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658U - 프로그레시브 금형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658U
KR20090009658U KR2020080003723U KR20080003723U KR20090009658U KR 20090009658 U KR20090009658 U KR 20090009658U KR 2020080003723 U KR2020080003723 U KR 2020080003723U KR 20080003723 U KR20080003723 U KR 20080003723U KR 20090009658 U KR20090009658 U KR 200900096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lower mold
mold
retain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3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658U/ko
Publication of KR20090009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6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06Making more than one part out of the same blank; Scrapless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하형홀더(40)에는 다이(46)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44)가 구비된다. 상기 하형홀더(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상형홀더(50)에는 펀치(56)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5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형측과 하형측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가이드공(7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72)에 가이드봉(75)이 삽입됨에 의해 상기 하형측과 상형측이 가조립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형측과 상형측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부싱(58)을 부싱홀(57)에 접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공(72)은 하형측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하형리테이너(44)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고,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형측과 하형측의 가조립을 위한 세팅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부싱의 설치오차를 최소화하며, 가이드봉을 재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그레시브 금형, 가이드공, 가이드봉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Progressive mold}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긴 띠모양의 모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터미널 등의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해 가공을 순차적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하형홀더(10)상에는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14)가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는 다이포켓(15)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포켓(15)에는 모재가 안착되는 부분인 다이(16)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를 벗어난 상기 하형홀더(10) 상에는 가이드포스트(18)가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포스크(18)는 상기 하형홀더(10)측과 아래에서 설명될 상형홀더(20)측이 서로 정확하게 상대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형홀더(2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22)와 상형리테이너(24)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2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22)와 상형리테이너(24)는 상기 상형홀더(20)에 함께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24)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다이(16)와 대응되는 위치에 펀치포켓(25)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포켓(25)에는 펀치(2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형리테이너(24)를 벗어난 상기 상형홀더(20)에는 부싱홀(27)이형성되고, 상기 부싱홀(27)에는 부싱(28)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28)은 상기 가이드포스트(18)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포스크(18)가 그 내부로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한다.
스트리퍼홀더(30)는 상기 상형리테이너(24)에 장착되고 스트리퍼홀더(30)에는 스트리퍼판(31)이 고정된다. 상기 스트리퍼판(31)은 모재의 가장자리를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리퍼판(31)에는 스트리퍼블럭(32)이 안착된다. 상기 스트리퍼블럭(32)은 상기 펀치(26)가 모재의 정확한 위치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펀치(26)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리퍼(32)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펀치가이드홀(33)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가이드홀(33)을 상기 펀치(26)가 관통하며 펀치(26)의 선단이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 안착된 모재를 펀치함으로써 상기 펀치(26)의 단면형상대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홀더 및 스트리퍼판(30,31)을 상기 상형리테이너(24)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상형홀더(20)를 관통하여서 체결볼트(38)가 체결된다.
제품을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형홀더(10)와 상형홀더(20)의 상대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하형홀더(10)와 상형홀더(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포스트(18)와 부싱(28)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켜야 한다.
특히 상기 부싱(28)은 상기 상형홀더(20)에 록타이트라는 접착제로 고정된 다. 상기 부싱(28)의 설치공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상형측과 하형측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부싱(28)의 접착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부싱(28)의 접착을 위해 상기 상형측과 하형측을 가조립 해야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다이포켓(15)과 펀치포켓(25)의 형상과 대응되는 가이드바아(미도시)를 다수개 제작하여, 상기 다이포켓(15)과 펀치포켓(25)에 끼움으로써 상기 상형측과 하형측의 상대위치를 맞추었다. 이와 같이 상형측과 하형측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상기 부싱(28)을 상기 상형홀더(20)의 부싱홀(27)에 접착시킨다.
상기 부싱(28)의 접착이 완료되면, 상형측과 하형측을 분리하여 다이나 펀치와 같은 부품을 조립한 후에 다시 상형측과 하형측을 결합시켜 금형조립체를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다이포켓(15)과 펀치포켓(25)의 형상 및 위치가 제각각이고, 상기 다이포켓(15)과 펀치포켓(25)의 중앙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그에 맞는 가이드바아(미도시)를 일일이 제작해야한다. 따라서 작업공수가 많아지고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다이포켓(15)과 펀치포켓(25)은 모재가 지나가는 중앙라인에 집중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바아가 상형측과 하형측의 중앙부분을 주로 지지하므로, 상형측과 하형측의 조립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아는 다른 금형조립체에서 포켓의 형상이 동일하지 않 는 이상 다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재료의 낭비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형측과 하형측의 상대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싱을 부싱홀에 접착하는 과정에서 상형측과 하형측의 상대위치를 맞추기 위한 구성을 규격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하형리테이너, 하형홀더, 상형리테이너, 상형홀더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에 의해 상기 상형홀더와 하형홀더가 가조립되며, 상기 상형홀더와 하형홀더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에 형성되는 부싱홀에 부싱을 접착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다이를 벗어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공은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모재가 지나가는 중앙라인을 중심으로 양쪽에 적어도 두 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공과 가이드봉은 각각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와 하형리테이너의 사이에는 상기 다이에 안착된 모재의 일측을 눌러주는 스트리퍼홀더와 스트리퍼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리테이너의 중앙라인을 벗어난 가장자리 부분에 쌍을 이루어 좌우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 상형측과 하형측을 관통하는 가이드봉이 삽입됨으로써, 상형측과 하형측의 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진다. 따라서 부싱의 설치 오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형측과 하형측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가이드공과 가이드봉이 규격화되어, 상형측과 하형측에는 동일한 크기의 가이드공을 다수개 형성하면 되고 가이드봉은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포켓 형상에 따른 가이드바아를 일일이 제작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공수가 줄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하형측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형홀더(40)상에는 백킹플레이트(42)와 하형리테 이너(44)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42)와 하형리테이너(44)는 상기 하형홀더(40)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42)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44)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44)에는 다이포켓(45)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다이포켓(45)에는 다이(46)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다이(46)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가공되는 모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44)를 벗어난 하형홀더(40) 상에는 가이드포스트(48)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48)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형홀더(50)와의 상대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형홀더(40)측의 상부에 하형홀더(40)와 마주보게 상형홀더(50)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5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52)와 상형리테이너(54)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5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와 상형리테이너(54)는 상기 상형홀더(50)에 함께 장착된다. 실제로 상기 백킹플레이트(52)는 상기 상형리테이너(54)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54)에는 펀치포켓(55)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포켓(55)에는 펀치(56)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56)는 상기 상형홀더(50)와 일체로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펀치(56)는 상기 하형리테이너(44)의 다이(46)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형홀더(50)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48)와 대응되는 위치에 부싱홀(57)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싱홀(57)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48)가 선 택적으로 삽입되는 부싱(58)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58)은 상기 가이드포스트(48)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 설치되어 하형홀더(40)에 대해 상형홀더(50)가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부싱(58)에 삽입되어 하형홀더(40)와 상형홀더(50) 사이의 상대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한다. 상기 부싱(58)의 내면에는 볼베어링(59)이 설치되어 가이드포스트(48)와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켜준다.
스트리퍼홀더(60)는 상기 상형리테이너(54)에 장착되고, 스트리퍼홀더(60)에는 스트리퍼판(61)이 고정된다. 상기 스트리퍼판(61)은 모재의 일측을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리퍼판(61)에는 스트리퍼블럭(62)이 구비된다. 상기 스트리퍼블럭(62)은 상기 펀치(56)가 모재의 정확한 위치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펀치(56)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트리퍼블럭(62)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펀치가이드홀(63)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가이드홀(63)을 상기 펀치(56)가 관통하며, 펀치(56)의 선단이 상기 다이(46)에 안착된 모재를 펀칭함으로써 상기 펀치(56)의 단면형상대로 모재의 일부를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리퍼홀더(60)와 스트리퍼판(61)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은 하형홀더, 하형리테이너, 상형홀더, 상형리테이너, 펀치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리퍼홀더(60)와 스트리퍼판(61)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기준으로 상형측과 하형측 전체를 관통하여서는 가이드공(72) 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72)에는 가이드봉(75)이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봉(75)은 상기 부싱(58)을 상기 상형홀더(50)에 접착시키기 위해 상기 상형측과 하형측을 가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형측과 하형측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 상기 상형측은 상형홀더(50), 백킹플레이트(52), 상형리테이너(54), 스트리퍼판(60), 스트리퍼홀더(61)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그리고 상기 하형측은 하형홀더(40), 백킹플레이트(42), 하형리테이너(44)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그러나 상기 상형측에서 상기 스트리퍼판(60)과 스트리퍼홀더(61)는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형측과 하형측의 가조립이 상기 스트리퍼판(60)과 스트리퍼홀더(61)가 상기 상형리테이너(54)에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72)의 형성 위치를 도 3에 도시된 하형측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72)은 상기 하형측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이를 하형리테이너(44)를 기준으로 다시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공(72)은 상기 하형리테이너(44)에서 다이(46)가 구비되는 중앙라인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72)은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공(72)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모재가 지나가는 중앙라인을 중심으로 양쪽에 두 줄이 나란히 형성된다. 이는 종래에 다이포켓(15)과 펀치포켓(25)(도1참조)에 끼워지는 가이드바아(미도시)를 사용할 때보다 상형측과 하형측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이포켓과 펀치포켓이 상형 및 하형측의 중앙라인에 집중되어 있어 이에 삽입되는 가이드바아를 사용할 때에 정밀도가 떨어지는데 반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가이드공(72)이 상형 및 하형 측의 중앙라인에서 벗어나 가장자리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개가 형성되어 중앙라인을 중심으로 양쪽에 두 줄이 되므로, 상형측과 하형측의 결합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공(72)의 형상은 원형으로 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봉(75)도 상기 가이드공(7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그 단면이 원형인 것이 좋다. 이는 상형측과 하형측에 가이드공(72)을 가공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형홀더(50)의 부싱홀(57)에 부싱(58)을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부싱(58)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형측과 하형측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부싱(58)을 록타이트라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부싱홀(57)에 접착시킨다.
상기 부싱(58)을 접착하기 전 상기 상형측과 하형측의 가조립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형측의 가이드공(72)에 가이드봉(75) 하단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이드봉(75)이 상기 하형측에 직립한 상태로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형측을 상기 하형측을 향해 하강시키면서 상기 상형측의 가이드공(72)에 상기 가이드봉(75)의 선단을 삽입시킨다. 그러면, 가이드봉(75)이 상형측과 하형측을 모두 관동하는 가이드공(72)에 삽입어 상기 상형측과 하형측의 조립위치를 안내한다. 그리고 상형측과 하형측의 좌우 틀어짐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포스트(48)의 선단은 상기 부싱홀(57)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부싱(58)을 상기 부싱홀(57) 내에 삽입하여 상기 부싱(58)의 외주면과 상기 부싱홀(57) 내면에 접착제를 채워 상기 부싱(58)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부싱(58)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상형측을 하형측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가이드봉(75)을 상기 하형측의 가이드공(72)에서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형측과 하형측에 다이나 펀치와 같은 구성부품들을 조립한다. 이와 같이 구성부품들이 모두 조립된 상형측과 하형측을 최종적으로 결합시키면, 프로그레시브 금형이 완성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하형측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하형홀더 42: 백킹플레이트
44: 하형리테이너 45: 다이포켓
46: 다이 48: 가이드포스트
50: 상형홀더 52: 백킹플레이트
54: 상형리테이너 55: 펀치
57: 부싱홀 58: 부싱
60: 스트리퍼 61: 스트리퍼판
62: 스트리퍼블럭 72: 가이드공
75: 가이드봉

Claims (5)

  1.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하형리테이너, 하형홀더, 상형리테이너, 상형홀더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에 의해 상기 상형홀더와 하형홀더가 가조립되며, 상기 상형홀더와 하형홀더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에 형성되는 부싱홀에 부싱을 접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다이를 벗어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모재가 지나가는 중앙라인을 중심으로 양쪽에 적어도 두 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과 가이드봉은 각각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리테이너와 하형리테이너의 사이에는 상기 다이에 안착된 모재의 일측을 눌러주는 스트리퍼홀더와 스트리퍼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20080003723U 2008-03-21 2008-03-21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0900096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723U KR20090009658U (ko) 2008-03-21 2008-03-21 프로그레시브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723U KR20090009658U (ko) 2008-03-21 2008-03-21 프로그레시브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658U true KR20090009658U (ko) 2009-09-24

Family

ID=4153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723U KR20090009658U (ko) 2008-03-21 2008-03-21 프로그레시브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65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86B1 (ko) * 2009-12-18 2012-04-0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타용 타이어 가황 장치
WO2017011647A1 (en) * 2015-07-14 2017-01-19 Ladd Daniel T Linear punch press and method for use
CN107856176A (zh) * 2017-11-11 2018-03-30 盐城协同机械有限公司 一种管桩端板瞄孔模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86B1 (ko) * 2009-12-18 2012-04-0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타용 타이어 가황 장치
WO2017011647A1 (en) * 2015-07-14 2017-01-19 Ladd Daniel T Linear punch press and method for use
CN107856176A (zh) * 2017-11-11 2018-03-30 盐城协同机械有限公司 一种管桩端板瞄孔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3286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차량용 리어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힌지 브라켓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브라켓
KR100980035B1 (ko) 볼 조인트 압입 플러그 제조용 금형
KR20090009658U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101811159B (zh) 管材孔组的冲裁方法及其冲压模具
CN210358791U (zh) 一种电机转子钢片的冲压模具
CN201659208U (zh) 冲压螺母铆接模
CN101817046A (zh) 冲压螺母铆接模
CN216324510U (zh) 一种冲孔翻边模具结构
KR200401141Y1 (ko) 펀칭 프레스용 금형구조
CN204867022U (zh) 管件冲孔用组装式模芯
KR20090091910A (ko) 2매 이상 판재로 성형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금형
KR200444471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205463927U (zh) 一种改进的冲孔落料复合模具
CN203853434U (zh) 电机冲片模具
CN205650695U (zh) 一种油管支架冲孔落料模
KR200448724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219805258U (zh) 一种刺破成型加冲孔的复合结构
CN104275406A (zh) 一种冲孔和落料连续模具
CN110523841A (zh) 一种密集小圆孔的级进模冲压成型方法
CN205732501U (zh) 一种导板式冲孔模
CN213997493U (zh) 一种衬套装配加工模具
CN217916604U (zh) 大倒扣脱模机构
CN218775484U (zh) 一种可快速装拆模具
CN211304636U (zh) 一种用于圆盘件锻造的复合锻模
CN213944531U (zh) 一种汽车支撑件侧冲孔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