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730U -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 Google Patents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730U
KR20090011730U KR2020090014180U KR20090014180U KR20090011730U KR 20090011730 U KR20090011730 U KR 20090011730U KR 2020090014180 U KR2020090014180 U KR 2020090014180U KR 20090014180 U KR20090014180 U KR 20090014180U KR 20090011730 U KR20090011730 U KR 200900117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lid
wall
root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240Y1 (ko
Inventor
홍단
Original Assignee
홍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단 filed Critical 홍단
Priority to KR2020090014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240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2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기성 착생란의 뿌리 부패를 방지하고 화분 내부의 통기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수분 증발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화분(1) 내부에 식재 부자재(수태 등)를 사용하지 않고 화분(1) 상부 내벽에 내측 지름 보다 조금 작은 뚜껑(2)을 설치하여 식물(4)이 뚜껑 중앙 상부에 안치되어 뿌리가 뚜껑 가장자리로 뻗어내려 화분 내벽과 뚜껑 사이(3)를 통과하여 하부의 화분 내벽(1a)에 착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를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관수 시 물이 화분 뚜껑 가장자리(2b)로 모여 점성에 의하여 뿌리를 타고 내려가 직접적이고 빠른 수분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과잉의 수분이 적체되지 않고 잡초가 번식하지 못하며 뚜껑(2)에 의하여 화분 내부의 수분 증발을 지연시키도록 한 것이다.
Figure 112009066947689-UTM00001
화분, 착생, 난, 착생란, 풍란, 식재 부자재, 수태, 뚜껑

Description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Potting-medium-free flowerpot for epiphytic orchids}
본 고안은 호수성과 호기성이 높은 착생난의 재배에 있어서 식재 부자재 없이 생육할 수 있도록 빈 용기에 뚜껑(2)이 설치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난의 뿌리는 벨라멘층이라는 죽은 세포로 구성된 특수한 조직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상기 조직은 수분이 공급되었을 때 급속도로 흡수하여 저장하는 저수조직으로 알려져 있으며 착생란에 있어서는 뿌리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착생란의 뿌리는 저수능력이 탁월하지만 과습에는 약하며 장시간의 지나친 습기는 상기 조직의 부패를 촉진한다. 따라서 착생란의 뿌리에는 직접적이고 빠른 수분 공급과 통기성이 양호하고 급속 배수가 용이한 환경이 요구되며 반대로 지나친 건조도 또한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적당한 공중습도(70%내외 정도)를 유지하는 환경이 필요하다. < 인용 출처 > : 월간 난과 생활 2000년 11월호
착생난의 재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화분 내의 식재 부자재로 보습성이 좋은 자연소재인 수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식재 부자재는 너무 습할 경우 잘 마르지 않고 장시간 수분이 정체되어 뿌리부패를 초래하고 반대로 극도로 건조되었을 때 소수성이 높아져 관수 시 뿌리에 수분이 잘 조달되지 않는 등 여러 단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다농 재배에 있어서는 인접한 화분들이 상기 예와 같이 극심하게 상반된 함수 상태에 도달할 때도 있으며 이럴 경우는 일일이 개별로 수분 조절을 해야 하므로 물관리가 매우 까다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식재 부자재가 오래되면 물리적인 특성이 감소하고 식재 부자재의 부패로 인하여 뿌리의 부패를 초래하며 잡초가 번식하는 등 식재 부자재의 사용으로 인한 폐단을 극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식재 부자재의 사용을 탈피하고 착생난의 자연적인 특성을 살려 식물의 뿌리가 화분의 내벽에 접착하여 살 수 있도록 하며 수분 증발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뚜껑을 설치한다.
식재 부자재로 인한 뿌리부패가 일어나지 않고 잡초가 번식하지 않으며 건조한 환경일지라도 직접적이고 빠른 수분공급이 가능하고 과잉의 수분 적체가 생기지 않으며 균일하고 안정적인 재배환경으로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한다. 특히 화분 본 체(1)를 투명한 재질로 제작할 경우 외부에서 화분 내벽(1a)에 접착한 뿌리의 생태를 직접 관찰할 수 있으므로 관상용과 기능면으로도 개선된 효과를 기대한다.
본 고안은 식물(4)의 뿌리가 최종적으로 활착하여 식재되는 화분 본체(1)와 식물(4)이 안치되는 뚜껑(2)과 식물(4)의 뿌리가 뚜껑(2) 상부에서 화분 내부로 통과하는 공간부(3)로 구성된다. 각 부분의 기능과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면 화분 본체(1)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한 화분이거나 혹은 기존의 화분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능은 식물의 뿌리가 화분 내벽(1a)에 접착하여 살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핵심인 뚜껑(2)은 우산과 유사한 형태로 중앙(2a)이 상부로 돌출하여 관수 시 물이 뚜껑 변방으로 흘러내리고 뿌리가 식물(4)의 중심 기부로부터 나와 자연스럽게 뚜껑(2) 변방으로 뻗어 내리게 하며 뚜껑(2) 하부의 화분 내부 습기의 증발을 지연시킨다. 화분(1)의 상부와 내부가 상호 통하기 위한 공간부(3)는 화분 내벽(1a)과 근접하며 뚜껑(2)의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뿌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좁은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공간의 기능은 물과 뿌리가 뚜껑 상부에서 화분 내부로 통과하도록 하며 물이 점성에 의하여 뿌리와 내벽(1a)을 타고 내려가도록 유도한다. 상기의 특징을 충족하기 위하여 뚜껑 본체(2)의 크기는 뚜껑이 얹히는 위치에서 적어도 뿌리가 통과할 수 있는 폭 만큼 화분 내경보다 작아야한다. 또 뚜껑이 상기의 특징을 충족하면서 화분 본체와 체결되거나 화분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뚜껑(2) 변방에서 뿌리 굵기 정도의 뚜껑의 경사면과 동일한 연장선에서 다시 화분 내벽(1a)의 경사면과 평행한 하향으로 3갈 래 이상 형성된 연장부(2b)를 형성하여 뚜껑이 화분 내벽(1a)과 일정한 공간(3)을 유지하며 화분 내부 중앙상부에 얹히게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화분 상단면과 결합할 결합 홈이 형성된 걸림 기능을 갖는 3갈래 이상의 연결부(2c)가 뚜껑(2) 변방에서 뿌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U자형 연장부에서 다시 연결되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화분 상단면과 결합할 결합 홈이 형성된 걸림 기능을 갖는 테두리(2d)와 상기 테두리(2d)와 뚜껑(2)을 연결 지지하는 3갈래 이상의 연결부가 뚜껑(2) 변방에서 뿌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U자형 연장부에서 다시 연결되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화분 내벽(1a)에서 화분 내부 중심으로 돌출된 3개 이상의 돌출부(1c)가 뚜껑을 떠받도록 한다. 본 고안의 기능과 특징을 구비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이 제작 가능하며 일 예로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협하광형의 유리로 제작된 화분에 물이 담긴 수반(5)을 이용하여 화분 내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화분의 본체 내벽(1a)을 거친 요철이나 무늬 혹은 부식 처리된 재질로 제작하여 화분 내벽(1a)의 보습력을 높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착생란의 식재 방법의 일 예로 대엽풍란의 정식 방법을 예로 한다면 이식할 대엽풍란을 분에서 뽑아 뿌리에 붙은 수태와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한 후 가늘고 묵은 뿌리가 나온 줄기 하단부를 깨끗이 소독한 가위로 잘라내고 이식할 대엽풍란의 튼튼하고 긴 뿌리들을 상하지 않게 화분 내부로 통하는 공간부(3)에 삽입하고 상기 식물의 중심이 뚜껑 중앙(2a)에 오도록 맞추어 뚜껑을 본체에 결합한다. 한 손으로 식물의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게 고정하고 폭이 좁은 접 착테이프를 화분 본체 한 편에서 뚜껑과 뿌리를 가로질러 반대편 본체 외벽으로 당겨 붙인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2~3 군데 붙여 뿌리와 풍란을 화분에 고정한 후 수개월 후 뿌리의 접착 상태를 확인하여 테이프를 제거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에 대엽풍란이 식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내벽에 걸쳐 얹히는 기능을 갖는 갈래 부분이 뚜껑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상단 면에 걸림 기능을 갖는 갈래 부분이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 뚜껑과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상단 면에 체결되는 결합 홈을 구비한 테두리가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 뚜껑과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얹히는 기능을 갖는 부분이 화분 내벽에 돌출형성된 유리로 제작된 상협하광형의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과 상기 화분을 담고 있는 수반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화분 본체
2 : 뚜껑
3 : 뿌리와 물과 공기가 뚜껑 상부에서 화분 내부로 통과하는 공간
4 : 뚜껑 중앙 상부에 안치된 착생란
5 : 화분을 담는 수반
1a : 화분 본체 내벽
1b : 배수 및 통기구
1c : 뚜껑을 얹기 위해 화분 내벽에 형성된 돌출부
1d : 화분을 지면으로부터 띄우기 위해 형성된 화분의 연장부분
2a : 뚜껑 중앙부의 돌출된 부분
2b : 화분 내벽에 걸려 얹히기 위해 뚜껑 변방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갈래 부
2c : 뚜껑 변방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 홈을 구비한 갈래 부분
2d : 뚜껑 변방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 홈을 구비한 테두리
5a : 수반 중앙에 고인 물

Claims (6)

  1. 다양한 형태의 식재용 화분(1)과
    상기 화분(1) 내측 상부에
    상기 화분(1) 상단부의 형태와 부합하면서 중앙부(2a)가 돌출된 형상의 뚜껑(2)을 포함하며
    화분(1) 내부로 물과 뿌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기능으로
    화분 내벽(1a)과 뚜껑(2) 사이 혹은 뚜껑(2) 변방에 일정한 좁은 공간(3)이 환형으로 제공된 특징을 구비한
    플라스틱이나 도자기 혹은 유리 등으로 제조된 투명 또는 불투명의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2. 일반 화분을 사용하여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을 구현하기 위해
    화분의 상부를 개복하고 식물(3)을 안치하는 기능으로
    중앙부(2a)가 돌출된 형상의 플라스틱이나 도자기 혹은 유리 등으로 제조된 투명 또는 불투명의 화분용 뚜껑(2).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뚜껑이 화분 내벽(1a)과 일정한 공간(3)을 유지하며 화분 내부 중앙상부에 얹히게 하기 위하여
    뚜껑(2) 변방에서 3갈래 이상 뿌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뚜껑의 경사면과 동일한 연장부에서 다시 화분 내벽(1a)의 경사면과 평행한 하향으로 형성된 연장부(2b)가 포함된 뚜껑(2).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뚜껑이 화분 내벽(1a)과 일정한 공간(3)을 유지하며 화분 내부 중앙상부에 고정되며 화분과 체결되는 기능으로
    화분 상단면과 결합할 결합 홈이 형성된 걸림 기능을 갖는 3갈래 이상의 연결부(2c)가 뚜껑(2) 변방에서 뿌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U자형 연장부에서 연결 포함된 뚜껑(2).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뚜껑이 화분 내벽(1a)과 일정한 공간(3)을 유지하며 화분 내부 중앙상부에 고정되며 화분과 체결되는 기능으로
    화분 상단면과 결합할 결합 홈이 형성된 걸림 기능을 갖는 테두리(2d)와 상기 테두리(2d)와 뚜껑(2)을 연결 지지하는 3갈래 이상의 연결부가 뚜껑(2) 변방에서 뿌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U자형 연장부에서 연결 포함된 뚜껑(2).
  6. 제 1항에 있어서,
    뚜껑이 화분 내벽(1a)과 일정한 공간(3)을 유지하며 화분 내부 중앙상부에 얹히게 하기 위하여
    화분 내벽(1a)에서 화분 내부 중심으로 돌출된 형상의 화분 내벽 상부에 형성된 3개 이상의 돌출부(1c)를 포함하는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KR2020090014180U 2009-10-30 2009-10-30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KR200451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80U KR200451240Y1 (ko) 2009-10-30 2009-10-30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80U KR200451240Y1 (ko) 2009-10-30 2009-10-30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30U true KR20090011730U (ko) 2009-11-18
KR200451240Y1 KR200451240Y1 (ko) 2010-12-06

Family

ID=4447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180U KR200451240Y1 (ko) 2009-10-30 2009-10-30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2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7177B1 (nl) * 2020-12-21 2022-07-15 A J M De Koning Beheer B V Planthouder voor het opkweken van jonge planten, in het bijzonder epifytische planten zoals bijvoorbeeld epifytische orchideeë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1516A (en) 1974-12-17 1976-11-16 Cicero Edward L Separating flower pot
JP2002272276A (ja) 2001-03-21 2002-09-24 Toshihiko Oba 着生蘭用鉢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鉢を用いた着生蘭の栽培方法
JP2003047341A (ja) 2001-08-03 2003-02-18 Keiji Sekiguchi 花 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7177B1 (nl) * 2020-12-21 2022-07-15 A J M De Koning Beheer B V Planthouder voor het opkweken van jonge planten, in het bijzonder epifytische planten zoals bijvoorbeeld epifytische orchideeë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240Y1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23054A (ja) 植物育成器
KR20150087164A (ko) 투명 화분을 이용한 풍란 기르는 방법
US8112937B1 (en) Natural growth terrarium planter
KR101321741B1 (ko) 착생란 무배지 재배기구
KR101344914B1 (ko) 수분 자동 공급장치
KR20090011730U (ko) 식재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착생란용 화분
KR200490422Y1 (ko) 수경어항화분
JP2012223177A (ja) 観葉植物の育成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部材と植木鉢
KR101885752B1 (ko) 부유식 식물 재배 장치
JP4249797B1 (ja) コチョウラン又はフウランの栽培方法およびコチョウランとフウラン
KR101650026B1 (ko) 수경재배기
CN207836409U (zh) 一种带u型槽的荷花和睡莲水培装置
JP3262724B2 (ja) 栽培装置
KR200291872Y1 (ko) 투명커버를 가진 화분
NL2013977B1 (nl) Ingepotte epifyt, werkwijze voor het telen daarvan en daarbij gebruikte pot.
US10827688B2 (en) Aeration container
KR101098192B1 (ko) 서양란 포트용 화분꽂이
JP2000116232A (ja) 植物の栽培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060676U (ja) 観葉植物の水耕育成装置
US20040148856A1 (en) Two containers facilitate the watering and nourishing of plants grown in containers
KR200350600Y1 (ko) 화분
KR200284611Y1 (ko) 양수화분
KR200339590Y1 (ko) 착생난류 식재용 화분
JP2016165262A (ja) 底潅水多品種植物栽培システム
KR20110004755U (ko) 수경재배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