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284A -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284A
KR20090013284A KR1020070077261A KR20070077261A KR20090013284A KR 20090013284 A KR20090013284 A KR 20090013284A KR 1020070077261 A KR1020070077261 A KR 1020070077261A KR 20070077261 A KR20070077261 A KR 20070077261A KR 20090013284 A KR20090013284 A KR 20090013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ntrol
time
target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연
신영규
안병찬
Original Assignee
안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찬 filed Critical 안병찬
Priority to KR102007007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284A/ko
Publication of KR2009001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외부의 제어대상장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재생장치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동영상 서버, 특정 동영상에 관한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동영상 재생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어프로토콜 서버, 동영상 재생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제어대상장치 및, 동영상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동영상이 재생되면, 제어프로토콜 리스트 중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어프로토콜을 제어대상장치로 전송하여 제어대상장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동영상 재생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by digital moving picture}
본 발명은 인터넷으로 실시간 서비스되는 디지털 동영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동시에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진이나 음악 등의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들이 요즘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동영상이다. 기존에도 아날로그 녹화방식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가 존재하였지만, 최근 동영상 서비스가 디지털화되면서 많은 장르의 영상물들이 제작되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싸이트(Internet streaming service site) 또는 DVD 타이틀로 배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UCC(User-Created Contents) 열풍이 불면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쉽게 동영상을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다. 그만큼 디지털 동영상은 우리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인 미디어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동영상이 널리 보편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동영상이 생겨난 후 오랜 시간 동안 컴퓨터 모니터를 통한 시각 또는 청각만을 이용하는 서비스에서 크게 진보하지 못하였다. 물론 많은 연구들이 3D 디스플레이나 냄새 까지 전달하는 미디어를 개발하면서 현실화에 앞장서고 있지만, 이러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크기나 비용 효율성 면에서 현실적이지 못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현재의 플랫폼(platform), 즉 디지털 동영상을 제공하는 여러 기기들에 많은 확장을 가하지 않고도, 동영상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이 가능하다면 기존의 디지털 동영상 컨텐츠를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즐거움을 줄 수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재미있는 동영상을 보면서 그 영상에 나오는 캐릭터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같은 모양의 캐릭터 인형이 동기화되어 움직이는 서비스, 지금 보고 있는 영화의 분위기에 따라 마루의 조명들이 제어되는 서비스, 또는 과외 동영상에서 선생님이 즉석에서 내어주는 문제를 사용자가 가진 개인 단말기로 직접 풀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디지털 스트리밍 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외부장치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다운받고,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해당 프레임에 대해 정해진 제어프로토콜을 외부장치로 전달하여 외부장치를 서비스 제공자가 의도하는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영상 재생장치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동영상 서버, 특정 동영상에 관한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동영상 재생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어프로토콜 서버, 동영상 재생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제어대상장치 및, 동영상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동영상이 재생되면, 제어프로토콜 리스트 중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어프로토콜을 제어대상장치로 전송하여 제어대상장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동영상 재생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동영상 서버는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동영상 저장부, 동영상 저장부의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코딩부, 동영상 저장부의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오디오 코딩부, 비디오 코딩부와 오디오 코딩부에서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패킷화하는 패킷화부, 패킷화부에서 패킷화된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 세션을 관리하는 제1세션 제어부 및, 동영상 재생장치로 동영 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영상 서버는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영상 재생장치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장치는 동영상 서버로부터 동영상을 받아 역패킷화하고 이를 비디오 디코딩부와 오디오 디코딩부로 전달하는 역패킷화부, 역패킷화된 동영상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딩부, 역패킷화된 동영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동영상 서버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 중 재생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시간 비교부에 전달하는 제2세션 제어부, 제어프로토콜 서버로부터 동영상의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대상장치를 특정 시간에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시간 비교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대상장치의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대상장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어프로토콜 수신부, 제2세션 제어부로부터 받은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시간 정보와 상기 제어프로토콜 수신부로부터 받은 제어대상장치를 특정 시간에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해당 시간 정보를 제어대상장치 제어부에게 전송하는 시간 비교부 및, 시간 비교부로부터 수신한 일치하는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 제어신호를 제어대상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대상장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세션 제어부의 시간 정보는 동영상의 전체 러닝 타임(running time) 중 현재 재생되고 있는 패킷의 타임 스탬프(time stamp) 값이고,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구현되고, 각 제어프로토콜은 동기 아이디 정보, 시간 정보, 제어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어대상장치는 캐릭터 인형일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대상장치는 동영상 재생장치와 실시간으로 통신을 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캐릭터 인형을 움직이기 위한 모터, LED 및,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와 LED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동영상 재생장치가 동영상 서버 및 제어프로토콜 서버에 실시간 동영상 재생을 요청하는 단계, 동영상 재생장치가 동영상 서버와 제어프로토콜 서버로부터 동영상 및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전송받는 단계, 동영상 재생장치에서 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재생되면서, 현재 재생되는 패킷의 시간 정보와 제어프로토콜 리스트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시간 정보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동영상 재생장치는 일치하는 시간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어대상장치가 제어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제어대상장치는 캐릭터 인형이거나, 전등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동영상과 함께 그 동영상에 대한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제작자가 의도하는 모든 영상의 장면에서 외부의 제어대상장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동영상 서버(100), 제어프로토콜 서버(110), 동영상 재생장치(120) 및 제어대상장치(130)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동영상 재생장치(120)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이며, 이것은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 서버(100)와 제어프로토콜 서버(1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동영상 서버(100)와 제어프로토콜 서버(110)는 각각 다른 서버로 구성하였으나, 두 서버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대상장치(130)는 동영상 재생장치(120)에 의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가능한 바, 예를 들어 캐릭터 인형, 전등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동영상 재생장치(120)가 동영상 서버(100)로부터 디지털 스트리밍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다운받고, 아울러 제어프로토콜 서버(110)로부터 외부 제어대상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다운받는다. 동영상 재생장치(120)에서 다운받은 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재생되 면,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어프로토콜이 제어대상장치(130)로 전달되어 캐릭터 인형 등이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가 의도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캐릭터 인형을 가지고 그 캐릭터가 포함된 동영상을 보는 경우, 아이가 가지고 있는 캐릭터 인형이 동영상에 나오는 캐릭터에 동기화되어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동영상 제작자가 의도하는 모든 영상의 장면에서 외부의 제어대상장치(130)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장난감처럼 미리 정해진 동작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을 계속해서 인터넷을 통해 전송받아 보면서 특정 영상에 해당하는 제어프로토콜에 의해 제어대상장치의 반응 방식이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2 ~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동영상 저장부(101), 비디오 코딩부(102), 오디오 코딩부(103), 패킷화부(104), 세션 제어부(105) 및 전송부(106)를 포함한다.
동영상 서버(100)는 동영상 재생장치에 전송할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전송을 요구하면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동영상 서버(100)는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동영상 저장부(101)를 구비하고, 비디오 코딩 부(102)와 오디오 코딩부(103)는 동영상 저장부(101)에 저장된 영상을 스트리밍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때, 비디오 코딩 및 오디오 코딩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MPEG, H.263, H.264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서버(100)는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패킷화하는 패킷화부(104)를 구비하고, RTSP 프로토콜에 동영상 데이터를 실어 보내기 위해 세션을 관리하는 RTSP 세션 제어부(Session Control)(105)를 구비한다. 이러한 패킷화된 동영상 데이터는 전송부(106)에서 TCP 또는 UDP를 통해 동영상 재생장치(120)로 전송되는데,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에는 재생과 관련된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RTSP 프로토콜은 현재 전송되는 영상 패킷과 함께 전체 러닝 타임(running time) 중 현재 패킷의 타임 스탬프(time stamp) 값을 실시간으로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제어프로토콜 서버(110)는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장치(120)를 통해 동영상을 요구할 때, 해당 동영상의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동영상 재생장치(120)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특정 동영상에 대해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프로토콜 생성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재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동영상 재생장치(120)는 역패킷화부(121), 비디오 디코딩부(123), 오디오 디코딩부(124), 세션 제어부(122), 제어프로토콜 수신부(125), 시간 비교부(126) 및 제어대상장치 제어부(127)를 구비한다. 동영상 재생장치(120)는 동영상 서버(100)로부터 RTSP 프로토콜로 동영상 파일을 전송받으며, 동시에 사용자에게 현재 보여지고 있는 영상의 시간과 제어프로토콜 서버(110)로부터 전송받은 제어프로토콜 리스트의 각 시간을 비교하여 제어대상장치(130)에 해당 프로토콜을 일방적으로 전송한다.
우선 역패킷화부(121)는 동영상 서버(10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받아 역패킷화(depacketizing)하고 이를 비디오 디코딩부(123)와 오디오 디코딩부(124)로 전달한다. 그러면, 비디오 디코딩부(123)와 오디오 디코딩부(124)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는 사용자 모니터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세션 제어부(122)는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 중 재생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시간 비교부(126)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전체 러닝 타임(running time) 중 현재 재생되고 있는 패킷의 타임 스탬프(time stamp) 값을 실시간으로 시간 비교부(126)에 전달하게 된다.
제어프로토콜 수신부(125)는 제어프로토콜 서버(110)로부터 동영상의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수신받아, 제어대상장치(130)를 특정 시간에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시간 비교부에 전달하고, 제어대상장치(130)의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대상장치 제어부(127)로 전달한다. 도 4는 제어프로토콜 서버(1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프로토콜 리스트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구현된 것이다. 각 제어프로토콜은 동기 아이디 정보(sync id), 시간 정보(time), 제어신호 정보(signal)를 포함하고 있다.
시간 비교부(126)는 세션 제어부(122)로부터 받은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시간 정보와 제어프로토콜 수신부(125)로부터 받은 제어대상장치(130)를 특정 시간에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비교한다. 즉, 시간 비교부(126)는 세션 제어부(122)로부터 받은 타임스탬프 값과 제어프로토콜 리스트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해당 시간 정보를 제어대상장치 제어부(127)에게 알려주고, 제어대상장치 제어부(127)는 그 시간에 해당하는 특정 제어신호를 제어대상장치(130)에게 전송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대상장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통신부(131), 마이컴(132), 모터(133) 및 LED(134)를 포함한다.
제어대상장치(130)의 통신부(131)는 동영상 재생장치(120)와 실시간으로 통신을 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데, 통신방법은 블루투스 등의 유무선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대상장치(130)는 마이컴(MICOM)(132)을 장착하여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대상장치(130)가 캐릭터 인형인 경우 모터(133)를 이용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의 캐릭터와 동일하게 손발을 움직일 수 있으며, LED(134)를 이용하여 인형의 눈이 반짝이게 할 수 있다. 제어대상장치는 모터와 LED 이외에도 전기적, 기계적 구동이 가능한 소규모 장치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외부장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600단계에서 사용자가 실시간 동영상 재생을 요청한다. 그러면 제601단계에서 동영상 재생장치(120)가 동영상 서버(100)와 제어프로토콜 서버(110)로부터 동영상 및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전송받는다.
다음으로, 제602단계에서 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재생되면서, 현재 재생되는 패킷의 시간 정보와 제어프로토콜 리스트의 시간 정보를 비교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간 비교부(126)는 세션 제어부(122)로부터 받은 타임스탬프 값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어프로토콜 리스트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 판단한다.
다음으로, 제603단계에서 시간 정보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제604단계에서 동영상 재생장치(120)는 일치하는 시간에 대한 제어신호를 제어대상장치(1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605단계에서 제어대상장치(130)가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응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분야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우선 엔터테인먼트의 응용예에 대해 설명하면, 아이들이 주로 보는 인터넷 동영상이나 디지털 TV는 캐릭터에 기반한 영상물들이 많다. 최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들은 영상 서비스 뿐만 아니라 캐릭터를 이용한 팬시 사업에도 진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이러한 두 가지 분야를 하나로 통합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유명한 캐릭터 인형을 구매하여 가지고 놀다가 동영상을 재생하여 보게 되 면, 해당 동영상에서 나오는 캐릭터 인형과 동일하게 캐릭터 인형이 움직이게 된다. 즉, 캐릭터 인형이 동영상에 나오는 캐릭터의 행동을 따라 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은 모니터 안에 있는 캐릭터가 마치 자기가 가지고 있는 캐릭터로 살아 있다는 느낌을 주어 자기만의 캐릭터로 인식이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다른 예로는 집안의 조명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요즘은 홈 씨어터 시스템이 잘 구비되어 있어 집에서도 스팩타클한 영화를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영화를 볼 때 영화에 빠져들기 위해서 TV나 빔 프로젝트 등만을 키고 모든 조명기구는 끈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영상의 현재 색조 분위기와 집안의 조명 기구를 동기화할 수 있다면 더욱 더 실감나는 영상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영화에서 화재 장면이 재생되고 있거나, 또는 흰 설경이 재생되고 있다면 주변의 상향등 등이 이에 따라 붉은 색 또는 흰 색을 발하여 주변 분위기를 영화에 맞추게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는 성인용 동영상과 성인용 장난감을 동기화시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양한 교육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다. 즉, 온라인 교육 컨텐츠와 오프라인 교재가 상호 작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어 교육 영상을 보고 있고, 사용자가 전용의 받아쓰기 기기가 있다면 어린아이들은 영상에서 보여주는 글자가 전용의 받아쓰기 기기에 표시가 되어 그 형태를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컨텐츠에 따라 받아쓰기 기기에 표시 되는 글자는 무한히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영상을 보면서 선생님이 주는 문제에 객관식 답을 눌러 맞춘다던가 하는 교육용 인터페이스에 활용도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응용은 여러 명이 한 동영상을 보면서 교육받을 때 유용한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주어지는 문제는 같지만, 생각하는 답이 달라 자기 스스로 문제를 푼 후 총점을 체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재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제어프로토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프로토콜 리스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대상장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1)

  1. 디지털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외부의 제어대상장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장치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동영상 서버;
    특정 동영상에 관한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동영상 재생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어프로토콜 서버;
    동영상 재생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제어대상장치 및;
    상기 동영상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동영상이 재생되면, 제어프로토콜 리스트 중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어프로토콜을 제어대상장치로 전송하여 제어대상장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동영상 재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서버는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동영상 저장부;
    상기 동영상 저장부의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코딩부;
    상기 동영상 저장부의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오디오 코딩부;
    상기 비디오 코딩부와 오디오 코딩부에서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 이터를 패킷화하는 패킷화부;
    상기 패킷화부에서 패킷화된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 세션을 관리하는 제1세션 제어부 및;
    상기 동영상 재생장치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서버는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영상 재생장치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재생장치는
    상기 동영상 서버로부터 동영상을 받아 역패킷화하고 이를 비디오 디코딩부와 오디오 디코딩부로 전달하는 역패킷화부;
    상기 역패킷화된 동영상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딩부;
    상기 역패킷화된 동영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상기 동영상 서버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 중 재생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시간 비교부에 전달하는 제2세션 제어부;
    상기 제어프로토콜 서버로부터 동영상의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대상장치를 특정 시간에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시간 비교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대상장치의 제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대상장치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어프로토콜 수신부;
    상기 제2세션 제어부로부터 받은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시간 정보와 상기 제어프로토콜 수신부로부터 받은 제어대상장치를 특정 시간에 제어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해당 시간 정보를 제어대상장치 제어부에게 전송하는 시간 비교부 및;
    상기 시간 비교부로부터 수신한 일치하는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 제어신호를 제어대상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대상장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션 제어부의 시간 정보는
    동영상의 전체 러닝 타임(running time) 중 현재 재생되고 있는 패킷의 타임 스탬프(time stamp)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구현되고, 각 제어프로토콜은 동기 아이디 정보, 시간 정보, 제어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장치는 캐릭터 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장치는
    상기 동영상 재생장치와 실시간으로 통신을 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캐릭터 인형을 움직이기 위한 모터;
    LED 및;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와 LED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동영상 서버, 제어프로토콜 서버, 제어대상장치 및, 동영상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재생장치가 상기 동영상 서버 및 상기 제어프로토콜 서버에 실시간 동영상 재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재생장치가 상기 동영상 서버와 상기 제어프로토콜 서버로부터 동영상 및 제어프로토콜 리스트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동영상 재생장치에서 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재생되면서, 현재 재생되는 패킷의 시간 정보와 제어프로토콜 리스트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시간 정보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상기 동영상 재생장치는 일치하는 시간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대상장치가 제어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장치는 캐릭터 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장치는 전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77261A 2007-08-01 2007-08-01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3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61A KR20090013284A (ko) 2007-08-01 2007-08-01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61A KR20090013284A (ko) 2007-08-01 2007-08-01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84A true KR20090013284A (ko) 2009-02-05

Family

ID=4068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261A KR20090013284A (ko) 2007-08-01 2007-08-01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2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455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코더스 사용자 감성을 반영한 조명 제작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455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코더스 사용자 감성을 반영한 조명 제작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2556B2 (ja) 外部機器連動型コンテンツ生成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835297B1 (ko) 촉감 정보 표현을 위한 노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촉감정보 전송 방법과 시스템
US8505054B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udio signals for an audio/video presentation
US20100275235A1 (en) Sensory effect media generating and consum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0800399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teractive audiovisual experiences to portable devices
KR100989079B1 (ko) 오케스트라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33954A (ko)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CN101770772A (zh) 嵌入式网络卡拉ok娱乐装置及其声像控制方法
KR100360722B1 (ko)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Saleme et al. Coping with the challenges of delivering multiple sensorial media
WO2008055413A1 (fr) Procédé de lecture de séquences audiovisuelles interactives
JP2005006037A (ja) メディア同期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サービス提供方法
CN1462203A (zh) 启动的装置和操作一组装置的方法
KR100983127B1 (ko) 방송 컨텐츠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컨텐츠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13284A (ko) 디지털 동영상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09123A1 (en) Guided Interaction Between a Companion Device and a User
JP2002063505A (ja)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センタ装置、情報配信端末装置及びキャラクタ人形
JP2021006894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作成装置、教育端末、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教育プログラム
KR20090074810A (ko) 방송 컨텐츠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컨텐츠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JP4295470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受信方法、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プログラム
KR20100117368A (ko) Iptv 시스템에서 학습용/교육용 콘텐츠에 등장하는 캐릭터/아바타를 통한 음성 변조 기반의 실감형 iptv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4811830A (zh) 智能灯光影像特效系统
JP7442979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WO2021152280A1 (en) T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of delivery augmented content
WO2021049048A1 (ja) 映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