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302A - 강관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302A
KR20090016302A KR1020070080839A KR20070080839A KR20090016302A KR 20090016302 A KR20090016302 A KR 20090016302A KR 1020070080839 A KR1020070080839 A KR 1020070080839A KR 20070080839 A KR20070080839 A KR 20070080839A KR 20090016302 A KR20090016302 A KR 20090016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arriage
torch
travel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962B1 (ko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9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005Machines, apparatus,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curved workpiece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8Carriages forming part of a cut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는, 원형 링 구조로 형성되어 강관 둘레에 고정되는 주행 레일을 포함하는 주행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주행 레일의 외측에 결합되어 주행 레일을 따라 강관 둘레를 이동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강관을 절단하는 절단 토치와; 상기 절단 토치를 상기 캐리지에 지지하는 토치 지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시공 중인 강관은 물론 시공 후의 강관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고, 강관의 둘레를 정밀하게 절단하여 강관 연결부의 용접 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캐리지, 주행 레일, 절단 토치, 주행 모터, 스파이크

Description

강관 절단 장치{Device of cutting steel pipe}
본 발명은 강관을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관의 둘레를 주행하면서 강관을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강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관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 용수관, 가스관, 송유관 등 유체 수송 배관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강관은 대부분 적절한 길이로 제작되어, 배관 시공 현장에 운송된 후에, 일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연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하지만, 배관 시공 과정에서 배관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 경우에, 시공 현장에서 직접 강관을 절단한 후에 배관 연결 시공을 해야 할 때가 발생된다.
이때, 강관을 절단할 때는 절단면이 상호 연결할 부분과 일치되도록 정밀하게 절단하여야 한다. 이는 강관을 이용한 배관 시공은 강관과 강관 사이의 접합부를 용접하는 방법으로 상호 연결하는데, 상호 접합 부분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용접 불량이 발생하거나 배관 시공 후에도 응력 집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배관 시공 과정뿐만 아니라 배관 시공 후에도 강관을 절단해야 할 경우가 발생된다.
즉, 배관 시공 후에 배관이 부분적으로 불량 또는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이상 발생 부분 또는 인접한 부분을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추후 강관 접속을 위해서는 정밀한 절단이 요구된다. 또한 절단 강관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두 부분을 절단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강관 시공 과정이나 강관 시공 후에 강관을 절단할 때, 특히 강관이 500mm 이상의 대형 강관을 절단할 때는, 일반적인 절단 장치로는 절단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더욱이 중요한 문제는 다른 강관과 접합할 면을 정밀하게 절단하여야 하나, 대부분의 절단 장치는 정밀한 절단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강관 절단 장치는 자신은 고정되어 있고, 강관을 회전시키면서 강관을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때에는 강관이 정밀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강관을 정확히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추가로 요구된다. 특히, 500mm 이상의 대형 강관의 경우에는 강관을 회전시키는 장치가 대형화됨에 따라 강관 절단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아울러, 이미 시공된 강관은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강관을 회전시키면서 강관을 절단하는 장치로는 강관 절단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관 둘레를 회전하면서 강관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중인 강관은 물론 시공 후의 강관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강관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의 둘레를 정밀하게 절단하여, 강관 연결부의 용접 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강관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 두 부분을 동시에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관 절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강관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는, 원형 링 구조로 형성되어 강관 둘레에 고정되는 주행 레일을 포함하는 주행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주행 레일의 외측에 결합되어 주행 레일을 따라 강관 둘레를 이동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강관을 절단하는 절단 토치와; 상기 절단 토치를 상기 캐리지에 지지하는 토치 지지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레일 어셈블리는, 복수개로 분할된 상태에서 상호 조립되어 원형 구조를 이루는 주행 레일과, 상기 주행 레일의 안쪽에 설치되어 강관의 외면에 밀 착하면서 주행 레일을 강관 둘레에 장착되게 하는 스파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 레일은 그 양쪽의 네 모서리 부분이 상기 캐리지에 구비된 주행 롤러들이 내측과 외측에서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 레일은 그 일측에 기어치가 형성되되, 이 기어치가 형성된 부분은 주행 레일과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주행레일 어셈블리를 내측에 포함하도록 U자형 구조로 형성된 주행 바디와, 상기 주행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어 주행 레일에 형성된 양쪽 네 모서리의 경사진 부분에 밀착되는 복수의 주행 롤러와, 상기 주행 바디에 구비되어 캐리지가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토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기구는 주행 모터와, 이 주행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및 구동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기어가 상기 주행 레일에 구비된 기어치에 치합되어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주행 롤러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행 레일이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롤러 조절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지에는 밸브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지지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절단 토치에 에너지원이 도입됨과 아울러 에너지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서 절단 토치 사이에는 플렉시블 소재로 이루어진 공급 튜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 토치는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치 지지기구는 상기 두 개의 절단 토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치 지지기구는 상기 캐리지에 구비된 수직 지지대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수평 조절봉와, 상기 수평 조절봉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 조절봉과, 상기 수직 조절봉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 토치가 장착되는 토치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는, 캐리지가 주행 레일을 따라 강관 둘레를 회전하면서 강관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시공 중인 강관은 물론 시공 후의 강관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리지가 주행 레일을 따라 안정된 주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강관을 보다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강관 연결부의 용접 작업이 용이해지고, 강관 연결부의 불량 발생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절단 토치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강관의 두 부분을 동시에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절단 토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 시공된 배관을 한 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두 부분을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는 강관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가 강관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관 절단 장치의 주요부 상세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가 강관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레일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 및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 구조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는, 강관(P) 둘레에 장착되는 주행레일 어셈블리(100), 이 주행레일 어셈블리(100)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200), 이 캐리지(200)에 지지되는 토치 지지기구(300), 그리고 절단 토치(40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주행레일 어셈블리(100)는, 링 구조로 형성되어 강관 둘레에 고정되는 구성부분이다.
주행레일 어셈블리(100)는, 도 6을 참조하면,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 진 주행 레일(110)과, 이 주행 레일(110)을 강관(P)의 둘레에 고정하여 설치하기 위한 스파이크(120)로 이루어진다.
주행 레일(110)은, 강관(P)의 둘레에 장착하기 위해, 분할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2분할 구조를 예시한다.
분할된 부분에는 분할된 주행 레일(110)을 상호 조립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레일 조립체(130)가 구성된다.
레일 조립체(130)는 각 분할된 주행 레일(110)의 끝단부에 각각 조립 블록(131)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쪽 조립 블록(1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133)에 의해 상호 고정됨으로써 분할된 주행 레일(110)을 상호 조립하여, 일체형의 링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게 된다. 물론, 주행 레일(110)을 분해할 때는, 상기와 반대로 연결부재(133)를 풀게 되면, 양쪽 조립 블록(131)이 분리되면서 주행 레일(110)이 분할된다.
스파이크(120)는 강관(P) 둘레에 주행 레일(110)을 장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고정 볼트(125)를 통해 주행 레일(110)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는 보스체(121)와, 이 보스체(121)의 끝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강관(P)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스체(121)는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착 플레이트(123)는 강관과 동일한 소재 또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밀착 플레이트(123)가 금속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강관 둘레에 견고한 밀착력을 가지게 되고, 보스체(121)는 밀착 플레이 트(123)가 강관에 밀착될 때, 지속적으로 일정 정도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밀착 플레이트(123)를 경질의 합성수지 플레이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스파이크(120)는 상기 주행 레일(110)의 외면에서 관통되는 고정 볼트(125)를 체결하거나 푸는 것을 통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강관(P)의 둘레면에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이제, 상기한 주행 레일(11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레일(110)은, 상기 캐리지(200) 및 절단 토치(400) 등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긴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플레이트의 양쪽면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7 참조)
즉, 주행 레일(110)의 양쪽에 위치되는 네 모서리가 챔퍼(chamfer) 가공된 것과 같이 경사면(111)들이 형성되어, 후술할 캐리지(200)의 롤러(213)들이 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주행 레일(110)은 가운데 부분의 바깥쪽 면(113)과 안쪽 면(114)은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는 주행 레일(110) 전체의 하중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물론, 주행 레일(110)의 양쪽에 형성된 경사면(111)들은 상대적으로 두껍게 돌출된 부분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또한, 주행 레일(110)에는 캐리지(200)의 구동 기어(219)가 치합되어 캐리지(200)가 주행 레일(110)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어치(115)가 형성된 다.
기어치(115)는 주행 레일(11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주행 레일(110)과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주행 레일(110)의 측면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어치(115)를 다른 소재로 형성하여 주행 레일(110)에 결합시키는 이유는, 캐리지(200) 구동 과정에서 기어치(115)가 쉽게 마모되지 않고, 장시간 수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 캐리지(200)는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강관(P) 둘레를 이동하면서 절단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지(200)는, 크게 주행 바디부(210), 콘트롤러(230), 지지대(240,250)들로 구성된다.
상기 주행 바디부(210)는,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를 이루는 주행 바디(211)와, 이 주행 바디(211)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 레일(110)의 양쪽 경사면(111)에 밀착되는 복수의 주행 롤러(213)로 구성된다.
주행 바디(211)는 그 양쪽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롤러 설치부(212)가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U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 설치부(212)의 안쪽에 상기 주행 롤러(213)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주행 롤러(213)들은 캐리지(200)의 이동 방향으로 앞쪽에 두 쌍, 뒤쪽에 두 쌍씩 모두 4 쌍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 바디(211)에는, 상기 주행 롤러(213)들 중에서, 상기 주행 레일(110)의 한쪽에 밀착되는 롤러들을 직선 이동시켜 밀착 정도를 조절하거나 캐리지(200)를 주행 레일(110)에 탈장착시킬 수 있도록 롤러 조절기(215)가 구성된다.
이러한 롤러 조절기(215)는 상기 주행 바디(211)의 한쪽(도면에서 왼쪽) 롤러 설치부(212) 바깥쪽에서 주행 바디(211)에 나사 결합 구조로 이루어진 조절 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주행 바디부(210)의 상부에는 주행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 모터(217)와 이 주행 모터를 감속하는 감속기(221)가 설치된다.(도 5 참조)
상기 주행 바디(211)의 내측에는, 도 8을 참조하면, 주행 레일(110)의 기어치(115)에 치합되는 구동 기어(219)가 설치되어 주행 모터(217)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캐리지(200)가 주행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주행 모터(217)와 구동 기어(219) 사이에는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는데, 이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감속기(221)와 이 감속기에서 주행 바디(211)를 관통하여 설치된 구동축(22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주행 모터(217), 구동축(223), 구동 기어(219)가 본 발명의 구동기구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콘트롤러(230)는, 상기 주행 바디(211)의 상부에 고정된 받침대(225) 위에 설치되는데, 후술할 절단 토치(400) 및 토치 지지기구(300) 쪽과 장비 전체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절단 토치(400)의 반대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주행 바디(211)를 중심으로 한 쪽에는 절단 토치(400) 및 토치 지 지기구(300)들이 설치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콘트롤러(230) 및 주행 모터(217) 등이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주행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콘트롤러(230)는 본 발명의 강관 절단 장치를 제어하고 조작하기 위한 구성부분으로서, 그 위에는 주행 모터(217)의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기(2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40)(250)는 크게 두 개로 나누어져 주행 바디(21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 하나는 가스 등 에너지 공급 라인이 경유하도록 지지하는 밸브 지지대(240)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토치 지지기구(300)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 지지대(250)이다.
상기 밸브 지지대(240)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에너지원인 가스가 유입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가스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밸브 어셈블리(410)가 설치된다.
밸브 어셈블리(410)는 측방에 상기 절단 토치(400)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관이 연결되는 연결구(411)가 구성되고, 상측에 상기 절단 토치(400)로 연결되는 플렉시블 소재의 공급 튜브(420)가 연결되며, 중간 부분에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밸브(4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410)는 절단 토치(400)가 두 개로 구성될 경우에, 두 개의 절단 토치(400)에 각각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공급 튜브(420)의 개수는 실시 조건에 따라 분배되는 가스의 종류 또는 양에 따라 적절하 게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씩 두 쌍이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조절 밸브(415)는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전자 제어에 의해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수직 지지대(250)는 후술할 토치 지지기구(300)의 수평 조절봉(320)이 결합된 부분으로서, 그 상부에 제 1 교차 클램프(310)가 설치되어 높이 조절 및 수평 조절봉(320)의 수평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상기 절단 토치(400)는 상기 캐리지(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강관(P)을 절단하는 구성 부분이다.
절단 토치(400)는 에너지원 즉, 가스(플라즈마도 가능)의 종류 및 실시 조건에 따라 노즐의 구조 및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절단 토치(400) 두 개가 나란히 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절단 토치(400) 두 개가 설치되는 이유는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만 이용할 수 있으나, 기 시공된 강관을 절단할 때는 배관의 일정 구간을 잘라내야 하므로, 후술할 토치 지지기구(300)를 통해 두 절단 토치(4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한 번의 절단 작업으로 배관의 일정 구간을 동시에 잘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 부분이다.
다음, 상기 토치 지지기구(300)는 상기 절단 토치(400)를 상기 캐리지(200) 에 지지함과 아울러, 절단 토치(400)의 위치 및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토치 지지기구(300)는 상기 캐리지(200)의 수직 지지대(250)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수평 조절봉(320)과, 상기 수평 조절봉(320)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 조절봉(340)과, 상기 수직 조절봉(340)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 토치(400)가 장착되는 토치 클램프(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조절봉(320)은 긴 봉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교차 클램프(310)를 통해 상기 수직 지지대(25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교차 클램프(310)는 나사 조임 등의 방식으로 상기 수직 지지대(250)와 수평 조절봉(320)에 결합되어 높이 및 수평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수평 조절봉(320)에는 상기 제 1 교차 클램프(310) 및 후술할 제 2 교차 클램프(330)의 위치 조절 과정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되도록 기어치와 같은 다수의 요철부(321)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조절봉(340)은 제 2 교차 클램프(330)를 통해서 상기 수평 조절봉(3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제 2 교차 클램프(330)는 상기 수평 조절봉(320)에 대하여 수직 조절봉(340)의 수평 방향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수직 조절봉(340)의 상하 높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2 교차 클램프(330)는 상기 제 1 교차 클램프(310)와 유사한 구조 로 이루어지나, 상기 수평 조절봉(320)과 수직 조절봉(340)에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절 노브(331, 332)들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토치 클램프(350)는 상기 수직 조절봉(34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절단 토치(400)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토치 클램프(350)는 상기 수직 조절봉(340)에 고정되는 부분과, 수직 방향으로 절단 토치(400)를 결합시켜 장착할 수 있는 토치 장착부(35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교차 클램프(310) 및 제 2 교차 클램프(330)에 결합된 수평 조절봉(320), 수직 조절봉(340)의 위치를 조절하여, 한 쌍의 절단 토치(400)의 높이 및 수평 위치를 조절함과 아울러 절단 토치 사이의 간격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가 강관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관 절단 장치의 주요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가 강관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가 강관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절단 장치가 강관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레일 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 구조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행레일 어셈블리 110 : 주행 레일
111 : 경사면 115 : 기어치
120 : 스파이크 130 : 레일 조립체
200 : 캐리지 210 : 주행 바디부
211 : 주행 바디 213 : 주행 롤러
215 : 롤러 조절기 217 : 주행 모터
219 : 구동 기어 230 : 콘트롤러
240 : 밸브 지지대 250 : 수직 지지대
300 : 토치 지지기구 310 : 제 1 교차 클램프
320 : 수평 조절봉 330 : 제 2 교차 클램프
340 : 수직 조절봉 400 : 절단 토치
410 : 밸브 어셈블리 420 : 공급 튜브

Claims (10)

  1. 원형 링 구조로 형성되어 강관 둘레에 고정되는 주행 레일을 포함하는 주행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주행 레일의 외측에 결합되어 주행 레일을 따라 강관 둘레를 이동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강관을 절단하는 절단 토치와;
    상기 절단 토치를 상기 캐리지에 지지하는 토치 지지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 어셈블리는, 복수개로 분할된 상태에서 상호 조립되어 원형 구조를 이루는 주행 레일과, 상기 주행 레일의 안쪽에 설치되어 강관의 외면에 밀착하면서 주행 레일을 강관 둘레에 장착되게 하는 스파이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일은 그 양쪽의 네 모서리 부분이 상기 캐리지에 구비된 주행 롤러들이 내측과 외측에서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일은 그 일측에 기어치가 형성되되, 이 기어치가 형성된 부분은 주행 레일과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주행레일 어셈블리를 내측에 포함하도록 U자형 구조로 형성된 주행 바디와, 상기 주행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어 주행 레일에 형성된 양쪽 네 모서리의 경사진 부분에 밀착되는 복수의 주행 롤러와, 상기 주행 바디에 구비되어 캐리지가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토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주행 모터와, 이 주행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및 구동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기어가 상기 주행 레일에 구비된 기어치에 치합되어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행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주행 롤러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행 레일이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롤러 조절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는 밸브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지지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절단 토치에 에너지원이 도입됨과 아울러 에너지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서 절단 토치 사이에는 플렉시블 소재로 이루어진 공급 튜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토치는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된 것
    상기 토치 지지기구는 상기 두 개의 절단 토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치 지지기구는 상기 캐리지에 구비된 수직 지지대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수평 조절봉와, 상기 수평 조절봉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 조절봉과, 상기 수직 조절봉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 토치가 장착되는 토치 클램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절단 장치.
KR1020070080839A 2007-08-10 2007-08-10 강관 절단 장치 KR10093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39A KR100934962B1 (ko) 2007-08-10 2007-08-10 강관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39A KR100934962B1 (ko) 2007-08-10 2007-08-10 강관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02A true KR20090016302A (ko) 2009-02-13
KR100934962B1 KR100934962B1 (ko) 2010-01-06

Family

ID=4068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39A KR100934962B1 (ko) 2007-08-10 2007-08-10 강관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42B1 (ko) * 2010-09-01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이드 장치를 갖는 용접 로봇
KR101439335B1 (ko) * 2013-12-16 2014-09-11 주식회사 에스앤티씨 플랜지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85694A (en) * 1993-05-05 1994-11-10 Atlantic Point Inc. Method and device for welding pipes to each other
JP2905407B2 (ja) * 1994-09-02 1999-06-14 株式会社巴コーポレーション 現場溶接後の後処理方法および後処理システム装置
KR0173836B1 (ko) * 1996-02-15 1999-02-18 김정국 플레이트 절단장비
KR100668601B1 (ko) * 2005-05-11 2007-01-12 임관혁 파일 연결용 자동 용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42B1 (ko) * 2010-09-01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이드 장치를 갖는 용접 로봇
KR101439335B1 (ko) * 2013-12-16 2014-09-11 주식회사 에스앤티씨 플랜지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962B1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960B1 (ko) 강관 연결 시공용 포터블 타입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KR100806537B1 (ko) 강관의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CN103056579B (zh) 切割钢构中型弯管相贯线的弯管夹持装置
KR20140008967A (ko) 파이프 자동가공장치
CN204893267U (zh) 全位置自动焊机
KR100934962B1 (ko) 강관 절단 장치
KR20090016311A (ko) 수평위빙 구동장치를 갖는 강관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KR20090016299A (ko) 용접 토치 회전 구조를 갖는 강관티그(tig)자동용접장치
CN203471183U (zh) 焊接装置及具有该焊接装置的自动焊接机
KR100898720B1 (ko) 포터블 타입 티그(tig) 자동용접장비를 포함한 강관연결시공방법
CN211438828U (zh) 一种焊接对管装置
JP5738003B2 (ja) 溶接用治具
JP2012130954A (ja) 自動溶接装置
KR20150012554A (ko) 분할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한 파일 자동 용접 장치
KR101138918B1 (ko) 파이프 엔디 페이싱 장치
KR20150125369A (ko) 선박용접용 오토캐리지의 백래시 조정장치
KR102248782B1 (ko) 파이프 서포트의 수평재 용접장치
JP2023032027A (ja) 鋼製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JP5690456B1 (ja) 上下杭の溶接装置
CN103008964A (zh) 管道环缝焊接活动转胎
KR20100025368A (ko)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CN117817219A (zh) 用于管道窄间隙焊缝焊接的自动焊机行走轨道
CN205927591U (zh) 多枪同时焊接的长管纵缝焊接机
CN114367774B (zh) 一种角焊缝焊接设备
KR200391430Y1 (ko) 자동용접기의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