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374Y1 -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 Google Patents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374Y1
KR200387374Y1 KR20-2005-0007323U KR20050007323U KR200387374Y1 KR 200387374 Y1 KR200387374 Y1 KR 200387374Y1 KR 20050007323 U KR20050007323 U KR 20050007323U KR 200387374 Y1 KR200387374 Y1 KR 200387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helf
coupling plate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철
Original Assignee
양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철 filed Critical 양경철
Priority to KR20-2005-0007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 미장용으로 벽면에 마감 설치되는 벽면미장판재와 함께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식 선반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하단에는 벽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벽면미장판재의 상단에 돌출된 조립돌부가 삽입되는 하부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벽면미장판재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요부에 삽입되는 상부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판재와; 상기 결합판재의 상,하단 각각에는 전면에서 이면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상으로 요설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조립홈과; 상기 결합판재의 전면에 부착 고정되는 커버판재와; 전면에는 선반을 받쳐주기 위한 통상의 브라켓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재의 상,하부 조립홈과 같이 경사진 상태로 절곡 형성된 채 상기한 상,하부 조립홈에 삽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부 끼움단이 형성되어 있는 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Assembling type supporter for shelf}
본 고안은 벽면 미장용으로 벽면에 마감 설치되는 벽면미장판재와 함께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식 선반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면에 설치되는 선반받침구는 선반을 받쳐주기 위한 브라켓을 나사못이나 앵커볼트 등으로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는 선반받침구의 브라켓을 콘크리트 또는 목재로 된 벽면에 직접 부착시키기 때문에 상기한 브라켓을 이동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박혀있는 나사못 또는 앵커볼트를 빼내야만 브라켓을 다른 위치로 이동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앞서 브라켓이 설치되었던 위치에 나사못이 박혔던 자국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벽면의 외관을 해치게 되어 일단 선반받침구를 벽면에 설치한 후에는 선반받침구를 이동 설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선반받침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또한 벽면에 설치되었던 선반받침구를 사용하지 않게 될 때에도 그것을 제거하게 되면 벽면에 나사못 등의 자국이 남게 되어 사용하지도 않는 선반받침구를 벽면에 그대로 놔두게 되면 벽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된 선반받침구에 의해 벽면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된다는 것도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최근에 와서는 벽면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목재로 된 벽면미장판재를 조립식으로 설치하고 있는바, 이러한 벽면미장판재에 선반받침구를 부착시키기 위해 나사못 등을 박아주는 방법으로 선반받침구를 설치하게 될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벽면에 설치된 선반받침구의 이동 설치가 자유롭지 못할 뿐 아니라 부득이 선반받침구를 이동 설치해야 될 때에는 벽면미장판재에 선받받침구를 부착시키기 위해 박아주었던 나사못을 빼내어야 하는데, 못이 빠진 자리에는 못자국이 남아있게 되고 그 못자국은 외부로 노출되어 벽면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것입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내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내를 아름답게 꾸미기 위하여 벽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벽면미장판재와 함께 조립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조립부속물 없이도 선반받침구를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소정 높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는 선반을 받쳐주기 위한 브라켓을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 설치되었던 선반을 제거하게 될 경우에는 그 선반을 받쳐주었던 브라켓도 탈거할 수 있어 벽면은 평면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벽면에 선반받침구를 설치하여 상품을 진열해놓다가 상품을 진열하지 않을 때에는 선반 및 브라켓을 철거하고 다른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등 벽면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받침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단에는 벽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벽면미장판재의 상단에 돌출된 조립돌부가 삽입되는 하부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벽면미장판재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요부에 삽입되는 상부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판재와;
상기 결합판재의 상,하단 각각에는 전면에서 이면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상으로 요설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조립홈과;
상기 결합판재의 전면에 부착 고정되는 커버판재와;
전면에는 선반을 받쳐주기 위한 통상의 브라켓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재의 상,하부 조립홈과 같이 경사진 상태로 절곡 형성된 채 상기한 상,하부 조립홈에 삽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부 끼움단이 형성되어 있는 걸이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판재의 상,하부 조립홈 사이에는 나사못으로 벽면에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상,하측 부착부와, 상기한 나사못의 머리부가 커버판재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하측에 서로 마주한 상태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반받침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벽면미장판재에 조립 설치되는 선반받침구의 결합판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선반받침구의 설치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선반받침구의 브라켓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선반받침구는 결합판재(1)와, 이 결합판재의 전면에 부착되는 커버판재(2)와, 상기 결합판재(1)에 착탈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걸이구(3) 및 이 걸이구에 고정 부착되어 선반(5)을 받쳐주는 브라켓(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의 결합판재(1)는 금속재 좀더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재로 압출성형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에 벽면에 상,하 조립식으로 적층 설치되는 벽면미장판재(6)에 조립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판재(1)의 상단에는 벽면미장판재(6)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요부(61)에 끼워져 조립되는 상부 끼움돌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벽면미장판재(6)의 상단에 형성된 조립돌부(62)가 끼워지는 것을 허용하는 하부 끼움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끼움돌부(11) 및 하부 끼움홈(12) 각각은 결합판재(1)의 측면을 기준하여 볼 때 그 측면의 중심부분에서 돌출 및 요입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렇게 형성된 상부 끼움돌부(11)와 하부 끼움홈(12)은 벽면미장판재(6)들끼리 조립요부(61)에 조립돌부(62)가 끼워지는 것과 동일한 조립구조로서 결합판재(1)를 벽면미장판재(6)에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판재(1)의 상,하단에는 전면에서 이면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요입 형성되는 상,하부 조립홈(13)(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조립홈(13)의 하측과 하부 조립홈(14)의 상측 각각에는 결합판재(1)를 벽면(W)에 나사못 등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측 부착부(15)(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하측 부착부(15)(16) 각각의 하측과 상측에는 하나씩의 돌기(17)가 결합판재(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에서의 커버판재(2)는 상기 결합판재(1)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인데, 상기 커버판재(2)는 결합판재(1)의 상,하단에 형성된 상,하부 조립홈(13)(14)을 노출시킬 수 있는 상,하 폭을 가진 채 접착제 등에 의하여 부착되어 결합판재(1)의 전면을 평면상으로 커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에서의 걸이구(3) 상,하단에는 상기 결합판재(1)의 상,하단에 형성된 상,하부 조립홈(13)(14)와 같은 경사각도로 하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상,하부 끼움단(3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끼움단은 상,하부 조립홈(13)(14)에 삽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의 브라켓(4)은 상기 걸이구(3)의 전면에 용접으로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선반(5)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4)의 수평한 받침부에는 상기한 선반(5)을 고정시켜주기 위한 구멍(4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선반(5)이 목재일 경우에는 상기의 구멍(41)을 통해 나사못을 선반에 박아서 고정시키게 되며(도 3 참조), 또는 상기한 선반(5)이 유리패널로 되어 있을 때에는 고무받침부재(도시 생략)을 구멍(41)에 조립하여 유리선반이 금속재 브라켓(4)에 직접 닿지 않고 고무받침부재에 탄력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선반받침구를 벽면에 설치하는데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도시는 벽면(W)에 조립 설치된 벽면미장판재(6)에 선반받침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먼저 벽면(W)의 하단에는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지지부재(7a)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최하단측 벽면미장판재(6)의 하단부가 지지되게 적층 조립하며, 이어서 최하단측 벽면미장판재 위에 다음으로 적층되는 벽면미장판재를 조립 설치하는데, 이러한 적층 조립구조는 하측의 벽면미장판재(6) 상단에 돌출 형성된 조립돌부(61)가 그 위에 적층되는 벽면미장판재 하단의 조립요부(62)에 끼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조립하게 되면 벽면미장판재(6)들이 서로 조립돌부(61)와 조립요부(62)가 서로 끼인 상태로 결합되면서 상,하로 적층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면미장판재(6)를 상,하로 적층 조립하다가 선반받침구의 설치높이에 이르러서는 결합판재(1)의 하부 끼움홈(12)이 벽면미장판재(6)의 상단에 형성된 조립돌부(62)를 감싸는 상태로 조립하고, 이어서 상,하측 부착부(15)(16)에 형성된 "V"자홈(부호 생략)을 기준하여 나사못을 관통시켜서 벽면(W)에 박아주게 되면 상기 결합판재(1)는 벽면(W)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며, 이후 결합판재(1)의 상측에는 새로히 적층 조립하고자 하는 벽면미장판재(6)을 조립하는데, 이때에는 벽면미장판재(6)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요부(61)가 결합판재(1)의 상부 끼움돌부(11)를 수용하는 상태로 적층 조립하게 되면 결합판재(1) 위에 벽면미장판재(6)를 조립식으로 적층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적층 조립방법으로 결합판재(1)의 상방으로 하나 이상의 벽면미장판재(6)를 단계적으로 적층 조립한 다음 천정에서 가장 가깝게 설치된 최상단측 벽면미장판재(6)의 상단에 상부 지지부재(7b)를 설치하게 되면 벽면(W)의 소정 높이에 선반받침구의 기초가 되는 결합판재(1)를 상,하 다단식으로 적층 설치되는 벽면미장판재(6)들 사이에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벽면(W)의 소정 높이에 조립 설치된 결합판재(1)의 상,하부 조립홈(13)(14)은 노출되게 하고 그 조립홈 사이에 커버판재(2)를 조립 설치하게 되면 상기 결합판재(1)의 전면은 커버판재(2)에 의하여 평면상으로 마감되는 것인데, 상기 커버판재(2)는 목재로 형성되어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며, 또 상기 커버판재(2)의 전면에는 벽면미장판재(6)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무늬와 같은 무늬 예를 들면, 나무무늬가 형성되어 있게 하면 상기 커버판재(2)는 결합판재(1)를 벽면미장판재(6)와 어울리는 무늬모양으로 은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판재(1)를 은폐시키는 커버판재(2)의 상,하측에 노출되어 있는 결합판재(1)의 상,하부 조립홈(13)(14)으로 걸이구(3)의 상,하부 끼움단(31)(32)을 끼워주게 되면 브라켓(4)은 벽면(W)의 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되므로서 선반(5)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걸이구(3)의 상,하부 끼움단(31)(32) 각각은 상,하부 조립홈(13)에 삽탈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선반(5)의 길이에 따라 브라켓(4)을 좌,우측으로 이동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는 종래 기술과 같이 나사못이나 앵커볼트가 박혔던 자국을 발생시키지 않고도 브라켓(4)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판재(1)의 상,하부 조립홈(13)(14)에 걸이구(3)의 상,하부 끼움단(31)(32)을 끼워놓고 선반(5)을 설치한 다음 그 선반(5)에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보관하고자 하는 물건을 진열하다가 그 상품 및 물건을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되어 선반(5)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결합판재(1)의 상,하부 조립홈(13)(14)에 조립 설치되었던 걸이구(3)를 빼내게 되면 벽면(W)에는 선반이나 브라켓이 철거되고 적층 조립된 벽면미장판재(6)와 커버판재(2)가 평면을 이루고 있게 되므로서 벽면(W)과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후 다시 선반(5)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브라켓(4)이 부착되어 있는 걸이구(3)를 벽면미장판재(6)들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있는 결합판재(1)에 재설치하는 방법으로 벽면(W)에 선반(5)을 다시 설치하여 상품 등을 진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벽면에 상,하 적층 설치되는 벽면미장판재에 선반받침구의 결합판재를 조립식으로 설치한 다음 선반을 받쳐주기 위한 브라켓이 일체로 부착된 걸이구를 겹합판재의 상,하부 조립홈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주는 간편한 조립수단으로 선반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합판재에 조립 설치된 브라켓을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 설치가 가능하므로 선반의 규격(길이)에 따라서 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벽면에서 선반을 탈거하였다가 재설치가 가능하므로 벽면 및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반받침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벽면미장판재에 조립 설치되는 선반받침구의 결합판재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선반받침구의 설치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선반받침구의 브라켓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합판재 11 : 상부 끼움돌부
12 : 하부 끼움홈 13,14 : 상,하부 조립홈
15,16 : 상,하부 부착부 17 : 돌기
2 : 커버판재 3 : 걸이구
31,32 : 상,하부 끼움단 4 : 브라켓
5 : 선바 6 : 벽면미장판재

Claims (2)

  1. 하단에는 벽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벽면미장판재의 상단에 돌출된 조립돌부가 삽입되는 하부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벽면미장판재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요부에 삽입되는 상부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판재와;
    상기 결합판재의 상,하단 각각에는 전면에서 이면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상으로 요설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조립홈과;
    상기 결합판재의 전면에 부착 고정되는 커버판재와;
    전면에는 선반을 받쳐주기 위한 통상의 브라켓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재의 상,하부 조립홈과 같이 경사진 상태로 절곡 형성된 채 상기한 상,하부 조립홈에 삽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부 끼움단이 형성되어 있는 걸이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재의 상,하부 조립홈 사이에는 나사못으로 벽면에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상,하측 부착부와, 상기한 나사못의 머리부가 커버판재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하측에 서로 마주한 상태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KR20-2005-0007323U 2005-03-18 2005-03-18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KR200387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23U KR200387374Y1 (ko) 2005-03-18 2005-03-18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23U KR200387374Y1 (ko) 2005-03-18 2005-03-18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374Y1 true KR200387374Y1 (ko) 2005-06-17

Family

ID=4368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323U KR200387374Y1 (ko) 2005-03-18 2005-03-18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3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85B1 (ko) * 2011-03-02 2013-09-03 주식회사 새턴바스 가구 설치를 위한 벽면 고정형 가로바 및 가로바에 설치되는 가구
KR20200084652A (ko) * 2019-01-03 2020-07-13 김민성 조립식 선반용 고정구
KR102247722B1 (ko) 2021-02-10 2021-04-30 김서희 제품거치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85B1 (ko) * 2011-03-02 2013-09-03 주식회사 새턴바스 가구 설치를 위한 벽면 고정형 가로바 및 가로바에 설치되는 가구
KR20200084652A (ko) * 2019-01-03 2020-07-13 김민성 조립식 선반용 고정구
KR102221104B1 (ko) * 2019-01-03 2021-02-26 김민성 조립식 선반용 고정구
KR102247722B1 (ko) 2021-02-10 2021-04-30 김서희 제품거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460B2 (en) Domestic appliance for installation in a furniture frame
US5517795A (en) Furring stud assembly for slotted wall
CA2853141C (en) Panel system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US4367616A (en) Wooden beam suspended ceiling assembly
RU2406808C2 (ru) Стеновой переходный профиль
CN110088413B (zh) 用于墙体板材和天花板板材的三维图案的板材、安装夹具和墙体覆盖物或天花板覆盖物
US7306107B2 (en) Organizer wall
KR200387374Y1 (ko) 벽면설치용 조립식 선반받침구
KR200415298Y1 (ko) 경사진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정마감 몰딩
JP2007071011A (ja) 壁パネルおよび該壁パネルを取り付けるための壁下地材、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壁面構造
KR20180007461A (ko) 마감패널 조립구조
JP2008190153A (ja) 壁面構造
JP7102167B2 (ja) 床構造体
US8997425B2 (en)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KR102113530B1 (ko) 목재판 벽면 시공용 고정클립
JP5650488B2 (ja) 壁構造
JP2012077574A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WO2009069865A1 (en) Construction of display stand for goods
JP3105699U (ja) 組立式自立型家具
KR20230110906A (ko) 전시 부스용 목재 조립식 패널
JP2010013808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205245Y1 (ko) 판넬시스템의 브라켓
JP2005097937A (ja) 幅木及び幅木取付構造
JP2008038585A (ja) 壁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