렌즈(CL), 제 1 분리합성부(120), 제 2 분리합성부(130), 렌즈부(140), 제 1 수광부(150), 회절격자(170), 1/4 파장판(Quater Wave Plate: QWP), 빔 확장기(Beam Expander), 직각 프리즘(Right Angle Prism), 센서 렌즈(Sensor Lens)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도 2에 도시된 제 2 수광부(160)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10), 콜리메이터 렌즈(CL), 제 1 분리합성부(120), 제 2 분리합성부(130), 렌즈부(140), 제 1 수광부(150), 콜리메이터 렌즈(CL)등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절격자(170)는 빔은 나누는 역할을 한다. 즉, 입사되는 빔을 나눌 때에, 회절격자(170)는 입사되는 빔의 형태를 영역에 따라 분할된 형태로 나누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예로, 입사되는 빔을 3분할 혹은 4분할로 나누어 입사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추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통한 설명에는 편의상 회절격자가 빔을 3분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광부(150)는 다분할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 1 수광부는 각각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1 수광부의 각 영역은 상하(上下)로 이루어진 분할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 1 수광부는 총 6개의 분할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제 1 수광부(150)의 분할영역의 개수 및 그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회절격자에서 빔이 분리되는 경우와 함께 여러 경우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의 실시예에서, 편의상 방향을 설정하였다. 특히,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수광부(150)의 방향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수광부의 각 영역은 제 2 방향, 즉, 기록매체 트랙의 접선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영역의 상하 영역은 제 1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전술한 대로 기록매체 트랙의 반지름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이다. 또한, 기록매체의 방향과 수광부의 방향은, 사용되는 회절격자 및 다른 광학계의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1/4 파장판(QWP)은 편광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예로, 1/4 파장판은 입사하는 빔의 편광 방향이 직선 편광일 때, 원형 편광으로 바꿀 수 있으며, 혹은 반대로 바꿀 수도 있다. 빔 확장기(Beam Expander)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빔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직각 프리즘(Right Angle Prism)은 입사되는 빔의 경로를 일정한 각도로 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예로, 90°휘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직각 프리즘대신, 직각 거울(Right Angle Mirror)이 사용될 수도 있다. 센서 렌즈(Sensor Lens: SL)는 분리합성부(120, 130)로부터 수신된 빔을 집속시켜서 수광부에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센서렌즈를 통해서 집광된 광이 회절격자(170)를 거쳐서 제 1 수광부(150)에 입사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광학구성요소들은 도 1 또는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절격자(170)와 제 1 수광부(150)에 수신되는 신호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제 1 수광부(150)의 배치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제 1 수광부(150)의 배치방향 및 회절격자가 빔을 분리하는 형태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회절격자는 도 4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입사된 빔을 3분할한다. 회절 격자에 의해서 3분할된 빔은 제 1 수광부(150)의 제 1 영역(Ⅰ), 제 2 영역(Ⅱ) 및 제 3 영역(Ⅲ)에 입사한다. 도 5에 보면, 각각의 수광부의 각영역은 각 빔이 분할되는 것과 같은 정렬형태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즉, 수광부의 각 영역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대해서 정렬되어 있다.
즉, 회절격자(170)를 통해서 빔이 3분할되어 입사하는 경우, 수광부도 이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입사하는 빔과 같이, 2개의 분할영역이 3개씩 배치되어 있다. 만약, 입사하는 빔이 4개로 분할되어 입사하는 경우, 분할영역은 이에 맞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절격자(170)에 일정한 형태를 갖는 빔이 입사될 때에, 회절격자에 의해서 그 모양이 더 변형되거나 간섭 무늬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모양이 영역별로 나뉘어져서 수광부에 입사하게 된다. 또는 회절격자의 설계에 따라서, 빔의 특정한 영역을 확장할 수도 있다. 또는, 수광부의 설계된 형태에 따라서, 회절격자가 입사하는 빔을 특정한 형태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절격자에 입사하는 빔이 원형의 도넛 모양을 갖고 있으며, 회절격자(170)를 통과한 빔은 영역별로 나뉘어져서 들어가게 된다. 즉, 입사된 빔이 3분할된 형태로 제 1 수광부(150)에 입사하게 된다. 각 분할된 빔은 제 1 수광부(150)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에 입사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나타낸다. 다만, 관찰하는 방향이 회전되어 있을 뿐이다. 즉, 가로 방향이 제 1 방향을 나타내며, 세로 방향이 제 2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수광부(150)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이 제 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 수광부의 상하 영역은 제 1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 1 수광부(150)의 각 영역의 분할영역을 기호로 나타내었다. 즉, 수광부(150)의 제 1 영역의 분할영역을 상하영역의 순서대로 A, B라 명명하였다. 제 2 영역의 분할영역을 상하영역의 순서대로 C, D라 명명하였다. 또한, 제 3 영역의 분할영역을 상하영역의 순서대로 E, F라 명명하였다. 또한, 각 분할영역을 구분하는 기호, A, B, C, D, E, F는 각 영역에 수신된 광량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6a, 6b, 6c는 기록매체와 픽업부가 틸트 및/또는 쉬프트가 된 경우에 제 1 수광부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형태를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부 및 액츄에이터의 위치가 기록매체에 대해서 틸트 및/또는 쉬프트가 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도 6a, 6b, 6c에서는, 틸트 중에서 제 1 방향, 즉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으로 틸트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6a는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쉬프트가 없이 틸트만 발생한 경우의 한 예를 도시하였다. 도 6a를 살펴보면,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에 분할된 원형 모양의 띠가 상하영역의 이동없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쉬프트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제 2 영역의 C, D를 살펴보면 밝기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경우,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근접장 광학계의 경우 D 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Ⅰ)과 제 3 영역(Ⅲ) 간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방향의 틸트를 보정하기 위해, 제 2 영역의 신호를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제 1 방향 방향의 틸트=C-D
즉, 3분할되어 입사하는 빔 중에서 제 2 영역의 상하영역의 차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틸트 성분을 검출해내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픽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b의 경우, 기록매체(900)와 픽업부(100) 간에 쉬프트와 틸트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이다. 즉, 제 1 수광부(150)의 각 영역에 신호가 상단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음을 통해서 쉬프트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의 C,D를 살펴보면, C, D 영역간에 밝기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쉬프트가 발생해도 C, D 영역의 차이는 쉬프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며, 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900)와 픽업부(100)간의 제 1 방향으로의 틸트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쉬프트가 발생한 경우라 하여도, 쉬프트 성분과는 무관하게 제 2 영역의 상하영역 차를 이용하여 반지름 방향의 틸트를 구할 수 있다.
도 6c도, 기록매체(900)와 픽업부(100)간에 쉬프트와 틸트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의 한 예이다. 다만, 도 6b와의 차이는 기록매체(900)와 픽업부(100)간의 쉬프 트가 반대방향으로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다. 즉, 도 6b의 경우, 도면에서, 상단 방향으로 쉬프트가 발생하였으나, 도 6c의 경우, 도면에서 하단 방향으로 쉬프트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도 6c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수광부(150)에 수신된 빔 중 제 2 영역의 영역(C, D)간 차이를 이용하여 반지름 방향, 즉 제 1 방향의 틸트를 구할 수 있다.
또한, 도 6a, 6b, 6c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쉬프트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쉬프트가 발생한 경우, 쉬프트 정도는 다음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의 상(上)영역과 하(下)영역의 차이와 관련이 있다. 즉,
쉬프트 신호=(A+C+E)-(B+D+F)
라 둘 수 있다. 다만, 틸트와 쉬프트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상기 구한 쉬프트 신호에 틸트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틸트가 검출된 경우라면, 틸트 성분을 쉬프트 성분에서 보정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재생 장치의 제어부에서 쉬프트 신호에 틸트 정도를 보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a, 7b, 7c는 기록매체(900)와 픽업부(100)간의 틸트 및/또는 쉬프트가 발생한 경우이다. 여기서 틸트는 제 2 방향으로, 즉 기록매체 트랙의 접선(tangential) 방향의 틸트를 나타낸다.
도 7a는 쉬프트 없이 제 2 방향의 틸트만 발생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빔의 각 분할된 영역이 쉬프트없이 각 영역(Ⅰ, Ⅱ, Ⅲ)에 수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a의 실시예에서 제 1 방향의 틸트를 구하는데 사용된, 제 2 영역(Ⅱ)의 상하영역(C, D)에 수신된 광량의 차이가 없다. 이를 통해서 반지름 방향의 틸트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수광부(150)의 제 1 영역(Ⅰ)과 제 3 영역(Ⅲ)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기록매체(900)와 픽업부(100)간의 기울어짐이 발생하였는데, 기록매체 트랙의 접선 방향, 제 2 방향으로 틸트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때 제 2 방향의 틸트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서 구해질 수 있다.
제 2 방향의 틸트=(제 1 영역)-(제 3 영역)=(A+B)-(E+F)
도 7b는 쉬프트와 제 2 방향의 틸트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 영역(Ⅰ, Ⅱ, Ⅲ)에 수신된 빔을 구해보면 위쪽으로 이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제 1 수광부(150)에서 보면, 상단으로 치우쳐서 빔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록매체(900)와 픽업부(100)간의 위치의 입장에서 보면, 픽업부가 기록매체의 트랙을 약간 벗어나서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예이다. 도 7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방향의 틸트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경우, 제 1 영역(Ⅰ)과 제 3 영역(Ⅲ)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2 방향의 틸트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의 틸트는, 전술한대로,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 또는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을 의미한다.
도 7c는 쉬프트와 접선 방향의 틸트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만,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그 쉬프트 방향이 반대인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제 1 영역과 제 3 영역의 차이를 이용하여 기록매체(900)와 픽업부(100)간의 제 2 방향의 틸트를 구할 수 있음은 도 7b에 도시된 실 시예와 동일하다.
도 7a, 7b, 7c에서도 도 6a, 6b, 6c와 마찬가지로 기록매체의 쉬프트를 각 영역의 상하 영역의 차이 신호의 합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 접선 방향의 틸트와 쉬프트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상하 영역의 차이 신호에 틸트 정도를 보정하여 제어신호를 구할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에는 제 1 방향으로 틸트와 제 2 방향으로 틸트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도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 1 방향으로의 틸트, 제 2 방향으로의 틸트, 쉬프트를 구할 수 있으며, 이들 신호를 이용하여 픽업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수광부(150)를 이용하여, 기록매체(900)와 픽업부(100)간의 수직거리,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900)와 렌즈부(140)간의 수직거리인 갭을 나타내는 갭 신호도 구할 수 있다. 즉, 제 1 수광부(150)에 수신된 신호의 합을 이용하여 갭 에러 신호도 구할 수 있다. 갭 에러 신호는 도 5 내지 도 7c에 도시된 기호들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갭 에러 신호=A+B+C+D+E+F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절격자와 회절격자에 의해 분할된 빔을 수신할 수 있도록 분할된 빔에 따라서 정렬된 수광부의 다분할영역에 의해서 갭 에러 신호, 제 1 방향의 틸트 신호, 제 2 방향의 틸트 신호, 쉬프트 신호를 구할 수 있으며, 이들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방향의 틸트, 제 2 방향의 틸트와 쉬프트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각각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과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먼저, 기록매체에 빔을 입사한다(s10). 상기 빔은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빔을 분할한다(s20). 이때, 분할하는 빔의 형태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한 예로,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빔을 3분할 할 수 있다. 빔을 분할한 후, 분할된 빔을 수신한다(s30). 분할된 빔을 수신하는 것은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영역을 갖는 수광부를 이용할 수 있다. 만약, 빔이 3분할된 경우라면, 수광부는 3개 혹은 6개의 분할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광부는 여러개의 하부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예로,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분할된 빔을 이용하여 제 1 방향의 틸트를 구할 수 있다(s40). 여기서 제 1 방향이란 기록매체 트랙의 반지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방향의 틸트는 제 2 방향에 해당하는 영역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술한 도 5 내지 도 6c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제 2 영역의 상하영역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방향의 틸트 성분은 다른 성분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제 1 방향의 틸트만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빔을 이용하여 제 2 방향의 틸트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은 기록매체 트랙의 접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 2 방향의 틸트는, 제 2 방향에 해당하는 영역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술한 도 5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제 1 영역과 제 3 영역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빔을 이용하여 쉬프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s60). 여기서 쉬프트 신호는 수광부의 대칭되는 영역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쉬프트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 쉬프트는, 각 영역(Ⅰ, Ⅱ, Ⅲ)의 상하 영역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쉬프트에는 틸트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틸트 신호를 먼저 구하고, 구해진 틸트 신호를 이용하여 쉬프트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빔을 이용하여 갭 에러 신호를 구할 수 있다(s70). 갭 에러 신호는 수광부에 수신된 신호의 총합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순서도에 도시된 각 s30 내지 s70의 단계들은 반드시 연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들은 s10 내지 s20과 함께 다른 단계와는 별도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순서도에 도시된 단계의 s30 내지 s70의 단계들은 반드시 그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 및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그 순서가 바뀌거나, 그 순서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7c는 본 발명에 따른 수광부에서 수신된 신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28)

  1. 기록매체에 빔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 또는 회절되는 신호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영역에 따라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신호를 다분할 수광부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격자는, 상기 회절격자에 입사하는 빔을 3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을 3 분할하는 것은, 상기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빔을 3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할 수광부를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빔을 수신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할 수광부는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 중의 한 방향이 다른 한 방향보다 더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할 수광부의 분할영역은,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할 수광부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은 각각 상하(上下)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상하 영역의 차를 이용하여 제 1 방향으로의 틸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제 3 영역의 차를 이용하여 제 2 방향으로의 틸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해진 틸트 신호는 틸트 성분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각 영역의 상하 신호의 차이의 합을 이용하여, 쉬프트 신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12.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 트랙의 접선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13.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기록매체 트랙의 반지름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은 근접장(Near Field)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제 1 방향 틸트 제어 신호, 제 2 방향 틸트 제어 신호, 쉬프트 제어 신호, 갭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16. 기록매체로부터 반사 또는 회절된 빔을 신호의 영역에 따라서 분할하는 회절격자와;
    상기 분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다분할 수광부와;
    상기 다분할 수광부에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격자는, 상기 회절격자에 입사하는 빔을 3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격자는, 상기 회절격자에 입사하는 빔을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3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할 수광부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할 수광부는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이 다른 한 방향보다 더 길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할 수광부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 수광부에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2 영역의 상부와 하부 영역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1 방향의 틸트 신호를 구하며, 제 1 영역과 제 3 영역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2 방향의 틸트 신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틸트 신호 및 상기 제 2 방향의 틸트 신호는 틸트 신호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의 상부와 하부 신호의 차의 합을 이용하여 쉬프트 신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방향 틸트 제어 신호 및/또는 제 2 방향 틸트 제어 신호 및/또는 쉬프트 제어 신호 및/또는 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근접장을 이용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8. 제 18 항 또는 제 19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 트랙의 접선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이고, 상 기 제 2 방향은 기록매체 트랙의 반지름 방향에 해당하는 빔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KR1020070081806A 2007-08-14 2007-08-14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KR20090017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06A KR20090017219A (ko) 2007-08-14 2007-08-14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06A KR20090017219A (ko) 2007-08-14 2007-08-14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19A true KR20090017219A (ko) 2009-02-18

Family

ID=4068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806A KR20090017219A (ko) 2007-08-14 2007-08-14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2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87448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及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方法
JP200813012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5209299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2012514282A (ja) 多層光学式データ記憶媒体のデュアルビームによる記録及び読み出し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7885163B2 (en) Optical pickup,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20070189130A1 (en) Optical information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device
JP3595121B2 (ja) 光学的位相板を使用した光ピックアップ
US7835250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JP2000048397A (ja) 光ピックアップ
US20070153647A1 (en) Optical pickup, optical disc apparatus, and radial tilt detection method
KR20090017219A (ko)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JP2012069207A (ja) ホログラフィを用いたホログラフィックメモリ
KR20080111690A (ko)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JP4419797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80106671A (ko)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JP4742159B2 (ja) 光情報再生方法
JP2007242145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2010061768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8108392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90030859A (ko) 렌즈 유닛과 광학 시스템,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재생방법
KR20100110142A (ko) 신호 분리 방법, 광픽업 및 기록/재생 장치
US20120113784A1 (en) Optical pickup
KR20100085281A (ko)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KR20110040019A (ko)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KR20070106251A (ko)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와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