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835B1 -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835B1
KR101121835B1 KR1020110071697A KR20110071697A KR101121835B1 KR 101121835 B1 KR101121835 B1 KR 101121835B1 KR 1020110071697 A KR1020110071697 A KR 1020110071697A KR 20110071697 A KR20110071697 A KR 20110071697A KR 101121835 B1 KR101121835 B1 KR 10112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heath
manufacturing
accessor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문
Original Assignee
황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문 filed Critical 황영문
Priority to KR102011007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탄성 프레임의 외부에 직물 등의 원단외피를 감싼 악세사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성 프레임을 소정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원단외피를 구성할 직물을 소정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재단된 원단외피의 한쪽 면을 코팅 처리하는 단계; 코팅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판상의 원단외피를 롤링툴을 이용하여 원형으로 성형하는 단계; 원형으로 롤링된 원단외피의 양 측단부 외면에 원단내피를 접착하여 관상의 원단외피를 구성하는 단계; 및 원단내피가 안쪽에 위치하도록 양 측단이 상호 접착된 관상의 원단외피 내부에 탄성 프레임을 삽입하고, 원단외피의 양 끝단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원단내피 접착 단계는, 롤링툴에 판상의 원단외피와 한쪽면에 양면테이프을 갖는 원단내피를 함께 공급하여 원단외피의 롤링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원단내피는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큰 스웨이드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탄성프레임의 외부에 원단외피를 감싸주는 형태의 악세사리를 매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Accessor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헤어밴드(hair band)나 팔찌 등과 같은 악세사리 및 그 악세사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 프레임의 외부에 직물 등의 원단외피를 덧씌운 형태의 악세사리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악세사리는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장신구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로서 헤어밴드는 호(弧)형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양 단부를 벌려서 머리에 착용함으로써 머리가 앞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외측면에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 또는 소위 반짝이 등의 장식을 부가하여 깔끔하면서도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성용 장신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헤어밴드는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제공되어 있는데, 주로 합성수지제 프레임에 여러 가지 장식을 부가한 형태의 것이나, 또는 판스프링과 같은 금속 프레임의 외부에 직물 등의 원단외피를 씌워 장식을 부가한 형태의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합성수지제 헤어밴드의 경우 다양한 형성에 의해서 그 자체만으로도 미려한 외관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어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나, 금속 프레임을 원단외피로 감싸주는 구성의 헤어밴드는 그 구조적 특성상 제작이 상당히 번잡할 수밖에 없다.
즉, 금속 프레임을 이용하는 헤어밴드의 경우에는 예컨대 판스프링을 원호형으로 성형하여 프레임을 제작하고, 직물을 소정크기로 재단한 원단외피로 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준 뒤, 프레임의 안쪽면에서 원단외피의 양 측단부를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접착한다.
그리고 원단외피의 양쪽 선단부를 직접 접착제로 접합하고, 원단외피가 씌워진 내측면에 원단외피와 동일재질의 마감재를 접착함으로써 금속 프레임의 노출을 차단하고 있다.
또, 원단외피가 씌워진 내측면에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계수가 큰 스웨이드원단을 덧붙이거나, 양쪽 단부를 별도의 원단마감재 즉, 원단내피로 접착하여 처리하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의 금속 프레임 헤어밴드는 수작업에 의존하는 제조공정이 대단히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생산성은 낮으면서 코스트는 증가하는 등 제조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특히, 많은 접착공정으로 인해 불량 발생율도 높고, 호형의 헤어밴드 내측면에 얇은 띠상의 마감재를 접착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 중 접착부위가 쉽게 박리되는 등 품질을 담보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탄성 프레임을 원단외피로 감싸주는 형태의 악세사리 제조에 있어, 접착공정을 최소화하고 탄성 프레임의 외부에 원단외피를 간편하게 덧씌워 줌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단내피의 접착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박리현상도 최대한 억제되어 양호한 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악세사리 제조방법은, 탄성 프레임을 밴딩 성형하여 이 탄성밴드의 외부에 직물 등의 원단외피를 감싼 악세사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단외피를 구성할 직물을 목적하는 디자인으로 재단하는 단계; 판상의 상기 원단외피의 양 측단을 롤링툴을 이용하여 감아 올려서 성형하는 단계; 롤링된 상기 원단외피의 양 측단부 외면에 원단내피를 접착하여 원단외피를 튜브 형태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내피가 안쪽에 위치하도록 양 측단이 상호 접착된 상기 관상의 원단외피 내부에 상기 탄성 프레임을 삽입하고, 원단외피의 양 끝단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원단내피 접착 단계는, 롤링툴에 판상의 원단외피와 한쪽면에 접착면을 갖는 원단내피를 함께 공급하여 원단외피의 롤링과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공정을 단축시키고 용이한 원단내피 접착을 달성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원단내피는 악세사리가 접촉하는 피부와의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도록 스웨이드 원단과 같은 마찰계수가 큰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악세사리 제조방법에 의하면, 원단외피를 관 형태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 판스프링 등을 원호형으로 성형한 탄성 프레임을 삽입한 후 원단외피의 양 끝단만 접착해주면 되므로 탄성 프레임을 원단외피로 감싸주는 형태의 악세사리를 제조함에 있어 접착공정이 최소화됨은 물론 매우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악세사리의 안쪽에 부착되는 원단내피가 원단외피를 탄성프레임에 조립하기 전 원단외피의 롤링과 동시에 접착되기 때문에 원단내피의 접착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박리현상도 최대한 억제되어 양호한 품질을 보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악세사리의 신뢰성 및 생산성 향상과 상품성 제고 및 원가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어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밴드 제조방법의 탄성프레임 성형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어밴드 제조방법의 원단외피의 재단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단외피 롤링 및 원단내피의 접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4의 Ⅴ를 따라 취한 롤링툴의 발췌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원단외피와 탄성프레임의 조립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헤어밴드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헤어밴드 제조방법은 예컨대 원호형의 탄성프레임 외부를 직물 등의 원단외피로 감싸준 형태의 헤어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단계(10)에서 탄성프레임(2)을 제작한다. 탄성프레임(2)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절단된 띠상의 판스프링(2a)을 프레스 성형하여 원호형으로 구성한다.
이 때, 탄성프레임(2)의 양 선단부에는 헤어밴드의 용이한 착용을 안내하기 위해 외측 방향으로 각각 벤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탄성프레임(2)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판스프링(2a)에 국한되지 않고 합성수지를 원호형으로 성형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단계(30)에서 탄성프레임(2)의 외부를 감싸주기 위한 원단외피(4)를 준비하여 재단하게 되는데, 원단외피(4)는 다양한 형태의 직물이 사용된다. 원단외피(4)는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물(4a)을 탄성프레임(2)을 감싸줄 수 있는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재단하게 되는데, 이 때 전 단계(20)로서 원단의 종류에 따라 원단의 강성이나 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단외피(4)의 한쪽 면에 롤링이나 스프레이 방법 등에 의해 코팅 처리한다.
원단외피(4)의 코팅처리는 자체 탄성이 거의 없어 형태 유지가 곤란한 플렉시블한 원단외피(4)에 어느 정도의 강성을 부여하여, 후술하는 원단외피(4)의 롤링 시 원단외피(4)가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단계(40)에서 한쪽면이 코팅처리된 띠상의 원단외피(4)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링툴(T)을 이용하여 튜브 형태로 성형한다. 여기서, 원단외피(4)는 롤링툴에 의해 양 측단이 접혀지면서 그 접혀지는 내측면에 후술하는 원단내피(5)의 접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롤링툴(T)은 띠상의 원단외피(4)가 통과하면서 그 양 측단이 점진적으로 각각 상방으로 말아올라 가도록 유도하는 롤링가이드(G)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롤링가이드(G)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외피(4)가 진입하는 입구의 높이는 낮고 폭은 넓은 반면, 출구쪽으로 갈수록 높이는 점차 높아지면서 폭은 좁아지는 구성을 가지며, 안정된 롤링을 위해 출구단이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다.
그리고 롤링가이드(G)의 출구단 상부에는 바람직하기로 원단내피(5)를 동시에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슈트(S)가 함께 구비된다. 이 가이드슈트(S)는 원단내피(5)가 장방형의 원형으로 롤링되어 배출되는 원단외피(4)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적절히 경사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띠상의 원단외피(4)을 롤링툴(T)의 롤링가이드(G)에 통과시키게 되면, 코팅처리에 의해 일정한 강성을 갖게 된 원단외피(4)의 양 측단부가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접착 폭이 좁아지는 롤링가이드(G)에 의해 상방으로 말아 올라가면서 장방형의 원형으로 롤링된다.
이 때, 원단외피(4)의 코팅처리된 면이 롤링된 상태에서 안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코팅면을 위로 하여 롤링가이드(G)에 통과시킨다. 이는 완성된 헤어밴드(1)에서, 외부로 드러난 원단외피(4)의 외측면이 직물 그대로의 질감을 갖게 하면서도 롤링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롤링가이드(G)의 출구단에 의해 양 측단이 맞닿은 상태로 완전히 롤링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롤링되어 배출되는 원단외피(4)의 양 측단부 외면에 단계(50)에서 원단내피(5)를 접착함으로써 원단내피(5)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튜브형 원단외피(4)를 구성한다.
원단내피(5)는 그 한쪽면에 접착제(6)가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링툴(T)의 가이드슈트(S)에 띠상의 원단외피(4)와 동시에 공급됨으로써 별도의 공정없이 원단외피(4)의 롤링과 하나의 공정으로 원단내피(5)의 부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제(6)는 핫멜트로 이루어져서 상기 롤링툴(T)을 통과하여 열 압착에 의해 원단외피(4)와 원단내피(5)가 접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다르게는 양면테이프에 의한 점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단내피(5)는 원단외피(4)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헤어밴드(1)를 착용하였를 때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스웨이드 원단과 같은 마찰계수가 큰 원단으로 구성된다.
다음, 단계(60)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단내피(5)가 부착되어 있는 튜브 형태의 원형 원단외피(4)의 내부에 원호형으로 성형된 탄성 프레임(2)을 삽입한다. 이 때, 원단내피(5)가 헤어밴드(1)의 안쪽면에 위치하도록 탄성프레임(2)을 끼워 넣는다.
도면에서 탄성 프레임(2)의 단부는 절곡되어 있는데, 원단외피(4)를 끼울 때에는 탄성 프레임(2)의 단부를 곧게 펴서 끼우게 된다.
그리고 원형 원단외피(4)의 양 끝단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마감하여 탄성프레임(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데, 특히 원단외피(4)의 양 끝단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한 다음 그 단부를 오려내는 것에 의해 미려한 마감이 이루어지게 되고, 단부가 쉽게 풀어지거나 벌어지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헤어밴드 조립방법은, 원단외피(4)를 관 형태로 구성한 뒤 그 내부에 탄성프레임(2)을 끼워주고 양 끝단을 마감하는 것만으로 헤어밴드(1)를 제작할 수 있는 바, 원단외피를 탄성프레임에 일일이 감아 접착한 뒤 원단내피를 부착하는 종래에 비해 공정도 간소화되면서 매우 용이하게 헤어밴드(1)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원단외피(4)가 종래와 달리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지 않고, 원단내피(5)에 의해 접착될 뿐 아니라, 원단내피(5)의 부착이 원단외피(4)의 롤링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접착공정이 줄어들어 접착부의 노출이나 박리 등 불량 발생의 우려도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과 품질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의 공정에 있어서 단계(60)의 공정에 변화를 가할 수 있는 바, 원단내피(5)가 외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탄성프레임(2)을 끼울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단내피(5)의 노출면 즉 비접착면이 결국 헤어밴드의 외부로 노출되어 장식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원단내피(5)의 비접착면에 반짝이 등과 같은 장식면이 형성되는 경우가 그에 해당한다.
이렇게 반짝이와 같은 장식물질이 더 포함되어 있는 원단의 경우에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접착력이 제대로 유지되기 어려워서 상기와 같이 원단외피를 반짝이원단으로 할 경우에는 반짝이면과 원단내피와의 접착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상기와 같이 원단내피(5)를 반짝이원단으로 할 경우에는 원단외피와의 접착에 문제가 없어서 용이하게 튜브 형태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튜브 형태의 원단을 제1실시예와 반대로 뒤집어서 즉, 원단내피(5)가 헤어밴드의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탄성프레임(2)을 끼워서 헤어밴드를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헤어밴드 뿐만 아니라 머리를 묶는 밴드나 팔찌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헤어밴드 2: 탄성 프레임
4: 원단외피 5: 원단내피
T: 롤링툴 G: 롤링가이드
S: 가이드슈트

Claims (9)

  1. 프레임을 성형하여 이루어진 밴드의 외부에 직물 등의 원단외피를 감싼 악세사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단외피를 구성할 직물을 목적하는 디자인으로 재단하는 단계;
    판상의 상기 원단외피의 양 측단을 롤링툴을 이용하여 감아 올려서 성형하는 단계;
    롤링된 상기 원단외피의 양 측단부 외면에 원단내피를 부착하여 원단외피를 튜브 형태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내피가 안쪽에 위치하도록 양 측단이 상호 접착된 상기 튜브상의 원단외피 내부에 상기의 성형된 프레임을 삽입하고, 원단외피의 양 끝단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외피는 재단하기 전에 원단외피의 내측면을 코팅하여 강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내피 접착 단계는, 상기 롤링툴에 판상의 원단외피와 한쪽면에 접착제를 갖는 원단내피를 함께 공급하여 원단외피의 롤링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제조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단내피의 내측면에는 핫멜트나 양면테이프가 선택적으로 접착되어 있어서, 원단외피와의 합치 후에 열 압착에 의해 원단외피와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제조방법.
  5. 프레임을 성형하여 이루어진 밴드의 외부에 직물 등의 원단외피를 감싼 악세사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단외피를 구성할 직물을 목적하는 디자인으로 재단하는 단계;
    코팅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판상의 상기 원단외피의 양 측단을 롤링툴을 이용하여 감아 올려서 성형하는 단계;
    롤링된 상기 원단외피의 양 측단부 외면에 원단내피를 접착하여 관상의 원단외피를 튜브 형태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내피가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양 측단이 상호 접착된 상기 튜브상의 원단외피 내부에 상기의 성형된 프레임을 삽입하고, 원단외피의 양 끝단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단내피는 비접착면에 반짝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제조방법.
  7. 탄성 밴드의 외부에 직물 등의 원단외피를 감싼 악세사리에 있어서,
    상기 원단외피가 관 상으로 감겨지고 그 접합 부분에 원단내피가 부착되어 전체적으로 튜브 형태를 이루며, 이러한 원단외피의 내부에 탄성 밴드가 끼워지고, 원단외피의 양 단부가 접착 처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8. 탄성 밴드의 외부에 직물 등의 원단외피를 감싼 악세사리에 있어서,
    상기 원단외피는 코팅면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관 상으로 감겨지고 그 접합 부분에 원단내피가 부착되어 전체적으로 튜브 형태를 이루며, 이러한 원단외피의 내부에 탄성 밴드가 끼워지고, 원단외피의 양 단부가 접착 처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내피가 튜브의 바깥면으로 되어 장식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KR1020110071697A 2011-07-19 2011-07-19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97A KR101121835B1 (ko) 2011-07-19 2011-07-19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97A KR101121835B1 (ko) 2011-07-19 2011-07-19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835B1 true KR101121835B1 (ko) 2012-03-21

Family

ID=4614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697A KR101121835B1 (ko) 2011-07-19 2011-07-19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932B1 (ko) 2012-03-28 2014-02-05 유응렬 악세서리 마스크 구조체
WO2024106629A1 (ko) * 2022-11-16 2024-05-23 이씨엠테크 주식회사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70A (ko) * 1993-07-16 1995-02-16 차창락 헤어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82027A (ko) * 1998-08-17 1998-11-25 김웅철 헤어밴드의 제조방법
KR200230096Y1 (ko) 2000-12-04 2001-07-03 조지호 헤어밴드
KR200230113Y1 (ko) 2000-12-08 2001-07-03 김병태 복합소재형 머리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70A (ko) * 1993-07-16 1995-02-16 차창락 헤어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82027A (ko) * 1998-08-17 1998-11-25 김웅철 헤어밴드의 제조방법
KR200230096Y1 (ko) 2000-12-04 2001-07-03 조지호 헤어밴드
KR200230113Y1 (ko) 2000-12-08 2001-07-03 김병태 복합소재형 머리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932B1 (ko) 2012-03-28 2014-02-05 유응렬 악세서리 마스크 구조체
WO2024106629A1 (ko) * 2022-11-16 2024-05-23 이씨엠테크 주식회사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9666B2 (ja) 自己粘着性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を頭部毛髪に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
US6701532B1 (en) Elastic fashion accessory band
US20070157944A1 (en) Hair weft product and method of use
US20130133680A1 (en) Hair extension system and method
KR20080098974A (ko) 장식용 헤어피스
US20200121012A1 (en) Hair extension and manufacturing & attaching method of the same
US5697387A (en) Interchangeable decorative article
US20090272396A1 (en) Scalp Hair Strand/Supplemental Hair Fiber Strand Attachment Structure and Method
KR101121835B1 (ko)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US9572656B2 (en) Skin wef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801230A (zh) 装饰用棒状体以及其制造方法
CA2771945C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air extensions
KR200464193Y1 (ko) 머리끈
US20170273381A1 (en) Non-glue pure-hair-line hair welf
KR200454674Y1 (ko) 헤어밴드
WO2009128595A1 (en) Hair extension instru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644776A (en)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fabric covered rods
KR200460226Y1 (ko) 헤어 쥬얼리 장신구
CN213074759U (zh) 一种方便拆装的单链式手链
KR102357746B1 (ko) 헤어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164254Y1 (ko) 악세사리 부착용 홀더(a holder for attachment the accessories)
CN204796814U (zh) 服饰夹子
KR960003602B1 (ko) 헤어밴드 및 그 제조방법
US6779237B1 (en) Necklac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193551Y1 (ko) 망사 악세사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