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415A -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415A
KR20090009415A KR1020070072657A KR20070072657A KR20090009415A KR 20090009415 A KR20090009415 A KR 20090009415A KR 1020070072657 A KR1020070072657 A KR 1020070072657A KR 20070072657 A KR20070072657 A KR 20070072657A KR 20090009415 A KR20090009415 A KR 20090009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message
control
integrated remote
event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973B1 (ko
Inventor
이우진
신영술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7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9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양방향 통신으로 연동된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프로필을 관리하는 디바이스 저장부;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필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계층적 GUI 화면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GUI 발생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프로필을 각 요소로 파싱하고, 상기 파싱된 요소들이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XML 파싱부; 무선 통신 매체 기능을 수행하는 지그비(ZigBee);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생성된 요청을 처리하며,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고,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전기기로 전달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하여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데이터 지향적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ating duplex integration remocon}
본 발명은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데이터 지향적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가전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은 필수적인 장치로 자리 잡은지 이미 오래다. 최근에는 디지털 TV,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등의 기술이 개발되면서 더욱더 다양한 가전기기가 탄생되고 가전기기의 종류만큼 리모컨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많은 수의 리모컨을 관리해야 하며 사용법도 익혀야 한다. 그리고 홈네트워크 기술이 가정에 응용되면서 가전기기를 효과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더욱더 필요로 한다. 이러한 편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00년대로 넘어오면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기술이 원격 제어 기술과 접목됨으로써, 통합 리모컨의 연구는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 다.
하지만 통합 리모컨에 대한 많은 연구 개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통합 리모컨은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여러 리모컨을 통합한다라는 목적에도 부합되지 않고 있다.
먼저, 현재 일반적인 리모컨들의 구현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현재 리모컨은 제어 대상인 가전기기에 제어 명령 시그널을 전송한다. 리모컨이 데이터가 아닌 시그널을 전송하기 때문에 가전기기가 수행해야 할 행위의 종류만 전달할 수 있다. 리모컨의 각 버튼마다 코드가 할당되어 있고 버튼을 누르는 즉시 코드가 시그널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TV의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채널 버튼을 누르면 채널 변경 명령이 전송되어 채널을 변경할 수 있지만 변경하고자 하는 채널 값을 채널 변경 명령과 함께 전달하지는 못한다. TV의 시간 설정과 같이 명령 코드와 그 명령 코드에 이용될 인자 값이 필요한 경우에는 명령 코드를 전송하고 설정할 시간을 나타내는 시그널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전송해야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리모컨은 가전기기 사이에서 리모컨이 가전기기에게 일방적으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방향 통신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가전기기의 상태를 고려한 제어가 불가능하다. 리모컨은 자신이 전송한 명령 시그널이 가전기기에 도달하면 가전기기는 시그널이 뜻하는 명령의 정확한 수행을 완료하는 것을 가정한다. 리모컨은 가전기기의 상태가 자신에 제어한 데로 변경되어 있으며, 리모컨이 다른 명령을 전달하지 않은 이상 가전기기는 리모컨이 예측하는 최종 상태에 머물러 있을 것으로 인식한다.
하지만 가전기기의 상황에 따라 제어 명령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고, 리모컨을 통한 상태 변화가 아닌 가전기기 자체적인 요인으로 인한 가전기기의 상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리모컨은 이러한 가전기기의 상태 변화 정보를 전달받지 못하므로 리모컨이 알고 있는 가전기기의 상태는 실제 가전기기의 상태와 다를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통합 리모컨을 통해 가정 내의 보일러를 시동할 경우에 사용자는 리모컨에 표시된 보일러 시동 버튼을 눌러 보일러를 작동시킬 것이고, 리모컨에는 보일러가 시동되었다는 정보가 표시 될 것이다. 그러나 보일러가 작동되는 도중 기름이 부족하면 보일러는 작동을 멈추지만 리모컨에는 여전히 보일러가 작동되고 있다는 정보가 표시되고 있을 것이다.
현재 구현되는 통합 리모컨에 대해 살펴보면, TV, VCR, DVDP 등 다양한 가전제품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조작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들은 이미 시중에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통합 리모컨들은 출시될 때 제어를 원하는 가전기기의 제어 정보를 미리 고정적으로 가지게 된다. 생산단계에서 고려되지 않은 가전기기는 통합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가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필립스, 소니코리아, LG전자, 그리고 삼성전자 등의 전자회사에서 학습이 가능한 통합 리모컨을 출시 하였지만, 모든 기능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학습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이와 같이 현재의 통합 리모컨은 가전기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제한적인 제어 명령 시그널 전송 방법, 단방향 통신 방법 및 고정된 구성 제어 방법을 사용함에 따른 그 구현의 문제점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가전기기간에 데이터 기반의 제어, 양방향 통신 제어 및 동적 재구성 제어가 구현되는 통합 리모컨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기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데이터 지향적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방향 통합 리모컨은, 양방향 통신으로 연동된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프로필(Profile)을 관리하는 디바이스 저장부;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필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계층적 GUI 화면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GUI 발생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프로필을 각 요소로 파싱하고, 상기 파싱된 요소들이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XML 파싱부; 무선 통신 매체 기능을 수행하는 지그비(ZigBee);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생성된 요청을 처리하며,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고,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전기기로 전달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GUI 발생부는,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의 프로필로부터 획득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GUI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는,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코드와 상기 명령 코드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인자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일반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한 가전기기에 컨텍스트를 요청하여 응답되는 컨텍스트를 저장하며,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되지 않은 경우, 해당 메시지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면, 수신 즉시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기술 사항이 표시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출력에 대응된 사용자 입력을 파악한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지 않으면 해당 메시지를 버리고,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ID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컨텍스트를 요청한 후, 이에 응답되는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방향 통합 리모컨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가전기기; 상기 가전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통한 상기 가전기기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프로필을 관리하여 상기 프로필를 통한 상기 가전기기의 계층적 GUI 화면을 동적으로 생성하며,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을 포함한다.
상기 가전기기는,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API와 GUI정보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필을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양방향 통합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어 수행부; 긴급 이벤트 발생이나 일반적인 이벤트 발생을 상기 양방향 통합 리모컨에게 통지하는 이벤트 통지부; 양방향 통합 리모컨과의 무선 통신 매체 기능을 수행하는 지그비;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상기 이벤트 통지부는, 일반 이벤트 발생에 대해서는 이벤트의 자세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해당 가전기기의 ID만을 전달하고, 긴급 이벤트 발생에 대해서는 긴급된 기술 사항과 해당 가전기기의 ID를 상기 양방향 통합 리모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은, 지그비 WPAN 형성 범위 안의 가전기기로부터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가전기기를 파악하여 상기 연결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연결 허용된 가전기기에 프로필 전송을 요청하여 이에 응답된 프로필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프로필의 각 요소를 파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에게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이에 응답된 컨텍스트를 제공받고, 상기 컨텍스트로부터 파악되는 상기 가전기 기의 현재 상태와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프로필을 통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GUI를 형성하고, 이를 표시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GUI에 참조된 가전기기 제어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데이터 지향적인 해당 제어 메시지를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코드와 상기 명령 코드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인자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XML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를 지그비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의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인 일반 이벤트 발생 메시지인지 파악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일반 이벤트 발생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ID를 이용하여 메시지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메시지가 아닌 경우, 해당 메시지를 무시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한 가전기기에 컨텍스트를 요청하여 응답되는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이면, 수신 즉시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기술 사항이 표시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출력에 대응된 사용자 입력을 파악하여 해당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지 않으면 해당 메시지를 버리고,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ID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컨텍스트를 요청한 후, 이에 응답되는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컨텍스트가 저장되면, 해당 가전기기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한 GUI를 구성하여 표시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에 대응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지그비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통합 리모컨과 가전기기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통합 리모컨이 가전기기를 모니터링하도록 함으로, 통합 리모컨과 가전기기간의 동기화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통합 리모컨이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 여러 개의 시그널을 순차적으로 전달해야 하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하나의 메시지 전달 과정으로 완전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가전기기의 안터페이스 정보가 담긴 프로필을 제안하고, 상기 인 터페이스 정보를 통해 통합 리모컨이 동적으로 재구성 되도록 함으로, 통합 리모컨이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의 종류가 제한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과 가전기기간의 구현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양방향 통합 리모컨(URC : Universal Remote Controller)은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가전기기와 연동한다.
즉,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제어 대상 기기인 가전기기(200)에 단순한 시그널이 아닌 제어 명령어와 명령어에 대한 인자 값이 포함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하나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완전한 제어 명령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여러 번에 걸친 시 그널 전송이 필요 없다.
그리고, 가전기기(200)는 독립적으로 이벤트를 발생시켜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가전기기(200)로부터 독립적으로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가전기기(200)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이 가전기기(200)의 정보를 요청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게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제공하며,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에서 전송되는 가전기기(200)의 이벤트 발생 메시지 통해 가전기기(200)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로부터 연결이 요청되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과 연결된 디바이스 목록을 갱신하며, 가전기기(200)로부터 프로필을 전달받아 동적으로 GUI를 생성한다.
그리고,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아 해당 요청이 제어 메시지를 통해 가전기기(200)에 전달되도록 하며,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가전기기(200)에서의 제어 메시지 수행 결과를 제공받는다.
다음으로,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컨텍스트 정보에 따른 가전기기(200)의 상태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한다.
그런데,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서 지그비(ZigBee)를 통해 가전기기(200) 와의 무선 패킷을 송수신하는데, 지그비는 저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로 무선 패킷을 전송되더라도 도중에 패킷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의 프로필을 파일 형태로 교환할 시에,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 자체에서 패킷 손실을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공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즉시 처리할 이벤트인지 아닌지에 따라 구별된 처리를 수행한다.
즉,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이거나 사용자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2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라면 즉시 처리한다. 하지만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아니고 사용자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2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아니라면 해당 이벤트 발생 메시지는 무시된다.
이와 같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를 모니터링 하고 가전기기(20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어 대상기기의 상태를 고려한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가전기기(200)의 프로필로부터 획득한다. 프로필은 제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정보를 포함한다.
이로부터, 프로필을 가진 가전기기(200)는 모두 제어 가능한 대상이 되고, 가전기기(200)의 프로필을 이용하여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모든 기기는 통합 리모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가전기기(200)는 도 1a와 같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도 1b와 같이 지그비 라우터(300)를 거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의 RF(Radio Frequency)가 가전기기(200)에 위치한 곳곳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라우터(3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라우터(300)를 통해 따라서 라우터(3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확장이 가능하므로 가정의 어느 위치에 있는 가전기기(200)라도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응용 분야에 적합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각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최대 255개의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성을 이용한다면 넓은 지역에 수많은 노드가 산재하여 분포된 산업 현장에서도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응용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이벤트 처리부(110), 디바이스 저장부(120), GUI 발생부(130), 표시부(140), 중앙처리부(150), XML 파서부(160) 및 지그비(ZigBee)(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서 이벤트 처리부(110)는 가전기 기(200)로부터 전송된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즉시 처리하고, 일반적으로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대해서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의 상태에 따라 그 처리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바이스 저장부(120)는 가전기기(200)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필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 저장부(120)는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과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가전기기(200)로부터의 프로필을 관리한다.
디바이브 목록 테이블은 가전기기(200)의 ID, 상세 설명 및 가전기기(200)가 사용하는 지그비(170) 모듈의 고유 주소인 IEEE 주소를 저장하며,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은 가전기기(200)의 제어를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저장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은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에 의해 참조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은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에 의해 참조됨을 확인할 수 있다.
GUI 발생부(130)는 디바이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필을 이용하여 해당 가전기기(200)의 계층적 GUI 화면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GUI 발생부(130)는 GUI 생성시에 해당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이 기 포함하는 그래픽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중앙처리부(150)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생성된 요청을 처리하며,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의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200)와의 송수신 메시지를 해당 구성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150)는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제어 메시지가 지그비(170) 또는 라우터(300)를 통해 가전기기로 전달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코드와 상기 명령 코드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인자값을 포함한다.
XML 파서부(160)는 각 가전기기(200)로부터 해당 가전기기(200)의 프로필을 파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지그비(170)는 무선 통신 매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의 중앙처리부(150)는 가전기기(200)로부터 전송된 프로필에 대해 XML 파서부(160)를 이용하여 각 요소로 파싱되도록 하고, 파싱된 각 요소들을 디바이스 저장부(120)에 존재하는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과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150)는 가전기기(200)의 ID, 상세 설명, 가전기기(200)가 사용하는 지그비(170)의 고유 주소인 IEEE 주소를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에 저장하고, 가전기기(200)의 제어를 위한 API와 GUI 정보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중앙처리부(150)는 사용자가 임의의 가전기기(200)를 선택하면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에서 해당 가전기기(200)를 검색한다. 해당 가전기기(200)의 정 보가 존재한다면 참조되는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에서 선택된 가전기기(200)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추출하여 GUI 발생부(130)에게 전달한다. GUI 발생부(130)는 추출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GUI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부(140)에 출력한다. 생성된 GUI를 통해 사용자는 가전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 메시지는 XML 메시지 형태로 변환되어 지그비(170)를 통해 해당 가전기기(200)로 전달된다.
한편, 가전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의 이벤트 처리부(110)에 전달된다. 하지만 전달된 모든 메시지가 이벤트 처리부(110)에 의해 처리되는 것은 아니다.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현재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가전기기(200)가 전송한 메시지라면 이 가전기기(200)로부터 컨텍스트를 얻어와서 상태 정보를 갱신한다. 현재 관심 밖의 가전기기(200)에서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벤트 처리부(110)는 이 메시지를 무시한다. 하지만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도착한다면 메시지를 전송한 가전기기(200)의 종류에 관계 없이 즉시 사용자에게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대응되는 제어를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일반 컴퓨터에 비해 리소스가 제한되어 있고 Light-Weight 시스템을 지향한다. 따라서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이 네트워크상의 모든 가전기기(200)에 대한 프로필을 저장하지 못하는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이 Non-Store와 Selective-Store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필을 저장하도록 한다. 즉, 디바이스 저장부(120)는 Non- Store와 Selective-Store에 따라 가전기기(200)의 프로필을 저장한다.
우선, Non-Store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의 ID, 상세 설명, 지그비 IEEE 주소가 저장된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만 관리하고, 제어 API와 GUI 정보가 담긴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은 저장하지 않는다. 그리고, Non-Store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해 제어 대상인 기기가 변경될 때마다 해당 가전기기(200)로부터 매번 받아온다. 즉, Non-Store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하나의 제어 대상 가전기기(200)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보만 임시적으로 저장하여 저장공간 상의 제약을 줄이는 것이다.
Selective-Store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일정한 개수의 프로필을 캐싱하여 프로필 전송 횟수를 줄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Selective-Store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에 가장 많이 사용된 횟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개수만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새로운 가전기기(200)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 사용된 횟수가 가장 작은 인터페이스 정보를 삭제하여 해당 가전기기(200)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중앙처리부(150)는 자주 사용되고 기본적인 주요 기능을 제공하는 그래픽 요소에 대해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GUI 발생부(130)를 제어하여 해당 그래픽이 표시부(140)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150)는 특수한 기능을 제공하거나 제어 명령에 대한 인자 값 입력을 위한 그래픽 요소가 계층적으로 나타나도록 한다. 예를 들어 CD 플레어(Player)의 전원 버튼이나 재생 관련 버튼은 자주 사용되므로 리모컨의 표시부(140) 전면에 표시한다. 세부 음향 설정 기능은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는 기능이므로 GUI를 통한 단계적인 상호작용으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계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특수한 기능에 대한 GUI 정보를 계층적으로 구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의 계층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외부에서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도착하거나 사용자 요청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처리할 때까지의 수행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Real-Time OS를 사용한다. 그리고,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지그비 하드웨어의 독립적인 이식성을 높이고 Real-Time OS와 하드웨어 사이의 투명한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해 ZigBee Abstract Layer를 Real-Time OS와 ZigBee 하드웨어 사이에 둔다. XML 파서(XML Parser)는 가전기기(200)의 프로필을 파싱하고 GUI 발생부(130)(GUI Generator)는 파싱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GUI를 생성한다. GUI 발생부(130)는 응용프로그램의 GUI를 만들기 위해 그래픽 라이브러리(Graphic Library)를 필요로 하며, 응용프로그램은 GUI를 통해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고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나타낸 구성도이 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기기(200)는 프로필 저장부(210), 제어 수행부(220), 이벤트 통지부(230), 제어부(240) 및 지그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200)에서 프로필 저장부(210)는 가전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API와 GUI정보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필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 수행부(220)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며, 이벤트 통지부(230)는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나 일반적인 이벤트 발생을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벤트 통지부(230)는 일반적인 이벤트 발생에 대해서는 이벤트의 자세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
제어부(240)는 프로필 저장부(210), 제어 수행부(220), 이벤트 통지부(230)를 제어하며, 특히 제어 수행부(220)를 제어하여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가 제어 수행부(220)를 통해 처리되도록 하고, 이벤트 통지부(230)를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그비(250)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과의 무선 통신 매체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전기기(200)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으로부터 프로필 전송이 요청되면, 프로필 저장부(210)에서 자신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 프로필을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가전기기(200)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로부터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면 제어부(240)를 통해 해당 제어 메시지를 분석한 후 이를 처리한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로부터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면 해당 제어 메시지를 제어 수행부(220)가 실행할 수 있는 명령문으로 변환하여 제어 수행부(220)로 전달하여, 해당 명령문을 차례로 수행한 명령문 수행 결과를 제어 수행부(220)로부터 제공받는다.
한편, 이벤트 통지부(230)는 가전기기(200)가 운영되던 중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40)에 알리며, 제어부(240)는 해당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 전달한다. 이벤트 통지부(230)는 기존의 가전기기(200)에 새롭게 추가된 컴포넌트이다. 하지만 기존의 가전기기(200)의 구조로부터 최소한의 변경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이벤트 통지부(230)의 역할을 제한한다. 즉,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에 대한 세부 정보는 제외하고 단지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사실만 전달한다. 하지만, 일예로 보일러의 주변 온도 상승과 같은 긴급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긴급 이벤트에 대한 세부 정보를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달함으로써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이 긴급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사실과 이벤트에 대한 정보도 알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계층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전기기(200)의 계층구조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과 같이 프로세싱 시간을 보장하기 위하여 Real-Time OS를 사용하며, Real-Time OS와 가전기기(200)를 제어하는 제어 소프트웨어 사이에 제어 소프트웨어 API를 두어 제어 소프트웨어와 운영체제 간의 투명성을 제공한다. 가전기기(200)의 지그비 하드웨어와 ZigBee Abstract Layer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의 계층구조에서 하는 역할과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과 가전기기를 이용한 지그비 네트워크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과 가전기기(200)가 지그비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을 형성할 때,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코디네이터(Coordinator)의 역할을 하고, 가전기기(200)는 최종 노드(End-Node)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지그비 WPAN에서 코디네이터는 WPAN을 시작하고 지그비 라우터(300)나 지그비 최종 노드에게 논리적인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새로운 노드가 지그비 WPAN으로의 접속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지그비 WPAN의 전체적인 관리를 담당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전기기(200)가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의 제어 대상이 되기 위해서 먼저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 연결 요청을 하면(S101),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해당 가전기기(200)의 고유 주소인 IEEE 주소를 확인한다(S102).
이에,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의 IEEE 주소가 연결이 허용된 범위에 있는 주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03), 허용된 범위 안의 주소가 아닌 경우 연결 요청을 무시하여 해당 가전기기(200)로 연결 요청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다(S104).
하지만,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의 IEEE 주소가 연결 허용된 범위 안의 주소인 경우, 해당 가전기기(200)에게 논리적인 주소를 할당한 후(S105), 연결 허용 메시지를 해당 가전기기(200)로 함으로써 지그비 WPAN을 형성한다(S106).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이 가전기기(200)를 제어하는 과정은 전체적으로 네트워크 연결 과정, 프로필과 컨텍스트 전송 과정, 제어 과정으로 나뉠 수 있다.
우선, 지그비 WPAN 형성 범위 안의 가전기기(200)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을 발견하는 경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으로 전송한다(S201). 이에,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도 8의 과정에 따라 연결 요청을 받아들일 경우 논리적 주소를 가전기기(200)에 할당하고(S202) 가전기기(200)에 연결 허용을 알린다(S203).
다음으로, 연결 과정이 완료되어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새롭게 연결된 가전기기(200)에 프로필 전송을 요청한다(S204).
이에, 프로필 전송 요청을 받은 가전기기(200)는 자신의 인터페이스 정보가 담긴 프로필을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로 전송한다(S205).
여기서, 가전기기(200)의 프로필은 XML 메시지 형태로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에게 전달되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XML 파서를 통해 프로필의 각 요소를 파싱하고(S206), 파싱된 요소 중에서 가전기기(200)의 ID, 상세 설명, 그리고 IEEE 주소는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에, 파싱된 나머지 요서인 가전기기(200)의 제어 API와 GUI 정보는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에 저장된다(S207). 이에,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제어 대상을 변경할 때마다 저장된 해당 가전기기(200)의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한다.
한편, 프로필을 모두 전송 받은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해당 가전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는 가지고 있지만 해당 가전기기(200)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전혀 알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GUI를 생성하기 전에 프로필을 전송한 가전기기(200)에게 컨텍스트 정보를 요구한다(S208).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이에 대응하여 가전기기(200)로부터 컨텍스트 정보가 전달되면(S209), 가전기기(200)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S210) 가전기기(200)와 동기화한다(S211).
그 다음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저장된 가전기기(200)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GUI를 형성한다(S212). 이에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사용자가 표시화면으로 출력되는 GUI를 통하여 가전기기(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하여, 가전기기(200)에 대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을 입력하도록 한다(S213).
그리고,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가전 기기(200)에게 전달하고(S214), 해당 제어에 대한 응답을 가전기기(200)로부터 전달받는다(S215).
여기서,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코드와 상기 명령 코드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인자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XML 형태로 생성하여 가전기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이벤트 발생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로부터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전달받는 경우(S301), 해당 이벤트가 긴급 이벤트인지 또는 일반 이벤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2).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확인 결과, 일반 이벤트인 경우,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200)의 ID를 이용하여 메시지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200)로부터 전달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3). 여기서, 일반 이벤트 발생 메시지는 해당 이벤트가 일어난 가전기기(200) ID의 정보만을 포함한다.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판단에 따라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20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가 아니라면 해당 메시지를 무시한다(S304). 하지만,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제어 중인 가전기기(200)로부터 전달되었다면 이벤트를 발생한 가전기기(200)에 컨텍스트를 요청한다(S305).
그리고,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로부터 컨텍스트가 전달되면(S306) 자신이 가진 가전기기(200)의 컨텍스트를 갱신한다(S307).
한편,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이벤트 타입이 긴급 이벤트인 경우, 즉시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기술 사항을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S308). 여기서,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는 이벤트가 발생한 가전기기(200)의 ID 뿐만 아니라 긴급 이벤트에 대한 기술사항을 포함한다.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파악하여 해당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할지 여부를 판단한 후(S309),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지 않으면 해당 메시지를 버리고(S310),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200)의 ID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기기(200)에 컨텍스트를 요청한다(S311).
그리고,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가전기기(200)로부터 컨텍스트가 전달되면(S312) 해당 가전기기(200)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GUI를 구성한 후 표시화면을 통해 가전기기(200)의 상태를 출력한다(S313).
이에, 양방향 통합 리모컨(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가전기기(200)로 전송한다(S31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과 가전기기간의 구현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을 나타낸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목록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GUI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계층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계층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과 가전기기를 이용한 지그비 네트워크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이벤트 발생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양방향 통합 리모컨 110 : 이벤트 처리부
120 : 디바이스 저장부 130 : GUI 발생부
140 : 표시부 150 : 중앙처리부
160 : XML 파서부 170 : 지그비
200 : 가전기기 210 : 프로필 저장부
220 : 제어 수행부 230 : 이벤트 통지부
240 : 제어부 300 : 라우터

Claims (11)

  1. 양방향 통합 리모컨에 있어서,
    양방향 통신으로 연동된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프로필(Profile)을 관리하는 디바이스 저장부;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필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계층적 GUI 화면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GUI 발생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프로필을 각 요소로 파싱하고, 상기 파싱된 요소들이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XML 파싱부;
    무선 통신 매체 기능을 수행하는 지그비(ZigBee); 및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생성된 요청을 처리하며,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고,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전기기로 전달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 발생부는,
    상기 디바이스 저장부의 프로필로부터 획득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GUI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는,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코드와 상기 명령 코드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인자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형 통합 리모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일반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한 가전기기에 컨텍스트를 요청하여 응답되는 컨텍스트를 저장하며,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되지 않은 경우, 해당 메시지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부는,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전송되면, 수신 즉시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기술 사항이 표시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출력에 대응된 사용자 입력을 파악한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지 않으면 해당 메시지를 버리고,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ID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컨텍스트를 요청한 후, 이에 응답되는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
  6. 양방향 통합 리모컨 시스템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가전기기; 와
    상기 가전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통한 상기 가전기기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프로필을 관리하여 상기 프로필를 통한 상기 가전기기의 계층적 GUI 화면을 동적으로 생성하며,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API와 GUI정보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필을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양방향 통합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어 수행부;
    긴급 이벤트 발생이나 일반적인 이벤트 발생을 상기 양방향 통합 리모컨에게 통지하는 이벤트 통지부;
    양방향 통합 리모컨과의 무선 통신 매체 기능을 수행하는 지그비;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통지부는, 일반 이벤트 발생에 대해서는 이벤트의 자세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해당 가전기기의 ID만을 전달하고, 긴급 이벤트 발생에 대해서는 긴급된 기술 사항과 해당 가전기기의 ID를 상기 양방향 통합 리모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 시스템.
  8.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지그비 WPAN 형성 범위 안의 가전기기로부터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가전기기를 파악하여 상기 연결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연결 허용된 가전기기에 프로필 전송을 요청하여 이에 응답된 프로필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프로필의 각 요소를 파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에게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여 이에 응답된 컨텍스트를 제공받고, 상기 컨텍스트로부터 파악되는 상기 가전기기의 현재 상태와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프로필을 통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GUI를 형성하고, 이를 표시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GUI에 참조된 가전기기 제어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데이터 지향적인 해당 제어 메시지를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코드와 상기 명령 코드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인자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지향적인 제어 메시지를 XML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를 지그비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로부터의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인 일반 이벤트 발생 메시지인지 파악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일반 이벤트 발생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ID를 이용하여 메시지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메시지가 아닌 경우, 해당 메시지를 무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현재 제어 중인 가전기기로부터 전달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한 가전기기에 컨텍스트를 요청하여 응답되는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메시지가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이면, 수신 즉시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기술 사항이 표시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출력에 대응된 사용자 입력을 파악하여 해당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지 않으면 해당 메시지를 버리고, 상기 긴급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처리하고자 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ID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컨텍스트를 요청한 후, 이에 응답되는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컨텍스트가 저장되면, 해당 가전기기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한 GUI를 구성하여 표시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에 대응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지그비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KR1020070072657A 2007-07-20 2007-07-20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01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57A KR100901973B1 (ko) 2007-07-20 2007-07-20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57A KR100901973B1 (ko) 2007-07-20 2007-07-20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15A true KR20090009415A (ko) 2009-01-23
KR100901973B1 KR100901973B1 (ko) 2009-06-08

Family

ID=4048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657A KR100901973B1 (ko) 2007-07-20 2007-07-20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9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46B1 (ko) * 2010-01-26 2012-01-17 (주)휴맥스 양방향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US8515346B2 (en) 2009-12-22 2013-08-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ontrol func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func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KR101352983B1 (ko) * 2009-12-22 2014-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통신을 이용한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220022217A (ko) 2020-08-18 2022-02-25 이선의 수면유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073A (ko) * 2005-04-19 2006-10-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방법
KR200394174Y1 (ko) 2005-05-30 2005-08-31 공태호 지그비 표준을 이용한 무선 제어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5346B2 (en) 2009-12-22 2013-08-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ontrol func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func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KR101352983B1 (ko) * 2009-12-22 2014-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통신을 이용한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105146B1 (ko) * 2010-01-26 2012-01-17 (주)휴맥스 양방향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22217A (ko) 2020-08-18 2022-02-25 이선의 수면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973B1 (ko)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4972B1 (en) Device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based or peer-to-peer network environments
KR100638029B1 (ko)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US7729282B2 (en)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system
CN101315727A (zh) 一种通用遥控器
KR20020093516A (ko) 인터넷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901973B1 (ko)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86564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전자기기
JP2004531172A (ja) 統合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45182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Lai et al. A context-aware multi-model remote controller for electronic home devices
JP2005321926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059367B1 (ko) Dlna에서 dms 디바이스와 dmc/dmp 디바이스 간의 제어화면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EP4311180A1 (en) Connec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Deng A Modular Home Automation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KR102330109B1 (ko)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
US20130275605A1 (en) Engineering tool and programmable controller
Heredia et al. Contextual proactivity for media sharing scenarios in proximity networks
CN113625582A (zh) 用于家电设备控制的系统、方法、装置及云端服务器
KR100678948B1 (ko) 사용 횟수에 따른 도움말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
Kim Real-Time Intelligent Home Network Control System
JP2007116328A (ja) リモコ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21514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이벤트 처리 방법
JP2005025373A (ja) データ構造、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データ生成装置
JP2005223581A (ja) 情報端末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50050446A (ko) 전력선 통신이 필요없는 가전 장치 직접 무선 제어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