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963U - 프로그레시브 금형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963U
KR20090009963U KR2020080004106U KR20080004106U KR20090009963U KR 20090009963 U KR20090009963 U KR 20090009963U KR 2020080004106 U KR2020080004106 U KR 2020080004106U KR 20080004106 U KR20080004106 U KR 20080004106U KR 20090009963 U KR20090009963 U KR 200900099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guide groove
retainer
fixing ke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724Y1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4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72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하형홀더(50)에는 다이(54)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53)가 구비된다. 상기 하형홀더(50)의 상방에는 상기 하형홀더(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상형홀더(60)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홀더(60)에는 상형리테이너(62)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2)에는 펀치(63)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펀치(63)의 측면에는 내면에 가이드면(64')이 형성되는 가이드홈(64)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64)에는 고정키(70)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키(70)는 상기 고정키(70)에 형성된 체결공(72)에 삽입되는 볼트(76)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상형리테이너(62)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홈(64)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키(70)에는 상기 가이드면(64')과 대응되는 경사면(7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키(70)의 체결공(72)과 볼트(76) 사이의 공차(t)를 이용하여 펀치(63)의 가이드면(64')과 고정키(70)의 경사면(74)을 밀착시키면서 상형홀더(60)로부터 펀치(63)가 돌출되는 정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펀치(63)가 정확한 위치에서 모재를 타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Progressive mold}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재를 타발하는 펀치의 고정을 위한 고정키가 구비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모양의 작업물(이하 터미널스트랩이라고 한다)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하형홀더(1)상에는 백킹플레이트(2)와 하형리테이너(3)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2)와 하형리테이너(3)는 상기 하형홀더(1)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2)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2)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에는 다이(4)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4)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가공되는 모재(미도시)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를 관통하여서는 여러 곳에 가이드부시(5)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시(5)는 아래에서 설명될 내측가이드봉(20)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를 벗어난 하형홀더(1) 상에는 가이드포스트(6)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6)는 상기 하형홀더(1)와 아래에서 설명될 상형홀더(10)와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형홀더(1)의 상방에는 상형홀더(10)가 구비된다. 상기 상형홀더(1)에는 백킹플레이트(11)와 상형리테이너(12)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1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1)와 상형리테이너(12)는 상기 상형홀더(1)와 함께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1)는 상기 상형리테이너(12)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12)에는 펀치(13)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13)는 상기 상형홀더(10)와 함께 상기 하형홀더(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재를 가공하는 것으로 상기 상형홀더(10) 및 하형홀더(1)가 상대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펀치(13)는 볼트(B)에 의해 상기 상형리테이너(12)에 고정된다
상기 펀치(13)의 외면에는 가이드홈(14)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4)은 상기 펀치(13)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4)에는 고정키(16)가 걸어진다. 상기 고정키(16)와 볼트(B)는 상기 펀치(13)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상형리테이너(1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키(16)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12)에는 상기 가이드부시(5)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가이드봉(20)이 설치된다. 상기 내측가이드봉(20)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동스트리퍼(26)를 관통하여 상기 하형리테이너(3)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내측가이드봉(20)은 상기 상형홀더(10)와 하형홀더(1)측의 상대 위치 및 아래에서 설명될 가동스트리퍼(26)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상형홀더(10)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6)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싱(22)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22)은 상기 가이드포스트(6)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포스트(6)는 하형홀더(1)에 대해 상형홀더(10)가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부싱(22)에 삽입되어 하형홀더(1)와 상형홀더(10) 사이의 상대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한다.
상기 상형폴더(1)측에는 가동스트리퍼(26)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26)는 상기 상형리테이너(1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체결볼트(2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26)는 상기 다이(4) 상의 모재를 눌러주어, 모재의 가공시에 모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26)는 상기 상형리테이너(12)와 거의 같은 형상과 면적을 가진 것으로, 대략 사각형 판상이다. 상기 펀치(13)는 상기 가동스트리퍼(26)를 관통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26)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내측가이드봉(20)이 통과하는 가이드부시(28)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시(28)는 상기 하형리테이너(3)의 가이드부시(5)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펀치(13)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키(16)에 의해 고정될 때, 상기 펀치(13)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홈(14) 및 고정키(16)를 절삭가공할 때 발생하는 공차에 의하여 상기 고정키(16)가 상기 펀치(13)를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펀치(13)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없게 되어 상기 모재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모재를 가공하기 위해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펀치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프로그레시브 금형 자체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은 불가피하며, 상기 충격으로 인해, 부품에는 허용 오차를 벗어난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자체 하중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펀치(13)가 빠르게 구동되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외력이 배가 되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은 상기 고정키(16)의 모서리에 전달되어 상기 고정키(16)의 모서리와 접하는 펀치(13)의 가이드홈(14)의 모서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펀치(13)가 파손되면 상기 펀치(13)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제품의 형상이 정확하게 가공되지 못하고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펀치의 가이드홈에 고정키를 정확하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펀치가 금형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고,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다이에 안착된 모재에 타격을 가하도록 상기 상형홀더 및 하형홀더가 상대이동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는 펀치;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고정되는 고정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키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키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의 가이드면은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상기 가이드홈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상형리테이너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키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상기 고정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형홀더 측에 설치되는 펀치의 가이드홈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고정키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키의 체결공과 볼트 사이의 공차를 이용하여 펀치의 가이드면과 고정키의 경사면을 밀착시키면서 펀치의 가이드홈과 고정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형홀더로부터 펀치가 돌출되는 정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펀치가 정확한 위치에서 모재를 타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무게 및 펀치의 충격에 의한 외력은 펀치의 가이드홈에 형성된 가이드면과 접하는 고정키의 경사면에 전달된다. 이때, 고정키가 경사진 가이드홈에 면접촉을 하므로, 전달되는 충격이 분산되어 펀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키가 가이드홈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하형홀더 52: 백킹플레이트
53: 하형리테이너 54: 다이
55: 가이드부시 56: 가이드포스트
60: 상형홀더 61: 백킹플레이트
62: 하형리테이너 63: 펀치
64: 가이드홈 64': 가이드면
70: 고정키 71: 키몸체
72: 체결공 74: 경사면
76: 볼트 77: 몸통부
78: 머리부 80: 내측가이드봉
82: 부싱 84: 가동스트리퍼
86: 가이드부시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형홀더(50) 상에는 백킹플레이트(52)와 하형리테이너(53)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와 하형리테이너(53)는 상기 하형홀더(50) 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53)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3)에는 다이(54)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54)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가공되는 모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다이(54)는 다수개가 상기 하형리테이너(5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3)를 관통하여서는 여러 곳에 가이드부시(55)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시(55)는 아래에서 설명될 내측가이드봉(80)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하형리테이너(53)를 벗어난 하형홀더(50) 상에는 가이드포스트(56)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56)는 상기 하형홀더(50)와 아래에서 설명될 상형홀더(60)와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형홀더(50) 측의 상부에 하형홀더(50)와 마주보게 상형홀더(60)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6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61)와 상형리테이너(62)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6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61)와 상형리테이너(62)는 상기 상형홀더(60)에 함께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61)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2)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2)에는 펀치(63)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63)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키(70)와 볼트(76)에 의해 상기 상형리테이너(62)에 고정된다. 상기 펀치(63)는 상기 상형홀더(60)와 함께 상기 하형홀더(50)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재를 가공하는 것으로 상기 상형홀더(60) 및 하형홀더(50)가 상대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63)의 외면에는 가이드홈(6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64)은 상기 펀치(63)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64)은 고정키(7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만큼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64)은 상기 상형리테이너(62)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키(70)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키(70)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64)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키(7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홈(64)의 내면 일측에는 가이드면(6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64)의 가이드면(64')은 상기 가이드홈(64)의 입구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상기 가이드홈(64)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면(64')은 상기 상형리테이너(62)의 저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64')의 경사각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키(70)의 경사면(74)의 경사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펀치(63)로부터 고정키(70)로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면(64')에는 고정키(70)의 경사면(74)이 밀착된다.
상기 가이드홈(64)에는 고정키(70)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키(70)의 외관 및 골격은 키몸체(7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키몸체(7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키몸체(71)는 상기 펀치(63)의 가이드홈(64)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펀치(63)를 상기 상형리테이너(62)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키몸체(71)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2)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키몸체(71)의 일측에는 체결공(7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72)은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72)은 볼트(76)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상형리테이너(62)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체결공(72)에 아래에서 설명될 볼트(76)의 몸통부(77)가 삽입되어 상기 상형리테이너(6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키(70)가 상기 상형리테이너(62)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공(72)의 내면과 볼트(76)의 몸통부(77)의 사이에는 공차(t)가 발생된다. 상기 공차(t)는 상기 체결공(72)의 내경과 볼트(76)의 몸통부(77)를 절삭가공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키몸체(71)에는 경사면(74)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74)은 상기 키몸체(7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펀치(63)의 가이드홈(64)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74)은 상기 키몸체(7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홈(64)을 향해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74)은 상기 고정키(70)와 상기 펀치(63)의 가이드홈(64)과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키(70)와 상형리테이너(62)의 연결은 상기 고정키(70)를 관통하는 볼트(76)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76)는 상기 체결공(72)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진 원기둥형상의 머리부(78)와 상기 몸통부(77)의 일단에서 상기 몸통부(77)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머리부(78)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77)는 상기 체결공(72)에 구비되고, 상기 머리부(78)는 상기 고정키(70)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2)에는 상기 가이드부시(55)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가이드봉(80)이 설치된다. 상기 내측가이드봉(80)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동스트리퍼(84)를 관통하여 상기 하형리테이너(53)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내측가이드봉(80)은 상기 상형홀더(60)와 하형홀더(50)측의 상대 위치 및 아래에서 설명될 가동스트리퍼(84)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가이드봉(80)은 상기 가이드부시(55)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형홀더(60)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56)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싱(82)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82)은 상기 가이드포스트(56)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포스트(56)는 하형홀더(50)에 대해 상형홀더(60)가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부싱(82)에 삽입되어 하형홀더(50)와 상형홀더(60) 사이의 상대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한다. 상기 부싱(82)의 내면에는 볼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어 가이드포스트(56)와의 마찰을 최소화시켜준다.
상기 상형홀더(60)측에는 가동스트리퍼(84)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84)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체결볼트(B)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84)는 상기 다이(54) 상의 모재를 눌러주어, 모재의 가공시에 모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재를 다이(54) 상에 눌러주는 부분은 상기 가동스트리퍼(84)의 특정 부분인데, 이 부분은 가동스트리퍼(84)와 별개로 제작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가동스트리퍼(84)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2)와 거의 같은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 판상이다. 상기 펀치(63)는 상기 가동스트리퍼(84)를 관통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84)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내측가이드봉(80)이 통과하는 가이드부시(55)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시(55)는 상기 하형리테이너(53)의 가이드부시(55)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긴 띠모양의 모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터미널 등의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한 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가공은 다이(54) 상에 모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펀치(63)가 모재에 힘을 가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모재에 의해 만들어지는 제품의 크기가 매우 작은 경우 펀치(63)가 모재에 힘을 가할 때, 모재가 펀치(63)와 함께 따라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스트리퍼(84)는 펀치(63)가 모재에 힘을 가하기 전에 미리 모재를 다이(54)에 눌러주고, 상기 펀치(63)보다 늦게 상승한다.
즉, 이전의 공정이 수행된 후에 하형홀더(50) 측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형홀더(60)측이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모재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모재의 이동이 일어난 후 다음의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상형홀더(60) 측이 하강하면 상기 하형리테이너(53)의 다이(54)상에 상기 가동스트리퍼(84)가 먼저 안착된다. 이와 같이 가동스트리퍼(84)가 다이(54)에 안착되면 모재가 가동스트리퍼(84)에 의해 다이(54)상에 눌러진다.
계속하여 상기 상형홀더(60) 측이 하강하면 상기 상형리테이너(62)는 상기 가동스트리퍼(84)를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상형홀더(60) 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스트리퍼(84)를 관통한 펀치(63)는 상기 하형리테이너(53)의 다이(54)에 안착된 모재를 타격하게 된다. 물론, 상기 펀치(63)는 상기 가동스트리퍼(84)를 관통하고 있어 가동스트리퍼(84)와는 간섭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모재를 타격함에 의해 원하는 성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펀치(63)가 모재를 타격하는 순간에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2)가 상기 가동스트리퍼(84)에 안착되거나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된다.
한편, 펀치(63)가 모재를 타격한 후에 상형홀더(60)가 다시 상승하게 되면, 상기 펀치(63)가 상기 모재에서 빠져나온 후에 상기 가동스트리퍼(84)가 다시 상승하게 되어 이후에 있을 모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때, 상기 펀치(63)에 충격이 전달되고, 상기 펀치(63)를 고정하고 있던 고정키(70)에도 상기 펀치(63)의 충격에 의한 외력과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하중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72)과 상기 볼트(76)의 몸통부(77) 사이에는 공차(t)가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키(70)의 체결공(72)과 볼트(76) 사이의 공차(t)를 이용하여 펀치(63)의 가이드면(64)과 고정키(70)의 경사면(74)을 밀착시키면서 펀치(63)의 가이드홈(64)과 고정키(7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형홀더(60)로부터 펀치(63)가 돌출되는 정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키(70)가 경사진 가이드홈(64)에 면접촉을 하므로, 전달되는 충격이 분산되어 상기 펀치(6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키(70)가 가이드홈(64)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 고정키(70)의 체결공(72)은 볼트(76)의 몸통부(7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키(70)의 체결공(72)은 고정키(7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고정키(70)는 체결공(7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볼트(76)에 의해 체결되어 상형리테이너(62)에 고정되므로 펀치(63)의 가이드홈(64)과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고,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다이에 안착된 모재에 타격을 가하도록 상기 상형홀더 및 하형홀더가 상대이동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는 펀치;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고정되는 고정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키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키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홈의 내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가이드면은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상기 가이드홈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상형리테이너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상기 고정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20080004106U 2008-03-28 2008-03-28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0448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106U KR200448724Y1 (ko) 2008-03-28 2008-03-28 프로그레시브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106U KR200448724Y1 (ko) 2008-03-28 2008-03-28 프로그레시브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63U true KR20090009963U (ko) 2009-10-01
KR200448724Y1 KR200448724Y1 (ko) 2010-05-11

Family

ID=4153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106U KR200448724Y1 (ko) 2008-03-28 2008-03-28 프로그레시브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7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16627B (zh) * 2009-11-20 2012-04-18 无锡曙光模具有限公司 一种改进的用于密封环制造的级进连续冲压模具
CN104511528A (zh) * 2013-09-30 2015-04-15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冲压模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716B2 (ja) * 1987-12-15 1996-11-20 ローム株式会社 リードフォーミング装置
JP2006297466A (ja) 2005-04-22 2006-11-02 Amada Co Ltd パンチ金型
KR100727666B1 (ko) 2005-10-20 2007-06-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스트립의 캐리어 조정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16627B (zh) * 2009-11-20 2012-04-18 无锡曙光模具有限公司 一种改进的用于密封环制造的级进连续冲压模具
CN104511528A (zh) * 2013-09-30 2015-04-15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冲压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724Y1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120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US3496818A (en) Guide bushing for die sets
WO2017006830A1 (ja) 突起部成形装置、突起部成形方法及び成形品
KR101657147B1 (ko) 단조 성형방법 및 단조 성형장치
JP4899864B2 (ja) せん断加工装置
DE102009038607A1 (de) Vorrichtung, Verfahren und 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Kragendurchzuges in einem Bauteil
EP3320997A1 (en) Protrusion molding device, protrusion molding method, and molded article
JP3069083B2 (ja) プレス装置
KR200448724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2512445B1 (ko) 다공정 일원화 프레스 금형장치
KR10075602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스트리퍼 및 그 가공방법
KR101965392B1 (ko) 가변 그루브 핀이 적용된 펀치를 갖는 코이닝 장치
JPH07276147A (ja) 座板付設u型ボルトの製法
KR102212126B1 (ko) 스트리퍼 부싱을 가지는 벽판 펀치 조립체
KR20100002977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105417248A (zh) 一种冷铆接箔器
KR10101460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트리퍼 조립체
KR20210017804A (ko) 프레스 장치
CN206316232U (zh) 汽车后门上框冲压模具
CN220658968U (zh) 一种冲压模具二次冲压快速定位机构
KR20080004756U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114643316B (zh) 冲压机钻孔加工方法
CN214516909U (zh) 钣金弯曲夹具
CN219093310U (zh) 一种凹模镶件结构及模具
CN216965993U (zh) 冲孔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