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477A - 악세사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악세사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477A
KR20090013477A KR1020070077640A KR20070077640A KR20090013477A KR 20090013477 A KR20090013477 A KR 20090013477A KR 1020070077640 A KR1020070077640 A KR 1020070077640A KR 20070077640 A KR20070077640 A KR 20070077640A KR 20090013477 A KR20090013477 A KR 20090013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ccessory
cutting
cu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삼영
Original Assignee
황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삼영 filed Critical 황삼영
Priority to KR102007007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477A/ko
Publication of KR2009001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5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 B26D1/5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mounted on a movable arm or the like
    • B26D1/58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mounted on a movable arm or the lik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세사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 크기를 갖는 원단을 소정 폭의 띠형으로 연속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 전체에 절단 라인을 측정하는 제1공정과; 상기 원단에 측정된 절단 라인을 따라 절단 수단에 의해 절단 가공하여 띠형 원단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띠형 원단 단부를 악세서리의 몸체 일측에서 부터 시작하여 상기 몸체 외면 전체를 감싸는 제3공정과; 상기 띠형 원단의 시작부 및 끝단부를 접착 고정하는 제4공정에 의해, 여러 가지 소재의 원단을 손쉽게 자동 연속 절단 가공하도록 하고 절단된 원단을 이용하여 악세서리 몸체에 접착제 없이 감싸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급스러운 품질의 제품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어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악세서리, 띠형 원단, 레이저가공, 장식무늬선, 나선형

Description

악세사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ccessories}
본 발명은 머리핀, 헤어클립, 헤어밴드 등과 같은 악세서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악세서리의 프레임 외관을 감싸는 여러 가지 소재의 원단을 손쉽게 띠형으로 절단 가공하도록 하고, 절단된 원단을 이용하여 악세서리 몸체를 용이하게 감싸도록 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고급스럽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갖는 악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도록 된 악세사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세사리는 머리핀, 헤어클립, 헤어밴드, 목걸이, 반지, 귀걸이등 신체에 치장하는 것부터 가방이나 옷 등에 부착하거나 매다는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생산, 판매되며,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수많은 종류의 악세사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악세사리는 합성수지를 특정 디자인으로 사출 성형하여 코팅 처리하고, 그 표면에 각종 천으로 이루어진 원단(이하 '원단'이라함)을 일일이 크기에 맞게 재단하여 부착한 다음, 다시 표면에 보석형상이나 구슬 형상의 장식물을 부착하여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악세서리에 사용되는 원단을 절단함에 있어서 디자인이 다양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악세서리 몸체 외형에 맞는 디자인으로 원단을 자동으로 절단하기가 어려워 일일이 수작업에 의하여 원단을 절단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원단을 부착하여 제작되는 악세서리의 경우 인건비 상승에 따라 제조 원가가 높은 문제가 있었으며, 그로 인해 소비자들은 비싼 가격으로 악세서리를 구매하여 사용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대부분의 원단은 단순한 색상이나 무늬로 이루어진 평면적 디자인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원단을 사용한 악세서리는 특이하고 미려한 자기만의 디자인으로 된 악세서리를 갖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원단을 악세서리의 몸체에 부착함에 있어서도 원단 이면 또는 악세서리 몸체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과정에서 접착제 도포 작업 및 부착 작업이 미숙한 경우에는 원단이나 악세서리 몸체 외관이 더러워지거나 훼손되어 재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접착 불량으로 인한 손실이 많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악세서리 제조 방법들은 매우 번거롭고 비경제적인 것으로서, 악세서리 프레임의 형상과 크기에 맞도록 원단을 재단하는 것은 숙련된 기술을 요구하여 작업자에 따른 제품의 품질에 많은 차이가 있어서 불량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해 불규칙한 형태로 재단된 원단을 악세서리 몸체에 부착하여 악세사리를 제작하는 것은 균일한 제품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없을 뿐 아니 라, 제작된 디자인 상태가 불균일하고 고급스럽지 않게 되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감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디자인을 갖는 악세서리를 소량 생산하는데 제조상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고급스럽고 미려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안정된 품질의 악세사리를 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여러 가지 소재의 원단을 손쉽게 띠형으로 절단 가공하도록 하고, 절단된 원단을 이용하여 악세서리 몸체에 접착제 없이 감싸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급스러운 품질의 제품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악세사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단을 띠형으로 절단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절단 수단에 의해 자동 연속으로 절단하도록 하여 절단 작업 효율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하고, 절단된 띠형 원단을 몸체에 다양한 형태로 감싸는 방법들에 의하여 악세서리 몸체의 외면에 입체적인 형태의 장식 디자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면서 정교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는 악세사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 크기를 갖는 원단을 소정 폭의 띠형으로 연속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 전체에 절단 라인을 측정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원단에 측정된 절단 라인을 따라 절단 수단에 의해 띠형 원단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띠형 원단 단부를 악세서리의 몸체 일측에서 부터 시작하여 상기 몸체 외면 전체를 감싸는 제3공정과; 상기 띠형 원단의 시작부 및 끝단부를 접착 고정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합성수지를 주로 사용하게 되며, 다르게는 목재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단 수단은 레이저 컷팅기로 이루어져서, 컴퓨터의 제어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원단을 길이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속 절단하여 상기 띠형 원단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저 컷팅기에 의한 대부분의 원단의 절단면은 일부 특수한 원단을 제외하고는 그 절단면이 순간적인 레이저에 의한 열처리가 됨으로써 원단 절단면의 직조 상태가 풀리지 않고 깔끔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 컷팅기에 의한 절단 라인은 직선 형태 뿐만아니라 파형 또는 지그재그형 등 컴퓨터 제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절단 라인으로 원단을 띠형으로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컷팅기에 의하면 상기 원단에 제1공정 후 절단 라인 사이에 필요에 따라 목적하는 내부디자인을 레이저가공 한 다음에 제2공정을 거쳐 띠형 원단으로 레이저 절단 가공할 수 있어서, 원단 내부에 레이저 가공되어 표현되는 무늬선에 의해 미려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 수단은 공지의 열선 컷팅기 또는 커팅 롤러 가공기로 이루 어질 수 있는데, 이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 절단된 면이 양호한 절단 수단을 선택하여 띠형으로 절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공정을 거친 다음, 상기 띠형 원단을 상기 몸체 외면 전체를 나선형으로 감아 감싸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띠형 원단을 사용하여 악세서리 몸체 전체를 접착제 필요 없이도 용이하게 감싸도록 하며, 나선형 타입의 입체적인 장식 디자인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다른 형태로서 상기 띠형 원단을 상기 몸체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을 때, 상기 악세서리 몸체 외측면에서 복수의 장식매듭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나선형 타입의 디자인을 더욱 다양한 형태로 변화된 장식 디자인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공정을 거친 다음, 상기 띠형 원단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서로 교차하여 엮은 다음 상기 몸체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띠형 원단의 교차되어 형성되는 매듭 구조에 의하여 보다 더 입체적고 미려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공정을 거친 다음, 악세사리 몸체(11)를 굴곡 성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악세서리 몸체 외면에 띠형의 원단을 감을 때 작업성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악세서리 몸체를 곡선형으로 변형하기 전 직선 형태에서 띠형 원단을 감은 다음 곡선 형태로 굴곡 성형 처리함으로써 띠형 원단을 감는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크기를 갖는 원단을 소정 폭의 띠형으로 연속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 전체에 절단 라인을 측정하는 제1공정과; 상기 원단에 측정된 절단 라인을 따라 절단 수단에 의해 절단 가공하여 띠형 원단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띠형 원단 단부를 악세서리의 몸체 일측에서 부터 시작하여 상기 몸체 외면 전체를 감싸는 제3공정과; 상기 띠형 원단의 시작부 및 끝단부를 접착 고정하는 제4공정에 의해, 악세서리 몸체의 외면에 자동 절단된 띠형의 원단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감는 방법에 의해 감싸도록 한 다음, 그 양단부에만 접착 고정함으로써 입체적인 표면 디자인 및 외곽을 미려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별도의 접착 과정이나 후 가공이 필요 없게 된다.
그리고, 띠형 원단을 감는 방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감을 수 있어서 띠형 원단이 이루는 입체적이고 미려하면서도 고급스러운 품질의 디자인을 제공하면서 띠형 원단의 서로 엮인 구조에 의해 악세서리 몸체 외면에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감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소정 크기를 갖는 원단(1)을 소정 폭의 띠형으로 연속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1) 전체에 절단 라인(2)을 설정하는 제1공정(10)과; 상기 절단 라인(2)을 따라 절단 수단에 의해 띠형 원단(3)을 형성하는 제2공정(20)과; 상기 띠형 원단(3) 단부를 악세서리의 몸체(5) 일측에서 부터 시작하여 상기 몸체(5) 외면 전체를 감싸는 제3공정(30)과; 상기 띠형 원단(3)의 시작부 및 끝단부를 접착 고정하는 제4공정(4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상기 원단(1)은 대부분 각종 섬유로 이루어지는데 합성섬유를 비롯한 각종 직물이 적용될 수 있으며, 악세사리의 디자인이나 특성에 맞게 가죽이나 비닐 등 상기 절단 수단에 의해 절단 가공이 가능한 어떠한 재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절단된 띠형 원단(3)은 악세서리 몸체(5)에 감길 수 있는 연성을 갖는 소재의 원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단 수단은 원단(1)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상기 절단 라인(2)의 패턴에 따라 디자인하고자 하는 악세서리에 적용할 띠형 원단(3)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그 절단 라인(2)의 패턴을 설정하여 절단하는 작업 형태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여러 종류의 절단 수단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기 절단 수단의 일례로서 레이저 컷팅기(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레이저 컷팅기(8)는 컴퓨터(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절단 라인(2)을 따라 원단(1)을 길이 방향으로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으므로 띠형 원단(3)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컷팅기(8)에 의한 절단 라인(2)은 직선 형태 뿐만아니라 파형 또는 지그재그형 등 컴퓨터 제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의 절단 라인(2)으로 원단(1)을 띠형으로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다양한 디자인을 요구하는 악세서리 제품 생산에 있어서 절단 작업으로 인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며, 띠형 원단(3)의 디자인도 다양한 절단 라인(2)을 갖는 모양으로 소량 생산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특유의 제조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컷팅기(8)에 의한 대부분의 원단(1)의 절단면은 일부 특수한 원단을 제외하고는 그 절단면이 레이저에 의해 순간적으로 열처리가 됨으로써 원단(1) 절단면의 직조 상태가 풀리지 않게 처리되어 깔끔한 절단면을 갖는 띠형 원단(3)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이저 컷팅기(8)를 적용하여 띠형 원단(3)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원단(1)에 제1공정(10) 후 절단 라인(2) 사이에 필요에 따라 목적하는 내부디자인을 레이저가공 다음에 제2공정(20)을 거쳐 띠형 원단(3)으로 레이저 절단 가공할 수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단(1) 내부에 레이저 가공되어 표현되는 무늬선(51)에 의해 더욱 더 다양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절단 수단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저 컷팅기(8) 뿐아니라 공지의 열선 컷팅기(미도시) 또는 커팅 롤러 가공기(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원단의 종류가 너무 많고 그 소재도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원단을 레이저 컷팅기에 의해서 띠형 원단(3)을 형성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원단의 소재나 형태에 따라 상기한 열선 컷팅기 및 커팅 롤러 가공기 중에서 적합한 절단 가공기를 선택하여 띠형 원단(3)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악세서리 몸체(5)는 합성수지판,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진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하 실시예의 각 공정에 대란 설명에서는 헤어밴드의 형태에 적용된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각 공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8은 각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제1공정(10)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소정 크기의 원단(1)을 악세서리 몸체(5)의 폭에 감기 적당한 소정의 폭을 갖는 띠형 원단(3)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라인(2)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절단 라인(2)의 설정은 원단(1)에 직접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절단 수단으로서 레이저가공기(8)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이저 컷팅기(8)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미도시함)에서 레이저 컷팅기(8)와 일치하는 좌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그 기준점을 시작으로 하여 소정의 폭으로 절단 라인(2)을 컴퓨터 상에서 설정해 주면 레이저 컷팅기(8)가 설정된 절단 라인을 따라 원단(1)을 띠형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절단 라인(2)을 임의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공정(20)에서는 컴퓨터 상에서 설정된 절단 라인(2)의 데이터에 의해 레이저 컷팅기(8)가 절단 라인(2)을 따라 작업대(9) 위에 놓여진 원단(1) 을 자동적으로 띠형 원단(3)을 연속 절단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절단 라인(2)은 보통 직선 형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 원단(3)의 절단 라인(2) 모양을 연속된 파형 모양이나 절곡 모양으로 컴퓨터 상에서 절단 패턴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임의의 절단 라인을 갖도록 재단 디자인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 원단(3)의 표면에 소정 패턴의 내부 디자인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단라인(2) 사이에 장식무늬선(51)을 형성하여 다양하고 화려한 패턴으로 내부디자인을 하여 레이저 가공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띠형 원단(3)의 절단 라인(2)과 내부 디자인을 레이저 컷팅기(8)에 의하여 절단 작업과 동시에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단순한 직선 형태의 절단 라인(2)을 갖는 띠형 원단(3) 뿐만 아니라 악세서리의 디자인에 적합하게 띠형 원단(3)의 절단 라인(2)을 여러 가지 형태로 절단 및 표면 가공 동시에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3공정(30)에서는, 제2공정(20)에서 마련된 띠형 원단(3)을 이용하여 악세서리 몸체(5)의 일측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몸체(5)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하는 과정이다.
제3공정(30)은 종래와 같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띠형 원단(3)이나 악세서리 몸체(5) 일면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방법으로 감싸도록 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단된 띠형 원 단(3)의 일단부를 악세서리 몸체(5)의 일측에서부터 감기 시작한 다음 띠형 원단(3)을 나선형 방향으로 감아 악세서리 몸체(5) 외면 전체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제4공정(40)으로서, 띠형 원단(3)의 시작 단부와 끝단부는 몸체(5)와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나선형으로 감싸진 띠형 원단(3)이 악세서리 몸체 전체에 감겨져 있는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로 감겨져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악세서리 몸체(5)가 직선형인 경우와 헤어밴드처럼 곡면으로 이루어진 몸체(5)에 띠형 원단(3)을 감는 과정을 일례로서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상기와 같이 띠형 원단(3)을 나선형으로 감는 방법에 의해 직선형 및 곡선형 악세서리 몸체(5)에 감아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띠형 원단(3)의 양단부가 접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띠형 원단(3)의 각 단부의 접착 고정 상태가 외관상으로 미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재질의 원단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마감캡(11) 등을 끼우거나 감싸서 그 접착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깔끔하게 마감 처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3공정(3)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띠형 원단(3)을 상기 몸체(5)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을 때 몸체(5) 외측면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번 또는 두 번 꼬은 다음 나선형 방향으로 감는 방식으로 장식 매듭부(7)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띠형 원단(3)을 이용하여 몸체(5) 외면에 단순하게 감는 형태 를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로 응용하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악세서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또다른 형태의 악세서리 디자인 변화를 주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2공정(20)을 거친 다음, 상기 띠형 원단(3)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서로 엇갈리게 교차하여 엮은 다음 악세서리 몸체(5) 외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10에 도시된 사시 사진과 같이 서로 다른 패턴의 띠형 원단(3)을 서소로 엇갈리게 교차하여 엮은 띠형 원단(3)을 악세서리 몸체(5)에 감싸는 방식이다.
이때에도, 서로 엮은 띠형 원단(3)은 종래와 같이 몸체의 외면에 접착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지만,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선형 방향으로 각각의 서로 다른 띠형 원단을 기존의 매듭 방식 등을 이용하여 몸체(5) 외면에 감아 다양한 형태로 미려한 장식 디자인 효과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4공정(40)을 거친 다음 악세서리 몸체(5)를 굴곡 성형하여 악세서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는 악세서리 몸체(5)가 굴곡되어 이루어진 몸체(5)의 경우 곡선 형태의 몸체에 띠형 원단을 감는 작업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직선 상태의 악세서리 몸체(5)의 외면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띠형 원단(3)을 외면 전체에 나선형으로 감아 그 양단부를 접착 고정시킨 다음, 별도의 열가공 또는 밴딩 가공에 의하여 띠형 원단(3)이 감겨져 완성되어 있는 악세사리 몸체(11)를 절곡 성형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에 의한 악세사리의 제작에 따라 악세사리의 디자인을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되고, 띠형 원단 감긴 상태도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종래와 같이 원단을 접착한 이후에 별도의 손질 작업이 필요 없으며, 원단이 폭과 절단 라인을 악세사리 디자인 형태에 맞게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악세서리 몸체에 맞에 일일이 절단하고 접착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피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띠형 원단에 의한 입체적인 디자인을 갖는 제품의 공급이 가능하여 보다 고급화할 수 있는 악세사리의 제조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서 상기의 악세사리를 헤어밴드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헤어밴드, 헤어클립, 리본, 브로우치, 버클, 목걸이, 넥타이핀 및 기타 의류나 가방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악세사리 및 그 관련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형상에 관계없이 모든 형태의 악세사리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공정의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및 제2공정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띠형 원단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공정의 일실시예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공정의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공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악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공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악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원단 2 ; 절단 라인
3 ; 띠형 원단 5 ; 악세서리몸체
7 ; 장식매듭부 8 ; 레이저가공기
9 ; 작업대 11 ; 마감캡

Claims (9)

  1. 원단(1)을 띠 형상으로 연속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1) 전체에 절단 라인(2)을 설정하는 제1공정(10)과;
    상기 절단 라인(2)에 따라 절단 수단에 의해 상기 원단(1)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띠형 원단(3)을 형성하는 제2공정(20)과;
    상기 띠형 원단(3)을 악세서리의 몸체(5) 일측으로부터 상기 몸체(5)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제3공정(30)과;
    상기 띠형 원단(3)의 단부를 접착 고정하고 건조하는 제4공정(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은 레이저 컷팅기(8)로 이루어져서, 컴퓨터의 제어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절단 라인(2)을 따라 상기 원단(1)을 절단하여 상기 띠형 원단(3)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은 공지의 열선 컷팅기로 이루어져서, 상기 원단(1)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소정 폭을 갖는 상기 띠형 원단(3)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은 공지의 커팅 롤러 가공기로 이루어져서, 상기 원단(1)이 상기 커팅 롤러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소정 폭을 갖는 상기 띠형 원단(3)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제조방법.
  5.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10)을 거친 다음, 상기 절단 라인(2) 사이에 내부디자인을 레이저 가공하는 공정(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20)을 거친 다음, 상기 띠형 원단(3)을 상기 몸체(5) 외면 전체를 나선형으로 감아 감싸는 공정(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원단(3)을 상기 몸체(5)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을 때, 상기 몸체(5) 외측면에서 복수의 장식매듭부(7)가 형성되도록 하여 감싸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20)을 거친 다음, 상기 띠형 원단(3)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서로 교차하여 엮은 다음 상기 몸체(5)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하는 악세서리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40)을 거친 다음, 악세사리 몸체(5)를 굴곡 성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제조방법.
KR1020070077640A 2007-08-02 2007-08-02 악세사리 제조방법 KR20090013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640A KR20090013477A (ko) 2007-08-02 2007-08-02 악세사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640A KR20090013477A (ko) 2007-08-02 2007-08-02 악세사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477A true KR20090013477A (ko) 2009-02-05

Family

ID=4068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640A KR20090013477A (ko) 2007-08-02 2007-08-02 악세사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4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641B1 (ko) * 2019-12-11 2020-04-14 (주)익산체인 수치제어 방식의 주얼리용 와이어 절곡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641B1 (ko) * 2019-12-11 2020-04-14 (주)익산체인 수치제어 방식의 주얼리용 와이어 절곡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7854B1 (en) Bendable fabric-covered rod-like device
US20200337401A1 (en) Continuous strand having water washability and separability during curling process and comprising filaments bonded to each other by thermal surface bonding, wet look wig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65168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astic hair fasteners
CN101801230A (zh) 装饰用棒状体以及其制造方法
KR20090013477A (ko) 악세사리 제조방법
Fisch Textile techniques in metal: for jewelers, textile artists & sculptors
KR101121835B1 (ko)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JP3166844U (ja) 紙紐
JP3153913U (ja) 多目的装身具
US20070234468A1 (en) No Sew Scarf and Fashion Accessory
KR101321214B1 (ko) 붙임머리 제조방법
TWM595050U (zh) 纏花飾品結構
US201300055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w making
KR100296615B1 (ko) 반짝이를포함하는악세사리의장식면구조및그제조방법
JP3213576U (ja) リボン飾り
JP3089123U (ja) 保形性を有する毛皮製襟及び毛皮製襟巻き
JP2019044310A (ja) リボン飾り
US2063299A (en) Trimming
JP4203088B2 (ja) 帯結び方法
KR200224614Y1 (ko) 머리장식용 머리끈
KR960009943Y1 (ko) 가구 장식용 장식띠
JP2017082358A (ja) 造花と造花の製作方法、造花を用いた装飾品
KR19980055753U (ko) 모피 원단
KR101219085B1 (ko)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
KR100829852B1 (ko) 반짝이가 장식된 피혁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29

Effective date: 200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