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677A -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677A
KR20090015677A KR1020070080216A KR20070080216A KR20090015677A KR 20090015677 A KR20090015677 A KR 20090015677A KR 1020070080216 A KR1020070080216 A KR 1020070080216A KR 20070080216 A KR20070080216 A KR 20070080216A KR 20090015677 A KR20090015677 A KR 20090015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air cylinder
disposed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5677A/ko
Publication of KR2009001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컵의 탈착원리를 이용한 도어 흡착부를 도어 표면에 탈부착시키면 본체 내부에 배치된 감지부재가 전후진하여 접촉되는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켜 도어 스테이 체결 유무를 확인하고, 다시 상기 도어 흡착부를 후진시켜 상기 도어 흡착부가 강제 이탈되는 위치를 상기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가 감지하여 스테이의 체결력을 확인함으로서, 동일 공정에서 모든 도어 스테이 체결 상태를 신속히 확인할수 있어 무빙 파트의 열림 및 체결 상태를 동시에 검증할 수 있고, 다차종 생산시에도 도어 스테이의 체결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착부, 탄성부재, 감지부재, 리미트 스위치

Description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door stay locking status che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 흡착부가 도어 표면에 흡착된 위치를 리미트 스위치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스테이 체결 유무와 체결력의 확인이 가능한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 공장 내의 전처리 및 전착 공정에서의 도장 작업성과 도료 흡착율을 높이기 위해 도어 스테이를 차체에 체결하여 도어를 열린 상태로 고정 후 해당 공장에 투입하게 된다.
하지만 작업자가 스테이 체결 작업을 하지 않거나 규정된 방법으로 체결하지 않을 경우 차체가 전착액을 통과하는 도중에 도어가 열리게 되고 그 열림 저항으로 차체가 이송 행거로부터 이탈되어 전착 공정이 장시간 중단되는 대형사고가 발생한다. 이때 전착조 내의 전착액을 모두 배수하고 사고 차량을 조치하는데 이러한 사유로 전착 공정 투입 전에 차체 도어 스테이가 규정된 방법으로 체결되었는지 자동으로 검출하여 이상 감지시 알람 및 라인 정지토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라인 비가동을 사전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도어 스테이 체결 확인의 경우 스테이를 장착한 차체가 진행할 때 도어 바깥쪽에 리미트 스위치 레버를 설치하여 스테이를 체결한 경우 도어 외판이 레버를 쳐 스위치가 ON이 되고 스테이가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스위치가 OFF가 도는 장치를 사용하였는데 비록 체결 유무는 감지 할 수 있으나 적합하게 스테이가 체결이 되어 단단하게 차체에 고정이 되었는가를 판별하기가 불가능하고 후드 및 트렁크 리드 측은 차체의 진행하는 경로에 센서를 설치하기가 기술적으로 난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도어 스테이의 체결 유무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든 도어 스테이의 체결 상태를 신속히 확인 할 수 있는 장치로 도어 스테이의 체결 상태 및 체결력을 신속하게 동시에 검증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는, 모든 도어 스테이의 체결 상태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본체와, 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본체의 전후진을 위해 상기 본체의 후방부에 배치된 에어 실린더와, 상기 본체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축부 와, 진공컵의 탈착 원리를 적용하여 도어를 흡착시키기 위해 상기 축부의 전방에 구비된 도어 흡착부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전후진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에어 실린더 내부에 배치된 리드센서와, 상기 축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와 상기 본체 외부에 이격되어 구비된 탄성부재와, 본체 내부에 배치된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부와 일체되어 압축과 인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연동하는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의 접촉에 의해 도어 스테이의 체결유무와 체결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감지부의 후방 상측에 배치된 상부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감지부의 전방 하측에 배치된 하부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어 흡착부와 상기 본체 사이의 축부상에 배치된 전방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 내부의 축부상에 배치된 후방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 센서는 상기 에어 실린더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실린더의 전진시 작동되는 전진 리드 센서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어 에어 실린더의 후진시 작동되는 후진 리드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의 전후진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에어 실린더의 상하부에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하기 위해 전방 탄성부재의 앞뒤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탄성부재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진공컵의 탈착원리를 이용한 도어 흡착부를 도어 표면에 탈부착시키면 본체 내부에 배치된 감지부재가 전후진하여 접촉되는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켜 도어 스테이 체결 유무를 확인하고, 다시 상기 도어 흡착부를 후진시켜 상기 도어 흡착부가 강제 이탈되는 위치를 상기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가 감지하여 스테이의 체결력을 확인함으로서, 동일 공정에서 모든 도어 스테이 체결 상태를 신속히 확인할수 있어 무빙 파트의 열림 및 체결 상태를 동시에 검증할 수 있고, 다차종 생산시에도 도어 스테이의 체결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80)에 배치된 도어 스테이(90)의 체결 상태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게 구비된 본체(40)와, 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본체(40)의 전후진을 위해 상기 본체의 후방부에 배치된 에어 실린더(10)와, 상기 본체(40)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4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축부(30)와, 진공컵의 탈착 원리를 적용하여 도어를 흡착시키기 위해 상기 축부(30)의 전방에 구비된 도어 흡착부(20)와, 상기 에어 실린더(10)의 전후진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에어 실린더(10) 내부에 배치된 리드센서(12)(14)와, 상기 축부(30)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40) 내부와 상기 본체(40) 외부에 이격되어 구비된 탄성부재(32)(34)와, 본체 내부에 배치된 상기 탄성부재(32)(34)의 후방부와 일체되어 압축과 인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연동하는 감지부재(50)와, 상기 감지부재(50)의 접촉에 의해 도어 스테이의 체결유무와 체결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40)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42)(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42)(44)는 상기 감지부의 후방 상측에 배치된 상부 리미트 스위치(42)와 상기 감지부의 전방 하측에 배치된 하부 리미트 스위치(4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2)(34)는 압축과 인장이 용이한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도어 흡착부(20)와 상기 본체(40) 사이의 상기 축부(30)상에 배치된 전방 탄성부재(32)와, 상기 본체(40) 내부의 축부(30)상에 배치된 후방 탄성부재(3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2)(34)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하기 위해 전방 탄성부재(32)의 앞뒤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탄성부재(34)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드 센서(12)(14)는 상기 에어 실린더(1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실린더(10)의 전진시 작동되는 전진 리드 센서(12)와, 상기 에어 실린더(10)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 실린더(10)의 후진시 작동되는 후진 리드 센서(14)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10)와 사기 본체(40)의 전후진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에어 실린더(10)의 상하부에 가이드부(6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40)를 전진한 후 상기 도어 흡착부(20)가 도어(80) 외판에 밀착될 때 전방 탄성부재(32)가 압축되면서 감지부재(50)가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리미트 스위치(42)와 접촉하면 상기 상부 리미트 스위치(42)가 이를 감지하지만 도어 스테이(90)가 체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탄성부재(32)가 압축되는 힘이 작용하지 않아 상부 리미트 스위치(42)가 감지되지 않아 상기 도어 스테이(90)의 체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에어 실린더(10)의 전진으로 인해 이를 감지하여 전진 리드 센서(12)는 작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0)가 후진하게 되면 상기 도어 흡착부(20)의 진공컵이 상기 도어(80) 외판에 흡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후방 탄성부재(34)가 압축되면서 상기 감지부재(50)는 앞쪽으로 이동하여 하부 리미트 스위치(44)와 접촉하면서 상기 도어 스테이 체결력(90)을 확인할 수 있는 상기 하부 리미트 스위치(44)가 작동하여 일시적으로 감지된다. 이때, 상기 도어 스테이(90)의 체결력이 부족하다면 상기 후방 탄성부재(34)를 압축하는 힘이 없어져 상기 하부 리미트 스위치(44)가 감지되지 않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실린더(10)의 후진력에 의해 상기 도어 흡착부(20)가 강제 탈착되어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도어 스테이(90) 체결력이 부족할 경우 상기 에어 실린더(10) 및 상기 본체(40)의 후진시 상기 도어 스테이(90)가 상기 도어(80)에서 이탈되어 상기 도어(80)가 열리게 되고, 이때 상기 후방 탄성부재(34)의 압축력이 없어지면서 상기 감지부재가 하부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하지 못하게 되어 작업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는, 진공컵 탈착 원리를 적용하여 무빙파트의 열림 및 체결 상태를 동시에 검증할 수 있고, 다차종 생산시에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 실린더 12 : 전진 리드 센서
14 : 후진 리드 센서 20 : 도어 흡착부
30 : 축부 32 : 전방 탄성부재
34 : 후방 탄성부재 36 : 지지부재
40 : 본체 42 : 상부 리미트 스위치
44 : 하부 리미트 스위치 50 : 감지부재
60 : 가이드부 70 : 에어 호스
80 : 도어 90 : 도어 스테이

Claims (7)

  1. 모든 도어 스테이의 체결 상태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체결확인장치의 본체와;
    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본체의 전후진을 위해 상기 본체의 후방부에 배치된 에어 실린더와;
    상기 본체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축부와;
    진공컵의 탈착 원리를 적용하여 도어를 흡착시키기 위해 상기 축부의 전방에 구비된 도어 흡착부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전후진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에어 실린더 내부에 배치된 리드센서와;
    상기 축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와 상기 본체 외부에 이격되어 구비된 탄성부재와;
    본체 내부에 배치된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부와 일체되어 압축과 인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연동하는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의 접촉에 의해 도어 스테이의 체결유무와 체결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감지부의 후방 상측에 배치된 상부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감지부의 전방 하측에 배치된 하부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어 흡착부와 상기 본체 사이의 축부상에 배치된 전방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 내부의 축부상에 배치된 후방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센서는 상기 에어 실린더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실린더의 전진시 작동되는 전진 리드 센서와; 상기 에어 실린더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어 에어 실린더의 후진시 작동되는 후진 리드 센서로 구성되는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의 전후진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에어 실린더의 상하부에 가이드부가 구비된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7.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하기 위해 전방 탄성부재의 앞뒤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탄성부재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KR1020070080216A 2007-08-09 2007-08-09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KR20090015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216A KR20090015677A (ko) 2007-08-09 2007-08-09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216A KR20090015677A (ko) 2007-08-09 2007-08-09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677A true KR20090015677A (ko) 2009-02-12

Family

ID=4068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216A KR20090015677A (ko) 2007-08-09 2007-08-09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56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536B1 (ko) * 2008-09-22 2010-07-28 아주렌탈 주식회사 완충접촉용 리미트스위치
CN107930921A (zh) * 2017-12-27 2018-04-20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内装喷涂的关门夹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536B1 (ko) * 2008-09-22 2010-07-28 아주렌탈 주식회사 완충접촉용 리미트스위치
CN107930921A (zh) * 2017-12-27 2018-04-20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内装喷涂的关门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80309U (zh) 一种夹具防错定位机构
KR102606594B1 (ko) 글로브 박스 장치
JP6169113B2 (ja) タイヤ圧検知デバイス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CN206588834U (zh) 一种零部件限位装置
WO2007026208A3 (en) Brake tension monitoring assembly and method
KR20090015677A (ko) 도어 스테이 체결확인장치
CA3031659C (en) Part stopping/passing unit, and thread fastening device
CN202145167U (zh) 防夹电动车窗的检测装置
CN204214893U (zh) 夹具开合保持装置
KR20110023235A (ko) 스터드볼트 체크장치
CN107934265B (zh) 集装箱全自动锁的拆装装置及方法
CN101379371B (zh) 检测装置以及包括一个该装置的座
CN207096474U (zh) 一种车门打开检测装置
CN207087481U (zh) 一种多机型工件到位检测装置及工件上料机
CN203245759U (zh) 一种改进的检具夹紧装置
KR100472100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의 부시 누락 검사장치
CN209708859U (zh) 一种安装屏切换片操控装置
CN209320891U (zh) 一种agv用保险杠总成
KR100626812B1 (ko) 너트 유무 자동검색기에 있어 너트감지장치
JP2008058069A (ja) 製品寸法検査装置
CN203316999U (zh) 水切饰条装配治具的左侧端盖检测装配装置
CN210335816U (zh) 一种套筒角度防错装机构
KR200448009Y1 (ko) 캠 구조를 가지는 측면 너트 감지센서장치
CN201672140U (zh) 阀位检测装置
CN218066228U (zh) 汽车天窗框架蘑菇搭扣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