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90Y1 - 벽체 부착식 액자 - Google Patents

벽체 부착식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90Y1
KR200399390Y1 KR20-2005-0022193U KR20050022193U KR200399390Y1 KR 200399390 Y1 KR200399390 Y1 KR 200399390Y1 KR 20050022193 U KR20050022193 U KR 20050022193U KR 200399390 Y1 KR200399390 Y1 KR 200399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fixing
pictur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환
Original Assignee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환 filed Critical 최덕환
Priority to KR20-2005-0022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5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connecting to a surface other than a flat wall, e.g. room corner, ceiling, wind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rotatably hanging or suppor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6Devices for connecting a suspension wire to a pi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8Picture loo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의 모서리인 코너 부위에 액자가 부착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벽체 부착식 액자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는 벽체의 코너 부위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와, 그 고정구의 일측 부위에 회전 또는 일체로 결합되고 중앙에 사진의 수납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액자 프레임과, 그 액자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보드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벽체의 모서리인 코너 부위에 부착되어 빈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가능한 구조에서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외관상 독특한 이미지를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벽체 부착식 액자{a picture frame}
본 고안은 벽체 부착식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의 모서리인 코너 부위에 일체형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빈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벽체 부착식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액자는 4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사진이나 그림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각각의 프레임의 양끝은 45˚각도로 절단되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고, 결합된 한쌍의 프레임을 다시 서로 마주보게 결합하여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프레임과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는 나무일 경우는 연결핀을 사용하고, 얇은 철판인 경우는 연결관의 관통구에 나사를 체결하여 만들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프레임은 사진의 수납을 위해 백보드와 같이 조립되어 사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기존 테이블 등에 안착되는 탁상용 액자의 경우에는 그 백보드의 후면으로 액자의 지지를 위해 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도 있다.
그 액자 프레임과 백보드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일체로 조립되며, 그 결합부재는 액자 프레임의 후면에 백보드의 후면과 간섭되도록 회전 가능한 끼움편이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립된 액자는 책상이나 벽면 등에 설치하여 장식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기존의 액자는 건물의 실내 벽체의 벽면에 걸려 고정되는 위치가 벽체의 모서리 부위인 코너부위가 아닌 중앙이나 중앙으로부터 약간 치우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기존의 액자는 벽체의 벽면등의 한정되는 공간에만 설치되었으며, 실제적으로 벽체의 모서리 부위인 코너부위에는 액자가 설치되지 않으며, 액자뿐만 아니라 다른 디스플레이 구조물도 부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벽체의 모서리 부위인 코너부위는 평면에서 볼 때 90°의 각도를 갖게 되므로, 그 구조적 특성상 별도의 장식장이나 벽체의 부착형 물품이 위치히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실내 벽체와 벽체 사이의 코너 부위는 실내 디스플레이 구조에서 쓸모 없는 빈 공간으로 생각되었으며, 그 빈 공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벽체의 코너 부위에 액자가 부착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벽체 부착식 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체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내부에 사진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과,
상기 액자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사진을 지지하기 위한 백보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고정구는 상기 벽체의 벽면과 밀착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에 의해 절곡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고정구는 상기 벽체의 벽면에 설치된 행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액자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는 와이어 형태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결합수단은 상기 액자 프레임의 일면과 백보드의 일면에 상호 대응되는 각각의 자석부재가 마련되어서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는, 벽체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백보드와, 상기 백보드의 일면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사진을 지지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결합수단은 상기 액자 프레임의 중앙에 전,후로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백보드의 중앙에 상기 액자 프레임의 통공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돌출부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결합수단은 상기 액자 프레임의 일면과 백보드의 일면에 상호 대응되는 벨크로 테이프가 마련되어 상호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벽체의 벽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사진이 수용되는 액자 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연결수단은 상기 액자 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삽입공을 갖는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봉의 중앙 부위에 다른 외주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자 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홈부에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걸이구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벽체의 코너부위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일측 또는 양측 부위와 일체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백보드와, 상기 백보드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에 사진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벽체의 코너부위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일측 또는 양측부위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부에 사진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과, 상기 액자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사진을 지지하기 위한 백보드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액자 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사진이 수납되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벽체의 코너 부위에 일체로 정착 고정되고 나사산을 갖는 정착공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정착구와, 상기 정착구와 체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테두리 부위에 상기 정착공과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액자 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외에도, 정착구는 상기 벽체가 코너 부위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후면이 직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본 고안 벽체 부착식 액자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벽체(W)의 벽면이나 모서리인 코너부위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100)와, 그 고정구(100)의 일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힌지(150) 결합되고 중앙에 사진(P)의 수납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는 액자 프레임(200)과, 그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결합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보드(250)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액자 프레임(200)은 사진(P)의 수납과 백보드(250)와의 결합을 위해 후면에 단턱부(20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사진(P)의 전면에 유리등의 재질로 된 커버(260)가 마련되며,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지만 그 통공의 테두리를 마감하기 위한 덮개 등이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고정구(100)는 벽체(W)의 벽면부위와 밀착되도록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벽체(W)의 벽면 형상이나 코너 부위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10)가 형성되어 절곡 가능한 구조도 있다.
또한, 고정구(100)의 다른 형태로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제 1,2고정구(100A,100B)로 구성되고, 그 액자 프레임(200)의 양측 단부에 끼움공(202)이 형성되고, 그 끼움공(202)의 내부로 제 1,2고정구(100A,100B)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형태의 것으로서, 그 끼움공(202)에 삽입되는 단부가 힌지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것이다.
그 제 1,2고정구(100A,100B)의 절곡된 부위의 하측부위가 벽체(W)에 일체로 고정된 못이나 고리등의 행거부재(H)에 걸려져 벽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2는 와이어 형태의 고정구(100A)(100B)가 액자 프레임(200)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백보드(250)의 양측 상,하단에 절곡된 와이어 형태의 고정구(100A)(100B)의 상,하 단부가 끼워져 회전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그 백보드(250)의 양측 상,하단에는 고정구(100A)(100B)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연결공(2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액자 프레임(200)의 타측부위에는 벽면과 밀착되어 액자 프레임(20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편(20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액자 프레임(200)이 벽체(W)에 부착된 후에 밀착되지 않고 힌지(15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액자 프레임(200)의 형태가 각각 오목 형태 또는 볼록 형태 등으로 제조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지만 사다리꼴, 타원형의 여러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 액자 프레임(200)과 백보드(250)의 결합수단은 공지된 바와 같은 구조인,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형성된 단턱부(204)에 커버(260) 및 사진(P)이 수납된 후에 백보드(250)의 후면과 간섭되도록 액자 프레임(200)의 통공 테두리에 회전 가능한 걸림편(210)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수단은 고정구(100)를 벽체(W)에 일체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고정구(100)가 플레이트형상일 경우에는, 복수개의 체결공(310)을 형성한 후에 그 체결공(310)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 또는 스크류등의 체결부재(320)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구(100)가 와이어 형태의 제 1,2고정구(100A,100B)일 경우에는, 벽체(W)에 못이나 고리등의 행거부재에 제 1,2고정구(100A,100B)의 꺾여진 부위를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벽체(W) 부착식 액자의 제 2실시예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는 달리 고정구(100)가 액자 프레임(200)과 힌지(150)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백보드(250)와 힌지(150) 결합되는 구조로 된 것이며, 그 구조는 벽체(W)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100)와, 그 고정구(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50) 결합되는 백보드(250)와, 그 백보드(250)의 일면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사진(P)을 지지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는 앞의 제 1실시예와 그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고정구(100)와 백보드(250)가 힌지(150) 결합되는 것이 다른 차이점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 백보드(250)와 액자 프레임(200)의 결합수단도 차이를 보이게 된다.
그 액자 프레임(200)과 백보드(250)의 결합수단은, 백보드(250)의 전면과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부재(340)가 각각 결합되어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그 결합수단은 도 22에서와 같이, 백보드(250)의 전면과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벨크로 테이프(330)가 부착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된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23은 결합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백보드(250)의 전면에 액자 프레임(200)의 통공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55)가 형성된 것으로, 액자 프레임(200)의 통공 내부로 돌출부(255)가 삽입되어 액자 프레임(200)을 지지하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결합수단은 하나의 종류가 아니라 여러 종류가 병합되게 채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돌출부(255)에 의해 액자 프레임(200)과 결합된 백보드(250)의 전면과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벨크로 테이프(330)나 자석부재(340)에 의해 그 결합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다.
제 3실시예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는 벽체(W)의 벽면 또는 코너 부위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500)와, 그 고정플레이트(500)의 일측 단부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하나이상의 연결봉(600)과, 그 연결봉(600)과 같이 회전되도록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에 사진(P)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200)과, 그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결합되어 사진(P)의 후면을 지지하는 백보드(250)로 구성된 것이다.
그 고정플레이트(500)는 액자 프레임(200)의 크기와 상관없이 그 폭이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또, 고정플레이트(500)는 연결봉(600)이 힌지 결합되는 일측 부위가 봉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연결봉(600)과의 힌지 결합구조를 위해 봉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 연결수단은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연결봉(600)의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삽입공(222)을 갖는 결합돌부(220)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502"는 고정플레이트(500)에 형성되어 체결부재(320)를 매개로 고정플레이트(500)를 벽체(W)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을 나타낸 것이다.
또, 그 연결수단의 다른 예로는, 도 26 및 도 27에서와 같이, 연결봉(600)의 중앙 부위에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홈부(610)가 형성되고, 그 홈부(610)에 걸려지도록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걸이구(230)가 설치되는 것이다.
도 28과 도 29는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봉(600)이 수직으로 마련되어 액자 프레임(200)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벽체(W)에 일체로 밀착되게 체결부재(320)에 의해 고정되는 제 3,4고정구(710,720)와, 상하 양단이 그 제 3,4고정구(710,720)의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연결축(730)과, 그 연결축(730)과 연결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액자 프레임(200)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 연결수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수직으로 연결축(730)의 외주가 관통되도록 삽입공(222)을 갖는 결합돌부(22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연결축(730)에 끼워지는 액자 프레임(200)이 복수개일 경우에는, 각각의 상,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높이 조절수단이 요구되며, 그 높이 조절수단은 연결축(73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고 마찰력을 갖는 고정링(750)이 액자 프레임(20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그 고정링(750)은 마찰성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구성되어 액자 프레임(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도 30은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봉(600)에 삽입되는 액자 프레임(200)이 하나가 아닌 복수개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봉(600)의 회전에 따라 보여지도록 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액자 프레임(200)의 결합돌부(220)가 후면의 일측과 타측부위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 31은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봉(600)에 삽입 결합되는 액자 프레임(200)이 하나인 경우에 양면으로 사진이 수납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액자 프레임(200)의 전,후면에 각기 다른 사진이 수납되는 양면액자를 채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액자 프레임(200)의 내부로 수납되는 커버(260)가 전,후면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4실시예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봉(400)과, 고정봉(400)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상,하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봉(600)과, 그 연결봉(600)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사진(P)이 수용되는 액자 프레임(200)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러한 제 1,2,3,4 실시예들로 구성된 본 고안은 각각의 고정구(100) 및 고정플레이트(500) 등에 의해 벽체(W)에 고정된 상태로 액자 프레임(200)이 회전 가능하도록 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작용은 벽체(W)의 벽면이나 코너부위에 체결부재(320) 또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구(100)(고정플레이트(500))를 고정시킨 후에, 액자 프레임(200) 또는 백보드(250)를 그 고정구(100)의 일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50) 결합함으로써, 액자 프레임(200)의 내부에 사진(P)을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 벽체(W)에 부착된 상태로 액자 프레임(200)을 힌지(150)를 기준으로 회전시킨 후에 백보드(250)와 액자 프레임(200)을 분해한 후에 사진(P)을 손쉽게 수납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형성된 단턱부(204) 내에 커버(260)와 사진(P) 및 백보드(250)가 순서대로 수납된 후에 걸림편(210)을 회전시켜 백보드(250)가 액자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구조는 공지의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백보드(250)가 고정구(100)에 힌지(150) 결합된 경우에도, 백보드(250)와 액자 프레임(200)과의 결합상태를 해제한 후에 사진(P)을 수납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5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 1,2,3,4실시예들과 달리, 벽체의 코너부위에 회전이 아닌 일체로 부착되는 형태로서, 그 구조는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의 코너부위에 볼트등의 체결부재(320)로 일체로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구(100)와, 그 고정구(100)의 일측 부위와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백보드(250)와, 그 백보드(250)의 전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에 사진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200)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 고정구(100)는 벽체(W)의 코너를 구성하는 양측의 벽체 중에 일측 또는 타측의 벽체에 면 접촉되도록 밀착된 상태로 체결부재(320)로 체결되거나, 앞서 설명한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백보드(250)는 벽체(W)의 코너 부위와 대응되도록 고정구(100)의 일측 단부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일체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또, 액자 프레임(200)은 백보드(250)의 전면방향으로 결합수단을 매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그 결합수단의 예로는 백보드(250)의 전면과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벨크로 테이프(330)가 각각 부착되거나, 자석부재(340)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6과 도 37은 본 고안 제 5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액자 프레임(200)의 일면에 사진(P)과 커버(260)가 인출 가능하도록 통공과 연통되는 인출공(209)이 형성된 것이다.
그 인출공(209)은 액자 프레임(200)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통공의 하부 테두리에는 사진(P)이나 커버(260)의 하단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209a)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 수용홈(209a)의 기능은, 사진(P)이나 커버(260)가 내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액자 프레임(200)은 볼트 또는 스크류등의 체결부재(320)가 인출공(209)을 통해 백보드(250)와 관통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 6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6실시예는, 앞의 제 5실시예의 액자 프레임(200)과 백보드(250)의 기능이 변환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도 38과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코너부위에 볼트등의 체결부재(320)로 일체로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구(100)와, 그 고정구(100)의 일측 부위와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사진(P) 및 커버(260)등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그 액자 프레임(200)의 상면에는 앞서 설명한 인출공(209)이 형성되어, 그 인출공(209)을 통해 사진 및 커버가 수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0과 도 41은 제 6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액자 프레임(200)의 일측 부위에만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구(100)가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액자 프레임(200)의 양측 부위에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구(100)가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제 7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7실시예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의 코너부위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정착되며 전면에 나사산을 갖는 정착공(805)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정착구(800)와, 그 정착구(800)와 체결부재(32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테두리 부위에 상기 정착공(805)과 대응되는 결합공(258)이 형성된 백보드(250)와, 그 백보드(250)의 전면으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에 사진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200)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 그 정착구(800)는 후면이 벽체(W)의 코너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직각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고정수단은 정착구(800)의 후면이 코너부위의 벽면과 면 접촉되도록 밀착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이, 벨크로 테이프(330)나 자석부재(340) 혹은 체결부재(320)를 매개로 정착구(800)를 벽체(W)의 코너부위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43과 도 44는 본 고안 제 7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위의 제 7실시예와는 달리 벽체(W)의 코너 부위에 일체로 고정되는 정착구(800)가 하나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액자 프레임(200)이 정착구(800)에 체결부재(320)를 매개로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인 것이다.
그 정착구(800)는 전면에 나사산을 갖는 정착공(805)이 상,하 양측에 형성되고, 그 정착공(805)에 대응되는 결합공(208)이 액자 프레임(200)의 상,하 테두리에 형성되고 체결부재(320)에 의해 관통 체결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사진을 지지하기 위한 백보드(250)가 공지의 걸림편(21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5와 도 46은 본 고안 제 7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것으로, 정착구(800)가 벽체의 천장과 모서리 부위가 교차되는 부위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그 정착구(800)의 정착공(805)에 대응되는 결합공(208)이 액자 프레임(20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체결부재(320)에 의해 관통 체결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정착구(800)는 그 전면이 액자 프레임(200)과의 결합을 위해 경사진 각도를 갖도록 대략 삼각 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벽체(W)의 모서리부와 천장(C)이 교차하는 부위에 경사지게 고정되고, 그 고정수단은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이, 벨크로 테이프(330)나 자석부재(340) 혹은 체결부재(320)를 매개로 정착구(800)를 벽체(W)의 코너부위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 정착구(800)의 형상은 삼각뿔 형상이 아니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등의 형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지만, 액자 프레임(200)의 형상이 정착구(800)의 전면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형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천장(C)과 모서리부위의 특성상 어둡기 때문에, 조명기구(R)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제 5,6,7실시예는, 앞의 제 1,2,3,4실시예와는 달리 벽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구(100) 또는 정착구(800)가 고정된 후에, 그 고정구(100)에 일체로 백보드(250) 혹은 액자 프레임(200)이 일체로 연장되게 연결된 것으로, 회전식이 아닌 일체형 구조로 벽체의 코너 부위에 액자가 부착되는 개념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벽체(W)에 고정된 고정구(100) 또는 정착구(800)에 액자 프레임(200) 또는 백보드(250)가 일체로 고정되는 기술적 사상 및 개념을 갖고 있으며, 그 사상과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백보드(250)의 후면 형상이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의 코너부위와 대응되는 직각 형태로 형성되고, 그 백보드(250)의 전면에 돌출부(255)가 형성되어 액자 프레임(200)의 통공과 대응되게 결합되거나, 자석부재(340)등의 별도의 결합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48에서와 같이, 액자 프레임(200)에 사진(P)뿐만 아니라, 시계(T)등의 물품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정구 또는 정착구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앞서 설명한 체결부재, 자석부재,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거나, 그외 다른 형태(예: 벽체에 부착된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지만, 액자 프레임이 회전되는 구조일 경우에는, 그 고정구 또는 고정플레이트의 전면에 액자 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핀이 전면으로 돌출될 수도 있지만, 생략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벽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액자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벽체 부착식 액자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벽체의 코너에 액자가 부착 가능하게 되므로, 빈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 독특한 이미지를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고정수단의 일 예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고정구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고정구가 백보드와 결합되는 또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 액자 프레임에 연장편이 연장 형성된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은 도 13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 액자 프레임이 직사각형이 아닌 볼록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고안 액자 프레임이 직사각형이 아닌 오목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사용상태도.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액자가 벽체의 벽면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고안 결합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3은 본 고안 결합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4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8은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0은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또 다른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31은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또 다른 사용예에 양면 액자가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본 고안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3는 본 고안 제 4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34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5는 도 34의 사용상태도.
도 36는 본 고안 제 5실시예의 액자 프레임에 인출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7은 도 36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 단면도.
도 38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9는 도 38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 단면도.
도 40은 본 고안 제 6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1는 도 4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2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 부착식 액자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3은 본 고안 제 7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4는 도 43의 사용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5는 본 고안 제 7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6은 도 45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7은 본 고안의 백보드가 다른 실시예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8은 본 고안의 액자 프레임에 사진 외에 다른 물품이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구 100A,100B : 제 1,2고정구
110 : 절곡부 150 : 힌지
200 : 액자 프레임 202 : 끼움공
204 : 단턱부 205 : 연장편
206 : 지지공 208 : (액자 프레임의)결합공
209 : 인출공 210 : 걸림편
220 : 결합돌부 222 : 삽입공
230 : 걸이구 250 : 백보드
255 : 돌출부 258 : (백보드의)결합공
260 : 커버 310 : 체결공
320 : 체결부재 330 : 벨크로 테이프
340 : 자석부재 400 : 고정봉
500 : 고정플레이트 600 : 연결봉
710,720 : 제 3,4고정구
730 : 연결봉 750 : 고정링
800 : 정착구 805 : 정착공
P : 사진 W : 벽체

Claims (17)

  1. 벽체(W)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100)와,
    상기 고정구(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50) 결합되고 내부에 사진(P)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200)과,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일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사진(P)을 지지하기 위한 백보드(25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0)는 상기 벽체(W)에 밀착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W)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10)에 의해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0)는 상기 벽체(W)에 설치된 행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액자 프레임(200)에 끼움 결합되는 와이어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타측 부위에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벽체(W)와 밀착되는 연장편(205)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5. 벽체(W)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100)와,
    상기 고정구(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50) 결합되는 백보드(250)와,
    상기 백보드(250)의 일면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사진(P)을 지지하기 위한 액자 프레임(20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중앙에 전,후로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백보드(250)의 중앙에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통공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돌출부(255)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일면과 백보드(250)의 일면에 상호 대응되는 벨크로 테이프(330)가 마련되어 상호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일면과 백보드(250)의 일면에 상호 대응되는 각각의 자석부재(340)가 마련되어서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9. 벽체(W)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5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5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봉(600)과,
    상기 연결봉(600)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사진(P)이 수용되는 액자 프레임(20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10. 벽체(W)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봉(400)과,
    상기 고정봉(400)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봉(600)과,
    상기 연결봉(600)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 사진(P)이 수용되는 액자 프레임(20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상기 연결봉(600)의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삽입공(222)을 갖는 결합돌부(22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봉(600)의 중앙 부위에 다른 외주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의 홈부(610)가 형성되고,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상기 홈부(610)에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걸이구(2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13. 벽체(W)의 코너부위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100)와,
    상기 고정구(100)의 일측 또는 양측 부위와 일체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백보드(250)와,
    상기 백보드(250)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에 사진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20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14. 벽체(W)의 코너부위에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100)와,
    상기 고정구(100)의 일측 또는 양측부위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부에 사진이 수납되는 액자 프레임(200)과,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후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사진을 지지하기 위한 백보드(25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15. 제 13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프레임(200)의 일면에 상기 사진이 수납되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인출공(20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16. 벽체(W)의 코너 부위에 일체로 정착 고정되고 나사산을 갖는 정착공(80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정착구(800)와,
    상기 정착구(800)와 체결부재(32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테두리 부위에 상기 정착공(805)과 대응되는 결합공(208)이 형성되는 액자 프레임(20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800)는 상기 벽체(W)의 코너 부위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후면이 직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식 액자.
KR20-2005-0022193U 2005-07-29 2005-07-29 벽체 부착식 액자 KR200399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193U KR200399390Y1 (ko) 2005-07-29 2005-07-29 벽체 부착식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193U KR200399390Y1 (ko) 2005-07-29 2005-07-29 벽체 부착식 액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931 Division 2005-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90Y1 true KR200399390Y1 (ko) 2005-10-25

Family

ID=4370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193U KR200399390Y1 (ko) 2005-07-29 2005-07-29 벽체 부착식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3951A (zh) * 2018-12-26 2019-03-15 福州启辰阳光建材有限公司 一种便捷式墙体相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3951A (zh) * 2018-12-26 2019-03-15 福州启辰阳光建材有限公司 一种便捷式墙体相框
CN109463951B (zh) * 2018-12-26 2024-05-03 济南市易优美文化传媒有限责任公司 一种便捷式墙体相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852B2 (en) Hanger device and method for hanging an object
US8381661B2 (en) Concealable, aesthetic tray unit
SK286291B6 (en) System and device for rapidly fixing a cloth to surface and/or support by integrated connection
KR200399390Y1 (ko) 벽체 부착식 액자
JPH0436006B2 (ko)
JP2007125162A (ja) 平面合板を物置棚の支柱に組み立てるための構造
CN208239791U (zh) 投影屏幕
KR200386943Y1 (ko) 조립식 액자형 프로젝터 스크린
KR101100150B1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KR200241983Y1 (ko) 액자
KR101917054B1 (ko) 다용도 벽걸이
KR101187774B1 (ko) 싱크대 선반 탈부착용 거울판 장식대
KR200381055Y1 (ko) 안경걸이기
KR200284203Y1 (ko) 액자
KR200483886Y1 (ko) 액자
KR200400616Y1 (ko) 벽체 부착식 거치대
KR200334894Y1 (ko) 진열형 전시 액자
CA2209867A1 (en) Moving illuminating device for a real estate sign post
KR200233949Y1 (ko) 고정지지구
KR200256505Y1 (ko) 탁상용 액자
KR200432706Y1 (ko) 액자
KR100629372B1 (ko) 벽체 부착식 거치대
KR20210000687U (ko)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KR100545260B1 (ko) 조립식 장식대의 조명장치
CN115325351A (zh) 显示设备贴墙挂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