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801A -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 - Google Patents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801A
KR20090012801A KR1020070076943A KR20070076943A KR20090012801A KR 20090012801 A KR20090012801 A KR 20090012801A KR 1020070076943 A KR1020070076943 A KR 1020070076943A KR 20070076943 A KR20070076943 A KR 20070076943A KR 20090012801 A KR20090012801 A KR 20090012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roach
capture
sensor
unit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765B1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76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7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구조를 변경하여 바퀴벌레의 포획율을 향상시키는 바퀴벌레 트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트랩은 전기가 통전되는 도전부와, 상기 도전부 상에 바퀴벌레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도전부의 전기를 선택적으로 통전시켜 상기 바퀴벌레를 낙하시키는 제어유닛 및 낙하된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포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끈끈이로 낙하된 바퀴벌레가 도망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적은 전압으로도 높은 포획율을 얻을 수 있다.
바퀴벌레, 전기, 경사면, 홈, 낙하

Description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COCKROACH TRAP HAVING SENSOR AND ELECTRIC SHOCK}
본 발명은 바퀴벌레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충격을 통해 바퀴벌레가 포획유닛 측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포획할 수 있고, 적은 전력으로도 높은 포획률을 얻을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생활수준이 점점 향상되면서, 과거 무심코 지나쳤던 해충들은 이제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강한 경계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 또는 공업화로 인해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충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해충을 방제하는 기구나 방법이 무수히 개발되었으나, 개발 단계에서부터 방제하고자 하는 해충의 특성에 따라 설계된 방제 방법과 기구는 그리 많지 않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바퀴벌레인데, 바퀴벌레는 야행성 해충이며 보통 장판 밑, 싱크대, 냉장고 뒤, 정수기 속 등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있으며, 특히 틈새를 좋아한다. 즉, 바퀴벌레는 빛에 대해 회피 습성을 가지는 음성주광성을 지닌 다. 또한, 바퀴벌레는 잡식성으로 종이, 가죽, 전선, 머리카락, 가래침, 굳은 피, 오물 또는 동물의 시체 등도 먹으며 사람이 먹는 음식을 오가면서 먹기 때문에 병균과 병을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번식력이 좋아 1년에 10만 마리까지 증식할 수 있으며, 자체의 소화효소가 부족하여 동료나 타 동물의 배설물을 통해 소화효소를 섭취하기 위해 배설물을 먹는 식분증(食糞症) 벌레이다.
이러한 바퀴벌레를 제거하기 위해, 사람들은 약에 음식물을 섞은 접시 혹은 밀봉된 박스에 넣어 바퀴벌레들이 많이 모여드는 장소나, 통로 등에 배치하거나, 또는 바퀴벌레 등의 이동 경로상에 바퀴벌레 트랩을 배치하되, 바퀴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제를 배치하기도 한다. 또는 스프레이 등을 바퀴벌레 등의 해충에 직접 분사하거나, 공기 중에 포화시켜 해충이 흡입 또는 몸에 묻혀서 죽이는 방법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에 서술한 방법 중 대체적으로 밀폐된 상자에 끈끈이 또는 살충제를 배치하여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벌레 트랩(10)은 장착부(11), 살충제(미도시) 및 하우징(12)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11)는 일반적으로 상기 바퀴벌레 트랩(10)을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부(11)의 설치 면에는 벽면에 설치 고정 가능하도록 접착테이프(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11)의 내부에는 보행해충이 섭취하고 살상되는 살충제가 구비되며, 상기 보행해충이 출입하는 출입부(13)가 형성된다.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10)의 작동을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바퀴벌레 트랩(10)으로 유인된 바퀴벌레가 상기 살충제를 섭취하고, 살상되도록 구성된다. 살충제를 대신하여, 유인제를 배치하고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하여 끈끈이를 구비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은 한정된 범위의 바퀴벌레만을 포획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구역을 커버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은 구조적으로 바퀴벌레를 상기 바퀴벌레 트랩으로 구조적으로 유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뿐 아니라, 일정 범위의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상기 바퀴벌레 트랩을 배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단 출입부(13)를 통해 끈끈이로 유인된 바퀴벌레는, 끈끈이의 접착력이 떨어지면서 끈끈이를 벗어나서 도주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설령 끈끈이로 바퀴벌레가 유인된다 하더라도, 끈끈이의 접착력이 바퀴벌레를 포획할 만큼 충분하지 않아서 탈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실험에 의하면, 일단 끈끈이 영역으로 진입한 바퀴벌레의 절반 이상이 탈출하는 현상이 목격되기도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센서를 구비하여, 전기의 소모가 적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획유닛의 포획 영역으로 들어온 바퀴벌레가 다시 달아나지 못하도록 하여 포획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획의 확실성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사람에게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바퀴벌레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벌레 트랩은 도전부, 센서, 제어유닛 및 포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는 전기가 통전되는 구성요소로써,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상기 도전부 상에 진입한 바퀴벌레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 정전 용량센서, 무게 감지센서 및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전부의 전기 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에 상기 바퀴벌레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도전부에 전기를 통전시키고, 상기 센서에 상기 바퀴벌레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도전부로 전기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도전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포획유닛은 끈끈이, 살충제, 익사제, 질식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획유닛으로 끈끈이를 적용하는 경우에, 상기 포획유닛에는 상기 바퀴벌레가 포획되는 포획 접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획유닛은 포획 접착면을 구비하고 띠 형태로 형성된 끈끈이, 상기 끈끈이를 공급하는 공급롤 및 상기 공급롤과 이격 형성되어 상기 끈끈이를 회수하는 회수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퀴벌레 트랩은 수용홈이 형성된 포획 케이스와,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어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 접착제를 가지는 포획유닛과,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측면에 결합되며 전기가 통전되는 도전판과, 상기 수용홈의 입구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획유닛을 향해 접근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도전판에 전기를 선택적으로 통전시켜 상기 포획유닛 측으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포획유닛 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정전용량 센서 및 무게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획 케이스는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수용홈 측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된 제1 경사면과, 상기 수용홈의 측면을 이루며 기울어져 형성된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의 경계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판은 상기 제2 경사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경사면의 모든 영역에 대해서 포개져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경사면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경사면으로 진입한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는 전파를 송신하는 발광센서 및 상기 전파를 수신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발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도전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내장형일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전원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포획 접착제가 도포된 포획 접착면을 구비한 접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 접착제가 도포된 포획 접착면을 가지는 띠 형태의 끈끈이와, 상기 끈끈이의 일부를 권취하고, 상기 포획 접착면을 공급하는 공급롤 및 상기 공급롤과 이격 형성되고, 상기 공급롤로부터 공급되는 상 기 끈끈이를 회수하는 회수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획유닛은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공급롤 및 회수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구동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포획 접착면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 상기 포획 접착제는 액체, 젤 및 분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서 바퀴벌레 트랩은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된 포획 케이스와,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여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 접착제가 구비된 포획유닛과, 얇은 철사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획 케이스에서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결합되어 상기 바퀴벌레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도전 와이어와,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도전 와이어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포획 접착제가 구비된 포획유닛과, 상기 수용홈의 입구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획유닛으로 접근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전 외어어의 전기를 선택적으로 통전시켜 상기 바퀴벌레를 상기 포획유닛 측으로 낙하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전 와이어는 상기 수용홈의 상부 측면을 가로질러 결합되고, 상기 도전 와이어의 상면과 상기 수용홈의 테두리는 동일 높이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전 와이어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도전 와이어는 격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해충 방제업체로 전송하고, 상기 해충 방제업체는 상기 제어유닛을 원격 조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통해 진입하는 바퀴벌레를 감지한 후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함으로써, 바퀴벌레에게 충격을 주기 위한 전기 에너지 소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충격을 받은 바퀴벌레가 균형을 잃고 낙하하는 것을 이용하여 낙하 지점에 끈끈이 등의 포획유닛을 설치하여 포획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살충시 발생하는 냄새 및 소리가 줄어들고,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획유닛을 포획 케이스의 수용홈 내측에 설치하여 바퀴벌레가 끈끈이에 낙하된 이후에 다시 포획 케이스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포획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퀴벌레의 거동 습성에 따라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를 통해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100)은 크게 포획 케이스(110), 포획유닛(120), 도전판(130), 센서부 및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획 케이스(110)는 대략 사각뿔대 형태로 형성되며, 수용공간인 수용홈(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획 케이스(110)의 외측면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진 제1 경사면(112)으로 형성되어 바퀴벌레가 상기 수용홈(116) 측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이동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16)의 측면은 상기 제1 경사면(112)과 유사하게, 기울기를 가지는 제2 경사면(114)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면(112)과 상기 제2 경사면(114) 의 경계부위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퀴벌레가 자연스럽게 상기 제2 경사면(114)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서 상기 제1 경사면(112) 및 제2 경사면(114)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평면으로 구성되나, 그 형상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오목하거나 또는 볼록한 곡면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포획 케이스(110)는 상기 수용홈(116)을 가릴 수 있는 케이스 커버(1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커버(102)는 상기 포획 케이스(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데, 이로써 상기 케이스 커버(102)와 상기 포획 케이스(110) 사이에는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수용홈(116)으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제공된다. 상기 케이스 커버(102)와 상기 포획 케이스(110)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커버(102) 및 상기 포획 케이스(110)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획 케이스(110)는 지면 또는 벽면 등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포획 케이스(110)의 바닥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또는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가 별도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포획유닛(120)은 상기 수용홈(116)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포획유닛(120)은 상기 수용홈(116)의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해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도포되거나 결합되어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접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의 상하면에는 모두 접착 물질이 도포되어 접착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면은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포획 접착면(122)으로, 하면은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결합 접착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유닛(120)은 상기 지지부 및 접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포획 접착제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포획유닛(120)은 상기 수용홈(116)의 바닥면에 상기 포획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획유닛(120)은 상기 포획 케이스(11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포획유닛(120)의 포획 접착면(122)이 포획된 상기 바퀴벌레로 인해 포화되는 경우, 기존의 포획유닛은 제거되고 대신에 새로운 포획유닛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120)의 포획 접착면(122)에는 상기 바퀴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인제는 먹이제, 물, 바퀴벌레 분변 또는 페로몬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판(130)은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16)의 측면, 즉 상기 제2 경사면(114)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도전판(130)은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전판(130)의 테두리는 상기 제2 경사면(114)와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도전판(130)은 상기 제2 경사면(114)에 함몰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경사면(114)은 상기 도전판(130)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도전판(13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는 상기 도전판(130)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보다 크되, 상기 도전판(130)의 테두리가 상기 제 2 경사면(11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용홈(116)의 입구측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116)에 저장된 상기 포획유닛(120)으로 접근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용홈(116)의 개구부(119) 측으로 접근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서는 제1 센서부(140), 제2 센서부(150), 제3 센서부(160) 및 제4 센서부(170)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9)의 네 꼭지점 측에 각각 하나씩 위치한다.
그리고, 각각의 센서부(140, 150, 160, 170)는 전파를 일 방향으로 송신하는 발광센서(142, 152, 162, 172) 및 상기 송신된 전파와 수직한 방향에서 오는 전파를 수신하는 수광센서(144, 154, 164, 174)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140, 150, 160, 170)는 상기 수용홈(116)의 개구부에 감지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116)을 향해 모든 방향에서 접근하는 바퀴벌레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바퀴벌레를 효율적으로 포획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140, 150, 160, 170)는 상기 도전판(13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센서부(140, 150, 160, 170)는 상기 도전판(130)의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내측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센서부(140, 150, 160, 170)로부터 바퀴벌레가 감지되면, 감지된 즉시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도전판(130)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상기 바퀴벌레가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기 도전판(130)에 접촉하여 전기충격을 받게 하는 것보다는 상기 도전판(130)에 완전히 머문 상태에서 전기충격을 받도 록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센서부(140, 150, 160, 170)가 상기 도전판(130)의 외측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이때에는 비록 상기 센서부(140, 150, 160, 170)에 의해 상기 바퀴벌레가 감지되더라도, 그 즉시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도전판(130)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되는 대신에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도전판(130)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서는 상기 센서부의 센서로서 카메라, 광센서, 적외선 센서등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접촉식 센서 외에도 상기 센서부는 무게 감지센서, 정전 용량센서 등과 같은 접촉식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퀴벌레의 진입 여부 및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도전판(130)에 흐르는 전압은 상기 바퀴벌레를 죽이는 데 필요한 전압보다 작아도 무방하며, 순간적으로 충격을 줄 수 있을 정도의 전압으로서, 1볼트 내지 25볼트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를 통해 바퀴벌레가 포획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제1 실시예를 통해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획 케이스(110)의 내측면인 제2 경사면(114)으로 진입한 상기 바퀴벌레(101)가 도전판(130)에 접촉한다.
여기서, 개구부(119) 네 꼭지점 부분에 설치된 센서부에 의해서 상기 바퀴벌레(101)들이 감지된다. 제1 센서부(140)의 발광센서(142)로부터 방사된 전파는 상기 개구부(119)의 모서리를 따라 진행하여 제4 센서부(170)의 수광센서(174)로 수신된다.
그런데, 상기 바퀴벌레(101)가 상기 제1 센서부(140)의 발광센서(142)와 제4 센서부(170)의 수광센서(174)를 이어주는 직선상에 오게 되면, 상기 제1 센서부(140)의 발광센서(142)로부터 방사된 전파가 진행이 차단되어 상기 제4 센서부(170)의 수광센서(174)까지 진행할 수 없다.
상기 센서부와 연결된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부의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수용홈(116)에 상기 바퀴벌레(101)가 진입하였음을 판단하고, 상기 도전판(130)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전판(130)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바퀴벌레(101)는 순간적으로 상기 도전판(130)으로부터 전기충격을 받게 되어 상기 도전판(130)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지면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낙하한 상기 바퀴벌레(101)는 상기 수용홈(116)의 바닥면에 설치된 포획유닛(120)의 포획 접착면에 포획된다. 이때, 바퀴벌레(101)가 침입하는 도전판(130)만 선택적으로 통전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절전 효과가 있어서,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터리 수명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으며, 기타 경우에도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람의 감전 등의 안전사고 위험도 줄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써, 롤러 방식의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서 바퀴벌레 트랩(100)은 대략 사각뿔대로 형성되어 중앙부에는 수용홈(116)이 형성된 포획 케이스와, 상기 수용홈(116)의 측면에 결합되어 바퀴벌레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는 도전판(130)과, 상기 수용홈(116)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전판(130)에서 전기충격을 받아 낙하하는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포획유닛(180)과, 상기 수용홈(116)에 진입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하는 센서부(140, 150, 160, 170) 및 상기 도전판(130)에 전기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홈(116)에는 상기 포획유닛(18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18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180)은 띠 형태의 끈끈이(182)와, 롤러 형태의 공급롤(184) 및 회수롤(18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끈끈이는 일면에 바퀴벌레가 달라 붙도록 하기 위한 포획 접착제가 도포된 포획 접착면(18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롤(184)은 상기 끈끈이(182)를 일부 권취하고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한 상기 포획 접착면(183)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회수롤(186)은 상기 공급롤(184)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공급롤(184)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끈끈이(182)를 회수한다.
한편, 상기 포획유닛(180)은 상기 공급롤(184) 및 회수롤(186)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모드가 결정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끈끈이(182)의 포획 접착면(183)이 상기 포획된 바퀴벌레들로 인해 더 이상 포획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공급롤(184)과 상기 회수롤(186)을 회전시키고, 상기 공급롤(184)로부터 새로운 포획 접착면이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회수롤(186)에는 기존의 포획 접착면을 가지는 끈끈이가 회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끈끈이(182)의 포획 접착면(183)에 상기 바퀴벌레가 포획된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써,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부(140, 150, 160, 170)로부터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할 때 발생하는 신호를 카운팅하여 상기 끈끈이(182)의 포획 접착면(183)에 해충이 얼마나 포획되었는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끈끈이(182)의 포획 접착면(183)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부를 구비하여 상기 촬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포획된 바퀴벌레를 직접 카운팅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어유닛은 카운팅 된 상기 바퀴벌레의 수가 기 설정된 교체 타이밍의 바퀴벌레의 수보다 많으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기존의 포획 접착면을 새로운 포획 접착면으로 교체시켜준다.
한편, 상기 포획유닛(180)은 상기 포획 케이스(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끈끈이(182)이가 더 이상 새로운 포획 접착면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에 끈끈이 자체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 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200)은 포획 케이스(210), 포획유닛(220), 도전 와이어(230), 센서부 및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획 케이스(210)는 중앙부분에 수용홈(214)이 형성되며, 포획유닛(220)은 상기 수용홈(214)에 위치하여 바퀴벌레를 포획한다.
이러한 상기 포획 케이스(210)는 상기 수용홈(214)을 가릴 수 있는 케이스 커버(2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커버(202)는 상기 포획 케이스(2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데, 이로써 상기 케이스 커버(202)와 상기 포획 케이스(210) 사이에는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수용홈(214)으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제공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커버(202)와 상기 포획 케이스(210)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커버(202) 및 상기 포획 케이스(210)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 와이어(130)는 전기가 통하여 상기 바퀴벌레에게 전기 충격을 줄 수 있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용홈(214)의 개구부(215)에 진입하는 해충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바퀴벌레의 진입을 감지하면 도전 와이어(230)에 전기가 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바퀴벌레가 진입한 와이어(230)만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도록제어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절전 효과가 있어서,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터리 수명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으며, 기타 경우에도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람의 감전 등의 안전사고 위험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214)의 측면(216)은 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그 형상이 한정되거나 제한되지는 않으며,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 와이어(230)는 얇은 철사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15) 측에 가로질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 와이어(230)는 상기 수용홈(214)의 상측 측면에 결합되고, 이때 결합된 상기 도전 와이어(230)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215)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포획 케이스(210)의 경사면(212)을 따라 올라온 상기 바퀴벌레가 경계심 없이 상기 도전 와이어(230) 상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전 와이어(23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도전 외이어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지만, 각각의 상기 도전 와이어(230)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 이외에도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부(240), 제2 센서부(250), 제3 센서부(260), 제4 센서부(270)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215)의 꼭지점 부분에 각각 위치한다. 이러한 상기 각각의 센서부(240, 250, 260, 270)는 전파를 일방향으로 송신하는 발광센서(242, 252, 262, 272)와, 상기 발광센서(242, 252, 262, 272)로부터 송신된 전파 와 수직한 방향에서 오는 전파를 수신하는 수광센서(244, 254, 264, 2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센서부(240)의 발광센서(242)와 상기 제4 센서부(270)의 수광센서(274)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 센서부(240)의 발광센서(242)로부터 방사된 전파가 상기 제4 센서부(270)의 수광센서(274)에 수신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부(215)에서 하나의 꼭지점 측에 위치한 센서부의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는 인접한 다른 꼭지점 측에 위치한 센서부의 수광센서 및 발광센서에 일대일 매칭되어 상기 개구부(215) 측으로 진입하는 바퀴벌레가 감지되는 감지라인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경사면(212)에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나, 이외에도 상기 수용홈(214)을 내측 영역에 포함하는 감지라인을 형성한다는 조건에서 상기 포획 케이스(210)의 다른 부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서 상기 센서부는 이웃하는 다른 센서부와 전파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나, 다른 실시예서는 각각의 센서부들이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다른 센서부와 전파를 상호 송신 및 수신하는 형태의 감지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서 상기 센서부가 개구부의 네 꼭지점 측에 각각1개씩 구성되나, 그 위치 및 수가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 와이어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감지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는 비 접촉식으로 광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접촉식으로는 정전용량 센서 또는 무게 감지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센서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바퀴벌레의 진입 여부 및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가 접촉식 센서인 정전용량 센서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전 와이어 자체를 바퀴벌레를 감지하면서 동시에 전기충격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전 와이어는 전체적으로 절연체로 피복되고, 그 중 일부분이 피복이 벗겨진 상태가 되어 바퀴벌레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 바퀴벌레가 접촉되면, 제어유닛은 도전 와이어로 흐르는 전류를 증대시켜 바퀴벌레에게 전기충격을 가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를 통해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8은 제2 실시예를 통해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획 케이스(210)의 경사면(212)을 이동하는 바퀴벌레(201)는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다. 즉, 제1 센서부(240)의 발광센서(242)로부터 송신된 전파가 제4 센서부(270)의 수광센서(274)로 진행해야 하나, 진입한 상기 바퀴벌레(201)에 의해 진행이 차단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4 센서부(270)는 상기 바퀴벌레(201)를 감지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전달한다.
상기 센서부에 의해 형성된 감지라인을 지나온 상기 바퀴벌레(201)는 상기 개구부(215)를 가로질러 결합된 도전 와이어(230)를 건넌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4 센서부(270)로부터 상기 바퀴벌레(201)를 감지한 감지정보를 수신 받은 후,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감지라인을 지나 상기 도전 와이어(230)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시간에 상기 도전 와이어(230)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상기 도전 와이어(230)에 접촉하여 보행하는 상기 바퀴벌레(201)는 상기 도전 와이어(230)로부터 전기적인 충격을 받게 되어 상기 수용홈(214) 내부에 위치한 포획유닛(220)으로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획유닛(220)의 상면은 포획 접착면(222)으로 형성되어 그 위에 낙하된 상기 바퀴벌레(201)가 도망치지 못하도록 포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포획유닛(220)으로 평평한 플레이트 위에 끈끈이가 포개진 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실시예서는 상기 끈끈이가 롤러 방식으로 공급되거나 회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끈끈이를 교체해 줄 필요 없이 단지 자동으로 롤러를 구동하여 끈끈이의 포획 접착면을 새 것으로 교체해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기술한 실시예들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바퀴벌레 트랩(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포획 케이스(310)의 중심 측에는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한 제공되는 공간인 수용홈(314)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14)을 형성하는 상기 포획 케이스(3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 홈(314)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용홈(314)의 바닥면을 향하여 기울기를 가지고 연장 형성된 경사부(316)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316)는 상기 수용홈(314)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16)의 상면에는 상기 바퀴벌레에게 전기충격을 줄 수 있는 도전판(330)이 결합된다. 상기 도전판(330)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접촉하는 상기 바퀴벌레에게 전기 충격을 주어 상기 수용홈(314)의 바닥면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14)의 바닥면에 낙하된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수용홈(314)의 바닥면에 설치된 포획유닛(320)에 의해 포획된다. 상기 포획유닛(320)은 상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끈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획유닛(320)으로 낙하한 상기 바퀴벌레는 먼지 등에 의해 상기 포획유닛(320)에 잘 달라붙지 않더라도, 상기 경사부(316)로 인해 상기 수용홈(314) 밖으로 탈출하지 못한다. 즉, 상기 경사부(316)는 상기 포획유닛(320)에 포획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포획 케이스(310)의 내측 벽면을 타고 탈출할 수 있는 여지를 제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기술한 실시예들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해 제 4실시예의 바퀴벌레 트랩(400)은 벽면(w)에 설치된다. 상기 바퀴벌레 트랩(4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포획 케이스(410)는 상기 벽면(w)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인 수용홈(4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획 케이스(410)를 상기 벽면(w)엔 장착하기 위해 나사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포획 케이스(410)에는 상기 벽면(w)과 인접한 부분에 바퀴벌레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4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출입구(412)를 통해 상기 수용홈(414)으로 들어온 상기 바퀴벌레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주기 위해 상기 벽면(w)과 접촉하는 상기 포획 케이스(410) 내측면에는 도전판(42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포획 케이스(410)의 내부에서 상기 출입구(412)의 대향측에는 상기 도전판(420)으로부터 전기충격을 받아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유닛(4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획유닛(430)은 접착물질이 일면에 도포된 끈끈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획 케이스(410)에는 상기 출입구(412) 이외에 개방된 부분이 없어서, 상기 포획유닛(430)으로 낙하된 상기 바퀴벌레는 탈출하지 못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기술한 실시예들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바퀴벌레 트랩(500)은 벽면(w)과 바닥면(f)이 만나는 건물의 모서리 측에 설치된다.
상기 바퀴벌레 트랩(5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포획 케이스(510)는 상기 벽 면(w)과 상기 바닥면(f)에 함께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인 수용홈(512)이 형성된다.
상기 포획 케이스(510)에는 상기 벽면(w)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바퀴벌레가 들어올 있는 제1 출입구(514)와, 상기 바닥면(f)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바퀴벌레가 들어올 수 있는 제2 출입구(516)가 형성된다.
상기 포획 케이스(510)에서 상기 벽면(w)과 접촉하는 부분의 내측면에는 도전판(520)이 장착되며, 상기 바닥면(f)과 접촉하는 부분의 내측면에는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포획유닛(530)이 설치된다. 상기 포획유닛(530)은 상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끈끈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획 케이스(510) 내부에는 상기 바퀴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제(540)가 설치된다. 상기 유인제(540)는 상기 바퀴벌레가 좋아하는 냄새를 주위로 퍼트린다. 일례로, 상기 유인제(540)는 먹이제, 물, 바퀴벌레 분변 또는 페로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벽면(w)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벌레는 상기 제1 출입구(514)를 통해 상기 수용홈(512)으로 들어오게 되며, 상기 도전판(520)과 접촉하면 전기충격으로 인해 상기 포획유닛(530) 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어 상기 포획유닛(530)의 접착물질로 인해 달라붙게 되어 포획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f)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벌레는 상기 제2 출입구(516)를 통해 상기 수용홈(512)으로 들어온다. 이어 상기 바퀴벌레는 상기 유인제(540)로 접근하기 위해 상기 포획유닛(530)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포획유닛(530)의 접착물질에 의해 포획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6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쫄대형 트랩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퀴벌레 트랩(600)은 벽면(w)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실내에서 옷장, 선반을 설치한 벽면과 같이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바퀴벌레 트랩(6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포획 케이스(6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인 수용홈(614)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614)을 형성하는 상기 포획 케이스(610)의 내측면은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부(616)를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616)에는 상기 수용홈(614)으로 들어오고자 하는 바퀴벌레에게 전기충격을 주기 위한 도전판(620)이 설치된다. 상기 도전판(620)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충격량은 상기 바퀴벌레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정도의 크기이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도전판(620)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614)의 바닥면에는 포획유닛(630)이 설치된다. 상기 포획유닛(630)은 일면에 접착물이 도포되며 띠 형태로 형성된 포획부(622)와, 상기 포획부(622)의 양측을 권취하는 공급롤(624) 및 회수롤(6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획부(622)는 상기 포획 케이스(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 되거나 권출 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포획부(622)는 폭이 좁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공 급롤(624)로부터 권출되고, 상기 회수롤(626)로 권취된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포획유닛(630)이 롤러 형태의 끈끈이로 형성되었으나, 평평한 시트상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를 통해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써, 롤러 방식의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를 통해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장면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바퀴벌레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바퀴벌레 트랩 110: 포획 케이스
112: 제1 경사면 114: 제2 경사면
116: 수용홈 119: 개구부
120: 포획유닛 122: 포획 접착면
130: 도전판 140: 제1 센서부
150: 제2 센서부 160: 제3 센서부
170: 제4 센서부 180: 포획유닛
181: 설치공간 182: 끈끈이
184: 공급롤 186: 회수롤
200: 바퀴벌레 트랩 210: 포획 케이스
212: 경사면 214: 수용홈
215: 개구부 220: 포획유닛
222: 포획 접착면 230: 도전 와이어
240: 제1 센서부 250: 제2 센서부
260: 제3 센서부 270: 제4 센서부

Claims (30)

  1. 전기가 통전되는 도전부;
    상기 도전부 상에 바퀴벌레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도전부의 전기를 선택적으로 통전시켜 상기 바퀴벌레를 낙하시키는 제어유닛; 및
    낙하된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포획유닛;
    을 포함하는 바퀴벌레 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정전용량 센서 및 무게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바퀴벌레가 접착하여 포획되는 포획 접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포획 접착면을 구비하고 띠 형태로 형성된 끈끈이;
    상기 끈끈이를 공급하는 공급롤; 및
    상기 공급롤과 이격 형성되며 상기 끈끈이를 회수하는 회수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은 복수개로써,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한 도전판만이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6. 수용홈을 구비하는 포획 케이스;
    상기 수용홈 내부에 위치하고,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포획 접착제를 가지는 포획유닛;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측면에 결합되며, 전기가 통전되는 도전판;
    상기 수용홈의 입구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획유닛으로 접근하는 상기 바퀴벌레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도전판에 전기를 선택적으로 통전시켜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포획유닛 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바퀴벌레 트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정전용량 센서 및 무게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케이스는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수용홈 측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된 제1 경사면; 및
    상기 수용홈의 측면을 이루며, 기울어져 형성된 제2 경사면;
    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의 경계면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은 상기 제2 경사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경사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벌레 트랩.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도전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전파를 송신하는 발광센서; 및
    상기 전파를 수신하는 수광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발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포획 접착제가 도포된 포획 접착면을 구비한 접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 접착제가 도포된 포획 접착면을 가지는 띠 형태의 끈끈이;
    상기 끈끈이의 일부를 권취하고, 상기 포획 접착면을 공급하는 공급롤; 및
    상기 공급롤과 이격 형성되고, 상기 공급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끈끈이를 회수하는 회수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공급롤 및 회수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구동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포획 접착면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접착제는 액체, 젤 및 분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은 복수개로써,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한 도전판만이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2.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된 포획 케이스;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고,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 접착제가 구비된 포획유닛;
    얇은 철사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획 케이스에서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결합되어 상기 바퀴벌레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도전 와이어;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도전 와이어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포획 접착제가 구비된 포획유닛;
    상기 수용홈의 입구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획유닛으로 접근하는 상기 바퀴벌 레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전 외어어의 전기를 선택적으로 통전시켜 상기 바퀴벌레를 상기 포획유닛 측으로 낙하시키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바퀴벌레 트랩.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케이스는 상기 수용홈의 상측을 가리는 케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획 케이스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바퀴벌레가 상기 수용홈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와이어는 상기 수용홈의 상부 측면을 가로질러 결합되고, 상기 도전 와이어의 상면과 상기 수용홈의 테두리는 동일 높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와이어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와이어는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전파를 송신하는 발광센서; 및
    상기 전파를 수신하는 수광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발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해충 방제업체로 전송하고, 상기 해충 방제업체는 상기 제어유닛을 원격 조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와이어는 복수개로써, 상기 바퀴벌레가 침입한 도전 와이어만이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트랩.
KR1020070076943A 2007-07-31 2007-07-31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 KR10094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43A KR100949765B1 (ko) 2007-07-31 2007-07-31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43A KR100949765B1 (ko) 2007-07-31 2007-07-31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01A true KR20090012801A (ko) 2009-02-04
KR100949765B1 KR100949765B1 (ko) 2010-03-25

Family

ID=4068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943A KR100949765B1 (ko) 2007-07-31 2007-07-31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7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341B1 (ko) * 2011-12-19 2013-10-28 대한민국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CN106527217A (zh) * 2015-09-15 2017-03-22 宁波高新区鹏博科技有限公司 一种农作物虫情监测信息自动采集系统
CN106993594A (zh) * 2017-04-28 2017-08-01 梁文涛 智能蟑螂诱捕装置
WO2023182789A1 (ko) * 2022-03-22 2023-09-28 김호겸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US11937593B1 (en) * 2023-06-01 2024-03-26 Nick Suteerawanit German cockroach glue tra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71B1 (ko) 2013-05-24 2013-08-28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영상 기반의 무인 모니터링 페로몬트랩 시스템
CN103329871A (zh) * 2013-06-25 2013-10-02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以风力发电为供电源的灭蟑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66U (ko) * 1995-07-04 1997-02-19 김승범 전격 살충기
JP2001017053A (ja) * 1999-07-02 2001-01-23 Shizuoka Prefecture フェロモントラップによる飛翔性害虫の計数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341B1 (ko) * 2011-12-19 2013-10-28 대한민국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CN106527217A (zh) * 2015-09-15 2017-03-22 宁波高新区鹏博科技有限公司 一种农作物虫情监测信息自动采集系统
CN106993594A (zh) * 2017-04-28 2017-08-01 梁文涛 智能蟑螂诱捕装置
WO2023182789A1 (ko) * 2022-03-22 2023-09-28 김호겸 작은벌집딱정벌레 포획 트랩
US11937593B1 (en) * 2023-06-01 2024-03-26 Nick Suteerawanit German cockroach glue 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765B1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765B1 (ko) 센서와 전기충격기를 구비한 바퀴벌레 트랩
US10849320B2 (en) Pest trap with disposal container and wireless monitoring
US10271533B2 (en) Smart mosquito trap
US11417197B2 (en) Pest control system having event monitoring
US11849714B2 (en) Insect trapping systems
US20150150236A1 (en) Multiple-use vermin trap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8973300B1 (en) Trap for crawling insects
US11716984B2 (en) Insect trapping device
US201401159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 insect extermination
KR20080109307A (ko) 해충 포획 장치
KR100871428B1 (ko) 온도 또는 습도의 제어가 가능한 바퀴벌레 트랩
CN113163743B (zh) 昆虫诱捕器
KR101196386B1 (ko) 비래해충 포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895485B1 (ko) 감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KR10195916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충 퇴치 시스템
JPH11346629A (ja) 蚊の誘殺器又は蚊の捕獲器
KR100895507B1 (ko) 졸대형 바퀴벌레 트랩
KR100772973B1 (ko) 해충 박멸수단을 구비한 박스
KR100895488B1 (ko) 해충 포획장치
US20220155482A1 (en) Remote insect detector
KR20090032253A (ko) 상단 끈끈이가 구비된 바퀴벌레 트랩
KR100831364B1 (ko) 바퀴벌레 트랩
KR101966898B1 (ko) 자율 방범 시스템
EP3386296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insect infestation
KR20080097082A (ko) 유해동물 포획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