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786U -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786U
KR20090009786U KR2020080003863U KR20080003863U KR20090009786U KR 20090009786 U KR20090009786 U KR 20090009786U KR 2020080003863 U KR2020080003863 U KR 2020080003863U KR 20080003863 U KR20080003863 U KR 20080003863U KR 20090009786 U KR20090009786 U KR 200900097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anel
tea bag
vending machin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석
Original Assignee
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영석 filed Critical 변영석
Priority to KR2020080003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786U/ko
Publication of KR20090009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786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47F1/123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Abstract

본 고안에서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적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감속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 공급부와, 상기 동력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직선 운동을 기반으로 티백류 컵을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평 이송 제어부 및 다수의 카트리지로 중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로부터 낙하된 티백류 컵을 낙하 안내하기 위한 수직낙하 안내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티백류 컵의 인출 방식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동판매기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여 티백류 컵의 적재량을 높일 뿐만 아니라, 컵 인출장치의 모듈화된 구조를 실현할 수 있어 다수 종류의 자동판매기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APPARATUS OF DRAW-OUT OF CUP IN VENDING MACHINE FOR TYPE OF TEA BAG}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티백이 내장된 컵을 최대로 적재하기 위한 자판기의 구조로부터 최소 공간상에서 해당 컵을 인출 제어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갖는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분말형 자판기는 재료를 직접 재료 보관함에 적재시켜 놓고 이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시점에서 혼합하여 배출하는 시스템이었으므로 재료를 보관함에 따른 위생적 문제점이 컸다. 또한 찌꺼기의 산출문제로 인하여 다양한 재료의 차를 만들어내는 데에도 그 한계가 있었다 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배출방식은 칼날에 의한 컷팅 방식으로는 비용이 많이 들며, 한번 잘못 잘리어졌을 때에는 적재된 티백 전부가 못쓰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위생 티백을 이용한 새로운 티백 배출시스템은 제품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라 근래에는 종이커버를 장착한 티백(이하 위생티백이라 칭함)을 이용한 차를 서비스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질적인 서비스 향상 즉, 위생 티백을 활용함으로써 재료의 찌꺼기 없이 보다 위생적인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위생 티백과 물이 따로 배출되고 이를 사용자가 직접 혼합하여 이용하므로 기존의 이미 혼합되어 나오는 분말형 자판기의 내용물보다 위생적이며, 보다 신뢰감을 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위생 티백을 이용한 자판기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종래 티백류 자동판매기에 적용되는 티백이 구비된 컵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2는 티백이 구비된 컵을 제공하기 위한 자동판매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티백손잡이(3)가 종이컵(5)의 테두리(10)가 제공하는 탄착홈(12)에 삽입접착 고정되어 티백본체(1)가 종이컵(5)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적층되어진 종이컵 포장체(14)가 수납되는 원통형의 저장용기(16)가 마련되어 이 저장용기가 티백 차류에 따라 자동판매기 내부에 2열의 횡종으로 배열설치되고, 이 저장용기 각각에는 일대일 대응되어 스위치 조작에 따라 종이컵(5)을 낙하시키는 컵슈터(18)를 경계로 컵슈터(18) 하방에는 최소한 연결실의 길이를 초과하는 낙하 거리를 제공하면서 각 저장용기(16)로 부터 낙하된 종이컵(5)을 집합시키는 하나의 배출관(20)과 이 배출관(20)에서 분지되어 각 저장용기(16)에 굴곡면으로 연결된 수집관(22)으로 형성된 가이드관(24)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20)의 하방에 종이컵(5)이 안착되는 거치구(26)가 설치되고 있다.
티백이 구비된 종이컵은 통상의 티백을 응용하여 자동판매기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종이컵 테두리(10)가 제공하는 탄착홈(12)에 티백손잡이(3)가 삽입 접착고정되도록 한 것이며, 다수 종 이상의 티백제품을 인출하는 자동판매기에 적용되므로, 한정된 공간에서 이러한 대형의 자동판매기에 인출시스템을 갖추기 위하여 저장용기(16)와 가이드관(24)이 제공된다.
또한 저장용기(16)가 2열 횡종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른 하나의 배출관(20)을 가진 가이드관(24)을 기본 유닛으로 이 기본 유닛을 횡배열시켜 대형 자동판매기에 적용되며, 하나의 거치구(26)를 공용하기 위하여는 컵슈터(18)에서 공용화된 거치구(16)까지의 연결을 위하여 배출관(20)으로부터 분지된 수집관(22)을 가진 굴곡진 가이드관(24)을 갖는다.
컵슈터(18)에서의 거치구(26)까지의 자연스러운 굴곡을 위하여 필요한 길이가 상기 티백본체(3)를 공간부(7)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이격거리를 제공하며, 자동판매기 케이스(36)에 의해 제약받는 공간과 이 공간내에서 6면체의 공간내에 합리적인 저장용기(16)의 배치는 정사각의 평면상 4개의 저장용기가 조합된 2열의 횡종배열이다. 그리고, 이러한 저장용기(16)와 컵슈터(18)와 이에 따른 가이드관(24) 및 거치구(26)를 하나의 유닛으로 이것이 자동판매기 내부에서 일렬로 횡배열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티백본체(3)는 컵의 내부로 장착되기 때문에, 컵의 적층율이 매우 낮은 상태이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다수의 횡종으로 배치된 저장용기를 구비하고, 저장용기로 탑재된 컵을 컵슈터를 통해 낙하 제어한 후, 가이드관(2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고 있다. 더구나 상기 가이드관은 컵의 인출 경로로서 인출과정에서 컵의 걸림이 없도록 굴곡되게 설치되는 바, 저장용기와 개구부(38)까지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즉, 자동판매기 전면부에 위치한 저장용기의 가이드 관은 굴곡율이 낮을 수 있으나, 자동판매기의 후면부에 위치한 저장용기의 가이드 관에 대한 굴곡율은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저장용기와 개구부 사이의 거리를 높여 컵의 자유로운 낙하를 도모해야 한다. 따라서, 티백류의 자동판매기의 구조적 관건은 컵의 적재량인 점을 감안할 때, 저장용기와 개구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자동판매기의 매우 큰 단점으로 지적될 수밖에 없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림화된 인출 구조를 제공하여 티백류 컵의 적재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티백류 컵이 적재된 카트리지로부터 수직 낙하된 티백류 컵을 토출구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위치로 낙하된 티백류 컵을 기 설정된 토출구의 위치로 이송 제어함에 있어, 단일 동력원을 기반으로 링크화된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점에 따른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는, 카트리지로 적재된 티백류 컵을 토출구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에 있어서, 감속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 공급부와, 상기 동력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직선 운동을 기반으로 티백류 컵을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평이송 제어부 및 다수의 카트리지로 중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로부터 낙하된 티백류 컵을 낙하 안내하기 위한 수직낙하 안내부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 공급부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는 고정패널에 의해 하우징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은 하우징의 안측으로 연장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되어 소정의 회전캠에 의해 수평 이송체를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상기 수평이송 제어부는 상기 동력 공급부의 하우징과 고정 결합되는 하부 고정패널과, 상기 하부 고정패널의 양 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고정 설치되는 측부 지지패널과, 상기 하부 고정패널의 양측부로 각각 설치되되, 상기 수평 이송체와 연동하여 티백류 컵을 상기 자동판매기의 컵 배출구까지 안내하기 위한 배출 안내암과, 상기 수평 이송체와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부 고정패널의 상단에서 상기 티백류 컵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상부 연동패널과, 상기 상부 연동패널의 수평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환하여 티백류 컵의 무단 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출 방지바와, 상기 하부 고정패널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연동패널과 연동하여 티백류 컵의 수평 이동을 도모하기 위한 이송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낙하 안내부는 다수 개의 컵 낙하구가 배열된 상부 유동패널과, 상기 티백류 컵의 낙하 시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컵 낙하구로 결합되는 낙하 안내환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유동패널은 상기 인출 방지바에 안착 고정되어 인출 방지바의 상하 유동과 동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티백류 컵의 인출 방식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동판매기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여 티백류 컵의 적재량을 높일 뿐만 아니라, 컵 인출장치의 모듈화된 구조를 실현할 수 있어 다수 종류의 자동판매기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컵 인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부분 조립 상태도이다.
도 8은 부분 확대도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자동 판매기 301 : 도어
307 : 컵 인출장치 309 : 토출구
313 : 컵 배출구 401 : 하우징
403 : 구동모터 405 : 고정패널
407 : 수평 이송체 409 : 하부 고정패널
411 : 상부 유동패널 413 : 슬라이드 부재
415 : 배출 안내암 417 : 컵 낙하구
419 : 낙하 안내환 421 : 이송 베어링
423 : 회동축 425 : 이송 안내홈
427 : 암 429 : 암 구동패널
431 : 상부 연동패널 433 : 인출 방지바
435 : 바링크 437 : 링크 힌지
450 : 동력 공급부 470 : 수평이송 제어부
490 : 수직낙하 안내부 601 : 가이드 홈
603 : 고정 베어링 605 : 체결 힌지
607 : 연동바 609 : 연동힌지
611 : 고정핀 701 : 이송암
703 : 힌지 705 : 궤적홈
709 : 연동 베어링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류 자동판매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티백류 자동판매기(300)는 전면으로 설치되어 일축에서 회동 가능하고, 적재된 티백류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토출구(309)를 포함한 도어(301)와, 상기 티백류 자동판매기(300)의 기기실로 다수 개의 티백류 컵을 적재하기 위한 카트리지(305)와, 상기 카트리지(305)의 하단부로 설치되어 적재된 티백류 컵을 수직으로 낙하 제어하기 위해 각 카트리지(305) 별로 구비된 컵슈터(303)와, 상기 컵슈터(303)의 하단부로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305)로부터 공급된 티백류 컵을 상기 토출구(309)까지 수평 이송시키기 위한 컵인출 장치(307)로 구성된다.
이외에 온수 공급장치 및 음용수 가열 장치 등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날 우려가 있어 생략한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305)는 종횡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컵의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티백류 컵의 수직 낙하 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카트리지는 별도의 이송 또는 유동 구조를 갖지 않아 기기실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컵인출 장치(30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티백류 컵(311)의 높이 정도에 불과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카트리지(305)로부터 낙하된 티백류 컵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컵인출 장치(307)의 컵 배출구(313)까지 안전하게 이송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류 자동판매기로 적용된 컵인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 공급부(450)와, 상기 동력 공급부(450)에서 제공되는 직선 운동을 기반으로 티백류 컵을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평 이송 제어부(470) 및 다수의 카트리지로 중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로부터 낙하된 티백류 컵을 낙하 안내하기 위한 수직낙하 안내부(490)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 공급부(450)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401)과, 상기 하우징(401)의 외측면으로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403)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403)는 고정패널(405)에 의해 하우징(401)과 고정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403)의 회전축은 하우징(401)의 안측으로 연장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403)의 회전력은 회전캠(미도시함)에 의해 수평 이송체(407)를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상기 수평 이송체(407)는 상기 수평 이송제어부(470)의 저면으로 고정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413)와 체결됨에 따라, 직선 운동의 동일한 궤적을 갖는다. 상기 수평 이송체(407)의 직선 운동은 상기 수평이송 제어부(470)의 동력원으로 사용되어 기 낙하된 티백류 컵의 수평 이동 및 특정 위치로의 취합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한편, 상기 수평이송 제어부(470)는 상기 동력 공급부(450)의 하우징(401)과 고정 결합되는 하부 고정패널(409)과, 상기 하부 고정패널(409)의 양 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401)으로 고정 설치되는 측부 지지패널(439)과, 상기 하부 고정패널(409)의 양측부로 각각 설치되되, 상기 수평 이송체(407)와 연동하여 티백류 컵을 상기 컵 배출구(313)까지 안내하기 위한 배출 안내암(415)과, 상기 수평 이송체(407)와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부 고정패널(409)의 상단에서 상기 티백류 컵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상부 연동패널(431)과,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의 수평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환하여 티백류 컵의 무단 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출 방지바(433)와, 상기 하부 고정패널(409)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과 연동하여 티백류 컵의 수평 이동을 도모하기 위한 이송암(미도시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 안내암(415)은 'ㄷ'자 형태로 절곡되고, 절곡된 내부 공간으로 상기 하부 고정패널(409)이 위치하며, 상기 암 구동패널(429)의 상측면으로 상기 암(427)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암 구동패널(429)의 하측면으로 상기 하부 고정패널(409)과 암 구동패널(429) 간 회동 중심축을 형성하는 회동축(423)을 포함한다. 상기 암 구동패널(429)의 하측면에는 상기 수평 이송체(407)의 이송 시간을 지연한 후, 상기 암(427)을 안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키기 위한 이송 안내홈(425)과, 상기 이송 안내홈(425)으로 내설되고 상기 수평 이송체(407)와 고정되는 이송 베어링(421)을 구비한다.
도 5는 상기 수평 이송제어부(470)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01)은 도면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생략한 것으로, 조립 상태의 오해 소지가 없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이송체(407)의 측부로 이송 베어링(421)이 설치되고, 상기 암구동 패널(427)의 이송 안내홈(425) 내부로 상기 이송 베어링(421)이 내설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회동축(423)은 상기 측부 지지패널(439)의 저면과 결합된다. 상기 이송 안내홈(425)은 상기 이송 베어링(421)이 일정 거리 패스된 후, 상기 암(427)의 내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술된 일정 거리 만큼 수평 이송체(407)의 궤적과 수평하도록 구현된 후, 상기 암(427)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도록 회절된다.
한편, 상기 수평 이송제어부(470)의 인출 방지바(433)는 바링크(435)에 의해 상기 측부 지지패널(439)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바링크(435)는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과 연동된다. 즉, 상기 바링크(435)는 상기 암 구동패널(429)의 종단부에서 링크 힌지(437)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인출 방지바(433)와 회동 결합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은 수평 이동을 도모하기 위한 가이드 홈(601)을 보유하고, 상기 가이드 홈(601)으로 상기 측부 지지패널(439)과 결합된 고정 베어링(603)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의 종단부는 상기 인출 방지바(433)의 측면 내측으로 체결 힌지(605)를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의 수평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인출 방지바(433)는 상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 수평 이송제어부(470)는 하부 고정패널(409)의 후방으로 설치되고 직선 구조를 갖는 두 개의 이송암(미도시함)을 내장하고 있으며, 'X'자 형태의 유동 궤적을 갖도록 제어된다.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패널(409)의 후방 측부로 각각 설치된 이송암(701)은 상기 측부 지지패널(439)의 저면으로 체결된 힌지(703)에 의해 회동 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힌지(703)로부터 근접된 위치에서 'X'자형 궤적을 수행하기 위한 궤적홈(705)을 포함한다. 상기 궤적홈(705)은 상기 수평 이송체(407)와 결합된 연동 베어링(707)이 안착된다. 상기 궤적홈(705)은 수평 이송체(407)의 동작 개시 후 일정 시간 동안 지연된 후, 상기 이송암(701)이 회동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궤적홈(705)은 전술한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기 수평 이송체(407)의 유동 궤적과 수평하도록 구성된 후, 상기 이송암(701)이 소정 각도 예컨대, 45도만큼 회동시키기 위한 회절 홈 구조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상기 수평 이송제어부(470)의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상기 수직낙하 안내부(49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컵 낙하구(417)가 배열된 상부 유동패널(411)과, 티백류 컵의 낙하 시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컵 낙하구(417)로 결합되는 낙하 안내환(419)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유동패널(411)은 상기 인출 방지바(433)에 안착 고정되어 인출 방지바(433)의 상하 유동과 동조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유동패널(411)이 인출 방지바(433)와 연동하여 수평으로 상하 유동하기 위해, 상기 바링크(435)와 대향하도록 상기 측부 지지패널(439)의 후방에 설치되는 연동바(607)가 내설된다. 상기 연동바(607)는 후방으로 고정핀(611)에 의해 상기 측부 지지패널(439)과 체결되고, 연동바(607)의 전방으로 연동힌지(609)를 보유한다. 상기 연동힌지(609)는 상기 상부 유동패널(411)의 측면부로 체결되어, 상기 바링크(435)와 수평하도록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유동패널(411)은 바링크(435) 및 연동바(607)에 의해 상하 유동된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티백류 컵은 차(茶)의 종류에 관계없을 뿐만 아니라, 컵의 재질은 종이 및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티백류 컵은 상기 자동 판매기(300)의 기기실로 장착된 다수 개의 카트리지(305)로 적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301)의 전면부에 설치된 차(茶) 선택 버튼을 동작시켜 카트리지(305)로 적재된 티백류 컵을 제공받는다. 티백류 컵은 카트리지(305)로부터 인출된 후, 상기 컵 인출장치(307)에 의해 토출구(309)까지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컵 인출장치(307)는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카트리지(305) 중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된 컵을 상기 토출구(309)까지 이송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 인출장치(307)의 상부 유동패널(411)은 다수의 카트리지(305) 중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305)로부터 하나의 티백류 컵의 낙하를 수용한다. 이는 카트리지별로 구비된 다수의 컵 낙하구(417) 중 어느 하나의 컵 낙하구(417)로 낙하된 티백류 컵을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낙하 안내환(419)은 낙하된 티백류 컵을 안전하게 하부 고정패널(409)로 안착시키기 위한 안내 역활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패널(409)은 낙하과정에서 컵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컵 보다 낮은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구동모터(403)가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되며, 구동모터(403)의 회전력은 링크(미부호)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는 상기 수평 이송체(407)를 직선 유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평 이송체(407)와 고정 결합된 상부 연동패널(431)이 연동된다.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 방지바(433)의 바링크(435)와 체결힌지(605)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의 이송은 상기 바링크(435)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인출 방지바(433)는 바링크(435)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 방지바(433)는 상부 유동패널(411)과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유동패널(411)은 바링크(435) 및 연동바(607)의 링크 구조에 따라 인출 방지바(433)와 함께 상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이는 전술된 상부 유동패널(411)이 티백류 컵의 높이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컵의 유출 시 걸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동시에, 상기 수평 이송체(407)와 고정 체결된 상기 상부 연동패널(431)은 도 8에 도시된 연동 베어링(707)을 전방으로 이송하며, 상기 연동 베어링(707)은 궤적홈(705)의 일정 구간을 관통한다. 이후, 상기 연동 베어링(707)은 궤적홈(705)의 회절 구간으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이송암(701)을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이송암(701)은 힌지(703)를 중심으로 연동 베어링(707)의 이송 거리에 대응하여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고정패널(409)의 후방 측면부에 위치한 두 개의 이송암(701)은 양측부를 중심으로 한 전방 회동되어 'X'자 형태를 구현한다.
이러한 형태의 이송암(701)의 궤적은 하부 고정패널(409) 상으로 안착된 티백류 컵을 중앙으로 취합함과 동시에 하부 고정패널(409)의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상기 티백류 컵은 두 개의 이송암(701)의 유동 결과에 따라 컵 배출구(313)까지 슬라이딩시켜 상기 도어(301)의 토출구(309)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티백류 컵의 배출 과정에서 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암(427)이 연동된다.
즉, 이와 같은 동작 과정에서 상기 하부 고정패널(409)에 체결된 이송 베어링(421)은 암 구동패널(429)의 이송 안내홈(425)을 구성하는 직선 구간으로 이송된 상태로서, 현재까지 상기 암 구동패널(429)의 암(427)은 회동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이송체(407)의 지속적인 이송과정에서 상기 이송 베어링(421)은 이송 안내홈(425)의 회절 구간을 경유함으로써, 상기 암 구동패널(429)은 하부 고정패널(429)의 내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컵 배출구(313)를 중심으로 상기 암(427)이 반원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암(427)은 티백류 컵의 외향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컵 배출구(313)로 근접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이송암(701)은 지속적인 상부 연동패널(431)의 운동 궤적에 대응하여 상기 티백류 컵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티백류 컵은 컵 배출구(313)를 거쳐 상기 토출구(309)로 이송된다.
전술된 과정은 상기 수평 이송체(407)가 반주기 동안 이루어지는 행정으로, 나머지 반주기는 전술된 과정의 역방향으로 이루어져, 시스템의 초기화로 진행한다.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는 작은 공간 내에서 컵 인출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다수 종류의 자동판매기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자동판매기의 컵 적재량을 높여 자동판매기의 운용 실효성을 높이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

  1. 감속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 공급부와, 상기 동력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직선 운동을 기반으로 티백류 컵을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평이송 제어부 및 다수의 카트리지로 중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로부터 낙하된 티백류 컵을 낙하 안내하기 위한 수직낙하 안내부로 구성되는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 제어부는 상기 동력 공급부의 하우징과 고정 결합되는 하부 고정패널과, 상기 하부 고정패널의 양 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고정 설치되는 측부 지지패널과, 상기 하부 고정패널의 양측부로 각각 설치되되, 상기 수평 이송체와 연동하여 티백류 컵을 상기 자동판매기의 컵 배출구까지 안내하기 위한 배출 안내암과, 상기 수평 이송체와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부 고정패널의 상단에서 상기 티백류 컵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상부 연동패널과, 상기 상부 연동패널의 수평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환하여 티백류 컵의 무단 인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연동패널과 연동됨과 동시에, 암 구동패널의 종단부에서 링크 힌지에 의해 결합된 바링크에 의해 상기 측부 지지패널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동되는 인출 방지바와, 상기 하부 고정패널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연동패널과 연동하여 티백류 컵의 수평 이동을 도모하기 위한 이송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낙하 안내부는 다수 개의 컵 낙하구가 배열된 상부 유동패널과, 상기 티백류 컵의 낙하 시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컵 낙하구로 결합되는 낙하 안내환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유동패널은 상기 인출 방지바에 안착 고정되어 인출 방지바의 상하 유동과 동조하며, 상기 상부 유동패널이 상기 인출 방지바와 연동하여 수평으로 상하 유동하기 위해, 상기 바링크와 대향하도록 상기 측부 지지패널의 후방에 설치되는 연동바가 내설되고, 상기 연동바는 후방으로 고정핀에 의해 상기 측부 지지패널과 체결되며, 상기 연동바의 전방으로 연동힌지를 보유하고, 상기 연동힌지는 상기 상부 유동패널의 측면부로 체결되어, 상기 바링크와 수평하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
KR2020080003863U 2008-03-25 2008-03-25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 KR200900097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863U KR20090009786U (ko) 2008-03-25 2008-03-25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863U KR20090009786U (ko) 2008-03-25 2008-03-25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786U true KR20090009786U (ko) 2009-09-30

Family

ID=4153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863U KR20090009786U (ko) 2008-03-25 2008-03-25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78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4345A (zh) * 2019-09-26 2019-12-06 昆山力盟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4345A (zh) * 2019-09-26 2019-12-06 昆山力盟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5423C (zh) 为制备饮料选择和提取胶囊的装置和方法
EP2546810B1 (en) Beverage vending machine
EP0087141B1 (en) A drinking cup feeding devic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3220515U (ja) カプセルドリンクマシン
EP2297024B1 (en) Beverage vending machine
CN206995063U (zh) 智能一体化厨房
EP2106727B1 (e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of orientable capsules for hot beverages
KR20090009786U (ko)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
KR100964430B1 (ko) 티백류 자동판매기의 컵 인출장치
CN110544345A (zh)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CN111772479A (zh) 一种智能化泡茶机
KR100964431B1 (ko) 자동판매기의 컵 카트리지 장치
CN109215234B (zh) 一种现冲饮品售卖机
CN214376727U (zh) 自动药品售卖机
CN211609282U (zh) 一种废料废液回收装置及饮料机
EP0424580A1 (en) Container dispensing apparatus
CN201383179Y (zh) 一种硬币暂存装置
CN210961509U (zh) 一种存储送料装置及饮料机
CN211022249U (zh) 一种冲泡装置及饮料机
CN210377662U (zh) 一种自动落杯和储杯一体设备
EP1748713B1 (en) Capsule loading device for feeding a capsules dispensing machine
CN111839222A (zh) 基于饮料胶囊的智能萃饮机
KR200419582Y1 (ko) 무전원식 원터치 음용 자판기
CN210515488U (zh) 一种应用于饮品控制设备中的集杯器
CN217447390U (zh) 结构优化的智能萃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