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806U - 테이블형 액자 구조 - Google Patents

테이블형 액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806U
KR20090010806U KR2020080005268U KR20080005268U KR20090010806U KR 20090010806 U KR20090010806 U KR 20090010806U KR 2020080005268 U KR2020080005268 U KR 2020080005268U KR 20080005268 U KR20080005268 U KR 20080005268U KR 20090010806 U KR20090010806 U KR 200900108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body
frame structure
panel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규
Original Assignee
최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규 filed Critical 최문규
Priority to KR2020080005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806U/ko
Publication of KR20090010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8Picture frame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4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decorative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5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connecting to a surface other than a flat wall, e.g. room corner, ceiling, window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 벽면 설치용 테이블 기능을 갖는 액자 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구조는, 전면으로 액자 구조를 형성하고 배면으로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는 테이블 액자와, 테이블 액자를 벽면으로부터 회동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바디로 구성되며; 테이블 액자의 회동 낙하에 따른 가압력을 일시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실린더가 고정바디로 내설되며, 고정바디는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형태로 구현되며, 소정 크기의 평판 구조를 'ㄷ'자형태로 절곡시켜 벽면과 맞닿도록 결합되는 베이스 패널과, 베이스 패널과 대향되고 테이블 액자를 소정 각도로 지지 또는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패널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패널 및 안착패널 사이로 베이스 패널을 벽면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공간부 및 실리더를 내설시키기 위한 설치 공간부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편을 보유하고, 설치 공간부의 하향면으로 실린더의 구동축을 인출시키기 위한 축설치구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테이블 지지대를 갖지 않아 액자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테이블 기능을 쉽게 구현함으로써, 액자의 기능 및 테이블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액자, 테이블, 테이블형, 액자형, 지지구조, 벽면설치

Description

테이블형 액자 구조{PICTURE FRAME STRUCTURE FOR TYPE OF TABL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필요시에 간이용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접철식 지지 구조를 갖는 테이블형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공간의 여유 있는 확보를 위하여 테이블이나 장식장 등의 가구들이 공간점유율이 낮도록 구성된다. 가구 중에서도 식탁 등의 테이블류는 수납용 가구와는 달리 식사 또는 작업시 등에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상생활 중에서 주기적이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손님이 방문하여 식탁이 모자란다거나 또는 테이블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거나 하는 경우와 같이 일시적으로 테이블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를 위해 테이블을 구비해 두기에는 공간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액자와 테이블의 결합 구조이다. 이를 살펴 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제1힌지 결합부(12)가 구비되어 벽면(2)에 설치되는 벽체고정판(10)과, 저면에 제2힌지 결합부(22)가 구비되어 상 기 벽체고정판(10)의 전방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테이블 상판(20)과, 상기 테이블 상판(20)을 지지하며 그림(40)이나 사진이 구비된 지지판(30)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테이블이다.
상기 벽체고정판(10)은 대략 상하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배면에 구비된 브라켓(17)에 의해 소정높이로 벽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벽체고정판(10)의 배면에는 설치홈(16)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16)에 브라켓(17)이 결합되어 벽체고정판(10)이 벽면에 밀착고정된다. 이러한 벽체고정판(10)의 하단부에는 제1힌지 결합부(12)가 구비되며, 전면 상측에는 자석(14)이 매입된다. 상기 테이블 상판(20)은 이 벽체고정판(10)의 전면에 수평으로 위치되는데, 기단부가 상기 벽체고정판(10)의 제1힌지 결합부(12)에 힌지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테이블 상판(20)을 상기 제1힌지 결합부(12)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테이블상판(20)은 벽체고정판(10)의 전면으로 겹쳐지게 된다. 그리고 테이블 상판(20)의 전면에는 벽체고정판(10)의 자석(14)에 부착되는 금속편(24)이 매입되어 상기 자석(14)과 금속편(24)에 의해 테이블 상판(20)이 상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테이블 상판(20)의 선단부 저면에는 제2힌지 결합부(22)가구비된다.
상기 지지판(30)은 테이블 상판(20)에 겹쳐지게 접히도록 기단부가 테이블 상판의 제2힌지 결합부(22)에 힌지결합되며, 테이블 상판(20)에 직교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는 그 선단부가 바닥면에 안착되어 테이블 상판(2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테이블 상판(20)의 선단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판(30)에는 그림이나 사진(4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테이블의 동작을 살펴 보면, 먼저 상기 테이블 상판(20)을 수평으로 펼치고 지지판을 펼쳐 테이블 상판(20)을 지지시키면 테이블이 된다. 그리고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지지판(30)을 회동시켜 테이블 상판(20)에 겹쳐지도록 접고 테이블 상판(20)도 회동시켜 벽체고정판(10)에 겹쳐지도록 접는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테이블 상판(20)과 지지판(30)이 벽체고정판(10)의 전면에 겹쳐지게 되고, 지지판(30)의 그림(40)이나 사진이 벽체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보이므로 그림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테이블 구조의 액자는 지지판(30)을 이용하여 테이블 상판(2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전술된 테이블은 지면으로부터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액자의 기능이 상실되어 단순히 벽면으로 체결된 테이블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반면, 액자가 지면으로 충분히 이격 설치될 경우, 상기 지지판(30)이 불필요하게 연장되어야 하므로,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 측면에서 극히 낭비적인 요소를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자의 기능과 간이 테이블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미려한 외관과 견고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액자에서 테이블로 전환시 실린더를 이용한 테이블 의 안정적 낙하를 유도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테이블 기능 수행 시 별도의 테이블 지지대를 구현하지 않고, 테이블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 구조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액자 구조에 있어서, 전면으로 액자 구조를 형성하고 배면으로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는 테이블 액자와, 상기 테이블 액자를 벽면으로부터 회동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바디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 액자의 회동 낙하에 따른 가압력을 일시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실린더가 상기 고정바디로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바디는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형태로 구현되며, 소정 크기의 평판 구조를 'ㄷ'자형태로 절곡시켜 벽면과 맞닿도록 결합되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과 대향되고 상기 테이블 액자를 소정 각도로 지지 또는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패널 및 안착패널 사이로 베이스 패널을 벽면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공간부 및 상기 실리더를 내설시키기 위한 설치 공간부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편을 보유하고, 상기 설치 공간부의 하향면으로 상기 실린더의 구동축을 인출시키기 위한 축설치구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는, 별도의 테이블 지지대를 갖지 않아 액자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테이블 기능을 쉽게 구현함으로써, 액자의 기능 및 테이블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로 적어도 둘 이상의 실린더를 구비함에 따라, 테이블의 안정적 전환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으로 액자 구조를 형성하고 배면으로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는 테이블 액자(301)와, 상기 테이블 액자(301)를 벽면으로부터 회동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바디(30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디(303)는 양 측면으로 측면 커버(305)가 장착되며, 상기 측면 커버(305) 및 고정바디(303) 간 상호 체결 후 외관의 미려함을 보완하기 위한 마감부재(307)가 인입된다.
상기 테이블 액자(301)는 소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바디(303)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디(303)는 벽면과 결합 또는 부착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바디(303)는 볼트에 의해 벽면과 나사 결합됨을 실시 예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디(303)는 나사 결합 이외에 벽면으로 내설되거나 별도의 부착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블형 액자는 고정바디(303)의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테이블 액자(301)가 일정 각도 회동되는데, 테이블 액자(301)가 상향으로 회동될 경우, 예시된 도면과 같이 액자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액자라 함은, 액자 형태 를 구현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소정 폭의 공간을 갖는 입체형 액자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액자는 그림을 포함하여 공간 회화를 위한 작품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형 액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벽면에 부착된 액자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테이블 액자(301)를 하향으로 회동시켜 벽면 부착형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벽면 부착형 테이블은 작은 화분이 놓이거나, 별도의 소장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테이블로 사용된다.
상기 테이블 액자는 사용자의 인위적 가압력에 의해 하향으로 회동되거나, 상향으로 회동되어 액자 기능 또는 테이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데, 여기서, 테이블 액자(301)가 테이블로 사용되기 위해 하향으로 회동될 경우, 테이블 액자(301)의 회동으로 인해 고정바디(303)의 저면으로 가압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실린더(미도시함)가 상기 고정바디(303)로 내설된다. 실린더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내설되거나,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테이블 액자(301)의 회동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의 테이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디(303)와 테이블 액자(301)는 상호 수직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테이블 액자(301)의 하중 부하는 고정바디(303)의 저면에서 흡수토록 하고 있다. 앞서 설명된 실런더는 테이블 액자(301)의 회동 속도를 저지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상 안정성을 부각토록 한다.
상기 고정바디(303)의 정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체결홈(401)을 포함하여, 상기 체결홈(401)의 대향 위치로 벽면과 체결되기 위한 고정홈(미도시됨)이 구비된 다. 상기 체결홈(401) 또한 제품의 미려함을 위한 마감부재가 인입 체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바디(303)의 중앙 위치 및 상기 테이블 액자(301)의 대향 위치로 부착부재(403)가 설치되는데, 상기 부착부재(403)는 테이블 액자(301)가 액자로 사용될 경우, 하향으로 회동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써,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바디(303)의 중앙 위치로 금속편을 부착하고, 이에 대향하는 테이블 액자(301)로 자석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테이블 액자(301)의 회동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재(403)는 인위적으로 착탈 가능하되, 테이블 액자(301)의 무게 중심 유동에 의한 자연 낙하를 방지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바디(303)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고정바디(303)는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구조적 변경을 통한 사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평판 구조를 'ㄷ'자형태로 절곡시켜 벽면과 맞닿도록 결합되는 베이스 패널(501)과, 베이스 패널(501)과 대향되고 상기 테이블 액자(301)를 소정 각도로 지지 또는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패널(503)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패널(501) 및 안착패널(503) 사이로 베이스 패널(501)을 벽면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공간부(505) 및 상기 실리더를 내설시키기 위한 설치 공간부(507)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편(509)을 보유하고, 상기 설치 공간부(507)의 하향면으로 상기 실린더의 구동축을 인출시키기 위한 축설치구(517)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편(513)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고정바디(303)는 상기 측면커버(305)를 외향으로 인입 설치하기 위해 상기 측면커버(305)와 나사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구(515)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 공간부(507)로 인입되는 실린더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편(511)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디(303)는 벽면상으로 고정됨에 있어서 나사 결합되거나, 임의의 부착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부착부재라 함은 상기 고정바디(303)가 화장실, 부엌 등으로 설치될 경우 거울, 유리, 타일 등에 설치되기 위한 테이프가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바디(303)는 벽면상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고정바디(303)의 전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체결홈(401)을 보유하며, 상기 체결홈(401)은 상기 고정 공간부(505)를 관통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체결홈(401)과 대향되는 베이스 패널(501) 상으로 나사 체결을 위한 홈(미도시함)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바디(303)는 고정 공간부(505) 및 설치 공간부(507)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 개의 편을 갖도록 압출 성형됨에 따라, 외형적 구조의 변형은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의 테이블 액자(301)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액자(301)의 일측 모서리로 일부 체결되어 테이블 액자(301)를 보호, 보강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보강패널(601)과, 상기 보강패널(601)의 종단부를 라운드시켜 테이블 액자(301)의 회동 중심을 형성하기 위한 회동축(60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패널(601)은 테이블 액자(301)와 고정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재(605)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605)는 나사 또는 피스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강패널(601)은 테이블 액자(301)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 미도시함)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구의 위치는 보강패널(601)의 측면에 형성되나, 보강패널(601)의 상측면 또는 상측 및 측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강패널(601)은 'ㄱ'자 형태의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 액자(301)는 제품의 미려함을 위해 나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강패널(601)의 체결부재(605)는 나사 또는 피스 이외에 본딩이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도면을 빌어 상기 측면커버(305)를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커버(305)의 외형은 고정바디(303)의 단면 외형과 대응하며, 상기 고정바디(303)의 각 체결구(515)와 대향하는 위치로 각각의 체결 안내구(707)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커버(305)가 상기 고정바디(303)의 고정 공간부(505) 및 설치 공간부(507)로 가압 인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다수 개의 가이드편(701)을 보유하며, 상기 테이블 액자(301)로 체결되는 보강 패널(601)의 회동축(603)과 대응하는 위치로 힌지축(703)을 형성한다.
상기 측면커버(305)는 플라스틱 재질의 금형 사출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축(703)은 회동축(603)으로 인입되기 위한 것으로, 힌지축(703) 대신 별도의 체결 안내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나사를 체결하거나 회동축(603)으로 인입 설치될 수 있는 바(Bar)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바디(303)의설치 공간부(507)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실린더(709)가 균일한 간격을 갖고 내설되는데, 실린더 구동축(711)은 축 설치구(517)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실린더(709)가 설치 공간부(507)로 인입 설치될 때, 상기 가이드편(51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709)의 유동을 최소화한다.
이와 같이, 고정바디(303)의 설치 공간부(507)로 다수 개의 실린더(709)가 내설된 후, 상기 측면커버(305)는 상기 측면커버(305)의 가이드편(701)을 이용하여 고정바디(303)의 측면 개구부로 가압 인입된 후, 상기 체결구(51)와 대응하는 체결 안내구(707)를 통해 체결나사(705)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 액자(301)는 측면커버(305)의 조립 과정과 동시에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바디(303)의 양측면으로 인입되는 힌지축(703)이 보강패널(601)의 회동축(603)으로 인입된다. 상기 힌지축(703)은 회동축(603)의 직경 보다 작도록 설계되어, 보강패널(601)이 장착된 테이블 액자(301)의 회동이 원활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측면커버(305)가 설치된 후, 상기 체결 안내구(707)는 마감부재(307)에 의해 처리되며, 상기 마감부재(307)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마감부재(307)의 설치를 감안하여, 상기 체결 안내구(707)는 단층 구조의 홈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나사(705)가 측면커버(305)로 완전히 인입되도록 한다.
테이블형 액자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바디(303)의 체결홈(401)을 통해 상기 고정바디(303)를 벽면의 소정 위치로 설치된다. 상기 체결홈(401) 또한 별도의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홈(401)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 액자(301)가 액자로 사용 되고 있으며, 상기 테이블 액자(301)는 고정바디(303)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상기 고정바디(303)는 테이블 액자(3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소정 각도의 테이퍼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테이블 액자(301)는 전술된 부착부재(403)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 액자(301)를 테이블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8의 (나)와 같이 상기 테이블 액자(301)를 하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테이블 액자(301)는 소정 각도로 자유 회동된 후, 상기 실린더(709)의 실린더 구동축(711)에 의해 테이블 액자(301)의 회동이 일시적으로 저지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 액자(301)는 실린더(709)의 탄성 또는 인장력에 의해 저지된 후, 서서히 낙하된다. 상기 실린더(709)는 테이블 액자(301)의 무게에 대응하도록 탄성 계수가 설정된 부품이 사용되며, 실린더(709)의 설치 갯 수에 의해 탄성 계수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의 (다)는 테이블 액자(301)가 완전히 회동된 상태이며, 테이블 액자(301)의 보강패널(601)은 상기 고정바디(303)의 지지편(513)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테이블 액자(301)로 임의의 물품이 안착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는 액자 또는 테이블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미려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액자와 테이블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각 기능에 대한 성실도를 높여 액자에 대한 기능성을 확장하고, 제품의 안정성 및 질적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산업적 이용 가치를 높인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테이블 형태의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정바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테이블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형 액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테이블 액자 303 : 고정바디
305 : 측면커버 307 : 마감부재
403 : 부착부재 501 : 베이스패널
503 : 안착패널 505 : 고정 공간부
507 : 설치 공간부 509 : 구획편
511, 701 : 가이드편 513: 지지편
515 : 체결구 517 : 축 설치구
601 : 보강패널 603 : 회동축
703 : 힌지축 705 : 체결나사
709 : 실린더 711 : 실린더 구동축

Claims (8)

  1. 테이블 기능을 갖는 액자 구조에 있어서,
    전면으로 액자 구조를 형성하고 배면으로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는 테이블 액자와, 상기 테이블 액자를 벽면으로부터 회동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바디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 액자의 회동 낙하에 따른 가압력을 일시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실린더가 상기 고정바디로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형태로 구현되며, 소정 크기의 평판 구조를 'ㄷ'자형태로 절곡시켜 벽면과 맞닿도록 결합되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과 대향되고 상기 테이블 액자를 소정 각도로 지지 또는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패널 및 안착패널 사이로 베이스 패널을 벽면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공간부 및 상기 실리더를 내설시키기 위한 설치 공간부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편을 보유하고, 상기 설치 공간부의 하향면으로 상기 실린더의 구동축을 인출시키기 위한 축설치구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측면커버를 외향으로 인입 설치하기 위한 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고정바디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벽면상으로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체결홈을 보유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고정 공간부를 관통하도록 설계되되, 상기 체결홈과 대향되는 베이스 패널 상으로 나사 체결을 위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액자는 이의 일측 모서리로 일부 체결되어 테이블 액자를 보호, 보강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보강패널과, 상기 보강패널의 종단부를 라운드시켜 테이블 액자의 회동 중심을 형성하기 위한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의 외형은 상기 고정바디의 단면 외형과 대응하며, 상기 고정바디의 각 체결구와 대향하는 위치로 각각의 체결 안내구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커버가 상기 고정바디의 고정 공간부 및 설치 공간부로 가압 인입되도록 안내하기 위 한 다수 개의 가이드편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테이블 액자로 체결되는 보강 패널의 회동축과 대응하는 위치로 힌지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별도의 체결 안내구를 형성하여 상기 보강 패널의 회동축과 나사 결합되거나, 바(Bar) 형태의 힌지 축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형 액자 구조.
KR2020080005268U 2008-04-18 2008-04-18 테이블형 액자 구조 KR200900108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268U KR20090010806U (ko) 2008-04-18 2008-04-18 테이블형 액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268U KR20090010806U (ko) 2008-04-18 2008-04-18 테이블형 액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06U true KR20090010806U (ko) 2009-10-22

Family

ID=4153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268U KR20090010806U (ko) 2008-04-18 2008-04-18 테이블형 액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80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823B1 (en) Garage door mail bag assembly
US20060243688A1 (en) Wall-mounted storage system
US20040173549A1 (en) Vertically stabilized adjustable shelf bracket assembly
US20100229442A1 (en) Interchangeable Art Tiles System
US20080224004A1 (en) Shelf mounting system
US20150135998A1 (en) Shelf attachment for flat panel displays
US20150335157A1 (en) Cabinet system
KR101905659B1 (ko) 욕실 코너 선반
US11103094B2 (en) Aesthetic fasteners
US20160045027A1 (en) Flip core door assembly
WO2017147046A1 (en) Retractable table
KR20090010806U (ko) 테이블형 액자 구조
US6805249B1 (en) CD display rack
US8789574B2 (en) Hard and soft window cornice kit and return
US8553160B1 (en) Flat screen TV dust protector device
CN214531679U (zh) 一种挂持式多功能护墙收纳装置
KR200387374Y1 (ko)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KR101100150B1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CN109506356B (zh) 用于空调器的挂墙支架
JP2002233425A (ja) 化粧板の取付構造
KR20110005809U (ko) 주방용 선반의 고정구
NO323948B1 (no) Opphengningsanordning
US20220386824A1 (en) Wall Mounted Shower Rack
KR200399390Y1 (ko) 벽체 부착식 액자
KR200260526Y1 (ko) 액자를 구비한 앨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