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182B1 -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182B1
KR100645182B1 KR1020050014680A KR20050014680A KR100645182B1 KR 100645182 B1 KR100645182 B1 KR 100645182B1 KR 1020050014680 A KR1020050014680 A KR 1020050014680A KR 20050014680 A KR20050014680 A KR 20050014680A KR 100645182 B1 KR100645182 B1 KR 100645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equence code
network system
home applian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588A (ko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14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1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때 데이터만을 송수신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이동식 서버에서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키 입력이 있을 때 첫번째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고, 전송된 연결 확인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한 후에, 해당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식 서버로 전송하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한 후에, 다음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그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과정들을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임의의 횟수만큼 반복 수행함으로써,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규정된 각각의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전송하여 보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HOME-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ZigBee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ZigBee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동식 서버측 제 1 ZigBee 모듈부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ZigBee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임의의 가전기기측 제 2 ZigBee 모듈부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ZigBee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임의의 순서열 코드가 포함된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터넷 102 : 이동식 서버
104 : ZigBee 106/1-106/N : 가전기기
200 : 제 1 ZigBee 모듈부 202 : 키입력부
204 : 제 1 제어부 206 : 제 1 송수신부
208 : 디스플레이부 300 : 제 2 ZigBee 모듈부
302 : 제 2 송수신부 304 : 제 2 제어부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는데 적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초기의 홈네트워킹은 가정 내 보안, 조명, 온도 등을 자동 통제하는 수준인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홈 컨트롤 시스템(Home Control System) 정도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 후, 한 가정 내에 여러 대의 PC 및 주변기기를 보유한 가구 수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킹 기술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홈네트워킹 키트(Home Networking Kit)들이 등장하면서 홈네트워킹 개념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전화선이나 전력선, 무선 등 진일보한 전송매체 기술의 발전과 DSL, Cable Modem 등 가입자망의 광대역화로 초고속인터넷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PC 뿐만 아니라 각종 디지털 정보단말기들이 가정 내에 등장하면서 홈네트워킹은 가정 내 디지털 정보가전기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인터넷 망과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무선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블루투스(Bluetooth), HomeRF, 무선1394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정 내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고, 이러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각의 가전기기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블루투스는 저전력, 저가의 무선 통신 기술로서, 복잡한 유선 케이블을 무선으로 대체할 목적으로 시작되어 개인 휴대용 디지털 기기, 개인 이동통신 기기, 컴퓨터 등의 기기들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용으로 사용되며, HomeRF는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를 이용하여 2.4GHz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가정 내에서의 무선 인터넷 액세스 파일 전송, 코드리스 전화기, FAX, 가족 구성원의 음성 메일 박스에 자동 라우팅, 코드리스 단말기에서 축적된 음성 메일의 검색 등을 서비스하고, 무선1394는 유선의 IEEE1394 기술을 무선으로 적용한 것으로, 홈네트워크의 단말 장치인 PC, HDTV, 홈씨어터, 디지털 캠코더 등의 디지털 가전기기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유무선 복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응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최근에는 블루투스와 비교할 때 더 싼 가격, 더 긴 전송거리, 낮은 데이터 전송율, 저전력 등의 특징을 갖으며, 다수의 네트워크 위상에 적용이 가능한 ZigBee를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서, ZigBee는 근거리 무선방식 IEEE 802.15.4에 준거한 표준화 작업으 로, 직접 방식인 스펙트럼 확산 기술을 기본으로 한 간이 변조 방식을 채용하여 무선 송수신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있으며, 250 kbps, 1 mW 미만의 송신전력을 사용하고, 2.4 GHz 주파수 대역에서 16 채널을 지원하여 같은 대역에서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ZigBee는 8 비트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통신 모드가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Mesh Mode'라 불리우는 점대점 방식의 네트워킹이 가능하고 네트워크 안에서 하나의 기기를 조정자(coordinator)로 명하여 송수신의 활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슬립(sleep) 모드에 있는 노드들을 활동 상태로 변경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극소화하였다.
한편, 무선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때, 서버측과 임의의 가전기기 사이에 동작 제어를 위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외부에서 악의적인 목적으로 변경될 경우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고, 가정 내에서도 서버측에서 임의의 가전기기에 전송하는 요청 메시지만을 암호화할 경우 동일한 요청 메시지일 경우 다른 가전기기의 동작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에 대한 제안은 아직 제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경우 이동식 서버와 해당 가전기기에서 동작 제어에 필요한 각각의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생성, 전송한 후에 전송되는 각각의 순서열 코드를 체크하여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이동식 서버에서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키 입력이 있을 때 첫번째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전송된 연결 확인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식 서버로 전송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다음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그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임의의 횟수만큼 상기 제 2 과정 내지 제 5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 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때 데이터만을 송수신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이동식 서버에서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키 입력이 있을 때 첫번째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고, 전송된 연결 확인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한 후에, 해당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식 서버로 전송하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한 후에, 다음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그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과정들을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임의의 횟수만큼 반복 수행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ZigBee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인터넷(100), 이동식 서버(102), ZigBee(104) 및 가전기기(106/1-106/N)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서버(102)는 방송이나 전화 및 인터넷(100)을 통해 가정으로 전송되는 외부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며, 필요에 따라 가정 내의 가전기기(106/1-106/N)에 재분배하도록 제어하는 이동방식의 홈서버 예를 들면, 로봇 등과 같은 것으로, 가정내의 각종 가전기기(106/1-106/N)의 제어 및 관리를 담당하 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나 가전기기를 통합 연결하여 기기, S/W, 저장장치를 공유, 제어, 관리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이다.
그리고, ZigBee(104)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동식 서버(102)와 가전기기(106/1-106/N) 사이에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통신 프로토콜로서, 블루투스와 비교할 때 더 싼 가격, 더 긴 전송거리, 낮은 데이터 전송율, 저전력 등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가전기기(106/1-106/n)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정 내에 존재하는, 예를 들어 컴퓨터, 프린터, 세탁기, 냉장고, TV 등을 말하는데 이동식 서버(102)와의 제어 데이터 송수신 시에 이동식 서버(102)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ZigBee(104)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ZigBee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동식 서버측 제 1 ZigBee 모듈부의 블록구성도로서, 제 1 ZigBee 모듈부(200), 키입력부(202), 제 1 제어부(204), 제 1 송수신부(206) 및 디스플레이부(208)를 포함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ZigBee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임의의 가전기기측 제 2 ZigBee 모듈부의 블록구성도로서, 제 2 ZigBee 모듈부(300), 제 2 송수신부(302) 및 제 2 제어부(304)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키입력부(202)는 이동식 서버(102) 및 가전기기(106/1-106/n)를 제어하는 조작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이동식 서버(102)에 구비된 키패드, 리모콘 컨트롤러 등을 통해 입력하게 된다. 이 러한 조작신호는 이동식 서버(102)측 제 1 ZigBee 모듈부(200)의 제 1 제어부(204)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 1 제어부(204)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이동식 서버(102)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키입력부(202)로부터 제어 조작신호가 전달될 때, 이에 따라 해당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이를 암호화하여 제 1 송수신부(206)로 전달한다.
또한, 제 1 송신부(206)로부터 전달되는 가전기기(106/1-106/n)측 제 2 ZigBee 모듈부(30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 분석하고,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하여 정상적인 순서열 코드일 경우 해당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즉,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를 생성한 후에 이를 암호화 하여 제 1 송신부(206)로 전달하고, 제 1 송신부(206)로부터 전달되는 가전기기(106/1-106/n)측 제 2 ZigBee 모듈부(300)로부터의 오류 메시지에 따라 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8)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순서열 코드가 포함된 메시지의 구조는 8비트의 시퀀스(Sequence), 8비트의 어드레스(Address), 8비트의 커맨드(Command), 4비트의 밸류 타입(Value type) 및 8비트의 밸류(Value)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순서열 코드는 시퀀스와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시퀀스는 가전기기(106/1-106/N)와 이동식 서버(102) 사이의 통신 순서에 따라 증가하는 수열이며, 가전기기(106/1-106/N)에는 각각의 가전기기(106/1-106/N)를 규정하는 수열이 각각 저장되고, 이동식 서버(102)에는 전체 가전기기(106/1-106/N)를 규정하는 수열이 전부 저장된다. 어드레스는 해당 가전기기(106/N)의 코드, 커맨드는 해당 가전기기(106/N)에 전송하는 제어 데이터, 데이터 등을 의미한다. 밸류 타입은 밸류 필드의 종류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의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공개키, 대칭키 방식의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에 제 1 송수신부(206)로 전달한다.
또한, 제 1 송수신부(206)는 가전기기(106/1-106/N)측과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가전기기(106/1-106/N)측 제 2 ZigBee 모듈부(300)의 제 2 송수신부(302)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 1 제어부(204)로부터의 연결 확인 메시지, 요청 메시지 등을 송신하며, 가전기기(106/1-106/N)측 제 2 ZigBee 모듈부(30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에러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제 1 제어부(204)로 전달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8)는 제 1 제어부(20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전기기(106/1-106/N)측의 에러 메시지 등을 액정 패널 등의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에러 메시지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그리고, 제 2 ZigBee 모듈부(300)의 제 2 송수신부(302)는 이동식 서버(102)측 제 1 ZigBee 모듈부(200)의 제 1 송수신부(206)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식 서버(102)측 제 1 ZigBee 모듈부(200)로부터의 연결 확인 메시지, 요청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제 2 제어부(304)로 전달하고, 제 2 제어부(304)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오류 메시지 등을 송신한다.
또한, 제 2 제어부(304)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가 전기기(106/1-106/N)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제 2 송수신부(302)로부터 제공되는 연결 확인 메시지, 요청 메시지를 수신,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하고, 정상적인 순서열 코드일 경우 해당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한 후에 제 2 송수신부(302)로 전달하거나 또는 요청 메시지에 따라 가전기기(106/1-106/N)를 제어하며, 정상적인 순서열 코드가 아닐 경우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한 후에 제 2 송수신부(302)로 전달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때 이동식 서버와 임의의 가전기기 사이에 각각의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하여 정상적인 순서열 코드일 경우 이에 따라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가전기기(106/1-106/n)가 무선으로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대기모드에서(단계502), 이동식 서버(102)측 제 1 ZigBee 모듈부(200)의 제 1 제어부(204)에서는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입력 수단, 예를 들어 키패드, 리모콘 컨트롤러 등을 통해 제어키를 입력할 때 키입력부(202)로부터 발생되는 조작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단계504).
그리고, 제 1 제어부(204)에서는 첫 번째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대칭키, 공개키 방식 등의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에 제 1 송수신부(206)를 통해 가전기기(106/1-106/n)측 제 2 ZigBee 모듈부(300)의 제 2 송수신부(302)로 전송한다(단계506).
여기에서,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연결 확인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 10초 등)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제 2 송신부(302)에서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제 2 제어부(304)로 전달하고, 제 2 제어부(304)에서는 전달되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 여부를 체크한다(단계508, 510).
상기 단계(510)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순서열 코드일 경우 즉, 정상적인 순서열 코드를 갖는 연결 확인 메시지일 경우 해당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대칭키, 공개키 방식 등의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에 제 2 송수신부(302)를 통해 이동식 서버(102)측 제 1 ZigBee 모듈부(200)의 제 1 송수신부(204)로 전송한다(단계512).
제 1 송신부(206)에서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제 1 제어부(204)로 전달하고, 제 1 제어부(204)에서는 전달되는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 여부를 체크한다(단계514, 516).
상기 단계(516)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순서열 코드일 경우 즉, 정상적인 순서열 코드를 갖는 응답 메시지일 경우 해당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그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즉,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 어 명령)를 생성하고, 이를 대칭키, 공개키 방식의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에 제 1 송수신부(206)를 통해 가전기기(106/1-106/n)측 제 2 ZigBee 모듈부(300)의 제 2 송수신부(302)로 전송한다(단계518).
이 후에, 전송되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 2 제어부(304)에서는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고, 이러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횟수만큼 상기 단계(508)에서부터 상기 단계(518)까지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510)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순서열 코드가 아닐 경우 즉, 정상적인 순서열 코드를 갖는 연결 확인 메시지가 아닐 경우 제 2 제어부(304)에서는 규정된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대칭키, 공개키 방식 등의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에, 제 2 송수신부(302)를 통해 이동식 서버(102)측 제 1 ZigBee 모듈부(200)의 제 1 송수신부(204)로 전송한다(단계520).
다음에, 제 1 송수신부(204)는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제 1 제어부(204)로 전달하고, 제 1 제어부(204)에서는 에러 메시지를 분석한 후에 해당 순서열 코드에 따라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8)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에러 메시지를 액정 패널 등과 같은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단계528).
또한, 상기 단계(516)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순서열 코드가 아닐 경우 즉, 정상적인 순서열 코드를 갖는 응답 메시지가 아닐 경우 제 1 제어부(204)에서는 응답 메시지를 분석한 후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8)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에러 메시지를 액정 패널 등과 같은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단계528).
따라서,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때 이동식 서버측과 임의의 가전기기 사이에 규정된 순서열 코드를 갖는 메시지들을 생성하여 이를 암호화한 후에 상호 전송함으로써 보안 문제를 해결하여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ZigBee를 이용하여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때 데이터만을 송수신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이동식 서버에서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키 입력이 있을 때 첫번째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고, 전송된 연결 확인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한 후에, 해당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식 서버로 전송하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한 후에, 다음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그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과정들을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임의의 횟수만큼 반복 수행함으로써,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규정된 각각의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전송하여 보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 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이동식 서버에서 임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키 입력이 있을 때 첫번째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연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전송된 연결 확인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식 서버로 전송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순서열 코드를 체크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다음 순서열 코드에 대응하는 규정된 그 다음 순서열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임의의 횟수만큼 상기 제 2 과정 내지 제 5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6 과정
    을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과정을 수행한 후에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응답 메시지가 없을 경우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 2 과정을 수행한 후에 해당 순서열 코드가 아닐 경우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식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 4 과정을 수행한 후에 해당 순서열 코드가 아닐 경우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메시지들을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50014680A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0645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680A KR100645182B1 (ko)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680A KR100645182B1 (ko)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588A KR20060093588A (ko) 2006-08-25
KR100645182B1 true KR100645182B1 (ko) 2006-11-10

Family

ID=3760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680A KR100645182B1 (ko)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13B1 (ko) * 2007-02-07 2008-08-19 (주)매크로웨이 테크놀러지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0347B1 (ko) * 2007-05-28 2008-09-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브이씨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N116566714A (zh) * 2023-05-29 2023-08-08 深圳感臻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间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7143A (ja) 2000-08-29 2002-03-15 Sharp Corp 認証方法
KR20020085736A (ko) * 2001-05-02 200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킹 방법 및 메시지 송수신방법
KR20040103367A (ko)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7143A (ja) 2000-08-29 2002-03-15 Sharp Corp 認証方法
KR20020085736A (ko) * 2001-05-02 200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킹 방법 및 메시지 송수신방법
KR20040103367A (ko)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588A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036B2 (en) Home network system
CN103458399B (zh) 智能wifi模块及将支持wifi连接的设备配置进wifi网络的方法
RU2291581C2 (ru) Способ равноправ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устройств в динамически работающих домашних сетях
US80514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cured connection between home network devices
US20050113943A1 (en) Wireless network controller communicating with household appliances
US20050076150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3007900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ultiple logical networks of devices on a single physical network
US9681293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in a network, method, mobile transmitting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01138204A (zh) Upnp vpn网关配置服务
US7430591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configuring functional networks
KR20080011581A (ko) 원격제어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원격제어방법
CN112566113B (zh) 密钥生成以及终端配网方法、装置、设备
CN103702188A (zh) 智能电视及其远程唤醒方法
Chen et al. Implementing the design of smart home and achieving energy conservation
CN108430091B (zh) 一种高效的智能家居wifi配网方法及设备
KR100645182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6648978A (zh) 一种基于dlna的移动终端、数据备份系统及方法
WO2005004387A1 (en) Mobile home network system
KR100929773B1 (ko) 피제어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서버
KR20030070302A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WO2005004397A1 (en) Mobile home network system
JP2004229148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100559043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50078542A (ko) 다양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2002005946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인터넷 가전기기의 통합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