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239A - 유체 압력 조절기 - Google Patents
유체 압력 조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3239A KR20090013239A KR1020087031201A KR20087031201A KR20090013239A KR 20090013239 A KR20090013239 A KR 20090013239A KR 1020087031201 A KR1020087031201 A KR 1020087031201A KR 20087031201 A KR20087031201 A KR 20087031201A KR 20090013239 A KR20090013239 A KR 200900132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piston
- outlet
- regulator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0—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796—Senses inlet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압력 조절기는 압력 입구와 압력 출구를 가지는 몸체를 포함한다. 피스톤은 상기 몸체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입구와 압력 출구를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피스톤은, 압력 제어 출구를 통해 상기 피스톤의 면에 적용되는 압력에 반응하여서 상기 압력 입구로부터 압력 출구로의 흐름을 제어할 목적으로 밸브 시트에 접촉하도록 압축시 작동하도록 형성된다.
압력 조절기, 압력 입구, 압력 출구, 몸체, 피스톤, 밸브 시트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체 압력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 분배 서비스(beverage dispensing service)를 위한 위생적인 감압 조절기(pressure reducing regulator)에 관한 것이다.
많은 유체 제어 시스템은 파이프라인(pipeline)에서 유체 압력을 제어하거나, 또는 액추에이터(actuator) 및 밸브와 같은 제어 장치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압력 조절기를 사용한다. 감압 조절기는 일반적으로 유체 공급 소스(source)로부터 비교적 고압의 유체를 수용하여서, 넓은 범위의 출력 부하(output load)(즉, 흐름 요구 또는 유체 용량 등에서의 변화)용의 안정된 출력을 제공하면서 비교적 낮은 유체 압력에서 유체를 출력한다. 당업자는 일반적으로 밸브와 같은 제한 요소(restricting element)의 위치를 제어하고, 측정 요소(measuring element)에 균형력(balancing force)을 적용시킴으로써 압력 조절기가 작동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이러한 균형력은, 전형적으로 상기 측정 요소에 연결되는 부하 요소(loading element)에 의하여 발생되는 힘에 반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 요소의 일단부에 적용되는 유체 압력에 의하여 발생된다. 종래의 압력 조절기는 측정 요소로 다이아프램(diaphragm) 또는 피스톤을 사용하고, 부하 요소로 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종래의 조절기 디자인에서 공통의 문제점은, 이들이 입구 공급 압력 변화에 민감하다는 것이다. 즉, 출구 압력의 안정성은 입구 공급 압력의 안정성에 크게 의존할 수 있고, 또한 제어되는 유체의 질과 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구 공급 압력 민감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균형된 디자인을 가지는 감압 조절기가, 미국 특허공개 제 2004/0007269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개된 특허에 기재된 감압 조절기는, 출력 압력을 제어하는 측정 요소상에 작용하는 제어 압력에 반작용하기 위하여 부하 요소로서 작동하는 다중 스프링과 조합으로 측정 요소로서 단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직렬식(in-line) 감압 조절기이다. 불행하게도, 다중 스프링은 몇몇 적용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식 및 음료 산업에서, 차 분배기(tea dispenser)와 같은 음료 분배 적용은, 음료의 정체(stagnation) 및 가능하면 오염을 피하기 위한 위생 흐름 통로를 또한 가져야만 한다.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은 종래의 조절기는, 위생적인 작동을 어렵게 만드는 유체 흐름 통로에 부하 요소를 종종 위치시킨다. 따라서, 향상된 압력 조절 및 위성적인 작동을 양호하게 제공하면서, 아주 낮은 제조 가격으로 제조되는 감압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나의 기재된 실시예에서, 압력 조절기는 몸체내에서 보어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압력 입구 및 압력 출구를 가지는 몸체를 포함한다. 피스톤은 몸체내에 배치되고, 보어 내에서 통로와 압력실을 형성하면서 압력 입구 및 압력 출구를 유체식으로 상호 연결한다. 상기 피스톤은, 이 피스톤에 연결되는 단일 스프링에 의하여 공급되는 부하력에 반작용하기 위하여 압력 출구를 통해 피스톤 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여 상기 압력 입구로부터 압력 출구까지 유체 흐름을 제어하도록 상기 몸체내의 밸브 시트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기재된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 조절기는 압력 입구와 압력 출구에 유체식으로 연결되는 모듈식(modular) 압력 조절기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식 압력 조절기 밸브 조립체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이 피스톤은 공급 민감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최소 입구 영역을 가지며, 밸브 시트에 결합하고 단지 피스톤과 유체 흐름에 노출되는 밸브 시트만 가지고 밸브 시트를 통해 압력 입구 및 압력 출구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압력에 반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1은 개방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감압 조절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폐쇄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감압 조절기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상기 예시적인 감압 조절기는, 조절기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내부 압력 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일체식(unitary) 조절기 몸체를 제공한다. 상기 예시적인 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유체 압력, 그러므로 유체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일 피스톤과 스프링을 사용하는 정상시 개방 밸브(normally-open valve)(즉, 소정의 압력 또는 설정점 아래의 압력에서, 유체는 일반적으로 입구로부터 출구로 방해를 받지 않고 흐른다)이다. 상기 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조절기 몸체의 단일 압력 소스 입구로부터 발생되는 출력 압력을 사용하여 이것을 성취한다. 즉, 상기 출력 압력은, 압력 조절 밸브를 출구 또는 입력 출력으로부터 제어 밸브 위치로 구동시키는 내부 압력 조절 밸브를 가로지르는 압력 강하(pressure drop)로부터 발생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조절 밸브는 단일 또는 일체식 피스톤을 기초로 한다. 상기 단일 피스톤은 압력 조절 밸브 조립체를 구현하는데에 필요한 구성품의 수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따라서 제조 및 조립 가격을 낮추면서 향상된 신뢰성 및 위생적인 작동을 가진 보다 컴팩트한 디자인이 되게 한다. 또한,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상기 감압 조절기의 디자인으로 인해 상기 조절기가 위생적인 작동에서 쉽게 사용되도록 허용된다는 점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간단한 모듈식 디자인은 출구를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압축시 피스톤을 가로질러서 힘 균형을 사용하여 작동하게 된다. 양호한실시예에서, 상기 예시적인 압력 조절기는 출구 압력이 원하는 소정의 압력 아래로 떨어질 때에, 증가된 측정 요소 영역(즉, 제어 압력에 대한 조절기 게인(gain) 또는 대응성(responsiveness)에서의 증가)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양호한 디자인은 입구 압력 변화로부터 출력 압력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최소 입구 영역을 또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자인은, 상기 제한 요소 또는 밸브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폐쇄될 때에 상기 밸브 시트를 가로질러서 유체 누설이 발생된다면, 압력이 지원되는 차단(shutoff)을 양호하게 제공한다.
다음, 도 1를 참조로 하면, 예시적인 감압 조절기(100)의 단면도가, 아이오 와(Iowa), 메이존 시티(Mason City)의 IMI 코르네리우스(Cornelius)로부터의 모델3 차 분배기와 같은, 차 분배기의 출력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적용으로 도시된다. 상기 예시적인 조절기는 공지된 출력 조절기와 비교하여서, 비교적 보다 작은 전체 크기(예를 들면, 대략 2.25" ×1.50"×1.80")를 가지며, 전체 부품수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며, 따라서 보다 신뢰성이 있고 보다 싼 가격의 압력 조절기를 발생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시적인 조절기(100)는, 상기 조절기가 첫번째로 작동되거나 또는 출력 압력이 소정의 압력 또는 설정점아래로 있을 때와 같은 때에는, 개방 또는 제 1 위치에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2는 상기 출력 압력이 대략 설정점과 동일할 때와 같은 때에, 실질적으로 폐쇄되거나 제 2 위치에 있는 상기 예시적인 감압 조절기(100)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시적인 감압 조절기(100)는, 단일의 실질적으로 일체적인 조절기 몸체 또는 모듈(110)의 보어(140)내에 배치되는 감압 밸브 조립체 또는 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조절기(100)에 압력 소스를 제공하는 단일 압력 입구(125)를 포함한다. 상기 감압 밸브 조립체(150)는 입구(125)와 출구(145)사이의 보어(140)내에 배치된다.
상기 예시적인 조절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기 몸체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보어의 넓혀진 부분(190)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몸체의 개구에 맞추도록 형성된 본넷트 캡(bonnet cap)(165)을 또한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보어(140)의 출구 또는 출력측 상에서 상기 본넷트 캡(165)과 상기 밸브 조립체(140)사이에 압력실(137)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10)내에 압력 밀봉 시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넷트 캡(165)에서 홈(194)내에 환형 시일(92)이 위치된다. 상기 본넷트 캡(165)은 상부 환형 홈(189)에 결합하는 통상의 C형 링과 같은 본넷트 캡 리테이너(retainer)(187)를 사용하여 상기 몸체(110)내에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본넷트 캡은 압력실(137)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기 몸체에 나사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넷트 캡(165)은, 상기 조절기가 제 1 위치에서 완전히 개방될 때(예를 들면, 어떠한 입구 압력도 없거나 또는 상기 출구 압력이 상기 입구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 될 때), 상기 감압 밸브 조립체(150)에 결합하기 위한 일체식 이동 정지부(200)(도 2에 도시됨)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압 밸브 조립체(150)는 상기 몸체(110)에서 밸브 시트(142)를 형성하는 상기 통로(135)와 압력실(137)사이의 감소된 직경의 중간부(136)에 선택적으로 닿을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압력 조절기의 감압 밸브 조립체(150)는 단일 피스톤(160)(즉, 측정 요소), 부하 요소(170) 및, 적어도 하나의 환형 시일(18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피스톤(160)은 통로(135), 중간부(136) 및, 상기 보어(140)의 압력실(137)을 통해 상기 압력 입구(125)와 압력 출구(145)를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기 몸체의 보어(140)에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구성품이다. 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압력 밸브 조립체(150)가 완전히 개방될 때에 제 1 위치(도 1에 도시된)에서 상기 압력 출구(145)를 통해 제어 압력(즉, 상기 압력실(137)의 압력)을 수용하는 제 1의 감지면(164)을 가진다. 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압력 밸브 조립체(150)가 실질적으로 폐쇄될 때와 같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을 때에 제 2 위치(도 2에 도시됨)에서 압 력 출구(145)를 통해 제어 압력을 수용하는 제 2 감지면(168)을 또한 포함한다.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160)은 감압 조절기가 실질적으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시트(142)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확대부(enlarged portion)(146)를 가진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감지면(164 및 168)위에 가해지는 출구 압력 힘에 반작용하거나 및/또는 균형맞추기 위한 소정의 힘을 제공하는 부하 요소 또는 스프링(170)을 수용하도록 양호하게 형성된 수용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시적인 피스톤(160)은 상기 피스톤(160)의 확대부(146)와 수용부(175)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입구면(167 및 169)을 가져 입구 유체 압력이 이들상에 가해질 때에 피스톤(160)의 입구 힘(즉, 표면을 가로지르는 순수 힘(net force)은 실질적으로 0이된다)을 실질적으로 상쇄시킨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은 부하요소 힘과 조합하여서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164 및 168)상에 가해진 힘이 출력 압력 제어를 지배하는 것을 허용한다.
위생적인 작동이 요구되는 적용에서, 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유체 흐름으로부터 피스톤의 부하 요소(170) 및 수용부(175)를 격리시키기 위한 밀봉된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하여 환형 시일(180)(예를 들면, 0-링)을 합체시키도록 상기 피스톤(160)의 수용부 근처에 있는 제 1 환형 채널(182)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상기 조절기(100)내의 유체(예를 들면, 차와 같은 음료)의 정체를 피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환형 채널은 0-링 시일(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보어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밀봉된 캐비티의 어떠한 "공기 스프링" 영향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10)는 피스톤의 수용부(175)하의 영역에서 압력 균일화를 허용하기 위한 벤트(vent)(153)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 2 환형 채널(144)은 상기 피스톤(160)의 확대부(146)내에 또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밸브 시트(142)에 결합하기 위하여 탄성 시일(148)용으로 제공하도록 부가의 0-링을 합체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일은 적용에 따라서, 상기 입구(125)로부터 출구(145)까지 유체 흐름의 금지 또는 차단에 실질적으로 도움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시트는, 탄성 재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내의 환형 채널 또는 홈을 위치시켜서 소프트 시트(soft seat)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몸체 재료 또는 피스톤 재료보다 더 소프트한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할 것이다. 상기 피스톤의 대응되는 환형부는, 차단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재료에 결합하도록(예를 들면, 상기 피스톤에 대향되는 몸체에 소프트 시일을 위치시킴) 상기 피스톤(160)의 제 1 면(164)의 직경으로부터 조금 확대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조절기의 작동 동안에, 당업자는, 상기 피스톤(160)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도 1에 도시됨), 상기 제 2 감지면(168)이 일체식 이동 정지부(200)와 접촉하고, 이것은 피스톤(160)의 전체 감지 영역을 감소시킨다(즉, 상기 밸브 조립체(150)가 완전히 개방될때)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피스톤(160)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출력 압력은 설정점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되고, 부하력은 상기 피스톤을 가로지르는 힘의 균형을 지배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피스톤(160)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도 2에 도시됨), 상기 출력 압력은 부 하력에 반작용하는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감지면(164 및 168)의 조합에 작용한다.
상술된 설명으로부터, 상기 압력 밸브 조립체(150)가 작동동안에 2개의 반응 특성(characteristic) 또는 게인(gain)을 가진다는 점은 명백할 것이다. 상기 압력 밸브 조립체(150)가 완전히 개방될 때의 제 1 반응 특성 또는 게인은 상기 제 1 감지면(164)의 환형 영역에 관련된다. 제 2 반응 특성 또는 게인은 상기 압력 밸브 조립체가 이동 정지부(200)와 접촉하지 않을 때에 발생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면(164 및 168)의 영역에 관련된다. 이러한 2개의 반응 특성 또는 게인은, 상기 조절기가 설정점 또는 원하는 출력 압력 근처에 있을 때에(즉, 상기 압력 조절 밸브 조립체(150)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출력 압력에 있어서의 편차에 대한 증가하거나 또는 향상된 반응성을 가질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예시적인 조절기가 상쇄하는 부하력에 반응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압력이 제어되기 이전 작동에서, 상기 부하 요소(170)는 상기 피스톤(160)을 상기 밸브 시트(142)로부터 이격되게 편향시키고, 일체식 이동 정지부(200)와 밀접한 접촉으로 압력 입구(125)로부터 압력 출구(145)로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유체 흐름을 허용한다. 유체는 입구(125)로부터 통로(135)를 통하여 흐르게 되고, 상기 통로(135)와 압력실(137)을 입구 압력과 거의 동일한 압력으로 일시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출구 압력이 압력실(137)에서 증가함에 따라, 제 1 감지면(164)의 환형 영역에 관련되는 힘이 상기 부하 요소(170)의 부하력에 반작용하는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피스톤의 제 1 감지면(164)상에 증가하는 힘이 가해지 고, 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부하 요소(170)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142)를 향하여 압축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피스톤이 제 1 위치로 이동하기 이전에, 상기 제어 압력은 단지 상기 피스톤(160)의 제 1 감지면(164)에서만 작용하여 상기 조절기의 제 1 게인에 관련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일단 상기 압력실(137)의 압력이 초기 부하력을 극복하기 위한 힘을 발생하기에 충분하다면, 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제 2 위치에서(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60)은 이동 정지부(200)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하고, 상기 출구 압력은 상기 피스톤(160)의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면(164 및 168)상에 작용하여 부하 요소(170)의 부하력을 극복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위치에서 이용가능한 상기 증가된 표면 영역은 부하 요구에 대한 상기 조절기의 게인 또는 반응성의 증가를 제공하고, 상기 조절기의 "드룹(droop)"(즉, 원하는 압력으로부터 출력 편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환형면(146)은 상기 시일(148)이 압력 입구(125)와 압력 출구(145)사이에서의 제한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시트(142)를 향하여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것은 유체 흐름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며, 상기 출구(145)에서 압력의 감소를 발생시킨다.
상기 환형면(146)이 상기 밸브 시트(142)(즉, 밸브 차단)에 결합할 때에, 상기 시일(148)은 상기 압력 밸브 조립체를 실질적으로 폐쇄하고 상기 압력 입구(125) 및 압력 출구(145)사이의 흐름을 본질적으로 방지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시일(148)과 밸브 시트(142)사이에 누설이 있다면, 상기 출력 압력은 상기 설정점을 넘어서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부가의 유체 흐름은 상기 압력 밸브 조립체(150)의 출구측의 압력상의 증가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면(164 및 168)에 대하여 부가의 폐쇄력이 발생한다. 상기 누설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가의 힘은 상기 시트를 가로지르는 압력차에 비례하여 증가하여서 상기 출력 압력을 상기 설정점으로 빠르게 복귀시키도록 상기 압력 밸브 조립체(150)를 "포지티브하게 차단(positively shut-off)"한다.
상술된 설명으로부터, 상기 피스톤(160)의 조절이 상기 출구 압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조절기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기 작동 동안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 피스톤(160)은 압력 조절동안에 힘의 균형하에서 상기 밸브 시트(142)에 관해 압축시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즉,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시트로부터 이격되게 그리고 상기 시트를 향하여 가압하는 압력이 균형을 이룰 때에, 상기 출구(145)에서의 압력은 상기 감지면(164 및 168)과 상기 스프링 또는 부하 요소(170)의 스프링 상수(spring rate)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결정되는 것과 같이 소정의 설정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기의 다중 반응적인 특성 또는 게인은 부하 변화에 대한 출구 압력 조절의 전체 민감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감소되고 오프셋팅된 입구 영역은 상기 입구 압력 변화에 대한 출구 압력 편차의 민감도를 실질적으로 제거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기 몸체, 피스톤 및 본넷트 캡은, 예를 들면, 황동(brass),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또는 독일 윌밍톤(Wilmington)의 DuPont EI De Nemours & Co.로부터의 Derlin®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감압 조절기의 의도된 적용에 적합한 어떠한 다른 금속 또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몇몇의 장치, 방법 및 제조 제품들이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본원의 적용 범위는 그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는 반대로, 본원은 문언상 또는 균등론하에서 첨부된 청구범위내에 정당하게 들어가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Claims (19)
- 압력 입구(125), 압력 출구(145), 상기 압력 입구(125)와 압력 출구(145)를 서로 연결하는 보어(140) 및, 상기 보어(140)내에 위치되는 밸브 시트(142)를 가지는 몸체(110)와;상기 압력 입구(125)로부터 압력 출구(145)로 흐르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보어(140)에서 상기 밸브 시트(142)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보어(140)내에 배치된 피스톤(160) 및;상기 피스톤(160)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부하 요소(170)를 포함하고,상기 부하 요소(170)는 상기 피스톤(1 60)상에 부하력을 가해, 상기 부하 요소가 압력 조절기를 통한 유체 흐름에 의하여 발생되는 출구 압력에 의해 생성된 출구력에 반작용하도록 소정의 균형력을 발생하는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피스톤(160)은 실질적으로 단일 부재인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피스톤(160)은 출구력에 대향하는 입구 유체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형성된 적어도 제 1 입구면(167)과 제 2 입구면(169)을 가지는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부하 요소(170)는 스프링인 압력 조절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피스톤(160)은 유체 흐름으로부터 상기 부하 요소(170)를 분리하기 위한 제 1 시일을 또한 포함하는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밸브 시트(142)에 접촉하기 위한 밀봉링(54)을 또한 포함하는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피스톤상의 힘은 피스톤(160)이 상기 밸브 시트(142)를 가로질러서 압축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대항상태에 있는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피스톤(160)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감지면(164)상에 가해지는 유체력이 상기 부하 요소(170)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에 반작용하도록 제 1 감지면(164)을 한정하는 압력 조절기.
-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피스톤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면(164 및 168)상에 가해지는 유체력이 상기 부하 요소(170)에 의하여 가해지는 부하력에 반작용하도록 제 2 감지면(168)을 한정하는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압력 입구(125)와 상기 압력 출구(145)사이에서 상기 보어(140)를 실질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시트(142)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 시트(142)를 가로지르는 유체 누설은 상기 피스톤(160)상에 부가의 출구 력을 발생시키는 압력 조절기.
- 모듈식 압력 조절기(100)로서,압력 입구(125), 압력 출구(145) 및, 이것들을 관통하는 보어(140)를 가지는 몸체 모듈(110) 및;상기 보어(140)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입구(125) 및 압력 출구(145)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을 포함하고,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은 상기 압력 입구(125)로부터 압력 출구(145)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보어(140)내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142)를 가로질러서 작동하도록 형성되고,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은,출구 압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체력에 반응하도록 형성되는 측정 요소(160) 및,상기 측정 요소(16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정 요소(160)상에 가해지는 유체력에 대항하여 반작용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부하 요소(170)를 또한 포함하는 모듈식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은 출구 압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체력에 대항하는 입구 유체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제 1 입구면(167)과 제 2 입구면(169)을 포함하는 모듈식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은 상기 유체 흐름으로부터 상기 부하 요소(170)를 분리하기 위한 제 1 시일을 또한 포함하는 모듈식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은 상기 밸브 시트(142)에 밀봉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밀봉 링(54)을 또한 포함하는 모듈식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상의 힘은, 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이 상기 밸브 시트(142)를 가로질러서 압축시 작동되도록 대항상태에 있는 모듈식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압력 조절기(100)는 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제 1 조절기 게인과, 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제 2 조절기 게인을 또한 포함하는 모듈식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6에 있어서,상기 제 1 조절기 게인은 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제 1 감지면(164)에 의하여 한정되는 모듈식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6에 있어서,상기 제 2 조절기 게인은 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적어도 제 2 감지면(168)에 의하여 한정되는 모듈식 압력 조절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은 상기 압력 입구(125)와 압력 출구(145)사이에서 상기 보어(140)를 실질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시트(142)에 결합 함으로써, 상기 밸브 시트(142)를 가로지르는 유체 누설은 상기 압력 조절 밸브 모듈(150)상에 부가의 출구력을 발생시키는 모듈식 압력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440,535 | 2006-05-25 | ||
US11/440,535 US20070272307A1 (en) | 2006-05-25 | 2006-05-25 | Sanitary fluid pressure regul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239A true KR20090013239A (ko) | 2009-02-04 |
Family
ID=3874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31201A KR20090013239A (ko) | 2006-05-25 | 2007-05-09 | 유체 압력 조절기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272307A1 (ko) |
EP (1) | EP2030094A2 (ko) |
JP (1) | JP2009538472A (ko) |
KR (1) | KR20090013239A (ko) |
CN (1) | CN101454737A (ko) |
AU (1) | AU2007268116A1 (ko) |
BR (1) | BRPI0712602A2 (ko) |
CA (1) | CA2653259A1 (ko) |
MX (1) | MX2008015009A (ko) |
NO (1) | NO20084884L (ko) |
RU (1) | RU2008149081A (ko) |
WO (1) | WO2007139670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45063B2 (ja) * | 2007-05-09 | 2009-03-25 | 株式会社デンソー | 排熱回収装置 |
CN102644777A (zh) * | 2012-03-28 | 2012-08-22 | 特劳克森特里克专利应用有限公司 | 旁通阀 |
GB2515561A (en) * | 2013-06-28 | 2014-12-31 | Linde Ag | A pressurised container valve |
CA2920105C (en) * | 2013-08-02 | 2020-05-26 | Daniel Measurement And Control, Inc. | A flow control system and control valve having closure assistance |
FR3037669B1 (fr) * | 2015-06-16 | 2017-07-21 | Exel Ind | Regulateur de pression, gamme de regulateurs de pression et systeme de pulverisation associes |
CN105065741A (zh) * | 2015-08-24 | 2015-11-18 |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 一种自力式分段压力控制阀 |
CN109707885B (zh) * | 2017-02-03 | 2020-04-07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平衡活塞式恒压阀 |
US10906052B2 (en) * | 2017-05-26 | 2021-02-02 | Nelson Irrigation Corporation | Drain check in pressure regulator |
CN108412922B (zh) * | 2018-05-07 | 2019-11-15 | 西安航空制动科技有限公司 | 一种飞机液压刹车系统压力调节器 |
CN110242776B (zh) * | 2019-06-21 | 2020-08-11 | 温岭市环力电器有限公司 | 一种流体压力调节机构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7373A (en) * | 1884-04-22 | Pressure-regulator | ||
US208961A (en) * | 1878-10-15 | Improvement in steam-cocks | ||
US702266A (en) * | 1899-12-01 | 1902-06-10 | Edward Webb | Valve. |
US1131341A (en) * | 1913-04-15 | 1915-03-09 | Bliss E W Co | Speed control for automobile torpedoes. |
US2493111A (en) * | 1945-02-01 | 1950-01-03 | Weatherhead Co | Pressure regulator |
US2590622A (en) * | 1949-03-18 | 1952-03-25 | New York Air Brake Co | Feeder control for hydraulic pumps |
US3576194A (en) * | 1965-02-11 | 1971-04-27 | Kaj Christensen | Regulator valve |
CH544901A (de) * | 1972-11-09 | 1973-11-30 | Beringer Hydraulik Gmbh | Gedämpft schliessendes hydraulisches Rohrbruchventil |
FR2253413A5 (en) * | 1973-11-30 | 1975-06-27 | Giraud Henri | Pressure controlled flow regulator for liquid filter circuit - progressively reduces flow as filter pressure increases |
US4314582A (en) * | 1976-03-23 | 1982-02-09 | Mordeki Drori | Combined pressure-regulator and manual shut-off valve |
US4305423A (en) * | 1978-06-28 | 1981-12-15 | H. Adler Associates, Inc. | Combination stop and pressure reducing valve |
US4279271A (en) * | 1979-08-31 | 1981-07-21 | Mac Valves, Inc. | Pressure regulator and flow control valve with pre-exhaust |
US20040007269A1 (en) * | 2002-07-12 | 2004-01-15 | Larsen Todd W. | Inline pressure reducing regulator |
DE202004001877U1 (de) * | 2004-02-07 | 2004-04-15 | Judo Wasseraufbereitung Gmbh | Druckminderer |
DE102004056661A1 (de) * | 2004-11-24 | 2006-06-01 | Robert Bosch Gmbh | Elektronisch regelbare Fahrzeugbremsanlage |
-
2006
- 2006-05-25 US US11/440,535 patent/US2007027230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
- 2007-05-09 WO PCT/US2007/011243 patent/WO2007139670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5-09 CN CNA2007800192758A patent/CN101454737A/zh active Pending
- 2007-05-09 RU RU2008149081/28A patent/RU2008149081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5-09 BR BRPI0712602-6A patent/BRPI0712602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5-09 KR KR1020087031201A patent/KR200900132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5-09 CA CA 2653259 patent/CA265325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5-09 JP JP2009512026A patent/JP2009538472A/ja active Pending
- 2007-05-09 AU AU2007268116A patent/AU200726811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5-09 MX MX2008015009A patent/MX2008015009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5-09 EP EP07756245A patent/EP2030094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8
- 2008-11-20 NO NO20084884A patent/NO20084884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2008015009A (es) | 2009-01-30 |
CA2653259A1 (en) | 2007-12-06 |
EP2030094A2 (en) | 2009-03-04 |
US20070272307A1 (en) | 2007-11-29 |
WO2007139670A2 (en) | 2007-12-06 |
AU2007268116A1 (en) | 2007-12-06 |
NO20084884L (no) | 2008-12-19 |
JP2009538472A (ja) | 2009-11-05 |
RU2008149081A (ru) | 2010-06-27 |
CN101454737A (zh) | 2009-06-10 |
BRPI0712602A2 (pt) | 2012-08-14 |
WO2007139670A3 (en) | 2008-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13239A (ko) | 유체 압력 조절기 | |
JP3276936B2 (ja) | 流量コントロールバルブ | |
KR101350014B1 (ko) | 돔형 부하식 압력 조절기 | |
US6386509B1 (en) | Back pressure control valve | |
CA2917479C (en) | Internal relief valve apparatus for use with loading regulators | |
EP2188690B1 (en) | Modular regulator platform | |
AU2011258679B2 (en) | Valve stem and valve plug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regulators | |
AU768719B2 (en) | Pressure independent control valve | |
US20140090724A1 (en) | Pilot-operated regulator with balanced port | |
EP3365742B1 (en) | Pressure regulating device having a variable travel stop | |
WO2011057165A1 (en) | Pressure regulator having an integral pilot and self-relieving mechanism | |
US6895995B2 (en) | Liquid flow regulator | |
CN107725852B (zh) | 可拆卸的平衡调节器 | |
KR200404834Y1 (ko) | 감압밸브 | |
US3392751A (en) | Pressure control valve | |
JPS6145115B2 (ko) | ||
JP2020020379A (ja) | 制御弁 | |
KR20150022438A (ko) | 유량 제어 밸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