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777U -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 Google Patents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777U
KR20090011777U KR2020080006365U KR20080006365U KR20090011777U KR 20090011777 U KR20090011777 U KR 20090011777U KR 2020080006365 U KR2020080006365 U KR 2020080006365U KR 20080006365 U KR20080006365 U KR 20080006365U KR 20090011777 U KR20090011777 U KR 200900117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ction
power distribution
compactor
support member
distribu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기춘
정태성
Original Assignee
남부전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전력(주) filed Critical 남부전력(주)
Priority to KR2020080006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777U/ko
Publication of KR20090011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7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1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in the borehole
    • E21B33/13Methods or devices for cementing, for plugging holes, crevic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 등의 클램프 장치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강에 의하여 지면을 눌러서 다져주기 위한 다짐부를 포함하는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를 제공한다.
다짐기, 전주, 전신주, 굴착, 클램프, 지지부, 지면, 원호, 다짐판

Description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COMPACTOR FOR CONSTRUCTION OF EQUIPMENT OF POWER DISTRIBUTION}
본 고안은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 외주면 근처까지도 다짐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는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배전설비 공사에서는 전주를 설치할 지점을 선정한 후 전주 설치 지점에 전주 삽입 구덩이 깊이만큼 굴착을 행하고, 굴착한 구멍에 전주를 삽입하여 수직으로 세운 후 다짐 작업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다짐 작업은 굴착 구멍에 전주를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한 깊이 간격, 예컨대 30㎝ 간격으로 실시하게 된다.
전주는 통상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래의 다짐 작업은 인력이나 굴삭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력에 의하여 다짐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삽을 이용하거나 작업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흙을 눌러서 다지고 있으므로, 다짐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원통형 전주의 외주면 근처는 다짐 작 업하기 곤란하며, 또한 견고하게 다지기 어렵다.
특히, 다짐 작업을 해야 하는 장소가 가파른 언덕이나 습지 등인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굴삭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굴삭기의 버켓 뒷면을 이용하여 다짐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버켓의 뒷면은 다수의 굴곡면을 갖는 두레박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모든 부위를 견고하게 다짐 작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주 바로 근처와 같은 지점은 접근하기 어려워 다짐 작업이 곤란하므로, 굴삭기를 이용한 다짐 작업 후 작업자가 투입되어 추가 다짐 작업을 행하여야 하며, 그 만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전주 외주면 근처까지도 다짐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는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는, 굴삭기 등의 클램프 장치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강에 의하여 지면을 눌러서 다져주기 위한 다짐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 구멍을 가지고 있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체결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굴삭기의 클램프 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핀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짐부는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다짐판과, 상기 다짐판의 외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고 내측으로 만곡되는 원호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호부는 전주 외주면 근처의 다짐 작업을 위하여 전주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다짐판의 하단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짐판은 다짐 작업시 상기 다짐판의 상측으로 지면의 흙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는 전주 외주면 근처는 물론 가파른 언덕이나 습지 등에서도 다짐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굴삭기는 필요에 따라 버켓, 파쇄기(breaker) 하거나 탈착할 수 있도록 클램핑 장치, 예를 들면 퀵 클램프(도시하지 않음) 등을 가지고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다짐기(100)는 배선 설비 공사에서 다짐 작업을 행할 때 퀵 클램프에 장착되어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다짐기(100)는 굴삭기 등의 클램프 장치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10)와, 상기 연결부(110)와 결합되어 연결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강에 의하여 지면(300)을 눌러서 다져주기 위한 다짐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10)는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체결 구멍을 가지고 있는 브라켓트(111)와, 상기 브라켓트(111)의 체결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굴삭기의 클램프 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핀 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브라켓트(111)의 일단부에 결합되거나 브라켓트(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짐부(130)의 다짐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짐부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는 연결부(110)를 지지하면서 다짐부(130)의 견고한 다짐 작업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보유해야 하며, 연결부(130)가 전주(200)에 걸리지 않고 다짐부(130)가 용이하게 다짐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연결부(110)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짐부(13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소정의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다짐판(131)과, 상기 다짐판(131)의 외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고 내측으로 만곡되는 원호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다짐판(131)은 다짐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형상, 타원형상, 사각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짐판(131)은 견고한 다짐 작업을 위하여 그 하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호부(132)는 다짐판(131)의 외측면 일부에 하나 형성될 수 있고, 도 2와 같이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2개 이상의 원호부(132, 1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호부(132, 133)는 전주(200) 외주면 근처의 다짐 작업을 위하여 전주(200)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2개 이상의 원호부(133, 134)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원호부(133, 134)가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은 전주(200)의 직경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같이 2개의 원호부(132, 133)는 다짐판(132, 133)의 길이 방향(또는 폭방향) 중심선을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대칭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100)는 다음과 같이 다짐 작업을 행한다.
굴삭기에 버켓을 장착하여 굴착 작업을 행하다가 건주 작업 중 다짐 작업이 필요하면, 굴삭기의 클램핑 장치를 조작하여 버켓을 클램핑 장치로부터 분리시킨 후, 본 고안에 따른 다짐기(100)의 연결부(110)의 핀부재(112)를 클램핑 장치에 결합시켜 준다.
이와 같이 굴삭기에 결합된 다짐기(100)는 굴삭기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면서 하강될 때 다짐기(100)에 가해지는 하강력에 의하여 지면(300)을 내리 누르면서 다짐 작업을 하게 된다. 즉, 다짐기(100)가 하강할 때, 연결부(110) 및 지지부재(120)에 지지되어 있는 다짐부(130)의 다짐판(131)이 하강력을 받게 되고, 다짐판(131)의 하강력이 다짐 부위의 지면(300)에 인가되면서 지면(300)을 내리 눌 러 다져주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다짐기(100)를 이용하여 전주(200)의 외주면 근처에서 다짐 작업을 행하려면 도 3과 같이 다짐부(130)의 원호부(132)와 전주(200)의 외주면과 동일 곡률 중심에 위치하도록, 즉 다짐부의 원호부(132)와 전주(200)의 외주면을 밀착시켜 준 후 상기와 같이 다짐부의 다짐판을 내리 눌러 다짐 작업을 행하면 되므로, 전주(200)의 외주면 근처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다짐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주(200)의 외주면 근처까지고 다짐 작업이 견고하게 되므로 전주(200)가 큰 횡하중을 받아도 더욱 잘 지탱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라 굴삭기에 장착된 다짐기(100)를 전주(200) 주변의 다짐 작업이 필요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짐 작업을 행하면 전주 주변을 모두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다짐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에 관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100)는 하기의 구성 이외에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짐기(100)의 다짐판(130)은 다짐 작업시 상기 다짐판130)의 상측으로 지면(300)의 흙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140)는 지면의 흙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다짐판(13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40)는 다짐 작업시 흙 등의 유입을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다짐판(130)의 외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140)는 지면의 흙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용이하게 제조되기 위하여 다짐판(130)의 상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짐판(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봉의 작업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6)

  1. 굴삭기 등의 클램프 장치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강에 의하여 지면을 눌러서 다져주기 위한 다짐부
    를 포함하는,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 구멍을 가지고 있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체결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굴삭기의 클램프 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핀 부재를 포함하는,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부는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다짐판과, 상기 다짐판의 외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고 내측으로 만곡되는 원호부를 포함하는,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는 전주 외주면 근처의 다짐 작업을 위하여 전주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판의 하단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판은 다짐 작업시 상기 다짐판의 상측으로 지면의 흙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는,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KR2020080006365U 2008-05-15 2008-05-15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KR200900117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65U KR20090011777U (ko) 2008-05-15 2008-05-15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65U KR20090011777U (ko) 2008-05-15 2008-05-15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77U true KR20090011777U (ko) 2009-11-19

Family

ID=4929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365U KR20090011777U (ko) 2008-05-15 2008-05-15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77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103B1 (ko) * 2021-03-24 2022-01-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탄화 및 다짐 자동화 시스템
KR20230006088A (ko) * 2021-07-02 2023-01-10 주식회사 에코밸리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성토 다짐기 및 이를 이용한 다짐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103B1 (ko) * 2021-03-24 2022-01-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탄화 및 다짐 자동화 시스템
KR20230006088A (ko) * 2021-07-02 2023-01-10 주식회사 에코밸리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성토 다짐기 및 이를 이용한 다짐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10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вдавливания свай в грунт
KR20090011777U (ko) 배전 설비 공사용 다짐기
KR101370585B1 (ko) 전주 철거 장치
JP2011162990A (ja) 山留用h型鋼材の引抜装置
KR101274427B1 (ko) 반목조정장치
CN203491651U (zh) 一种伸缩式盖板支撑架
KR20120132660A (ko) 파일캡 구조체
KR100945745B1 (ko)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의 결합장치
CN210273449U (zh) 一种可拆分式电缆支架
CN210217639U (zh) 一种工程勘察用钻探防跑偏装置
KR200410657Y1 (ko) 통신용전주의 고정장치
KR20080109113A (ko) 시트파일 인발장치
CN202543962U (zh) 用于设备安装的座浆模具
CN216339570U (zh) 地铁车辆段基坑支撑装置
CN206457831U (zh) 带防水功能的管沟整体钢模支护装置
CN214626224U (zh) 一种电缆线路连接支架
CN214993739U (zh) 一种固定塑料排水板的插销
CN209760001U (zh) 一种建筑土方施工用助力装置
CN214243732U (zh) 一种井盖拆装设备
CN215326398U (zh) 一种小型水渠施工用水渠吊运装置
CN205918216U (zh) 一种通信塔的基座
CN204108963U (zh) 一种电锤夹持结构
CN216275514U (zh) 水利工程施工渠道侧壁支撑装置
CN218025194U (zh) 一种带有安全阀的液压千斤顶
CN214738096U (zh) 一种临时出土坡道钢支撑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